KR20010020297A - 제어장치, 제어방법,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통신시스템 및 컴퓨터의 판독매체 - Google Patents
제어장치, 제어방법,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통신시스템 및 컴퓨터의 판독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20297A KR20010020297A KR1019997009901A KR19997009901A KR20010020297A KR 20010020297 A KR20010020297 A KR 20010020297A KR 1019997009901 A KR1019997009901 A KR 1019997009901A KR 19997009901 A KR19997009901 A KR 19997009901A KR 20010020297 A KR20010020297 A KR 200100202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rolled
- point
- control
- signal
- control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02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8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6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3075 data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3 phase shif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6 process contro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53—Lease time; Renewal aspec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84—Providing for device mobi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04—Address structures or form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무선통신망에 응용되는 것이다. 제어지점은 피제어지점이 발신허가신호(S82 및 S83) 등의 제어지점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정상적으로 제어되는 지를 판정한다. 제어지점은 비정상으로 제어되는 지속시간(S84)을 측정한다. 측정된 지속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감시 카운터의 카운트값이 디폴트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지점은 강제로 피제어장치에 할당된 지점 ID를 할당해제한다. 강제 할당해제된 지점ID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통신망에 새로 가입된 피제어지점에 할당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열악한 통신상태에 있는 피제어지점을 통신망에서 제거하여 무의미한 통신을 막고 통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노트북, 전자수첩 등과 같은 휴대 장치의 사용이 널리 확산되면서, 최근에 다양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인터페이스가 무선형태 및 속도면에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컴퓨터 분야에서, 무선 및 고속화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비접속 연결에 기초하는 통신망의 건설이 무선 랜(LAN) 및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으로 특징지워지는 기술을 사용하여 테이블탑 장치뿐만아니라 휴대장치 사이에서도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랜은 "CSM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로 불리는 엑세스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복수의 지점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예를 들어, IrDA은 "IrLAp(infrared link access protocol)"라 불리는 엑세스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두 지점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무선통신망에 사용되는 휴대장치는 이를 쉽게 운반할 수 있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통신망 내에 연결된 휴대장치가 통신망 밖에 있는 경우에는 통신을 할 수 없어서 결과적으로 통신 장애가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데이터발신 허가신호가 통신상태에 있지 않는 어느 휴대장치에 보내지면, 이 휴대장치는 데이터발신허가 순간에 데이터를 보내지 못하게 된다. 또한, 휴대장치가 데이터를 보낼 때, 다른 휴대장치가 데이터를 받지 못하게 된다. 이 경우에, 통신이 전혀 되지 않아, 고효율성을 갖는 통신망을 구현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망에서 휴대장치의 열악한 통신상태를 제거하여 무의미한 통신을 방지함으로써, 통신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제어장치, 제어방법,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통신시스템 및 컴퓨터의 판독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무선통신망에 응용되는 것이다.
도 1은 실시예로서 도시된 무선통신망을 나타내는 시스템도이다.
도 2는 무선통신망에 대한 지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3은 지점 ID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4는 IEEE1394 규격에 따른 팩킷의 기본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IEEE1394 규격에 따른 비동기 팩킷의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IEEE1394 규격에 따른 동기 팩킷의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각각 데이터 블럭의 타입 및 각 헤더의 내용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액세스·레이어·커맨드의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적외선을 사용한 무선통신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IEEE1394 규격에 따른 사이클 시작 팩킷의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사이클 시간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타임슬롯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a 내지 도 13e는 데이터 블럭 변환 및 팩킷 재설정 처리동작을 설명하는 것이다.
도 13a에서 도 13e는 각각 데이터 블럭 변환 및 팩킷 재설정을 설명하는 것이다.
도 14는 각 지점 ID에 대하여 저장영역에 저장된 내용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5는 지점 초기화 과정에 대한 제어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은 지점 ID 할당해제 과정에 대한 제어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7은 제어지점에 있는 통신 상태를 감시하는 처리에 대한 제어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8은 발신허가지점 결정과정에 대한 제어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9는 피제어지점에서의 통신 상태를 감시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0은 제어지점에서 다시 식별자를 사용하는 지연처리의 제어동작을 설명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는 통신망 내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수 개의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로서, 피제어장치가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정상으로 제어되는 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판정수단이 피제어장치가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비정상으로 제어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비정상제어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측정수단과,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지속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피제어장치를 식별하는 피제어장치에 할당된 식별자를 할당해제하는 할당해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제어장치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피제어장치에 사용제한을 해제하여 할당해제수단에 의해 할당해제된 식별자가 상기 수 개의 피제어장치의 어느 장치에 할당되도록 하는 사용제한해제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은 통신망 내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수 개의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피제어장치가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정상으로 제어되는 지를 판정하는 판정단계와, 판정단계에서 피제어장치가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비정상으로 제어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비정상제어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측정단계와,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지속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피제어장치를 식별하는 피제어장치에 할당된 식별자를 할당해제하는 할당해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제어방법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피제어장치에 사용제한을 해제하여 할당해제단계에서 할당해제된 식별자가 상기 수 개의 피제어장치의 어느 장치에 할당되도록 하는 사용제한해제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판독매체는 통신망 내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수 개의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있는 컴퓨터가 소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판독매체로서, 피제어장치가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정상으로 제어되는 지를 판정하는 판정단계와, 판정단계에서 피제어장치가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비정상으로 제어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비정상제어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측정단계와,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지속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피제어장치를 식별하는 피제어장치에 할당된 식별자를 할당해제하는 할당해제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컴퓨터판독매체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피제어장치에 사용제한을 해제하여 할당해제수단에 의해 할당해제된 식별자가 상기 수 개의 피제어장치의 어느 장치에 할당되도록 하는 사용제한해제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더 기록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보처리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제어장치에 연결되고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정보처리장치로서, 피제어장치가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정상으로 제어되는 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판정수단이 피제어장치가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비정상으로 제어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비정상제어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측정수단과,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지속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장치에 할당된 식별자를 제어장치로부터 할당해제하는 할당해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보처리방법은 통신망을 통해 제어장치에 연결되고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정보처리장치의 정보처리방법으로서, 피제어장치가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정상으로 제어되는 지를 판정하는 판정단계와, 판정단계에서 피제어장치가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비정상으로 제어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비정상제어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측정단계와,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지속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장치에 할당된 식별자를 제어장치로부터 할당해제하는 할당해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판독매체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정보처리장치에 있는 컴퓨터가 소정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판독매체로서, 피제어장치가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정상으로 제어되는 지를 판정하는 판정단계와, 판정단계에서 피제어장치가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비정상으로 제어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비정상제어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측정단계와,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지속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장치에 할당된 식별자를 제어장치로부터 할당해제하는 할당해제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통신시스템은 상호간에 통신이 행해지는 제어장치 및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수 개의 피제어장치로 구성된다. 제어장치는,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피제어장치가 정상으로 제어되는 지를 판정하는 제 1판정수단과, 제 1판정수단이 피제어장치가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비정상으로 제어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비정상제어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제 1측정수단과, 제 1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지속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피제어장치를 식별하는 피제어장치에 할당된 식별자를 할당해제하는 제 1할당해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피제어장치는,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피제어장치가 정상으로 제어되는 지를 판정하는 제 2판정수단과, 제 2판정수단이 피제어장치가 비정상으로 제어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비정상제어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제 2측정수단과, 제 2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지속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장치에 할당된 식별자를 제어장치로부터 할당해제하는 제 2할당해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어장치는 피제어장치가 제어장치에서 나온 신호(예를 들어,발신허가신호)에 따라 정상적으로 제어되는 지를 판단하고, 비정상제어 지속시간을 측정하여 지속시간이 소정의 시간(제 1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피제어장치에 할당된 식별자를 할당해제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피제어장치(정보처리장치)는 피제어장치가 제어장치에서 나온 신호에 따라 정상적으로 제어되는 지를 판단하고, 비정상제어 지속시간을 측정하여 지속시간이 소정의 시간(제 2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제어장치에서부터 피제어장치에 할당된 식별자를 할당해제한다. 따라서, 통신망에서 휴대장치가 열악한 통신상태에 있는 것을 제거할 수 있어서, 무의미한 통신을 피하여 통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어장치는 할당해제된 식별자가 소정의 시간(제 3시간)이 경과한 후에 수 개의 피제어장치 중 어느 하나에 할당되도록 한다. 이 경우에, 제 3시간이 제 2시간보다 길게 설정되는 것이 제어장치에 의해 할당해제된 식별자가 피제어장치에서 할당해제되어 이미 할당된 후에 수 개의 피제어장치 중 어느 하나에 할당되도록 한다. 따라서, 동일한 식별자가 이중으로 피제어장치에 할당되는 것을 막아 통신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통신매체로서 적외선을 사용하는 무선통신망(1)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본 통신망(1)은 5개의 무선통신망 지점(이하, WN지점이라 한다)(2∼6)을 갖는다.
WN지점(2)은 전기적으로 IEEE1394 버스(21)에 연결된다. 또한, 위성방송 수신기(set top box)(22), CATV(케이블 텔레비젼) 수신장치(23),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장치(24) 및 비디오카세트 리코더(VCR)(25)가 IEEE1394 지점으로서 전기적으로 버스(21)에 연결된다. 또한, 위성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26)가 전기적으로 위성방송 수신기(22)에 연결된다. 케이블(27)은 CATV 수신장치(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CATV 신호를 전송한다.
WN지점(3)은 전기적으로 IEEE1394 버스(31)에 연결된다. 또한, IEEE1394 지점으로 사용되는 비디오카메라(32)가 버스(31)에 연결된다. WN지점(4)은 전기적으로 IEEE1394 버스(41)에 연결된다. IEEE1394 지점으로 사용되는 모니터(42)가 버스(41)에 연결된다.
WN지점(5)은 전기적으로 IEEE1394 버스(51)에 연결된다. IEEE1394 지점으로 사용되는 컴퓨터(52)가 버스(51)에 연결된다. WN지점(6)은 전기적으로 IEEE1394 버스(61)에 연결된다. IEEE1394 지점으로 사용되는 다른 모니터(62)가 버스(61)에 연결된다.
도 1의 무선통신망(1)에서, 데이터가 주어진 WN지점에 연결된 제 1지점에서 다른 WN지점에 연결된 제 2지점으로 전송될 때, 데이터가 적외선 신호로 변환되며 이 변환된 적외선 신호가 전송된다.
또한, IEEE1394 규격에서, 63개 지점까지 IEEE1394 버스가 연결될 수 있다. 지점 ID는 지점이 연결되는 버스를 가리키는 버스 ID(BUS_ID;10비트)와 물리층 ID(PHY_ID;6비트)로 구성되며, 버스에 일련번호가 있다. 따라서, 통신망에 연결되는 버스의 최대 개수는 1024이다. 아직 설정(파워 온)되지 않은 각 지점의 버스 ID는 초기값(3FF)으로 셋팅된다. 또한, 지점 ID 외의 유일한 장치 ID들은 이전에 모든 지점에 할당된다.
반면에, IEEE1394 규격에서, 데이터는 팩킷 단위로 전송된다. 도 4는 IEEE1394 규격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실행시의 데이터 포맷, 즉 팩킷의 기본 포맷을 나타낸다. 즉, 팩킷은 대략 헤더, 실행코드(tcode), 헤더 CRC, 사용자 데이터 및 데이터 CRC로 구성된다. 헤더 CRC는 헤더 단독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IEEE1394 규격에서, 헤더 CRC의 체크에 통과되지 않은 헤더가 헤더 CRC에 대해 작동을 하고 응답하는 것을 금지하기 위해 지점이 정의된다. 또한, IEEE1394 규격에서, 헤더는 실행코드를 포함해야 한다. 실행코드는 주요 팩킷의 분류를 정의한다.
또한, IEEE1394 규격에서, 등시(동기) 팩킷과 비등시(비동기) 팩킷은 도 4에 도시된 팩킷에서 파생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것들은 실행코드에 의해 서로 구별된다.
도 5는 비동기 팩킷의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다. 비동기 팩킷에 있어서, 헤더는 발신처(destination) 지점의 식별자(destination_ID), 실행레벨(t1), 재시도 코드(rt), 실행코드(tcode), 우선순위정보(pri), 발신원 지점의 식별자(source_ID), 팩킷타입의 고유정보(destination_offset, rcode, reserved), 팩킷타입의 고유데이터(quadlet_data, data_lenghth, extended_tcode) 및 헤더 CRC로 구성된다.
도 6은 동기 팩킷의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다. 동기 팩킷에 있어서, 헤더는 데이터 길이(data_length), 동기 데이터의 포맷 태그(tag), 동기채널(channel), 실행코드(tcode), 동기화코드(sy) 및 헤더 CRC로 구성된다.
IEEE1394 규격에 따른 상기 팩킷(동기 팩킷, 비동기 팩킷)은 이미 알려져 있는 길이에서 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는 고정길이 단위를 갖는 데이터 블럭으로 어느 특정의 WN지점에서 다른 WN지점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WN지점의 각각은 IEEE1394에 기초한 동기 팩킷, 비동기 팩킷과 같은 팩킷 데이터에서 고정길이 데이터 블럭을 만들어 낸다.
가변길이 팩킷의 길이가 고정길이 데이터 팩킷의 길이보다 긴 경우, 대응 팩킷이 복수의 형태로 분리되어 대응 팩킷의 데이터가 복수의 데이터 블럭에 포함되도록 설정된다. 이 경우에, 3가지 타입의 데이터 블럭이 고정길이 데이터 블럭으로서 산출된다.
첫 번째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팩킷을 포함하는 데이터만으로 구성된 사용자데이터를 갖는 데이터 블럭이다. 이 데이터 블록에서, 헤더는 사용자 데이터 앞에 놓여 있고, 헤더 및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에러수정 패러티(ECC: Error Correction Code)가 제공된다. 두 번째는 도 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팩킷(도시예에서는 두 개의 팩킷)을 포함하는 데이터로 구성된 사용자 데이터를 갖는 데이터 블럭이다. 이 데이터 블럭에서, 헤더가 각각 사용자 데이터의 앞에 놓여 있고, 헤더 및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에러수정 패러티가 전체로서 놓여 있다.
세 번째는 도 7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데이터 블럭이다. 이 데이터 블럭은 한 개 또는 복수의 팩킷(도시된 예에서는 한 개의 팩킷)을 포함하는 데이터로 구성된 사용자 데이터를 갖으며 그 공간 지역에 0 데이터(빈 데이터)가 부가된다. 이 데이터 블럭에서, 헤더는 사용자 데이터 앞에 놓여 있고, 헤더, 사용자 데이터, 및 0 데이터에 대한 에러수정 패러티가 전체로서 제공된다.
또한, 데이터 블럭의 전송속도가 24.576 Mbps으로 주어질 때, 패러티는 8바이트이고 나머지는 52바이트로 구성된다. 또한, 데이터 블럭은 240 심볼을 갖는 데이터로서 전송되도록 QPSK 변조된다. 반면에, 전송속도가 2×24.576 Mbps으로 주어질 때, 패러티는 16바이트이고 나머지는 104바이트로 구성된다. 또한, 데이터 블럭은 240 심볼을 갖는 데이터로서 전송되도록 16-QAM 변조된다. 또한, 전송속도가 4×24.576 Mbps으로 주어질 때, 패러티는 32바이트이고 나머지는 208바이트로 구성된다. 또한, 데이터 블럭은 240 심볼을 갖는 데이터로서 전송되도록 256-QAM 변조된다.
또한, 헤더는 4바이트로 되어 있고, 도 7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팩킷 ID 영역, 발신원 ID 영역, 데이터길이정보 영역, 데이터타입정보 영역, 분할정보 영역 및 리저브(reserve) 영역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7비트의 팩킷 ID가 팩킷 ID 영역에 저장된다. 이 경우에, 원래의 팩킷은 「1」∼「127」번째의 팩킷 ID를 순서대로 사용하여 식별한다. 「127」번째의 팩킷 ID의 사용 후, 다시 순서대로 「1」번째 팩킷 ID가 사용된다. 송신원에 대응하는 WN지점에 대한 무선통신 지점 ID(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는 지점 ID와 다르다)는 발신원 ID 영역에 저장된다. 예컨대, 무선통신망이 최대로 7개의 WN지점으로 구성될 때, 지점 ID는 3비트 데이터로 정의된다. 또한, 제어점의 지점 ID는 「111」로 정의된다.
사용자 데이터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가 데이터길이 정보영역에 저장되어 있다. 사용자 데이터가 동기 팩킷을 갖는 데이터인지, 비동기 팩킷을 갖는 데이터인지 또는 액세스·레이어·커맨드에 대한 데이터인지를 가리키는 코드나 데이터타입 정보 영역에 저장되어 있다. 데이터타입이 액세스·레이어·커맨드로서 주어질 때, 도 8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데이터 포맷을 갖는 액세스·레이어·커맨드가 데이터블럭의 사용자 데이터 내에 위치해 있다.
액세스·레이어·커맨드는 제어지점으로 정의된 WN지점과 피제어 지점으로 정의된 WN지점 사이에서 설정 정보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호 액세스·레이어 사이에서 제공된 커맨드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액세스·레이어·커맨드는 데이터블럭의 사용자 데이터에 위치해 있어도 액세스·레이어 사이에서 완료되기 때문에, IEEE1394에 따른 팩킷 포맷을 취하지 않는다. 커맨드코드는 액세스·레이어·커맨드 타입을 가리킨다. 페이로드(payload) 길이는 바이트 단위로 사용자 데이터(페이로드) 내에서 차지하고 있는 커맨드의 길이를 가리킨다. 액세스·레이어·커맨드는 데이터 페이로드에 저장된다. 앞에서부터 채워지는 형태로 저장되고 쿼들렛(quadlet)(4바이트) 단위로 불충분한 부분은 0 데이터로 메꾸어진다.
도 7a로 돌아가서, 「분할되지 않음」,「분할된 팩킷의 처음」,「분할된 팩킷의 중간」 및「분할된 팩킷의 끝」이 분할정보영역에 저장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WN지점에 의해 생성된 고정길이 데이터 블럭은 연속적인 각각의 125μsec 사이클 내에 제공된 복수의 타임슬롯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무선통신 데이터 포맷을 나타내고 있다. 6개의 타임슬롯(타임슬롯1∼타임슬롯6)은 각각의 사이클 안에 제공된다. 또한, 상기 WN지점 2에서 WN지점 6까지의 어느 하나가 뒤에 설명하는 것처럼 제어지점으로 동작하도록 설정된다.
제어지점으로 활성화된 WN지점은 각 사이클에서 타임슬롯1 내지 6에 앞서 제어블럭을 보낸다. 제어블럭은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변조되고 6심볼에 대응하는 갭영역, 11심볼에 대응하는 싱크영역, 7심볼에 대응하는 사이클 싱크영역, 15심볼에 대응하는 슬롯 허가영역 및 9심볼에 대응하는 에러수정영역으로 구성된다.
뒤에 설명한 것과 같이, 피제어지점은 제어블럭에 있는 데이터로부터 제어지점에 전송클럭신호를 생성하고 그 자신의 전송클럭신호를 제어지점에서의 생성된 전송클럭신호와 동기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어지점에서 전송된 제어블럭은 클럭동기 신호로서도 사용된다.
제어블록을 검출하는 싱크는 싱크영역에 위치한다. "cycle·master"로 불리는 IEEE1394 지점에 의해 125μsec(동기 사이클)마다 한 번씩 IEEE1394 버스에 전송되는 사이클·시작·팩킷에 포함된 32비트 사이클시간 데이터 중에서, 최하위 12비트의 데이터가 사이클 싱크영역에 저장된다.
도 10은 사이클·시작·팩킷의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다. 사이클·시작·팩킷에서, 헤더는 발신처 지점의 식별자(destination_ID), 실행레벨(t1), 재시도 코드(rt), 실행코드(tcode), 우선순위정보(pri), 발신원 지점의 식별자(source_ID), 발신처 지점의 메모리주소(destination_offset), 사이클시간 데이터 및 헤더 CRC로 구성된다. 최상위 7비트는 초수(秒數)를, 7비트 다음의 13비트는 사이클수를, 최하위 12비트는 24.576 MHz 클럭신호의 카운트값(클럭수)을 나타낸다.
따라서, 피제어지점으로서 사용된 WN지점은 제어블럭의 사이클 싱크영역에 저장된 12비트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12비트의 데이터에 따라 그 자신의 사이클시간 데이터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사이클시간 데이터를 갱신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각 사이클의 헤드에서 모든 지점의 상대시간간격이 자동으로 동기화된다.
또한, IEEE1394에 따른 각 지점은 ISO/IEC13213에 의해 정의된 CSR(Control and Status Registers)를 갖는다. 사이클시간 레지스터에 저장된 동기 데이터는 대체로 125μsec 단위로 송신되어, 동기 전송하는 각 지점의 대응 레지스터의 동기화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피제어지점의 사이클시간 데이터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사이클시간 데이터를 125μsec의 각 사이클에서 제어지점에서 보내진 제어블럭의 사이클싱크영역에 저장된 12비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갱신된다. 따라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 처리는 각 IEEE1394 사이클시간 레지스터의 자동 동기화 처리와 동일하다.
도 9를 다시 참조하면, 타임슬롯1 내지 6에 대한 5비트 정보는 슬롯허가영역에 저장된다. 5비트 정보는 비트0에서 4까지 구성된다. 비트4가 「1」로 주어질 때, 이것은 톤 요구의 송신을 가리키며 반면에 비트4가 「0」으로 주어질 때, 이것은 데이터의 송신을 가리킨다. 톤 요구는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톤 신호를 송신시키는 요구이다. 비트3이 「1」로 주어질 때, 이것은 동기 데이터를 가리키고, 반면에 비트3이 「0」로 주어질 때는, 비동기 데이터를 가리킨다. 비트2에서 0은 각각 발신을 허가하는 WN지점의 지점 ID를 가리킨다. 여기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지점으로 사용되는 WN지점의 지점 ID가 「111」로 표시된다. 후술할 바와 같이, 일시적 사용을 위해 의도된 지점 ID는 발신기회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는 지점 ID를 갖지 않는 각 WN지점에 대해서「000」으로 주어진다. 따라서, 피제어지점으로서 사용된 WN지점의 지점 ID로서 「001」∼「110」의 어느 것이 사용된다.
에러수정영역에는 사이클싱크영역 및 슬롯허가영역에 대한 에러수정코드가 저장된다. BCH 코드(62, 44, 3)가 에러수정코드로서 사용된다.
도 7a 내지 7c의 설명에서 생락되었지만, 도 9의 240심볼의 데이터영역뿐만아니라 6심볼의 갭영역 및 2심볼의 싱크영역이 실제로 타임슬롯1∼6을 사용하여 전송된 데이터블럭에 부가된다. 데이터블럭을 검출하는 싱크는 싱크영역에 위치한다. 또한, 싱크영역은 언제나 데이터영역의 변조방식에 관계없이 QPSK변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신할 수 있는 WN지점이 제어블럭의 슬롯허가영역에 있는 각각의 타임슬롯1∼6에 의해 특정되거나 지정되는 반면, 이 경우에 지정은 연속으로 다음에 이어지는 사이클 예를 들어, 다음 사이클에 관련되어진다. 도 12는 타임슬롯(1∼6)의 할당 예를 나타낸다. 본 예에서, 지점 ID = 「111」를 갖는 WN지점(제어지점)의 발신이 타임슬롯1 동안 허가된다. 지점 ID = 「001」를 갖는 WN지점의 발신이 타임슬롯2 동안 허가된다. 타임슬롯3 동안, 지점 ID = 「011」를 갖는 WN지점의 발신이 허가된다. 또한, 지점 ID = 「101」를 갖는 WN지점의 발신이 타임슬롯4∼6 동안 허가된다.
제어지점은 제어블럭의 슬롯허가영역을 사용하여 각각의 WN지점(제어지점 및 피제어지점)의 발신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피제어지점에 의해 예약된 전송폭이나 피제어지점에 의해 전송되고, 보고되는 데이터의 상태 등과 같은 각 WN지점의 데이터전송정보에 따라, 제어지점은 각각의 타임슬롯1∼6에 의해 발신이 허가되는 지점을 결정할 수 있다. 피제어지점에서 제어지점으로의 데이터 전송폭 예약, 전송되는 데이터의 상태 등에 대한 보고가 예컨대, 상술한 액세스·레이어·커맨드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따라서, 제어지점은 타임슬롯을 소정의 WN지점에 할당하여 예약된 전송폭의 발신에 대한 허가를 제공할 수 있고 나며지 타임슬롯들을 다른 WN지점에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제어지점은 예약된 전송폭 외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예약할 수 있는 최대의 전송폭을 타임슬롯의 수에 의해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폭이 예약되지 않고 비동기 팩킷에서처럼 주기성이 없는 데이터는 동기 팩킷이 전송되는 것과 동시에 전송폭 미예약 타임슬롯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미예약 전송폭의 타임슬롯이 사용되는 경우, 피제어지점은 예컨대, 액세스·레이어·커맨드를 사용하여 대응되는 제어지점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상황을 보고한다. 제어지점은 피어지점으로부터 획득된 전송예정 데이터의 전송폭, 팩킷의 타입, 내용의 우선순위, 최대허용전송시간 등과 같은 여러 정보를 이용하여, 미예약 전송폭에 대응하는 타임슬롯의 배분을 계산하여, 발신승인된 지점 및 팩킷의 타입을 결정한다. 따라서 예컨대, 데이터가 쉽게 다수의 전송예정 데이터에 머물러 있거나 바람직한 전송속도로의 데이터 전송이 지연되는 현상의 발생을 피할 수 있다.
상술한 타임슬롯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에 관하여, 전송처리가 매 타임슬롯마다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전송은 데이터 전송폭과 전송시간을 보증하며, 이에 반하여 비동기 전송은 전송시간보다 전송내용을 보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송시간에 우선하는 전송에 대해서 사용가능한 전송폭을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과정이나, 내용의 보증을 우선하는 전송에 대해서 에러발생시에 재전송처리를 허가하는 과정과 같은 전송처리과정이 이러한 무선통신망에서 우선대상이 다른 전송을 개별의 타임슬롯에서 실행함으로써, 타임슬롯 단위로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WN지점(100)(WN지점 2∼6의 각각에 대응)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제어지점 또는 피제어지점으로서 사용된 WN지점의 구성을 나타낸다. WN지점(100)은 마이크로컴퓨터로 제공되어 전체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1)를 갖는다. 32비트 사이클시간데이터(도 11 참고)를 발생시키는 사이클시간 데이터 발생부(102), 제어부(101)에 제공된 마아크로컴퓨터의 작동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ROM 및 동작 메모리로서 사용되는 RAM이 제어부(101)에 연결된다.
사이클시간 데이터 발생부(102)는 24.576 MHz의 클럭신호를 카운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WN지점(100)이 제어지점으로 동작할 때, 사이클시간 데이터 발생부(102)로부터 발생된 32비트 사이클시간 데이터의 하위 12비트가 제어블럭의 사이클싱크영역에 삽입되어 피제어지점에 공급된다. 반면에, WN지점(100)이 피제어지점으로 동작할 때, 사이클시간 데이터 발생부(102)에 의해 발생된 사이클시간 데이터가 수신된 제어블럭의 사이클싱크영역에서 추출된 12비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갱신된다.
또한, WN지점(100)은 IEEE1394 버스(105)에 연결된 다른 IEEE1394 지점에서 발신된, 동기 팩킷, 비동기 팩킷과 같은 팩킷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RAM(106) 및 RAM(106)에 저장된 팩킷데이터를 사용하고 제어부(101)의 제어하에서 데이터블럭(도 7a 내지 7c 참조, 헤더와 사용자 데이터 부분에만) DBL을 작성하는 데이터 작성부(107)를 갖는다.
WN지점(100)이 제어지점이 되는 경우, 또한 데이터 작성부(107)는 125μsec사이클의 헤드에서 전송되는 제어블럭(도 9 참조, 사이클싱크영역 및 슬롯허가영역의 부분에만) CBL를 작성한다. 또한, 데이터작성부(107)는 상호 액세스·레이어 사이에서 제공되는 커맨드 통신에 사용되는 액세스·레이어·커맨드도 작성하여 제어지점과 피제어지점 사이의 설정정보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세스·레이어·커맨드는 데이터블럭의 사용자 데이터에 위치하여 전송된다.
또한, WN지점(100)은 에러수정 패러티(ECC)를 데이터작성부(107)에서 출력된 데이터블럭 DBL에 부가하는 에러수정코드부가부(108) 및 에러수정코드부가부(107)에서 출력된 출력 데이터에 대해 스크램블 처리 및 변조처리를 하여 싱크를 헤드에 부가하는 스크램블/변조부(109)를 갖는다.
WN지점(100)은 에러수정코드를 데이터작성부(107)에서 출력된 데이터블럭 CBL에 부가하는 에러수정코드부가부(107), 에러수정코드부가부(110)에서 출력된 출력 데이터에 대해 스크램블 처리 및 변조처리를 하여 싱크를 헤드에 부가하는 스크램블/변조부(111) 및 스크램블/변조부(109, 111)에서 출력된 각 변조 신호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출력하는 발광소자(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WN지점(100)이 피제어지점으로 되는 경우 제어블럭 CBL은 데이터 작성부(107)에 의해 작성되지 않기 때문에, 에러수정코드부가부(110) 및 스크램블/변조부(111)가 사용되지 않는다.
WN지점(100)은 적외선을 수광하는 수광소자(포토 다이오드)(115) 및 수광소자(115)에서 출력된 신호로부터 데이터블럭의 싱크를 패턴검출하고, 검출 타이밍 신호(SYd)를 출력하고, 싱크가 검출되는 데이터블럭에 동기화되는 클럭신호(CKd)를 생성하는 싱크검출클럭 재생부(116)를 갖는다. 클럭신호(CKd)는 싱크가 검출된 데이터 블럭을 처리할 때 사용된다.
WN지점(100)은 검출 타이밍 신호(SYd)에 기초하여 싱크가 검출된 데이터블럭에 대해 복조처리 및 디스크램블처리를 하는 복조/디스크램블부(117), 복조/디스크램블부(117)에서 헤더 및 사용자 데이터의 에러수정부분으로 출력된 데이터블럭의 패러티를 사용하는 에러수정부(118), 에러수정부(118)에서 출력된 데이터 블럭 DBL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사용자 데이터 추출부(119), 및 데이터 블럭 DBL에서 사용자 데이터로 부가된 헤더를 추출하는 헤더추출부(120)를 갖는다. 헤더 추출부(120)에 의해 추출된 헤더는 제어부(101)에 공급된다.
WN지점(100)은 사용자 데이터 추출부(119)에서 추출된 사용자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RAM(121) 및 RAM(121)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를 버스(10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IEEE1394 지점에 전송하는 동안 헤더정보에 기초하여 팩킷 데이터를 복원하는 데이터 복원부(122)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가 액세스·레이어·커맨드일 때, 커맨드는 데이터 복원부(122)를 통해 제어부(101)에 전송된다.
WN지점(100)은 수광소자(115)에서 출력된 신호로부터의 제어블럭의 싱크를 패턴 검출하고, 검출 타이밍 신호(SYc)를 출력하고, 싱크가 검출되는 제어블럭과 동기화된 클럭신호(CKc)를 생성하는 싱크 검출·클럭 재생부(125)(도 9 참조)를 포함한다. 여기서, 클럭신호(CKc)는 싱크가 검출된 제어블럭을 처리할 때 사용되고, 발신처리를 위한 전송클럭신호로서 사용된다.
WN지점(100)은 검출 타이밍 신호(SYc)에 기초하여 싱크가 검출된 데이터블럭에 대해 복조처리 및 디스크램블처리를 하는 복조/디스크램블부(126), 복조/디스크램블부(126)에서 출력된 출력 데이터의 에러수정코드 사용하여 제어블럭(사이클 싱크 및 슬롯허가영역에 대응) CBL을 에러수정하고 이를 제어부(101)에 제공하는 에러수정부(127)를 갖는다.
WN지점(100)이 제어지점일 때, 복조/디스크램블부(126) 및 에러수정부(127)이 사용되지 않는다. 반면에, WN지점(100)이 피제어지점일 때, 싱크 검색클럭재생부(125)는 제어블럭에서 재생된 클럭신호를 참조하여 동기처리를 행하지 않고 단지 전송클럭신호를 재생하는 부(部)로서 기능한다.
도 2에서 도시된 WN지점(무선통신망)(100)의 동작은, 다음에 설명한다.
우선 WN지점(100)이 제어지점인 경우를 설명한다. 발신동작은 이하와 같이 실행된다.
제어부(101)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작성부(107)는 각 125μsec의 사이클의 헤드에서 제어블럭 CBL을 작성한다. 따라서, 에러수정코드부가부(110)은 에러수정코드를 제어블럭 CBL에 부가한다.
또한, 스크램블/변조부(111)는 제어블럭 CBL에 대해 스크램블처리 및 변조처리를 행하여 싱크를 부가함으로써, 제어블럭의 발신신호를 형성한다. 발광소자(112)는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제어블럭이 적외선 신호로서 발광소자(112)에서 출력된다.
동기팩킷, 비동기 팩킷과 같은 팩킷 데이터가 버스(106)를 통해 IEEE1394 지점에서 데이터 작성부(107)로 전송되는 경우, 팩킷 데이터는 RAM(106)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제어부(101)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작성부(107)는 RAM(106)에 저장된 팩킷데이터로부터 각 데이터 블럭 DBL(도 7a∼7b)를 작성한다.
데이터 작성부(107)는 자기의 발신이 허가되는 각 타임슬롯의 타이밍에서, 각각의 데이터 블럭 DBL를 출력한다. 에러수정코드부가부(108)은 에러수정코드를 데이터 블럭 DBL에 부가한다. 또한, 스크램블/변조부(109)는 데이터블럭에 대해 스크램블처리 및 변조처리를 행하여 싱크를 부가함으로써, 데이터블럭의 발신신호를 형성한다. 발광소자(112)는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데이터블럭이 적외선 신호로서 발광소자(112)에서 출력된다.
수신동작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수광소자(115)는 데이터블럭의 적외선 신호를 수광한다. 수광소자(115)에서 출력된 출력신호는 싱크 검출·클럭 재생부(116)에 공급되고, 데이터블럭의 싱크가 검출되어, 검출타이밍 신호(SYd)가 획득되고 싱크가 검출된 데이터블럭과 동기된 클럭신호(CKd)가 생성된다.
또한, 수광소자(115)의 출력이 검출 타이밍 신호(SYd)에 기초하여, 신호에 대해 복조처리 및 디스크램블처리가 되는 복조/디스크램블부(117)에 공급된다. 또한, 복조/디스크램블부(117)에서 출력된 출력 데이터에러수정부(118)에 공급되는데 여기서 데이터 블럭 DBL이 에러수정코드를 사용하여 에러수정된다.
에러수정부(118)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블럭 DBL이 헤더추출부(120)에 제공되어, 대응하는 헤더가 추출되고 그 헤더가 제어부(101)에 제공된다. 동일하게, 에러수정부(118)에 출력된 데이터블럭 DBL이 사용자 데이터 추출부(119)에 공급되는데 여기로부터 사용자 데이터가 데이터복원부(122)에 공급된다. 데이터복원부(122)는 헤더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101)의 제어에 의해 추출된 사용자 데이터로부터 팩킷데이터를 복원한다.
WN지점(100)이 피제어지점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것의 발신 동작이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동기팩킷, 비동기 팩킷과 같은 팩킷 데이터가 버스(106)를 통해 IEEE1394 지점에서 데이터 작성부(107)로 전송되는 경우, 팩킷 데이터는 RAM(106)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제어부(101)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작성부(107)는 RAM(106)에 저장된 팩킷데이터로부터 각 데이터 블럭 DBL(도 7a∼7b)를 작성한다.
데이터 작성부(107)는 자기의 발신이 허가되는 각 타임슬롯의 타이밍에서, 각각의 데이터 블럭 DBL를 출력한다. 에러수정코드부가부(108)은 에러수정코드를 데이터 블럭 DBL에 부가한다. 또한, 스크램블/변조부(109)는 데이터블럭에 대해 스크램블처리 및 변조처리를 행하여 싱크를 부가함으로써, 데이터블럭의 발신신호를 형성한다. 발광소자(112)는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데이터블럭이 적외선 신호로서 발광소자(112)에서 출력된다.
수신동작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수광소자(115)는 제어블럭 및 데이터블럭의 적외선 신호를 수광한다. 수광소자(115)에서 출력된 출력신호는 싱크 검출·클럭 재생부(125)에 공급되고, 데이터블럭의 싱크가 검출되어, 검출타이밍 신호(SYc)가 획득되고 싱크가 검출된 데이터블럭과 동기된 클럭신호(CKc)가 생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클럭신호(CKc)는 제어블럭을 처리하는데 사용되고 전송클럭신호로서 사용된다. 즉, 상기에서 언급된 발신동작은 전송클럭신호와 동기되어 실행된다.
또한, 수광소자(115)의 출력이 검출 타이밍 신호(SYc)에 기초하여, 신호에 대해 복조처리 및 디스크램블처리가 되는 복조/디스크램블부(126)에 공급된다. 또한, 복조/디스크램블부(126)에서 출력된 출력 데이터에러수정부(127)에 공급되는데 여기서 데이터 블럭 DBL이 에러수정코드를 사용하여 에러수정된다.
에러수정부(127)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블럭 DBL이 헤더추출부(120)에 제공되어, 대응하는 헤더가 추출되고 그 헤더가 제어부(101)에 제공된다. 제어부(101)는 12비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블럭 CBL의 사이클 싱크영역에 포함된 12비트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사이클시간 데이터발생부(102)에서 발생된 사이클시간 데이터를 갱신한다. 따라서, 모든 지점의 상대 시간간격이 자동으로 각 사이클의 헤드에서 동기된다. 또한, 제어부(101)은 제어블럭 CBL의 슬롯허가영역에 잇는 정보로부터 자신의 발신이 허가되는 각 타임슬롯을 인식한다.
수광소자(115)에서 출력된 출력신호는 싱크 검출·클럭 재생부(116)에 공급되고, 데이터블럭의 싱크가 검출되어, 검출타이밍 신호(SYd)가 획득되고 싱크가 검출된 데이터블럭과 동기된 클럭신호(CKd)가 생성된다.
수광소자(115)의 출력이 검출 타이밍 신호(SYd)에 기초하여, 신호에 대해 복조처리 및 디스크램블처리가 되는 복조/디스크램블부(117)에 공급된다. 또한, 복조/디스크램블부(117)에서 출력된 출력 데이터에러수정부(118)에 공급되는데 여기서 데이터 블럭 DBL이 에러수정코드를 사용하여 에러수정된다.
에러수정부(118)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블럭 DBL이 헤더추출부(120)에 제공되어, 대응하는 헤더가 추출되고 그 헤더가 제어부(101)에 제공된다. 동일하게, 에러수정부(118)에 출력된 데이터블럭 DBL이 사용자 데이터 추출부(119)에 공급되는데 여기로부터 사용자 데이터가 데이터복원부(122)에 공급된다. 데이터복원부(122)는 헤더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101)의 제어에 의해 추출된 사용자 데이터로부터 팩킷데이터를 복원한다. 복원된 팩킷 데이터는 버스(105)를 통해 IEEE1394 지점에 보내진다.
IEEE1394 규격에 따른 팩킷데이터가 제 1WN지점에서 제 2WM 지점으로 전송되는 때의 동작예를, 도 13a 내지 13e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3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클·시작·팩킷(CS)이 IEEE1394 지점에서 제 1WN지점의 데이터 작성부(107)로 전송된 후에, 팩킷(A)과 팩킷(B)이 팩킷데이터로서 전송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사이클·시작·팩킷이 사이클·마스터로부터 125μsec마다 한 번 전송된다. 그러나, 125μsec 시간간격으로 반드시 전송될 필요는 없다. 시간간격은 팩킷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125μsec보다 더 클 수도 있다.
데이터 작성부(107)는 도 1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팩킷(A) 및 팩킷(B)로부터 고정길이 데이터블럭을 작성한다. 이 경우에, 팩킷(A) 및 팩킷(B)의 데이터 길이에 따라 예를 들어, 팩킷(A)에 데이터만 갖는 데이터 블럭, 팩킷(A) 및 팩킷(B)에 데이터를 갖는 데이터블럭, 팩킷(B)에 데이터만 갖는 데이터 블럭과 함께 공간영역에 0 데이터가 위치하는 것 등이 작성된다. 이 경우에, 원래 팩킷, 분할된 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각각 갖는 헤더가 각 팩킷을 구성하는 데이터(사용자 데이터)의 헤드에 제공된다.
따라서, 도 13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지점으로서 사용된 WN지점에 의해 발신이 허가된 타임슬롯(1∼3)을 사용하여, 제 1WN지점의 데이터작성부(107)에 의해 작성된 대응하는 데이터 블럭이 제 2WN지점에 전송된다. 이 경우에, 에러수정 패러티가 각 데이터블럭에 부가되고, 스크램블 및 변조처리되며, 이 후에 싱크가 각 데이터블럭에 부가되고, 적외선신호로서 교대로 전송된다.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WN지점은 제 1WN지점에서 전송된 각각의 데이터블럭을 수신한다. 데이터블럭에서 추출된 사용자 데이터는 데이터복원부(122)에 공급된다. 또한, 데이터블럭에서 추출된 헤더는 제어부(101)에 공급된다. 데이터복원부(122)는 도 13E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에 포함된 원래 팩킷, 분할 정보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데이터로부터 원래의 팩킷 데이터를 복원한다. 팩킷 데이터는 IEEE1394 지점에 전송된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통신망에의 가입 및 이탈이 어떻에 행해지는 지와 무선통신망의 각 WN지점에 무선통신용 지점 ID를 어떻게 할당하는 지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최대로 7개의 WN지점을 갖는 무선통신망이 구성될 수 있다. 무선통신 지점 ID는 3비트 데이터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111」은 각 제어지점에서의 지점 ID로 정의되고, 「000」은 일시사용을 위한 지점 ID로 정의되고, 각 피제어지점에서의 지점 ID는「001」∼「110」의 어느 하나로서 정의한다.
따라서, 제어지점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WN지점(100)의 RAM(104)(도 2 참조)에는,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점 ID의 사용상태를 알리는 사용플래그를 저장하는 제 1저장영역, 지점 ID를 갖는 WN지점의 발신빈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 2저장영역, 지점 ID를 갖는 WN지점과 관련된 감시카운터의 카운트값을 저장하는 제 3저장영역 및 지점 ID를 갖는 WN지점에 관련된 지연카운터의 카운트값을 저장하는 제 4저장영역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감시카운터 및 지연카운터는 뒤에서 각각 설명한다.
사용자 플래그가 「1」인 지점 ID는 사용중인 것을 나타내고, 「0」인 지점 ID는 사용 중이 아닌 것을 나타낸다. 또한, 빈도정보는 2비트 데이터로 설정된다. 「11」은 고빈도를 나타내고, 「10」은 통상빈도를 나타내고, 「00」은 저빈도를 나타낸다. 또한, 각 미사용 지점 ID에 대한 빈도는 「00」으로 설정된다.
지점 초기화 처리가 도 15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지점 초기화 처리에 대한 제어프로그램이 파워온되면서 시작된다.
지점 초기화 처리가 시작되면, WN지점(100)이 스텝(S51)에서 다른 WN지점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스텝(S52)에서 제어지점으로서 사용된 WN지점으로부터 제어블럭을 받을 수 있는 지를 판정한다.
제어블럭을 수신할 수 없다고 하면, 이는 무선통신망이 아직 구축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WN지점은 스텝(S53)에서, 자신이 제어지점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WN지점(100)의 RAM(104)에는 지점 ID를 갖는 WN지점과 관련된 감시카운터의 카운트값을 저장하는 제 3저장영역 및 지점 ID를 갖는 WN지점에 관련된 지연카운터의 카운트값을 저장하는 제 4저장영역뿐만아니라 지점 ID의 사용상태를 알리는 사용플래그를 저장하는 제 1저장영역, 지점 ID를 갖는 WN지점의 발신빈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 2저장영역이 설치되어 있다. WN지점이 제어지점으로 기능하지 못한다고 하면, 제어프로그램은 스텝(S51)으로 돌아간다. 반면에, WN지점이 제어지점으로 기능한다고 하면, 스텝(S54)으로 가서 제어지점으로 기능하여, WN지점이 제어지점처리상태로 옮겨지게 된다.
이 경우에, 제어지점이 된 WN지점(100)은 당해 무선통신망에서의 통신대상이 되는 피제어지점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예컨대 제어지점이 되는 WN지점은 계속해서 125μsec 간격으로 제어블럭을 전송한다. 제어블럭의 전송에 의해, 다른 WN지점(100)이 당해 무선공간에서 제어지점으로서 기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텝(52)에서, 제어지점으로서 사용되는 WN지점으로부터의 신호, 즉 제어블럭이 수신될 수 있다고 판정되면, WN지점은 스텝(S55)으로 가서 피제어지점으로서 당해 무선통신망으로 들어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블럭의 슬롯허가영역(도 9참조)에서, 다음 사이클에서 각 타임슬롯(1∼6)으로 발신할 수 있는 WN지점(100)이 지점 ID를 사용하여 지정된다. 일시 사용목적을 위한 지점 ID 「000」사용하여, 지점 ID가 없는 WN지점에 발신의 기회를 준다.
스텝(S55)에서, WN지점(100)은 지점 ID「000」으로 지정된 타임슬롯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용 지점 ID의 사용상태의 전송을 제어지점에 요구한다. 요구가 되면, 제어지점이 되는 WN지점(100)은 RAM(104)의 제 1저장영역에 저장된 사용프래그를 참조하고, 요구된 새로운 지점에 ID의 사용상태를 전송한다. 사용상태의 전송은 또한 액세스·레이어·커맨드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다음 스텝(S56)에서 지점 ID의 사용상태에 기초하여 미사용 ID가 있는 지를 판정한다. 미사용 지점 ID가 있는 경우, 제어프로그램은 스텝(S57)로 가서 피제어지점의 무선통신망으로의 가입처리를 중지시킨다. 따라서, 6개를 초과하는 피제어지점이 무선통신망에 가입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미사용 지점 ID가 스텝(S56)에서 존재하는 경우, 제어프로그램은 스텝(S58)으로 가서 그 자신의 사용 지점 ID를 결정한다. 스템(S59)에서, 상술한 지점 ID 「000」로 지정된 타임슬롯을 이용하여, 제어지점으로서의 WN지점(100)에 대하여 결정된 지점 ID에 대응하는 사용플래그「0」에서「1」로 갱신하도록 요구한다. 이 요구는 액세스·레이어·커맨드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요구가 있는 경우, 제어지점으로서의 WN지점(100)은 갱신요구된 지점 ID의 사용자 플래그를 상술한 것처럼 RAM(104)의 제 1저장영역에 저장된 사용자 플래그를「0」에서「1」로 갱신한다.
갱신요구된 지점 ID의 사용자 플래그가 이미 「1」로 갱신되면, 대응 새로운 지점이 처리를 하는 동안, 대응 ID의 사용자 플래그가 다른 새로운 지점에서 발생한 요구에 의해 「1」로 갱신될 수 있어서, 갱신에 실패하게 된다. 제어지점으로서의 WN지점(100)은 대응 지점 ID의 사용플래그의 갱신이 요구되는 새로운 지점에 갱신의 실패 또는 성공을 통지한다. 이 통지는 또한 액세스·레이어·커맨드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스텝(S60)에서, 사용자 플래그의 갱신의 성공여부를 판정한다. 갱신이 실패하면, 제어프로그램은 스텝(S55)으로 돌아가는데 여기서는 WN지점이 피제어지점으로서 당해 무선통신망에 가입되도록 다시 지점 ID의 사용 상태를 전송하게 제어지점에 요구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동작이 반복된다. 반면에, 갱신이 성공하면, WN지점이 당해 지점 ID에 의해 특정된 피제어지점으로 되어 스텝(S61)의 피제어지점 처리상태로 이행(移行)된다. 이 경우에, 제어지점은 무선통신용 지점 ID를 당해 피제어지점에 할당한다.
상기 지점초기화처리에 의해, 새로운 지점이 자동적으로 무선통신용 지점 ID를 획득하고 획득된 지점 ID에 기초하여 당해 무선통신망에 가입된다. 결과적으로, 이 피제어지점은 할당된 지점 ID를 사용하여 무선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피제어지점으로서의 WN지점(100)이 당해 무선통신망에거 제거될 때의 지점 ID 할당해제 처리를, 도 16의 플로우차트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지점 ID 할당해제처리 제어프로그램이 파워오프되면 시작된다.
지점 ID 할당해제처리가 기동되면, WN지점(100)은 스텝(S71)에서, 자기의 지점 ID로 지정된 타임슬롯을 사용하여 제어지점에 대하여 지점 ID의 사용상태의 송신을 요구한다. 요구가 있는 경우, 제어지점으로서의 WN지점은 RAM(104)의 제 1저장영역에 저장된 지점 ID에 대응하는 사용플래그를 참조하여 요구된 지점에 지점 ID의 사용상태를 송신한다.
다음, 스텝(S72)에서, 지점 ID의 사용 상태에 따라 WN지점은 자신의 지점 ID가 사용되고 있는 지를 확인한다. 스텝(S73)에서, WN지점은 자신의 지점 ID에 의해 특정된 타임슬롯을 이용하여 제어지점으로서의 WN지점(100)이, 자신의 지점 ID에 대응하는 각 사용플래그를 「1」에서「0」로 갱신하도록 요구한다. 스텝(S74)에서, 지점 ID 할당해제처리는 종료된다.
상기 요구가 있는 경우, 제어지점으로서의 WN지점(100)은 상기와 같이 요구된 지점 ID에 대응하는 갱신요구 사용 플래그를 RAM(104)의 제 1저장영역에 저장된 사용플래그에서「1」에서「0」로 재쓰기한다. 따라서, 제어지점은 제어지점에 할당된 무선통신용 지점 ID용 지점을 할당해제한다.
상기 지점 ID 할당해제처리에 의해, 무선통신용 지점 ID를 갖는 각 피제어지점 자동으로 지점 ID를 할당해제하여 당해 무선통신망에서 제거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지점 초기화처리 제어프로그램(도 15 참조)은 WN지점(100)이 파워온될 때 기동된다. 반면에, 지점 ID 할당해제처리 제어프로그램(도 16 참조)은 WN지점(100)이 파워오프될 때 기동된다. 따라서, 계속해서 제어지점의 전력이 오프되지 않는한 무선통신망은 존재한다. 다른 지점은 파워온 시 무선통신용 지점 ID를 획득하고 피제어지점으로서 당해 무선통신망에 가입된다. 반대로 파워오프시, 지점은 무선통신용 지점 ID를 할당해제하여, 당해 무선통신망에서 제거될 수 있다.
반면에, 무선통신망을 구축하는 WN지점(100)이 통신망 밖으로 이동되어 신호가 단절되거나 통신망에 있어도 신호가 차폐(遮蔽)되는 경우 제어지점과 피제어지점 사이에서의 통신이 상호 끊어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비록 제어지점이 다른 피제어지점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응하는 피제어지점에 발신허가를 준다하더라도 통신망은 효과적으로 동작될 수 없다. 따라서, 제어지점으로서의 WN지점(100)이 통신상태를 감시하는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도 17의 플로우차트를 사용하여 제어지점으로서의 WN지점(100)이 통신상태를 감시하는 처리과정을 설명한다. 감시처리 제어프로그램은, 예컨대, 125μsec의 사이클마다 기동된다.
우선, 무선통신용 지점 ID의 최소값은 스텝(S75)에서 "n"으로 주어진다. 다음, 스텝(S76)에서 "n"에 대응하는 지점 ID가 사용되는 지를 판정한다. 만약 이것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처리과정은 스텝(S77)으로 가서 "n"이 최종 지점 ID에 대응하는 지를 판단한다. "n"이 최종 지점 ID가 아니면, 스텝(S79)에서 다음의 큰 지점 ID가 "n"으로 설정된 후 처리가 스텝(S76)으로 돌아간다. 반면에, "n"이 최종 지점 ID이면, 스텝(S79)으로 가서 감시처리를 완료한다.
"n"에 대응하는 지점 ID가 스텝(S76)에서 사용될 때, 스텝(S82)에서 신호가 "n"에 대응하는 지점 ID를 갖는 지점(이하, 지점(n)으로 부른다)에서부터 정상으로 수신되는 지를 조사한다. 즉, 이전 감시처리가 수행된 후에 발신을 허가한 타임슬롯이 존재하고 지점(n)으로부터의 신호발신이 이 타임슬롯을 이용하여 정상으로 수신되는 지를 판정한다.
다음, 상기의 조사결과가 스텝(S83)에서 판정된다. 신호가 지점(n)에서부터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 스텝(S84)으로 가서 RAM(104)의 제 3저장영역에 저장된 감시 카운터의 카운터값을 1증가시킨다. 스텝(S85)에서, 지점(n)으로의 발신허가빈도를 저빈도로 설정할 지를 판정한다. 다시 말해서, RAM(104)의 제 2저장영역에 저장된 지점(n)에 대응하는 빈도정보가 「00」으로 주어지는 지를 판정한다.
지점(n)으로의 발신허가빈도가 저빈도가 아닌 경우, 스텝(S86)에서 감시 카운터의 카운트값이 디폴트값, 즉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것에 대한 판정 수가 소정의 수에 이른 지를 판정한다. 감시 카운터의 카운터값이 디폴트값이 아니면, 스텝(S77)으로 간다. 반면에, 감시 카운터의 카운터값이 디폴트값이면, 스텝(S87)으로 가서 RAM(104)의 제 2저장영역에 저장된 지점(n)의 빈도 정보를 「00」으로 갱신하고 지점(n)으로의 발신허가빈도를 저빈도로 설정한다. 또한, 지점(n)의 감시 카운터의 카운터값이 스텝(S88)에서 0으로 되면 스텝(S77)으로 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점(n)의 발신빈도를 저빈도로 설정함으로써, 지점(n)으로의 발신허가빈도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낮게 되고 다른 지점으로의 발신허가빈도가 증가하게 되어, 무선통신망의 효과적인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발신빈도가 스텝(S85)에서 저빈도로 설정되는 것으로 되면, 스텝(S95)으로 가서, 감시 카운터의 카운터값이 디폴트값인 지를 판정한다. 감시 카운터의 카운터값이 디폴트값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스텝(S77)으로 간다. 반면에, 감시 카운터의 카운터값이 디폴트값으로 확인되면, 스텝(S96)으로 가서 지점(n)에 대응하는 지전 ID를 강제 할당해제하여 지연처리로 간다. 다음에, 스텝(S97)에서, 지점(n)의 감시 카운터의 카운터값이 0으로 클리어되어서, 스텝(S77)로 간다.
지점 ID의 강제 할당해제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무의미한 통신을 제거하여 지점 ID 및 전송폭이 이미 사용될 수 없는 것으로 기대되는 각 지점에 계속적으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설명한 지연처리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발신허가 지점을 판정하는 처리에서 할당해제으로 취급되는 동안, RAM(104)(도 14 참조)의 제 1저장영역에 저장된 "n"에 대응하는 지점 ID의 사용플래그가 「1」로서 유지되고 "n"에 대응하는 지점 ID가 통신망에 새로 가입된 피제어지점에 할당되지 않는다.
지연처리의 상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지연처리의 제어동작에 의해 해제되고, 사용플래그는 「1」에서「0」으로 바뀌어 "n"에 대응하는 지점 ID가 통신망에 새로 가입된 피제어지점에 할당된다. 따라서, "n"에 대응하는 지점 ID가 소정의 시간 경과 후에 할당되는 이유는, 피제어지점에서 제어지점으로의 통신이 완벽히 이르지 않는 동안, 만약 피제어지점에서 제어지점으로의 통신이 어느 정도까지 이른다면, 통신 제어지점이 강제로 해당 피제어지점의 지점 ID를 할당할 때 피제어지점(후술함)의 감시 카운터의 카운터값이 아직 디폴트값에 이르지 않았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또한, 그러한 경우에, 피제어지점이 지점 ID를 할당하지 않지만 이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 제어지점이 제어지점이 통신망에 새로 가입된 다른 피제어지점에 강제로 할당해제하는 "n"에 대응하는 지점 ID를 할당하지 않으면, 같은 지점 ID를 갖는 두 개의 다른 피제어지점이 한 통신망에 존재하여 통신의 안정성을 해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막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강제 할당된 "n"에 대응하는 지점 ID가 다른 피제어지점에 할당되게 할 수 있다.
스텝(S83)에서 신호가 지점(n)으로부터 정상으로 수신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스텝(S90)으로 가서 감시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0으로 클리어한다. 스텝(S91)에서, 통상빈도로의 귀환요구가 지점(n)에서 있는 지를 판정한다. 이 귀환 요구가 상기 액세스·레이어·커맨드에 의해 송신된다. 통상빈도로의 귀환요구가 있는 경우, 스텝(S92)으로 가서 발신허가의빈도가 통상빈도가 되게 설정한다. 다시 말해서, RAM(104)의 제 2저장영역에 저장된 지점(n)에 대한 빈도정보가 「00」에서 「10」으로 갱신된다. 다음, 처리스텝은 스텝(S77)로 간다.
스텝(S91)에서 지점(n)로부터 통상빈도로의 복귀요구가 있다고 발견되지 않을 경우, 처리는 스텝(S93)으로 진행하고, 이 스텝에서 지점(n)로부터 고빈도로의 요구가 있는지 여부가 판별된다. 이 요구도 상기 설명한 액세스·레이어·커맨드(access·layer·command)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고빈도로의 요구가 없는 경우, 처리는 스텝(S77)으로 진행한다. 반면, 고빈도로의 요구가 있는 경우, 처리는 스텝(S94)으로 진행하고, 이 스텝에서 발신허가 고빈도로 설정된다. 즉, RAM(104)의 제 2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지점(n)에 대한 빈도정보가 「11」로 갱신된다. 그후, 처리는 스텝(S77)으로 진행한다.
또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지점은 지점ID를 갖지 않는 지점에 대해 발신기회를 주기 위해 일시 이용 목적의 지점 ID를 준비한다. 제어지점은, 이 일시 이용 목적의 지점 ID에 의한 발신허가를, 예를 들면, 저빈도로 설정된 대응지점에 대한 사이클 내에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지점로 발신되는 데이터가 없고, 데이터전송폭에 여유가 있다는 것을 이용하여, 일시 이용 목적의 지점ID에 의한 발신허가를 행할 수 있다. 이는, 대응하는 무선통신망(wireless network)에 가입을 희망하는 지점이 항상 그 통신망 내에 존재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상기 통신상태의 감시처리 (도 17참조)에 의해 조정된 각 지점의 발신허가빈도에 따라, 각 WN지점(100)의 발신허가가 한정된다. 도 18은, 주어진 타임슬롯에서 발신을 허가하는 지점을 결정하기 위한, 제어지점로서 이용되는 WN지점(100)의 제어동작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8에 도시된 예는, 무선통신망이 제어지점을 포함하여 최대 7대의 WN지점(100)으로 구축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어느 WN지점(100)의 발신허가의 빈도가 통상빈도로 설정되는 경우, 그 WN지점(100)에는, 발신허가처리에 이용되는 1사이클 내에, 1개의 타임슬롯에 대해 발신허가에 대한 결정이 행해진다. 여기서, 발신허가 처리를 위한 1사이클 동안에, 발신허가가 전체의 WN지점(100)에 대해 순차로 행해져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반면, 어느 WN지점(100)의 발신허가 빈도가 고빈도로 설정된 경우, 그 WN지점(100)에는, 발신허가 처리를 위한 1사이클 내에, 연속한 3개의 타임슬롯에 대한 발신허가에 대한 결정이 행해진다. 더욱이, 어느 WN지점(100)의 발신허가 빈도가 저빈도로 설정된 경우, 그 WN지점(100)에는, 발신허가 처리를 위한 32사이클 내에, 1개의 타임슬롯에 대한 발신허가의 결정이 행해진다.
우선, 스텝(S101)에서, ID카운터의 카운트값(N)이 6 보다 큰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 경우, 카운트값(N)으로써 표시된 0∼6 각각은 각각 지점ID의 「001」∼「111」에 대응한다. 카운트값(N)이 N>6이 아니라고 발견된 경우, 이것은 제어동작이 발신허가처리의 1사이클의 도중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그 동작은 스텝(S102)으로 진행하고, 이 스텝에서 그 카운트값(N)에 대응한 지점ID가 사용중인지 여부에 대한 판정이 행해진다. 그 지점 ID가 사용 중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 동작은 스텝(S109)으로 진행하고, 이 스텝에서 ID카운터의 카운트값(N)이 인트리멘트되고, 그후 스텝(S101)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그 지점 ID가 사용 중에 있는 경우, 스텝(S103)에서, 그 지점 ID를 갖는 WN 지점에 대한 발신허가의 빈도가 저빈도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발신허가의 빈도가 저빈도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동작은 스텝(S104)으로 진행한다. 한편, 발신허가의 빈도가 저빈도로 설정된 경우에는, 스텝(S112)으로 진행하고, 이 스텝에서 저빈도 카운터의 카운트값(M)이 0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카운트값(M)이 M=0이 아닌 경우, 동작은 스텝(S109)으로 진행하고, 이 스텝에서 ID카운터의 카운트값(N)이 인크리멘트되고, 그후 스텝(S101)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M=0인 경우에는, 동작은 스텝(S104)으로 진행한다. 이 스텝(S104)에서는, 대응하는 처리에서의 1개의 타임슬롯에 대해서, ID카운터의 카운트값(N)에 대응하는 지점ID에 의한 발신허가가 행해지도록 결정된다.
스텝(S105)에서, 그 지점ID를 갖는 WN지점(100)에 대한 발신허가의 빈도가 고빈도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 값이 고빈도가 아니라고 밝혀질 경우, 동작은 스텝(S106)으로 진행하고, 이 스텝에서 고빈도 카운터의 카운트값(L)이 0으로 설정된다. 스텝(S107)에서, ID카운터의 카운트값이 인크리멘트된다. 그후 스텝(S108)으로 진행하고, 이 스텝에서는 1개의 타임슬롯에 대한 각 발신허가지점을 결정하는 처리가 종료한다.
한편, 스텝(S105)에서 발신허가의 빈도가 고빈도로 설정되는 경우, 동작은 스텝(S110)으로 진행하고, 이 스텝에서 고빈도 카운터의 카운트값(L)이 인크리멘트되고, 그후 스텝(S111)으로 진행한다. 스텝(S111)에서는, 카운트값(L)이 2보다 큰지 여부가 판정된다. 카운트값(L)이 L>2가 아니라고 밝혀진 경우, 동작은 스텝(S108)으로 진행하고, 이 스텝에서 발신허가 지점을 결정하는 처리가 종료한다. 한편, L>2인 경우에는, 동작이 스텝(S106)으로 진행하고, 이 스텝에서 고빈도 카운터의 카운트값(L)이 0으로 설정된다. 스텝(S107)에서, ID카운터의 카운트값이 인크리멘트된다. 그 후에, 동작은 스텝(S108)으로 진행하고, 이 스텝에서 1개의 타임슬롯에 대한 발신허가 지점을 결정하는 처리가 종료한다.
스텝(S101)에서, N>6인 경우에는, 이는 발신허가 처리의 1사이클이 종료한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동작은 스텝(S113)으로 진행하고, 이 스텝에서 ID카운터의 카운트값(N)이 0으로 설정된다. 스텝(S114)에서, 저빈도 카운터의 카운트값(M)이 인크리멘트된다. 스텝(S115)에서, 카운트값(M)이 31보다 큰지 여부가 판단된다. 카운트값(M)이 M>31이 아니라고 밝혀진 경우, 이는 동작이 발신허가 처리의 32사이클의 도중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동작은 스텝(S102)으로 진행하고, 이 스텝에서 상기 동작과 유사한 동작이 행해진다. 한편, M>31인 경우, 이는 상기 32사이클이 종료한 것을 의미하고, 카운트값(M)이 0으로 설정된다. 그후, 동작은 스텝(S102)으로 진행한다.
도 18에 도시한 제어동작에 있어서, ID 카운터의 카운트값(N)에 대응하는 무선통신용 ID를 갖는 WN지점(100)가 사용중에 있고, 그 발신허가의 빈도가 통상빈도로 설정되는 경우, 제어동작루틴은 스텝(S102)에서 스텝(S103)을 거쳐서 스텝(S104)으로 진행하고, 이 스텝에서 대응하는 처리에서의 1개의 타임슬롯에 대해서, 상술의 지점 ID에 의한 발신허가를 행하도록 결정된다. 더욱이, 동작은 스텝(S106)을 거쳐서 스텝(S107)으로 진행하고, 카운트값(N)이 인크리멘트되고, 그후 대응하는 처리가 종료한다. 이와같이, 발신허가의 빈도가 통상빈도로 설정되어 있는 WN지점(100)에 대해서는, 도 18에 도시된 제어동작시에, 반드시 발신허가의 결정이 행해진다. 따라서, 그 WN지점(100)에는, 발신허가 처리의 1사이클 내에, 1개의 타임슬롯에 대한 발신허가의 결정이 행해진다.
다음으로, ID카운터의 카운트값(N)에 대응한 지점ID를 갖는 WN지점(100)가 사용중이고, 그 발신허가의 빈도가 고빈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동작은 스텝(S102)에서 스텝(S103)을 거쳐 스텝(S104)으로 진행하고, 대응하는 처리에 있어서의 1개의 타임슬롯에 대해서, 상술의 지점 ID에 의한 발신의 허가를 행하도록 결정한다. 스텝(S110)에서, 고빈도 카운터의 카운트값(L)이 인크리멘트된다. 카운트값(L)이 2보다 크지 않은 경우, ID카운터의 카운트값(N)이 인크리멘트되지 않고, 대응하는 처리가 종료한다.
따라서, 발신허가의 빈도가 고빈도로 설정되어 있는 WN지점(100)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WN지점(100)의 지점 ID를 대상으로 하여, 도 18에 도시된 동작이 3회 연속하여 행해지고, 따러서, 연속하는 3개의 타임슬롯에 대해서 발신허가의 결정을 행한다. 따라서, 그 WN지점(100)에는, 발신허가 처리의 1사이클 내에, 연속한 3개의 타임슬롯에 대한 발신허가의 결정이 행해진다.
다음으로, ID카운터의 카운트값(N)에 대응한 지점 ID를 갖는 WN지점(100)가 사용중이고 그 발신허가의 반도가 저빈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작은 스텝(S102)에서 스텝(S103)을 거쳐 스텝(S112)으로 진행한다. 저빈도 카운터의 카운트값(M)이 0인 경우에만, 동작이 스텝(S104)으로 진행하여, 이 스텝에서 대응하는 처리에 있어서의 1개의 타임슬롯에 대해, 상술의 지점 ID에 의한 발신의 허가를 행하도록 결정된다. 그리고, 동작은 스텝(S106)을 거쳐 스텝(S107)로 가는데, 여기서 카운트값(N) 은 1증가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저빈도 카운터값(M)은 발신허가 처리의 32주기가 종료될 때 마다 0으로 설정되기 때문에(스텝 S115 및 S116) 발신허가 빈도가 저빈도가 되는 WN지점(100)에 관해서는 발신허가의 32주기중 최초의 주기에서만 발신허가의 결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그 WN지점(100)의 발신허가빈도가 저빈도로 설정되면, 그 WN지점(100)에는 발신허가처리의 32주기내에 1개의 타임슬롯에 대하는 발신허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도 19의 플로우차트를 사용하여, 피제어지점에서 통신상태를 감시하는 처리를 설명한다. 이 감시처리의 제어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주기 단위로서 125μsec마다 행해진다.
우선, 스텝(S121)에서 제어지점에서 발신신호가 조사된다. 즉, 앞서 감시처리가 행해진 이후에 제어지점에서 발신허가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 아닌지를 조사한다. 조사 결과가 스텝(S122)에서 결정된다. 제어지점에서 발신허가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처리는 스텝(S126)으로 진행하고 감시 카운터값이 0으로 클리어(clear)되고 이후에 처리는 스텝(S127)으로 진행하여 통신상태의 감시처리가 종료한다.
한편, 스텝(S122)에서 제어지점에서의 발신허가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면, 스텝(S123)으로 진행한다. 스텝(S123)에서, 감시 카운터의 값은 1만큼 증가된다. 처리는 스텝(S124)으로 진행하고 감시 카운터의 값이 설정값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설정값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스텝(S127)으로 진행하고, 통신상태의 감시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감시 카운터의 값이 설정값으로 판단되면 대응하는 제어된 지점은 장시간동안 제어지점에서 발신허가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어지점측에서는 피제어지점에 할당된 지점(ID)를 강제적으로 이미 할당해제하는 것을 고려한다. 그와 같은 경우, 피제어지점이 이미 설정되는 있는 지점(ID)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면 제어지점와 통신할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스텝(S125)에서 지점(ID)은 클리어 및 할당해제된다. 그 후, 스텝(S127)으로 진행하여, 통신상태의 감시처리를 종료한다. 피제어지점은 이와 같이 지점(ID)를 할당해제한 후에 한 번 더 통신망에 가입하도록 다시 지점초기화처리(도 15 참조)가 필요하게 된다.
제어지점와 피제어지점의 감시 카운터의 감시 설정치는 통신상태에 대하여 피제어지점이 통신망에서 쉽게 이탈되는 요인이 된다. 그러므로, 이 설정치가 작은 값으로 설정되면, 피제어지점은 통신망에서 쉽게 이탈되고 따라서 이것은 통신망의 통신회선의 안정성을 악화시키지만 통신효율을 중시하는 통신망에는 적합하다. 이들 설정치가 큰 값으로 설정되면, 피제어지점은 대응하는 통신망에서 이탈되게 어렵되고 따라서 이것은 통신망의 통신회선의 안정성을 증대시키지만, 통신상태 나쁜 경우에는 통신효율을 적절하게 증대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상태를 고려하여, 제어지점와 피제어지점의 감시카운터의 설정치가 설정될 수 있다.
제어지점에 있어서 상기 "n"에 대응하는 할당해제된 지점(ID)(도 17의 스텝 S96참조)를 네드워크에 새롭게 가입하는 피제어지점에 할당하기 위한 지연처리를 도 20에 나타낸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지연처리의 제어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125μsec마다 행해진다.
우선, 스텝(S131)에서 "n"을 지점(ID)의 최소값으로 설정한다. 다음에, 스텝(S132)에서 "n"에 대응하는 지점(ID)는 지연처리중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지연처리중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처리는 스텝(S137)으로 진행하고 "n"이 최후의 지점(ID)에 대응하는지 판정한다. "n"이 최후의 지점(ID)가 아닌것으로 판정되면, 스텝(S138)으로 진행하여 가장 큰 지점(ID)를 "n"으로 설정하고 처리는 스텝(S132)으로 복귀된다.
한편, "n"이 최후의 지점(ID)인 것으로 판정되면, 처리는 스텝(S139)으로 진행하고 지연처리는 종료한다.
한편, 스텝(S132)에서 "n"에 대응하는 지점(ID)가 지연처리 중인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스텝(S133)으로 진행하고 RAM(104)의 제 4저장영역(도 14참조)에 기억된 지점(n)의 지연카운터값을 1만큼 증가한다. 그리고, 처리는 스텝(S134)으로 진행하고 지연 카운터의 값이 설정치인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이 지연카운터의 설정치는 상술한 피제어지점의 감시 카운터의 설정치보다 큰 값으로서 설정된다. 이것은, 작은 값으로 설정되면, 제어지점의 지연처리는 피제어지점이 유지하는 오드(ID)의 할당해제 처리(도 19에 나타낸 것처럼 스텝 S125에서 처리)보다 먼저 종료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동일한 지점(ID)를 가지는 제어되는 다른 2개의 지점이 1개의 통신망에 존재한다. 이것은 상기 경우를 회피하기 위해 실행되는 지연처리가 아무 의미없게 한다.
스텝(S134)에서 설정치가 판정되지 않으면, 처리는 스텝(S137)으로 진행한다. 한편, 설정치가 판정되면 처리는 스텝(S135)으로 진행한다. 스텝(S135)에서 "n"에 대응하는 지점(ID)의 사용제한을 해제한다. 즉, RAM(104)의 제 1의 저장영역(도 14참조)에 기억되어 있는 "n"에 대응하는 지점(ID)의 상용 프래그를 「1」에서 「0」으로 변경하고 "n"에 대응하는 지점(ID)를 새롭게 통신망에 가입되는 피제어지점에 할당된다. 스텝(S136)에서 지점(ID)의 지연 카운터값을 0으로 클리어한다. 그 후에, 처리는 스텝(S137)으로 진행하다.
이 지연처리에 따라서, 강제적으로 할당해제된 "n"에 대응하는 지점(ID)는 일정한 시간 경과 후에 새롭게 통신망에 가입하는 피제어지점에 할당된다. 이것은 이 지점(ID)를 복수의 피제어지점이 소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인터페이스 상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통신상태의 감시처리는 통신망의 효율을 변화시키는 요인이기 때문에 빈번하게 행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것 같이 IEEE139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주기단위로서 125μsec마다 행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에러가 통신망에 랜덤하게 발생하면 제어지점와 피제어지점에서 실행되는 감시 카운터를 클리어하는 확률은 동일하기 때문에 제어지점와 피제어지점의 설정치는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좋다.
상기처럼, 제어지점와 피제어지점에 각각 감시 카운터를 설정, 이 카운터의 값이 설정치(디폴트값)가 되면, 지점(ID)를 할당해제하도록 하기 때문에, 무태(waste-free)한 통신을 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고, 따라서 통신이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처리를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자기 디스크, CD-ROM 등의 기록매체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인터넷, 디지털위성 등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와 같은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제공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IEEE139에 기초한 동기(등시) 팩킷, 비동기 팩킷와 같은 팩킷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망에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USB(Universal Serial Bus)등의 다른 고속 시리얼 버스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통신망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무선통신매체로서 적외선을 사용하는 무선통신망에 적용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전파나 레이저 등의 다른 무선통신매체를 사용하는 무선통신망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장치는 피제어장치가 제어장치에서의 신호 예를 들면 발신을 허가하는 신호에 대응하여 정상적으로 제어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정상적으로 제어되고 있지 않는 상태의 시간을 계측하고, 그 계측시간이 일정한 값(제 1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피제어장치에 할당된 식별자를 할당해제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피제어장치(정보처리장치)는 제어장치에서의 신호에 대응하여 저상적으로 제어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정상적으로 제어되고 있지 않는 상태의 계속시간을 계측하고, 그 계속시간이 일정한 값(제 2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제어장치에서 할당된 식별자를 할당해제한다. 따라서, 통신상태가 좋지 않은 피제어장치를 통신망에서 배제하고, 쓸모없는 통신은 행하지 않고 통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장치는 할당해제된 식별자를 일정시간(제 3시간)이 경과한 후에 복수의 제어되는 제어장치의 어느것에 할당되게 한다. 이 경우, 제 3시간을 제 2시간보다 긴 시간으로 설정하여 놓는 것으로, 제어장치가 할당해제된 식별자는 앞서 부여되고 있던 피제어장치에서 할당해제된 후에 복수의 제어되는 제어장치의 어느 것에 부여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제어장치에 같은 식별자가 중복되어 할당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통신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어장치, 제어방법,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통신시스템 및 컴퓨터의 판독매체는 적외선과 같은 무선통신매체를 사용하여 무선통신망에 응용될 수 있다.
Claims (22)
- 통신망 내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수 개의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있어서,상기 피제어장치가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정상으로 제어되는 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상기 판정수단이 상기 피제어장치가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비정상으로 제어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비정상제어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측정수단과,상기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지속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피제어장치를 식별하는 상기 피제어장치에 할당된 식별자를 할당해제하는 할당해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장치에서 나온 신호는 상기 피제어장치로 보내지는 발신허가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피제어장치에 사용제한을 해제하여 할당해제수단에 의해 할당해제된 식별자가 상기 수 개의 피제어장치 중 어느 장치에 할당되도록 하는 사용제한해제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식별자의 사용상태를 가리키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할당해제된 식별자가 상기 수 개의 피제어장치 중 어느 장치에 할당되는 경우 상기 사용제한해제수단은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식별자의 사용상태를 가리키는 상기 데이터를 할당해제된 상태를 가리키는 데이터로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 제 1항에 있었서,상기 판정수단은 매 주어진 사이클마다 상기 판정을 수행하고,상기 측정수단은 상기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카운터를 갖고, 상기 피제어장치가 매 주어진 사이클마다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 획득된 판정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대응하여 비정상적으로 제어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측정수단은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 증가시켜서 상기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 통신망 내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수 개의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상기 피제어장치가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정상으로 제어되는 지를 판정하는 판정단계와,상기 판정단계에서 상기 피제어장치가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비정상으로 제어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비정상제어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측정단계와,상기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지속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피제어장치를 식별하는 상기 피제어장치에 할당된 식별자를 할당해제하는 할당해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제어장치에서 나온 신호는 상기 피제어장치로 보내지는 발신허가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 제 6항에 있어서,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피제어장치에 사용제한을 해제하여 할당해제단계에서 할당해제된 식별자가 상기 수 개의 피제어장치 중 어느 장치에 할당되도록 하는 사용제한해제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 제 8항에 있어서,상기 사용제한해제단계에서, 상기 할당해제된 식별자가 상기 수 개의 피제어장치 중 어느 장치에 할당되는 경우,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식별자의 사용상태를 가리키는 데이터가 할당해제된 상태를 가리키는 데이터로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판정은 상기 판정단계에서 매 주어진 사이클마다 수행되고,상기 측정단계에서는, 상기 피제어장치가 매 주어진 사이클마다 상기 판정단계에서 획득된 판정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대응하여 비정상적으로 제어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지속시간이 상기 카운터의 카운터를 증가시켜서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 통신망 내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수 개의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있는 컴퓨터가 소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판독매체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단계는,상기 피제어장치가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정상으로 제어되는 지를 판정하는 판정단계와,상기 판정단계에서 상기 피제어장치가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비정상으로 제어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비정상제어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측정단계와,상기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지속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피제어장치를 식별하는 상기 피제어장치에 할당된 식별자를 할당해제하는 할당해제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매체.
- 제 11항에 있어서,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피제어장치에 사용제한을 해제하여 할당해제수단에 의해 할당해제된 식별자가 상기 수 개의 피제어장치의 어느 장치에 할당되도록 하는 사용제한해제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더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매체.
- 통신망을 통해 제어장치에 연결되고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상기 피제어장치가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정상으로 제어되는 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상기 판정수단이 상기 피제어장치가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비정상으로 제어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비정상제어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측정수단과,상기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지속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에 할당된 식별자를 제어장치로부터 할당해제하는 할당해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 제 13항에 있어서,상기 제어장치에서 나온 신호가 발신허가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 제 13항에 있어서,상기 판정수단은 매 주어진 사이클마다 상기 판정을 수행하고,상기 측정수단은 상기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카운터를 갖고, 상기 피제어장치가 매 주어진 사이클마다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 획득된 판정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대응하여 비정상적으로 제어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측정수단은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 증가시켜서 상기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 통신망을 통해 제어장치에 연결되고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정보처리장치의 정보처리방법에 있어서,상기 피제어장치가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정상으로 제어되는 지를 판정하는 판정단계와,상기 판정단계에서 상기 피제어장치가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비정상으로 제어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비정상제어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측정단계와,상기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지속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에 할당된 식별자를 제어장치로부터 할당해제하는 할당해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 제 16항에 있어서,상기 제어장치에서 나온 신호는 발신허가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 제 16항에 있어서,상기 판정은 상기 판정단계에서 매 주어진 사이클마다 수행되고,상기 측정단계에서는, 상기 피제어장치가 매 주어진 사이클마다 상기 판정단계에서 획득된 판정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대응하여 비정상적으로 제어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지속시간이 상기 카운터의 카운터를 증가시켜서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 통신망을 통해 제어장치에 연결되고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정보처리장치에 있는 컴퓨터가 소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판독매체에 있어서, 상기 단계는,상기 피제어장치가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정상으로 제어되는 지를 판정하는 판정단계와,상기 판정단계에서 상기 피제어장치가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비정상으로 제어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비정상제어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측정단계와,상기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지속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에 할당된 식별자를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할당해제하는 할당해제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매체.
- 상호간에 통신이 행해지는 제어장치 및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수 개의 피제어장치로 구성되는 통신시스템에 있어서,상기 제어장치는,상기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상기 피제어장치가 정상으로 제어되는 지를 판정하는 제 1판정수단과,상기 제 1판정수단이 상기 피제어장치가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비정상으로 제어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비정상제어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제 1측정수단과,상기 제 1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지속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피제어장치를 식별하는 상기 피제어장치에 할당된 식별자를 할당해제하는 제 1할당해제수단을 포함하고,상기 피제어장치는,상기 제어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상기 피제어장치가 정상으로 제어되는 지를 판정하는 제 2판정수단과,상기 제 2판정수단이 상기 피제어장치가 비정상으로 제어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비정상제어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제 2측정수단과,상기 제 2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지속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에 할당된 식별자를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할당해제하는 제 2할당해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 제 20항에 있어서,상기 제어장치에서 나온 신호는 상기 피제어장치로 보내지는 발신허가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 제 20항에 있어서,제 2소정의 시간보다 긴 제 3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피제어장치에 사용제한을 해제하여 제 1할당해제수단에 의해 할당해제된 식별자가 상기 수 개의 피제어장치의 어느 장치에 할당되도록 하는 사용제한해제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8-046678 | 1998-02-27 | ||
JP4667898 | 1998-02-2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20297A true KR20010020297A (ko) | 2001-03-15 |
Family
ID=12754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7009901A KR20010020297A (ko) | 1998-02-27 | 1999-02-26 | 제어장치, 제어방법,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통신시스템 및 컴퓨터의 판독매체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010020297A (ko) |
WO (1) | WO1999044337A1 (ko)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47534A (ja) * | 1983-08-26 | 1985-03-14 | Fujitsu Ltd | ポ−リング制御方式 |
JPH06303174A (ja) * | 1993-04-14 | 1994-10-28 | Tokyo Electric Co Ltd | 無線式データ処理装置 |
JP2985683B2 (ja) * | 1994-09-30 | 1999-12-06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無線中継装置 |
JPH09116562A (ja) * | 1995-10-16 | 1997-05-02 | Canon Inc | 無線通信システム |
JPH09162814A (ja) * | 1995-12-05 | 1997-06-20 | Tec Corp | 通信監視装置 |
JPH10135955A (ja) * | 1996-10-24 | 1998-05-22 | Nec Eng Ltd | 赤外線通信方法及び赤外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これらに用いる送受信装置 |
-
1999
- 1999-02-26 WO PCT/JP1999/000952 patent/WO1999044337A1/ja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9-02-26 KR KR1019997009901A patent/KR2001002029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1999044337A1 (fr) | 1999-09-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5060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ircuit connections over local area networks with frequency selective impairments | |
US7856008B2 (en) | Synchronizing channel sharing with neighboring networks | |
US6813277B2 (en) | Method and apparatus enabling multiple access on a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 |
JP3041200B2 (ja) | データ通信装置およびその方法 | |
US20020062407A1 (en) |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 |
EP0844769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networks | |
EP0827339A2 (en) | CATV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 internet connection | |
WO1990006027A1 (en) | Lan with dynamically selectable multiple operational capabilities | |
US6502155B1 (en) | Radio network and method of establishing time synchronization among a plurality of buses | |
JP3293779B2 (ja) | 信号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 |
WO1999044336A1 (fr) | Appareil de traitement de donnees et support lisible par ordinateur | |
JP2004507931A (ja) | 通信システム及びデバイス | |
US6658475B1 (en) | Method and device for initializing a wireless network using a plurality of controlled devices | |
KR100678356B1 (ko) | 광통신 방법 및 장치 | |
EP0948166A1 (en) | Method for radio communication and device for radio communication | |
JP2001016209A (ja) |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媒体 | |
US6671269B1 (en) |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 |
KR20010020297A (ko) | 제어장치, 제어방법,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통신시스템 및 컴퓨터의 판독매체 | |
US20020101874A1 (en) | Physical layer transparent transport information encapsulation methods and systems | |
JP2005012260A (ja) | データ伝送の制御方法 | |
JP2002158730A (ja) |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 |
JP2001313651A (ja) | 無線通信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それに使用する情報処理方法および装置 | |
JP2003229857A (ja) | シリアルバスシステム、シリアルバスの帯域管理機器および通信機器 | |
JP2005538628A (ja) | ワイヤレス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親ポータル決定方法及びそのためのポータルデバイス | |
JPH11266217A (ja) | 時分割多元接続通信システム及び時分割多元接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信号受信方法並びに時分割多元接続通信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センター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