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9821A - 교환기에 있어서 공중통신망 가입자용 라인 정합장치와 인터넷연동장치간의 정합장치 - Google Patents

교환기에 있어서 공중통신망 가입자용 라인 정합장치와 인터넷연동장치간의 정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9821A
KR20010019821A KR1019990036448A KR19990036448A KR20010019821A KR 20010019821 A KR20010019821 A KR 20010019821A KR 1019990036448 A KR1019990036448 A KR 1019990036448A KR 19990036448 A KR19990036448 A KR 19990036448A KR 20010019821 A KR20010019821 A KR 20010019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hannel
modem
subhighway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6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도상
Original Assignee
김진찬
주식회사 머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찬, 주식회사 머큐리 filed Critical 김진찬
Priority to KR1019990036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9821A/ko
Publication of KR20010019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982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05Interface circuits for subscriber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8Subscriber network interfac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기의 라인 정합 서브시스템(ASS)내에 구비되는 인터넷 연동장치(IGU)와 공중통신망(PSTN) 가입자 단말기용 라인 정합장치(ABSI)간의 정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합장치는, 아날로그 가입자 단말기(100)에 구비되어 있는 모뎀(101)과 데이타 송수신이 가능한 라인 정합장치(111)를 구비한 라인정합 서브시스템(110);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120)를 통해 인터넷(130)과 라인정합 서브시스템(110)간의 메시지 송수신처리를 하는 인터넷 연동장치(115); 라인 정합장치(111)에 연결되어 있는 임의의 아날로그 가입자 단말기(100)의 호시도로 인해 발생되는 데이타에 대한 송수신 경로를 제공하는 타임스위치 및 링크부(112); 타임 스위치 및 링크부(112)와 제 1 서브하이웨이(T_SHW)를 통해 연결되고 인터넷 연동장치(115)와 제 2 서브하이웨이(DEV_SHW 4∼7)를 통해 연결되어, 임의의 아날로그 가입자 단말기(100)에서 인터넷 호가 시도되면, 제 1 서브하이웨이와 제 2 서브하이웨이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타를 채널단위로 변복조하는 모뎀 풀(113)을 포함한다. 특히, 모뎀 풀(113)은 제 1 서브하이웨이와 제 2 서브하이웨이의 1 프레임구간동안 존재하는 채널(64CH)을 N(4)등분하여 채널단위의 변복조를 병렬구조로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아날로그 가입자 단말기에 대해서도 인터넷 호시도시 호처리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교환기에 있어서 공중통신망 가입자용 라인 정합장치와 인터넷 연동장치간의 정합장치 {APPARATUS FOR INTERFACE BETWEEN THE ACCESS SUBSCRIBER INTERFACE UNIT FOR PSTN SUBSCRIBER AND THE INTERNET GATEWAY UNIT}
본 발명은 교환기에 있어서 공중통신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이하 PSTN이라 약함) 가입자 단말기용 라인 정합장치(Access Basic Subscriber Interface Unit, 이하 ABSI라고 약함)와 인터넷 연동장치(Internet Gateway Unit, 이하 IGU라고 약함)간의 정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인터넷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하여 세계 도처에 존재하는 작은 통신망을 모두 연결할 수 있는 거대한 통신망이다. PSTN 가입자나 ISDN 가입자와 같은 가입자가 상술한 인터넷과 접속하고자 할 때, 현재 제공되는 통신환경으로는 반드시 해당 교환기를 통해서 접속시도를 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 운영중인 교환기는 요구된 호가 인터넷 호인지 일반 호인지를 구분하지 않고 동일한 방식으로 내부의 스위치 및 링크 자원(resource)을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인터넷 호가 증가할 수록 해당 교환기의 호 처리 서비스의 질이 떨어지게 된다. 이는 인터넷 호가 일반 호에 비해 장시간 통화상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즉, 인터넷 호가 증가할 수록 교환기내의 스위치 및 링크 자원을 장시간 점유하는 호가 증가하게 되어 새로운 호 설정 요구에 따른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제공하지 못하는 현상이 늘어나기 때문에 호 처리 서비스의 질이 떨어지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 IGU라는 장치가 제안되기에 이르렀다. 이 IGU는 일반적으로 교환기에 구비되어 있는 라인정합 서브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 이하 ASS라고 약함)내에 구비되어 요구된 호가 인터넷 호인 경우에 교환기내의 스위치 및 링크자원에 대한 점유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인터넷이 데이타 통신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므로 비트 동기화된 디지탈 형태의 패킷 데이타를 고속으로 라우팅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것이다.
IGU가 상술한 바와 같이 구현될 경우에,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가입자 단말기와 같이 별도의 채널을 통해 데이타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단말기는 인터넷 호 시도시 ASS내에 구비되어 있는 라인 정합부(Access Basic Subscriber Interface, 이하 ABSI라고 약함)와 디지탈 데이타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ISDN 가입자 단말기용 ABSI는 IGU와 바로 정합이 가능하다.
그러나, 아날로그 가입자 단말기와 같은 단말기는 모뎀을 통해서만 데이타를 송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인터넷 호시도시 ASS내에 구비되어 있는 라인 정합부(ABSI)와는 아날로그 데이타가 송수신된다. 이로 인해 아날로그 가입자 단말기용 ABSI는 IGU와 바로 정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아날로그 가입자 단말기가 인터넷 호를 시도할 때 상술한 IGU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아날로그 가입자 단말기용 ABSI와 IGU간에 별도의 정합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에 따라 안출한 것으로, 교환기의 라인 정합 서브시스템(ASS)내에 구비되는 인터넷 연동장치(IGU)와 공중통신망(PSTN) 가입자 단말기용 라인 정합장치(ABSI)간에 데이타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정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아날로그 가입자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모뎀과 데이타 송수신이 가능한 라인 정합장치를 구비한 라인정합 서브시스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를 통해 인터넷과 라인정합 서브시스템간의 메시지 송수신처리를 하는 인터넷 연동장치를 구비한 교환기에 있어서, 라인 정합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임의의 아날로그 가입자 단말기의 호시도로 인해 발생되는 데이타에 대한 송수신 경로를 제공하는 타임스위치 및 링크부; 타임 스위치 및 링크부와 제 1 서브하이웨이를 통해 연결되고 인터넷 연동장치와 제 2 서브하이웨이를 통해 연결되어, 임의의 아날로그 가입자 단말기에서 인터넷 호가 시도되면, 제 1 서브하이웨이와 제 2 서브하이웨이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타를 채널단위로 변복조하는 모뎀 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모뎀 풀은 제 1 서브하이웨이와 제 2 서브하이웨이의 1프레임구간동안 존재하는 채널을 N등분하여 채널단위의 변복조를 병렬구조로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통신망 가입자용 라인 정합장치와 인터넷 연동장치간의 정합장치를 구비한 교환기와 인터넷간의 연동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뎀 풀의 내부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드의 상세 블럭도이고,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역다중화 및 다중화부의 역다중화시 동작 타이밍도이고,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각 보드들에 구비되어 있는 역다중화 및 다중화부에서 역다중화되어 출력되는 채널 데이타의 구조도이고,
도 4c는 도 2에 도시된 디바이스 유니트에서 정합부측으로 전송되는 채널 데이타의 구조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PSTN 가입자 단말기 101:모뎀
110:라인 정합 서브시스템(ASS) 111:라인 정합 장치(ABSI)
112:타임스위치 및 링크부(TSL) 113:모뎀 풀
114:텔리포니 프로세서(TP) 115:인터넷 연동장치(IGU)
120: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130:인터넷
201:정합부 205:디바이스 유니트군
210∼240:디바이스 유니트 211∼214:보드
310:역다중화 및 다중화부 320:모뎀군
330:메모리 340:제어부
350:다중화 및 역다중화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통신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이하 PSTN이라 약함) 가입자용 라인 정합장치와 인터넷 연동장치간의 정합장치를 구비한 교환기와 인터넷간의 연동 구조도로서, 모뎀(Modem)(101)이 구비되어 있는 PSTN 가입자 단말기(100), 교환기에 구비되어 PSTN 가입자 단말기(100)와의 정합처리를 수행하는 라인 정합 서브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 이하 ASS라고 약함)(110), E1 중계선을 통해 ASS(110)와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nternet Service Provider, 이하 ISP라고 약함)(120), 인터넷(130)으로 구성된다.
ASS(110)는 PSTN 가입자 단말기(100)내에 구비되어 있는 모뎀(101)과 데이타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라인 정합장치(111), 라인 정합장치(111)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PSTN 가입자 단말기(100)에 대한 데이타 전송경로를 제공하는 타임 스위치 및 링크부(Time Switch & Link, TSL이라고도 함)(112) 및 E1 중계선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ISP(120)와 정합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 연동장치(Internet Gateway Unit, 이하 IGU라고 약함)(115), IGU(115)와 타임 스위치 및 링크부(112) 사이에 서브하이웨이(SubHighWay, SHW)를 통해 연결되어 양자간의 데이타 송수신처리를 하는 모뎀 풀(Modem Pool)(113), 텔리포니 프로세서(Telephony Processor)(114)로 구성된다.
도 1의 텔리포니 프로세서(114)는 모뎀 풀(113)만을 제어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기존과 같이 라인 정합 서브시스템(110)내에 존재하는 상위 프로세서(Access Switching Processor, ASP)(미도시됨)에 의해 제어되어 라인 정합 서브시스템(110)의 관할하에 존재하는 모든 디바이스(일명 Telephony Device)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타임 스위치 및 링크부(112)는 미도시된 상위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어 해당 호가 일반 호인 경우에는 기존과 같이 미도시된 연결망 서브시스템(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INS)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경로가 설정되나 인터넷 호인 경우에는 모뎀 풀(113)과 데이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경로가 설정된다.
따라서, PSTN 가입자 단말기(100)가 모뎀(101)을 통해 인터넷 호를 시도하면, 해당되는 데이타는 라인 정합 장치(111), 타임 스위치 및 링크부(112), 모뎀 풀(113), 인터넷 연동장치(115) 및 E1 중계선을 거쳐 ISP(120)로 송출되어 해당 서버와의 접속을 시도하고, 해당 서버와 접속이 이루어지면 해당 서버는 인터넷(130)과의 접속을 시도하여 PSTN 가입자 단말기(100)와 인터넷(130)간에 데이타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PSTN 가입자 단말기(100)가 인터넷 호를 시도한 경우에 IGU(115)를 통해 인터넷(130)과 데이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모뎀 풀(11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임스위치 및 링크부(112)와 IGU(115)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서브하이웨이(T_SHW, DEV_SHW)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타를 채널단위로 다중화 및 역다중화하여 전송하는 디바이스 유니트(210∼240)를 서브하이웨이별로 할당한 디바이스 유니트군(205), 타임스위치 및 링크부(112)측에 연결되어 있는 서브하이웨이(T_SHW0∼3)와 디바이스 유니트군(205)내에 구비되어 있는 디바이스 유니트 0∼3(210∼240)들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서브하이웨이(DEV_SHW0∼3)간에 데이타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정합하고, HIT_BUS(HDLC protocol Interface Telephony Device Bus)를 통해 텔리포니 프로세서(114)와 송수신하는 제어 데이타와 L_BUS(Local BUS)를 통해 디바이스 유니트 0∼3(210∼240)와 송수신하는 제어 데이타간의 정합처리를 하고, 각 디바이스 유니트(210∼240)에 대한 보드 식별정보(PBA_ID)를 제공하는 정합부(201)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모뎀 풀(113)은 4개의 서브하이웨이(T_SHW0∼3, DEV_SHW0∼3)를 통해 타임스위치 및 링크부(112)와 IGU(115)에 각각 연결된 구조를 예시한 것이므로, 디바이스 유니트군(205)에 존재하는 디바이스 유니트의 수는 4개가 된다. 이는 디바이스 유니트가 서브하이웨이당 하나씩 할당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뎀 풀(113)에 타임스위치 및 링크부(112)와 IGU(115)간에 데이타를 송수신할 서브하이웨이를 2개 연결한 경우에, 디바이스 유니트군(205)은 2개의 디바이스 유니트가 구비되도록 설계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서브하이웨이는 각각 1 프레임기간동안에 64채널의 데이타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므로, 디바이스 유니트 0∼3(210∼240)내에는 16채널단위로 다중화 및 역다중화 처리를 수행하는 보드(211∼214)가 각각 4개 존재한다. 따라서, 구비되는 서브하이웨이가 32채널의 데이타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경우에, 디바이스 유니트 0∼3(210∼240)내에는 16채널단위로 다중화 및 역다중화 처리를 수행하는 보드가 2개 존재하게 된다.
보드 0∼3(211∼214)은 정합부(201)에 연결되어 있는 서브하이웨이(DEV_SHW0∼3)중 해당되는 서브하이웨이의 64채널중 고정된 16채널의 데이타를 송수신하기 위한 역다중화 및 다중화부(310), 역다중화 및 다중화부(310)와 송수신되는 16채널의 데이타를 채널별로 분리하여 복조 또는 변조처리를 하는 모뎀군(320), 모뎀군(320)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채널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거나 채널별로 저장된 데이타를 모뎀군(320)으로 제공하는 메모리(330), 모뎀군(320)에 누적되어 있는 데이타량에 따라 모뎀군(320)의 인에이블상태 및 메모리(330)에 저장되어 있는 채널별 데이타에 대한 모뎀군(320)로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340), 제어부(340)에서 채널화(Channelized)되어 전송되는 데이타를 해당되는 서브하이웨이의 임의의 타임슬롯을 통해 IGU(115)로 전송될 수 있도록 다중화하고 IGU(115)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는 역다중화하여 제어부(340)로 전송하는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350)로 구성된다.
역다중화 및 다중화부(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 선택신호 발생부(311), 디멀티플렉서(312), 멀티플렉서(313)로 구성되어 정합부(201)로부터 서브하이웨이(DEV_SHW0∼3)를 통해 전송되는 채널 데이타를 16채널단위로 역다중화하여 모뎀군(320)으로 전송하고, 모뎀군(320)으로부터 16채널단위로 전송되는 데이타를 해당되는 서브하이웨이의 해당되는 위치에 실어 정합부(201)로 전송하기 위하여 다중화한다.
즉, 정합부(201)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에 대해서, 보드 선택신호 발생부(311)는 해당되는 서브하이웨이(DEV_SHW)를 통해 전송되는 클럭신호(SHW_CLK)와 프레임 동기신호(SHW_FP) 및 별도의 전송로를 통해 전송되는 해당 보드의 식별정보(PBA_ID)를 조합하여 해당 보드의 액티브 구간을 나타내는 보드 선택신호를 발생한다. 보드의 식별정보(PBA_ID)는 해당 보드가 모뎀 풀(113)에 구비되는 디바이스 유니트(210∼240)중 어느 디바이스 유니트에 구비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유니트 0(210)의 보드 0(211)의 보드 식별정보는 첫번째 서브하이웨이의 0채널부터 15채널용이므로 '0000'가 할당되고, 보드 1(212)의 보드 식별정보는 '0001'이 할당된다. 보드의 식별정보가 4비트로 표현된 것은 도 2에 도시된 디바이스 유니트가 4개이고, 각 디바이스 유니트에 구비되는 보드가 4개이므로 모뎀 풀(113)에 구비되는 보드는 총 16개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보드 식별정보를 표현하는 비트수는 디바이스 유니트군(205)에 구비되는 디바이스 유니트의 수와 디바이스 유니트에 구비되는 보드의 수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따라서, 각 보드내에 구비되는 보드 선택신호 발생부(311)는 인가되는 보드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보드가 해당 서브하이웨이의 어느 채널구간용인지를 파악하고, 인가되는 클럭신호 및 프레임 동기신호에 동기되어 해당 채널구간동안 액티브 로우상태를 유지하는 보드 선택신호를 발생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하이웨이 클럭신호(SHW_CLK)와 프레임 동기신호가 수신되면, 채널단위로 인가되는 서브하이웨이의 데이타(SHW_DATA)에 대해 보드 0(211)의 보드 선택신호는 PBA_SEL0와 같은 주기로 발생되고, 보드 1(212)의 보드 선택신호는 PBA_SEL1과 같은 주기로 발생되고, 보드 2(213)의 보드 선택신호는 PBA_SEL2와 같은 주기로 발생되고, 보드 3(214)의 보드 선택신호는 PBA_SEL3과 같은 주기로 발생된다. 이와 같이 발생되는 보드 선택신호는 디멀티플렉서(312)와 멀티플렉서(313)에 동시에 제공된다.
디멀티플렉서(312)는 인가되는 보드 선택신호가 액티브 로우인 구간동안 정합부(201)로부터 전송되는 채널데이타를 역다중화하여 전송한다. 즉, 보드 0(211)내의 디멀티플렉서(312)는 서브하이웨이(DEV_SHW0)의 64채널중 0채널∼15채널 데이타만 도 4b에 도시된 PBA0와 같이 분리하여 모뎀군(320)으로 전송되도록 역다중화하고, 보드 1(212)내의 디멀티플렉서는 서브하이웨이(DEV_SHW0)의 64채널중 16채널∼31채널 데이타만을 도 4b에 도시된 PBA1과 같이 분리하여 모뎀군(320)으로 전송되도록 역다중화하고, 보드 2(213)내의 디멀티플렉서는 서브하이웨이(DEV_SHW0)의 64채널중 32채널∼47채널 데이타만을 도 4b에 도시된 PBA2와 같이 분리하여 모뎀군(320)으로 전송되도록 역다중화하고, 보드 3(214)내의 디멀티플렉서는 서브하이웨이(DEV_SHW0)의 64채널중 48채널∼63채널 데이타만을 도 4b에 도시된 PBA3와 같이 분리하여 모뎀군(320)으로 전송되도록 역다중화한다.
반면에, 멀티플렉서(313)는 인가되는 보드 선택신호가 액티브 로우인 구간동안 모뎀군(320)으로부터 직렬구조로 전송되는 16개의 채널 데이타에 대해 다중화처리를 수행한다. 즉, 대응되는 모뎀군(320)으로부터 전송되는 16개의 채널데이타가 해당되는 서브하이웨이의 해당 채널을 통해 정합부(201)로 전송될 수 있도록 다중화한다. 즉, 보드 0(211)내의 멀티플렉서(313)는 보드 선택신호가 액티브 로우인 구간동안 모뎀군(320)으로부터 직렬구조로 전송되는 0∼15 채널 데이타가 해당되는 서브하이웨이(DEV_SHW0)의 0∼15채널 영역에 실려 정합부(201)로 전송될 수 있도록 다중화하고, 보드 1(212)내의 멀티플렉서는 보드 선택신호가 액티브 로우인 구간동안 모뎀군으로부터 직렬구조로 전송되는 16∼31채널 영역에 실려 정합부(201)로 전송될 수 있도록 다중화하고, 보드 2(213)내의 멀티플렉서는 보드 선택신호가 액티브 로우인 구간동안 모뎀군으로부터 직렬구조로 전송되는 32∼47채널 영역에 실려 정합부(201)로 전송될 수 있도록 다중화하고, 보드 3(214)내의 멀티플렉서는 보드 선택신호가 액티브 로우인 구간동안 모뎀군으로부터 직렬구조로 전송되는 48∼63채널 영역에 실려 정합부(201)로 전송될 수 있도록 다중화한다.
모뎀군(320)은 채널 분리부(321), 16개의 모뎀(322_0∼15), 채널 결합부(324) 및 인에이블신호 발생부(323)로 구성되어, 역다중화 및 다중화부(310)에서 역다중화되어 전송되는 16채널 데이타를 채널별로 소정 단위로 복조하여 메모리(330)로 전송하고, 메모리(33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를 채널별로 소정 단위로 변조하여 역다중화 및 다중화부(310)로 전송한다.
즉, 채널 분리부(321)는 디멀티플렉서(312)에서 역다중화되어 전송되는 16채널 데이타가 직렬구조로 인가되면, 채널별로 분리하여 대응되는 모뎀(322)으로 전송한다. 다시 말해서 채널 분리부(321)에서 채널단위로 분리된 16채널 데이타가 16개의 모뎀(322_0∼15)중 대응되는 모뎀으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0채널 데이타는 모뎀 0(322_0)으로 전송되고, 15채널 데이타는 모뎀 15(322_15)로 전송된다.
모뎀 0 내지 15(322)는 채널 분리부(321)로부터 각각 전송된 채널 데이타를 PSTN 가입자 단말기(100)의 모뎀(101)에서의 변조방식과 대응되는 복조방식으로 복조하고, 복조된 데이타를 소정 바이트까지 저장한다. 소정 바이트가 저장되면, 해당되는 모뎀(322)은 제어부(340)로 이를 알리고(Full 상태신호 발생), 이에 따라 인에이블신호 발생부(323)로부터 출력 인에이블신호가 제공되면, 해당되는 모뎀(322)은 저장하고 있던 소정 바이트의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모뎀 0(322_0)에 복조된 데이타가 소정 바이트 누적되면, 모뎀 0(322_0)는 제어부(340)로 소정 바이트의 저장상태를 알리고, 이에 따라 인에이블신호 발생부(323)로부터 모뎀 0(322_0)로 출력 인에이블신호가 제공되면, 모뎀 0(322_0)는 저장하고 있던 소정 바이트의 채널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출력되는 데이타는 메모리(330)의 TX 메모리(331)로 전송된다.
반면에 메모리(330)의 RX 메모리(332)로부터 해당 채널의 데이타가 전송되면, 모뎀 0 내지 15(322_0∼15)는 상술한 것과 반대로 변조처리를 한 뒤, 채널 결합부(324)로 전송한다. 이 때, RX 메모리(332)에 대한 읽기모드 제어는 제어부(340)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제어부(340)는 모뎀 0 내지 15(322_0∼15) 각각으로부터 채널 데이타에 대한 누적상태가 빈(Empty)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가 발생되면 RX 메모리(332)를 읽기모드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모뎀 0(322_0)로부터 채널 결합부(324)로 전송될 채널 데이타가 빈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가 발생되면, 제어부(340)는 RX 메모리(332)의 0채널 저장영역에 저장된 채널 데이타가 모뎀 0(322_0)로 전송되도록 읽기모드를 제어한다. 그리고, 모뎀 0(322_0)로부터 채널 결합부(324)로부터 전송될 채널데이타가 가득찬 상태(Full)임을 알리는 신호가 발생되거나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350)로부터 0채널에 대한 신규 데이타가 인가되어 RX 메모리(332)에 저장시켜야 할 때에는 RX 메모리(332)의 0채널 저장영역에 대한 읽기모드 제어를 일시적으로 중단한다.
채널 결합부(324)는 모뎀 0 내지 15(322_0∼15)에서 병렬구조로 전송되는 채널단위의 데이타를 서브하이웨이(DEV_SHW0∼3)상에서의 채널구조로 배열되도록 결합하여 멀티플렉서(313)로 전송한다.
메모리(330)는 TX 메모리(331)와 RX 메모리(332)로 구성되어 모뎀군(320)에서 출력되는 데이타와 모뎀군(320)으로 입력되는 데이타에 대해 채널단위로 저장한다. 즉, TX 메모리(331)와 RX 메모리(332)는 각각 16채널의 데이타를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저장영역이 설정되고, 설정된 각 저장영역은 모뎀군(320)내의 모뎀 0∼15(322_0∼15)와 일대 일 대응되는 구조로 연결되어 채널단위의 저장처리를 한다. 예를 들어, TX 메모리(331)의 0채널에 할당된 저장영역과 RX 메모리(332)의 0채널에 할당된 저장영역은 각각 모뎀 0(322_0)에 연결되어 모뎀 0(322_0)로부터 소정 바이트의 복조된 데이타가 전송되면 TX 메모리(331)의 0채널에 할당된 저장영역에 저장시키고, RX 메모리(332)의 0채널에 할당된 저장영역에서 읽혀진 채널 데이타는 모뎀 0(322_0)로 전송한다. 이 때 전송은 바이트단위로 이루어진다.
제어부(340)는 모뎀 0∼15(322_0∼15)에서 각각 발생되는 저장상태 정보(빈상태 또는 가득찬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저장상태 정보에 따라 해당되는 모뎀에 복조된 채널 데이타가 소정 바이트 누적된 것으로 파악되면, 해당되는 모뎀측으로 누적된 채널 데이타에 대한 출력인에이블신호가 발생되도록 인에이블신호 발생부(323)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술한 소정 바이트는 채널단위로 실릴 수 있는 최대 바이트수량보다 작게 설정된다. 예를 들어 각 채널단위로 실릴 수 있는 최대 바이트가 1024바이트인 경우에 상술한 소정 바이트는 1024바이트 이하로 설정된다. 그리고, 인에이블신호 발생부(323)는 모뎀 0∼15(322_0∼15)에 대한 출력 인에이블신호를 각각 발생할 수 있도록 모뎀 0∼15(322_0∼15)에 일대 일 대응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즉, 인에이블신호 발생부(323)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 16개의 인에이블신호 발생수단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부(340)는 TX 메모리(331)에 저장된 데이타를 채널별로 읽어와 유효한 데이타인지 여부를 분석하고, 유효한 데이타인 경우에만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350)로 전송한다. 유효한 데이타인지 여부는 TX 메모리(331)에서 읽혀진 데이타에 프레임 헤더 정보가 존재하는 지에 따라 결정된다. 즉, 읽혀진 데이타에 프레임 헤더 정보가 존재하면 유효한 데이타로 판정하고, 읽혀진 데이타에 프레임 헤더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유효한 데이타가 아닌 것으로 판정한다. 유효한 데이타가 아닌 것으로 판정되면,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350)로 전송하지 않고 무시한다.
한편,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350)로부터 전송된 데이타에 대해서 제어부(340)는 채널별로 RX 메모리(332)에 저장한다. 이 때에도 제어부(340)는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350)로부터 전송된 데이타에 대해 유효 데이타 여부를 판단하고, 유효한 채널 데이타만을 RX 메모리(332)에 저장시킨다. RX 메모리(332)에 저장된 채널데이타에 대한 읽기모드 제어는 상술한 메모리(330)에 대한 동작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어한다.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350)는 채널 멀티플렉서(351), 채널 디멀티플렉서(353), 보드 선택신호 발생부(352)로 구성되어 제어부(340)로부터 전송되는 채널 데이타를 IGU(115)에 연결되어 있는 서브하이웨이(DEV_SHW 4∼7)중 해당되는 채널구간을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다중화하고, 상술한 서브하이웨이(DEV_SHW 4∼7)를 통해 IGU(115)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중 해당되는 채널의 데이타만 제어부(340)로 전송될 수 있도록 역다중화한다.
즉, 보드 선택신호 발생부(352)는 상술한 보드 선택신호 발생부(311)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단지 보드 선택신호 발생부(352)로 인가되는 서브하이웨이 클럭신호와 프레임 동기신호는 서브하이웨이(DEV_SHW 4∼7)를 통해 제공된다. 보드 식별정보는 보드 선택신호 발생부(311)와 같이 정합부(201)에서 제공된다. 따라서 보드 선택신호 발생부(311)로 제공되는 보드 식별정보와 보드 선택신호 발생부(352)로 제공되는 보드 식별정보는 동일한 값을 갖는다.
따라서, 보드 선택신호 발생부(352)로부터 발생되는 보드 선택신호는 서브하이웨이(DEV_SHW 4∼7)를 통해 송수신되는 채널데이타에 대해 도 4a에 도시된 PBA_SEL신호와 같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발생되는 보드 선택신호는 채널 멀티플렉서(351)와 채널 디멀티플렉서(353)에 각각 제공된다. 채널 멀티플렉서(351)는 제공된 보드 선택신호가 액티브 로우상태로 제공되는 구간동안 제어부(340)로부터 전송된 채널 데이타가 해당되는 서브하이웨이의 해당되는 채널구간에 실려 IGU(115)로 전송될 수 있도록 다중화한다. 이러한 채널 다중화 작업으로 디바이스 유니트 0∼3(210∼240) 각각에서 출력되는 채널데이타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채널 디멀티플렉서(353)는 서브하이웨이(DEV_SHW 4∼7)를 통해 IGU(115)로부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채널데이타가 인가되면, 보드 선택신호 발생부(352)로부터 제공되는 보드 선택신호가 액티브 로우상태인 구간동안 전송되는 채널데이타만을 제어부(340)로 전송할 수 있도록 역다중화 처리를 한다.
IGU(115)는 모뎀 풀(113)로부터 전송되는 채널 데이타를 채널단위로 집선하고, 고속으로 라우팅하여 E1 중계선으로 전송하고, E1 중계선으로부터 전송되는 패킷 데이타를 고속으로 라우팅하고 분산하여 모뎀 풀(113)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아날로그 가입자 단말기를 수용할 수 있는 라인 정합 서브시스템에 구비되는 라인 정합장치(ABSI)와 인터넷 연동장치(IGU)간에 데이타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모뎀 풀을 제공함으로써, 아날로그 가입자 단말기에 대해서도 인터넷 호시도로 인한 타임 스위치 및 링크 자원의 할당을 최소화할 수 있어 아날로그 가입자에 대한 호처리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아날로그 가입자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모뎀과 데이타 송수신이 가능한 라인 정합장치를 구비한 라인정합 서브시스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를 통해 인터넷과 상기 라인정합 서브시스템간의 메시지 송수신처리를 하는 인터넷 연동장치를 구비한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라인 정합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임의의 아날로그 가입자 단말기의 호시도로 인해 발생되는 데이타에 대한 송수신 경로를 제공하는 타임스위치 및 링크부;
    상기 타임 스위치 및 링크부와 제 1 서브하이웨이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인터넷 연동장치와 제 2 서브하이웨이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임의의 아날로그 가입자 단말기에서 인터넷 호가 시도되면, 상기 제 1 서브하이웨이와 상기 제 2 서브하이웨이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타를 채널단위로 변복조하는 모뎀 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에 있어서 공중통신망 가입자용 라인 정합장치와 인터넷 연동장치간의 정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풀은 해당 채널 데이타를 변조 또는 복조하여 전송하는 모뎀을 상기 서브하이웨이상에 존재하는 채널수만큼 구비한 모뎀군; 상기 제 1 서브하이웨이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를 채널단위로 복조할 수 있도록 채널단위로 분리하여 상기 모뎀군내의 대응되는 모뎀으로 전송하는 채널 분리부; 상기 모뎀군으로부터 채널단위로 출력되는 변조된 데이타를 상기 제 1 서브하이웨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결합시키는 채널 결합부; 모뎀군내에 구비되어 있는 모뎀별로 복조된 채널데이타에 대한 출력 인에이블신호를 발생하는 인에이블신호 발생부; 상기 모뎀군내의 모뎀들중 해당 채널에 할당된 모뎀으로부터 출력되는 복조된 데이타를 채널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제 1 메모리; 채널별로 저장된 데이타를 상기 해당 채널에 할당된 모뎀으로 전송하는 제 2 메모리; 상기 모뎀군내의 모뎀들로부터 발생되는 복조된 데이타에 대한 저장상태 또는 변조된 데이타의 저장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인에이블신호 발생부의 동작과 상기 제 1 메모리 및 제 2 메모리의 동작모드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채널 데이타는 상기 제 2 서브하이웨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 2 서브하이웨이를 통해 전송된 채널 데이타는 제 2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도록 채널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에 있어서 공중통신망 가입자용 라인 정합장치와 인터넷 연동장치간의 정합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풀은 상기 제 1 서브하이웨이와 제 2 서브하이웨이의 1프레임구간동안 존재하는 채널을 N등분하여 상기 채널단위의 변복조를 병렬구조로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에 있어서 공중통신망 가입자용 라인 정합장치와 인터넷 연동장치간의 정합장치.
KR1019990036448A 1999-08-31 1999-08-31 교환기에 있어서 공중통신망 가입자용 라인 정합장치와 인터넷연동장치간의 정합장치 KR200100198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448A KR20010019821A (ko) 1999-08-31 1999-08-31 교환기에 있어서 공중통신망 가입자용 라인 정합장치와 인터넷연동장치간의 정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448A KR20010019821A (ko) 1999-08-31 1999-08-31 교환기에 있어서 공중통신망 가입자용 라인 정합장치와 인터넷연동장치간의 정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821A true KR20010019821A (ko) 2001-03-15

Family

ID=19609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448A KR20010019821A (ko) 1999-08-31 1999-08-31 교환기에 있어서 공중통신망 가입자용 라인 정합장치와 인터넷연동장치간의 정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98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9339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ad-hoc network for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s of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messages
CA2066529C (en) Digital cellular switching system with means for securing uninterrupted data transparency during handoffs
US4569041A (en) Integrated circuit/packet switching system
EP0664658B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digital cellular data
WO1999029136A1 (en)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voice and non-voice data on a single narrowband connection
US4748621A (en) TDMA/TDM interfacing
US6331989B1 (en) Multiplex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EP1053611B1 (en) Inverse multiplexing over existing telephony access lines
EP0206111B1 (en) Digital local switching system
JPH09507355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のベースステーション
US6307865B1 (en)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RU2182744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радиосвязи для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посредством пакетов асинхронного режима передачи
US5446732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ignalling between nodes in network
KR20010019821A (ko) 교환기에 있어서 공중통신망 가입자용 라인 정합장치와 인터넷연동장치간의 정합장치
US7082144B1 (en)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plex signal carrying an auxiliary signal
JP2953647B2 (ja) Atmセル送信方法、atmセル受信方法、及びatmセル中継方法
JP3785405B2 (ja) データ伝送システム
CA2274395C (en) Packet multiplexer with automatic communication path optimization based on loop detection
JPH0728441B2 (ja) 移動通信交換システム
WO1998015157A1 (en) Arrangement for interleaving data and signalling information
KR100640418B1 (ko) 비동기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의 저속 가입자 정합 장치
JP3080042B2 (ja) 帯域制御回路
JPH04351038A (ja) 非同期転送モード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論理チャネル識別制御方法
JPH10285120A (ja) 光通信加入者サービス方式
Katzschmer et al. Problems of signalling in integrated PCM switching networks for data and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