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8152A - 교환 시스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 방법 - Google Patents

교환 시스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8152A
KR20010018152A KR1019990033978A KR19990033978A KR20010018152A KR 20010018152 A KR20010018152 A KR 20010018152A KR 1019990033978 A KR1019990033978 A KR 1019990033978A KR 19990033978 A KR19990033978 A KR 19990033978A KR 20010018152 A KR20010018152 A KR 20010018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p
processor
pld
hardwar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3981B1 (ko
Inventor
박용렬
정우용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33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3981B1/ko
Publication of KR20010018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8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9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4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provision for checking the normal operation
    • H04M3/241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provision for checking the normal operation for stored program controlled exchanges
    • H04M3/242Software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5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network data storage and management
    • H04M2203/558Data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 시스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환 시스템에 하드웨어를 증설 또는 감설하는 경우 관련 MMC(Man-Machine Command) 명령어를 입력받아 온라인으로 데이터베이스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교환 시스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교환 시스템에 하드웨어 장비를 증설 또는 감설하는 경우 PLD(Processor Load Data) 백업 및 MT(Magnetic Tape) 취급 과정에서의 물리적인 오류와 새로운 PLD 제작시 에러가 발생할 수 있었고, 해당 PLD의 적용후 장시간의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해야 했으며, 단순한 하드웨어 증설에 대해서도 전체 PLD를 재적용해야 함에 따라 하드웨어 증설 또는 감설 소요 시간과 서비스 중단 시간이 길어 해당 교환 시스템 전체의 신뢰도 및 안전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교환 시스템의 하드웨어 증설 또는 감설 관련 MMC 명령어를 입력받아 분석한 결과에 따라 MP/PP/PBA(Main Processor/Peripheral Proceesor/Printed Board Assembly)의 증설 단위별로 관련 PLD의 데이터베이스를 온라인으로 변경함으로써, 해당 하드웨어 증설 또는 감설 소요 시간과 서비스 중단 시간이 단축되어 해당 교환 시스템 전체의 신뢰도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교환 시스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 방법{On-line Database Change Method Of Switching System}
본 발명은 교환 시스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환 시스템에 하드웨어를 증설 또는 감설하는 경우 관련 MMC 명령어를 입력받아 온라인으로 데이터베이스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교환 시스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환 시스템은 자체 기능을 추가하거나 하드웨어 장비를 증(감)설 또는 재배치하는 경우 테이블 형태를 취하는 릴레이션(Relation)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집합체인 PLD(Processor Load Data)를 변경해야 하는데,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PLD(14)는 교환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시키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의 수행을 제어해 주는 운영 체계(Operating System, 13)의 제어에 따라 각종 응용 프로세서(11-1~11-n)들이 요구하는 데이터의 검색 및 변경 요구를 처리해 주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12)에 의해 관리되며, 하드웨어 형상 정보와, 가입자 정보와, 타국으로의 통신을 위한 중계선 정보 및 운용보전을 위한 제반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해당 교환 시스템에서 PLD의 데이터베이스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해당 PLD를 MT(Magnetic Tape)에 백업받아 워크스테이션(Work Station) 상에서 엔지니어링(Engineering)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추출, 변환 및 추가/삭제 등의 단계를 거치는 작업을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추가하여 새로운 PLD를 제작하게 되고, 이렇게 오프라인 상에서 제작된 PLD를 운용중인 교환 시스템에 다시 적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종래 교환 시스템에서 하드웨어를 증설하는 경우 증설된 하드웨어를 운용하기 위한 PLD의 데이터베이스 변경 동작을 첨부된 도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해당 교환 시스템 운용자는 시스템 공급자로부터 증설하고자 하는 하드웨어 장비를 납품받아 교환 시스템에 장착한다(스텝 S21).
이후, 증설한 하드웨어를 적용하기 위해 PLD의 데이터베이스를 변경하게 되는데, 먼저, 해당 시스템 운용자는 교환 시스템의 정상 유무를 확인한 후, 릴레이션 데이터 집합체인 PLD를 MT로 백업받아 시스템 공급자에게 작업을 요청한다(스텝 S22). 이때, 비상 상태를 위해 한 벌은 운용국에 보관하고, 한 벌은 증설 작업을 위해 시스템 공급자에게 송부한다.
이에, 해당 시스템 공급자는 PLD가 백업된 MT에서 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추출한 후, 추출한 바이너리(Binary) 형태의 데이터를 작업 가능한 텍스트 형식으로 변환한다(스텝 S23).
그리고, 변환된 텍스트 형식의 데이터를 워크스테이션 상에서 시스템 운용자가 변경을 요구한 데이터 즉, 증설 하드웨어와 관련된 릴레이션 데이터를 변경(추가, 삭제, 수정)한 후(스텝 S24), 다시 바이너리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새로운 PLD를 제작해서 MT에 기록하게 된다(스텝 S25, S26).
이후, 해당 시스템 공급자는 새로운 PLD가 기록된 MT를 시스템 운용자에게 송부하면, 해당 시스템 운용자는 새로 제작된 PLD를 교환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 소정의 적용 절차에 따라 해당 MT에 기록된 PLD를 해당 교환 시스템에 덤프((Dump)하게 된다(스텝 S27). 이때, 해당 교환 시스템은 새로운 PLD 적용에 따른 장시간의 서비스 중단이 발생한 후, 정상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전술한 과정이 오류없이 진행되어 증설된 하드웨어를 운용하기 위한 새로운 PLD가 교환 시스템에 적용되면, 해당 교환 시스템은 장시간동안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하며, 해당 PLD를 MT로 백업한 시점부터 새로운 PLD가 적용된 시점까지 이루어진 처리에 대해서도 신규 데이터로 등록해 주게 된다(스텝 S28).
한편, 종래에는 교환 시스템의 자체 기능을 추가하거나 하드웨어 장비를 감설 또는 재배치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교환 시스템의 하드웨어 증설 및 오프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 작업과 동일한 작업 방법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PLD 백업 및 MT 취급 과정에서의 물리적인 오류와 새로운 PLD 제작을 위한 여러 단계를 거치는 작업 과정에서의 에러가 발생할 수 있었으며, 해당 PLD 적용시의 서비스 중단(30분 이상)으로 인한 교환 시스템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해당 PLD의 무결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PLD를 교환 시스템에 적용한 후 장시간의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해야 했으며, 단순한 하드웨어 증설에 대해서도 교환 시스템의 전체 PLD를 재적용해야 함에 따라 해당 교환 시스템의 하드웨어 증설 소요 시간(2시간 이상)이 길어 시스템 전체의 신뢰도 및 안전성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교환 시스템의 하드웨어 증설 또는 감설 관련 MMC 명령어를 입력받아 분석한 결과에 따라 MP/PP/PBA의 증설 단위별로 관련 PLD의 데이터베이스를 온라인으로 변경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하드웨어 증설 또는 감설 소요 시간과 서비스 중단 시간을 단축시켜 해당 교환 시스템 전체의 신뢰도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교환 시스템의 PLD 관리를 위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교환 시스템의 하드웨어 증설시 PLD의 데이터베이스 변경 동작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 시스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 시스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 동작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증설 관련 MMC 명령어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 : MMP(Man-Machine Processor) 31-1 : 관리명령블록
32 : OMP(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or) 32-1 : 구성데이터관리블록
33 : ASP(Access Switching Processor)
33-1 : PLD(Processor Load Data)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하드웨어 증설 관련 MMC 명령어를 입력받아 분석하는 과정과; 분석한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자식 프로세서를 생성하여 상기 하드웨어 증설에 따른 PLD의 데이터베이스를 변경하는 과정과; 관련 프로세서를 재시동시켜 변경된 데이터베이스를 적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이때, 상기 하드웨어 증설에 따른 PLD의 데이터베이스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드웨어 증설 관련 MMC 명령어를 분석한 결과 MP 증설 관련 MMC 명령어인 경우 MP 증설 자식 프로세서를 생성하는 단계와; 증설한 ASP에 대해 초기화된 PLD 파일을 복사하는 단계와; PLD 헤더 정보와 중복 릴레이션 및 관련 릴레이션 데이터를 변경하는 단계와; 부모 프로세서와 타 MP의 로딩 블록으로 재시동 신호를 전달하여 모든 MP를 재시동시키는 단계와; ASP 증설 관련 MMC 명령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더 나아가, 상기 ASP 증설 관련 MMC 명령어를 입력받는 경우 ASP 증설 자식 프로세서를 생성하는 단계와; 증설한 ASP의 PLD에 타임슬롯과 하이웨이 카드 수량을 할당하기 위한 관련 릴레이션 데이터를 변경하는 단계와; 부모 프로세서와 상기 ASP 로딩 블록으로 재시동 신호를 전달하여 OMP와 ASP를 재시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드웨어 증설에 따른 PLD의 데이터베이스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드웨어 증설 관련 MMC 명령어를 분석한 결과 PP 증설 관련 MMC 명령어인 경우 PP 증설 자식 프로세서를 생성하는 단계와; 증설한 PP를 포함하는 ASP의 PLD에 증설 PP에 대한 중복 릴레이션 및 관련 릴레이션 데이터를 변경하는 단계와; 부모 프로세서와 타 MP의 로딩 블록으로 재시동 신호를 전달하여 모든 MP를 재시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드웨어 증설에 따른 PLD의 데이터베이스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드웨어 증설 관련 MMC 명령어를 분석한 결과 PBA 증설 관련 MMC 명령어인 경우 PBA 증설 자식 프로세서를 생성하는 단계와; 증설한 PBA를 포함하는 ASP의 PLD에 증성 PBA에 대한 중복 릴레이션 및 관련 릴레이션 데이터를 변경하는 단계와; 부모 프로세서와 상기 ASP의 로딩 블록으로 재시동 신호를 전달하여 OMP와 ASP를 재시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관련 프로세서를 재시동시켜 변경된 데이터베이스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드웨어 증설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적용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는 경우 MP/PP 증설이면 역으로 삭제시킨 후 다시 증설을 수행하고, PBA 증설이면 반복하여 증설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복수개의 하드웨어를 증설하는 경우 모든 하드웨어 증설에 따른 PLD의 데이터베이스를 변경한 후, 관련 프로세서를 재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교환 시스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을 위한 구성은 첨부한 도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명령블록(31-1)을 포함하는 MMP(Man-Machine communication Processor, 31)와, 구성데이터관리블록(32-1)을 포함하는 OMP(Operation and aintenance Processor, 32) 및 각각의 PLD(33-1)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ASP(Access Switch Processor, 33))로 이루어지는데, 운용자 터미널로부터 입력되는 하드웨어 증설 관련 MMC(Man-Machine Command) 명령어를 MMP(31)의 관리명령블록(31-1)에서 OMP(32)의 구성데이터관리블록(32-1)으로 전달하면, 해당 구성데이터관리블록(32-1)은 하드웨어 증설에 따른 PLD(33-1)의 데이터베이스를 변경한 후, 관련 프로세서(MP나 OMP 또는 ASP)를 재시동시킴으로써, 해당 하드웨어 증설에 따라 변경된 데이터베이스를 교환 시스템의 ASP에 적용하게 된다.
이때, 해당 구성데이터관리블록(32-1)은 데이터 핸들링 서브시스템에 속하며, ITU-T 표준 고급언어인 CHILL(ITU-T High Level Language) 언어로 구현된 소프트웨어 블록으로, OMP(32)에 상주하면서 MP(Main Processor) 시동시에 생성되며, 하드웨어 장비인 MP나 PP(Peripheral Processor) 또는 PBA(Printed Board Assembly) 증설 관련 MMC 명령어가 수신되는 경우 대응되는 자식 프로세서를 생성시켜 구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교환 시스템의 하드웨어 증설 및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스템 운용자가 시스템 공급자로부터 증설하고자 하는 하드웨어 장비를 납품받아 교환 시스템에 장착한 후(스텝 S41), 증설한 하드웨어를 적용하기 위해 운용자 터미널을 이용하여 증설 관련 MMC 명령어를 입력하면(스텝 S42), 입력된 증설 관련 MMC 명령어는 MMP(31)의 관리명령블록(31-1)에 의해 OMP(32)의 구성데이터관리블록(32-1)으로 전달된다.
이때, 해당 증설 관련 MMC 명령어는 첨부한 도면 도 5와 같이, MP 증설인 경우 증설한 ASP 식별번호와 형태 및 재시동 정보를 포함하고, ASP 증설인 경우 증설한 ASP 식별번호와 ASP의 타임슬롯 할당을 위한 용량 정보와 타임슬롯 할당에 따른 하이웨이 카드 수량 정보(LSI0의 USTA PBA 수량, LSI1의 USTA PBA 수량) 및 재시동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PP 증설인 경우 증설한 PP를 포함하는 ASP 식별번호와 증설한 PP 식별번호와 형태 및 증설한 PP내의 PBA 수량 정보와 재시동 정보를 포함하며, PBA 증설인 경우 증설한 PBA를 포함하는 PP 및 ASP 식별번호와 해당 PP내의 제1 및 제2 PBA 수량 정보와 재시동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해당 구성데이터관리블록(32-1)의 부모(parent) 프로세서가 입력된 증설 관련 MMC 명령어를 분석하여(스텝 S43), 대응하는 자식(child) 프로세서를 생성하면, 해당 자식 프로세서는 증설한 하드웨어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변경하게 되는데, 이때 변경되는 하드웨어 관련 데이터베이스는 초기 데이터에 해당되는 중복 릴레이션(Relation) 데이터(복수개의 프로세서에 기본적으로 존재하는 동일한 구조의 릴레이션 데이터)와, 그 외의 관련 릴레이션 데이터(복수개의 프로세서에 존재하는 동일한 구조의 서로 다른 릴레이션 데이터 및 각 프로세서에 유일하게 존재하는 릴레이션 데이터)로 구분되며, 이는 다시 프로세서 형상정보, 서브하이웨이 구성정보, 블록 리스트, 링크 구성정보, 타임슬롯 할당정보, 하드웨어 실장정보, 알람 폴트(Alarm Fault)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스텝 S43에서 입력된 증설 관련 MMC 명령어를 분석한 결과 MP 증설 관련 MMC 명령어인 경우 해당 부모 프로세서는 MP 증설 자식 프로세서를 생성하게 되고(스텝 S44), 해당 MP 증설 자식 프로세서는 증설한 ASP와 동일한 구조의 ASP에 존재하는 PLD 파일과 동일한 크기의 초기화된 PLD 파일을 복사한 후(스텝 S45), 복사한 PLD 파일의 PLD 헤더 정보와 중복 릴레이션 데이터를 변경하게 된다(스텝 S46).
이때, 해당 PLD 헤더 정보에는 증설한 ASP의 식별번호가 기록되며, 해당 PLD 헤더 정보와 중복 릴레이션 데이터의 변경은 트랙잭션(Transaction)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해당 MP 증설 자식 프로세서는 증설한 ASP에 대한 관련 릴레이션 데이터를 변경한 후(스텝 S47), 모든 데이터베이스 변경이 완료되면 부모 프로세서와 타 MP의 로딩 블록으로 재시동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에, 해당 구성데이터관리블록의 부모 프로세서와 각 MP의 로딩 블록에 의해 로딩 테이블이 재구성되어, 해당 교환 시스템의 모든 MP가 재시동됨에 따라 해당 MP 증설에 따라 변경된 데이터베이스 즉, PLD 파일과 운영 체계 및 응용 프로세서가 증설한 ASP로 로딩되며(스텝 S48), 해당 MP 증설 자식 프로세서는 자동적으로 소멸(Kill)되고, 해당 부모 프로세서는 휴지(Dormant) 상태로 천이하게 된다.
스텝 S43에서 입력된 증설 관련 MMC 명령어를 분석한 결과 PP 증설 관련 MMC 명령어인 경우 해당 부모 프로세서는 PP 증설 자식 프로세서를 생성하게 되고(스텝 S49), 해당 PP 증설 자식 프로세서는 PP가 MP 즉, ASP의 하위 계층이므로 해당 ASP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해당 ASP의 PLD에 PP 증설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변경시키게 된다.
즉, 해당 PP 증설 자식 프로세서는 증설한 PP를 포함하는 ASP의 PLD에 증설한 PP에 대한 중복 릴레이션 데이터와 관련 릴레이션 데이터를 변경한 후(스텝 S50), 모든 데이터베이스 변경이 완료되면 부모 프로세서와 타 MP의 로딩 블록으로 재시동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에, 해당 구성데이터관리블록의 부모 프로세서와 타 MP의 로딩 블록에 의해 로딩 테이블이 재구성되어, 해당 교환 시스템의 모든 MP가 재시동됨에 따라 해당 PP 증설에 따라 변경된 데이터베이스 즉, PP 정보가 ASP의 PLD로 로딩되며(스텝 S51), 해당 PP 증설 자식 프로세서는 자동적으로 소멸되고, 해당 부모 프로세서는 휴지 상태로 천이하게 된다.
스텝 S43에서 입력된 증설 관련 MMC 명령어를 분석한 결과 PBA 증설 관련 MMC 명령어인 경우 해당 메인 프로세서는 PBA 증설 자식 프로세서를 생성하게 되고(스텝 S52), 해당 PBA 증설 자식 프로세서는 PBA가 PP 및 ASP의 하위 계층이므로 해당 PP와 ASP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해당 ASP의 PLD에 PBA 증설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변경시키게 된다.
즉, 해당 PBA 증설 자식 프로세서는 증설한 PBA를 포함하는 ASP의 PLD에 증설한 PBA에 대한 중복 릴레이션 데이터와 관련 릴레이션 데이터를 변경한 후(스텝 S53), 모든 데이터베이스 변경이 완료되면 부모 프로세서와 증설한 PBA를 포함하는 ASP의 로딩 블록으로 재시동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에, 해당 구성데이터관리블록의 부모 프로세서와 해당 ASP의 로딩 블록에 의해 해당 OMP와 ASP가 재시동됨에 따라 해당 교환 시스템의 PBA 증설에 따라 변경된 데이터베이스 즉, PBA 정보가 ASP의 PLD로 로딩되며(스텝 S54), 해당 PBA 증설 자식 프로세서는 자동적으로 소멸되고, 해당 부모 프로세서는 휴지 상태로 천이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MP 증설을 수행한 경우에는 증설한 ASP가 대응되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ASP 증설을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데, 먼저, 운용자 터미널로부터 입력된 ASP 증설 관련 MMC 명령어가 OMP의 구성데이터관리블록으로 수신되면, 해당 구성데이터관리블록의 부모 프로세서는 ASP 증설 자식 프로세서를 생성하게 되고, 해당 ASP 증설 자식 프로세서는 증설한 ASP의 PLD에 해당 ASP의 타임슬롯과 하이웨이 카드 수량을 할당하기 위한 관련 릴레이션 데이터를 변경한 후, 모든 데이터베이스 변경이 완료되면 부모 프로세서와 해당 ASP 로딩 블록으로 재시동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에, 해당 구성데이터관리블록의 부모 프로세서와 ASP의 로딩 블록에 의해 해당 OMP와 ASP가 재시동됨에 따라 해당 교환 시스템의 ASP 증설에 따라 변경된 데이터베이스가 ASP의 PLD로 로딩되며, 해당 ASP 증설 자식 프로세서는 자동적으로 소멸되고, 해당 부모 프로세서는 휴지 상태로 천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교환 시스템의 하드웨어 증설에 따른 PLD의 변경을 운용자 터미널로부터 입력되는 증설 관련 MMC 명령어를 입력받아 MP/PP/PBA 단위별로 관련 PLD의 데이터베이스를 온라인으로 변경하게 되며, 각 단위별로 PLD의 데이터베이스 변경이 종료되면 확인과정을 거쳐 정상일 경우 다음 과정으로 진행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MP/PP 증설이면 역으로 삭제시킨 다음 다시 증설 기능을 수행하고, PBA 증설이면 반복해서 증설 기능을 수행하여 정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MP/PP 증설 과정에서 복수개의 MP/PP를 증설하는 경우 각 MP/PP 증설에 따른 PLD 변경시마다 재시동을 실시하지 않고, 모든 MP/PP 증설에 따른 PLD 변경이 종료된 후에 한번만 재시동하도록 선택할 수 있는데, MP나 PP 증설인 경우에는 모든 MP를 재시동하게 되고, ASP나 PBA 증설인 경우에는 OMP와 증설한 PBA를 포함하는 ASP 또는 증설한 ASP를 재시동하게 된다.
상술한 MP/PP/PBA 단위별 증설 범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해당 MP 증설은 ASS_T(Access Switching Subsystem_Trunk) 타입과 ASS_W(ASS_Wireless) 타입을 포함하고, 해당 PP 증설은 ASS_T 타입의 DCIP(Digital SEPT Interface Processor)와 ASS_7(ASS_No.7 Signaling) 타입의 CCSP(Central Control subsystem Processor)와 ASS_M(ASS_Mobile) 타입의 PRIP(Primary Rate Interface Processor) 및 ASS_F(ASS_Frame Relay) 타입의 FHIP(Frame Relay Interface Processor)와 DCIP를 포함하며, 해당 PBA 증설은 상술한 PP내의 PBA와 ASS_I(ASS_ISDN) 타입의 ISAP(ISDN Subscriber Access Processor)내의 PBA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교환 시스템에서 하드웨어를 감설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하드웨어 증설 및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 동작과 동일한 방법으로 감설 관련 MMC 명령어를 입력받아 해당 하드웨어 감설에 따른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교환 시스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 방법을 적용하게 되면, 해당 PLD의 백업이나 검증이 불필요하게 되며, MP/PP/PBA 단위별로 하드웨어를 증설 또는 감설함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증(감)설 소요 시간(각 단위별로 3~10분)과 서비스 중단 시간(수초 이내)이 단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교환 시스템의 하드웨어 증설 또는 감설 관련 MMC 명령어를 입력받아 분석한 결과에 따라 MP/PP/PBA의 증설 단위별로 관련 PLD의 데이터베이스를 온라인으로 변경함으로써, 해당 하드웨어 증설 또는 감설 소요 시간과 서비스 중단 시간이 단축되어 해당 교환 시스템 전체의 신뢰도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3)

  1. 하드웨어 증설 관련 MMC 명령어를 입력받아 분석하는 과정과; 분석한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자식 프로세서를 생성하여 상기 하드웨어 증설에 따른 PLD의 데이터베이스를 변경하는 과정과; 관련 프로세서를 재시동시켜 변경된 데이터베이스를 적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시스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웨어 증설에 따라 변경되는 PLD의 데이터베이스는, 중복 릴레이션 데이터와 관련 릴레이션 데이터로 구분되되, 프로세서 형상정보와 서브하이웨이 구성정보와 블록 리스트와 링크 구성정보와 타임슬롯 할당정보와 하드웨어 실장정보 및 알람 폴트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시스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웨어 증설에 따른 PLD의 데이터베이스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드웨어 증설 관련 MMC 명령어를 분석한 결과 MP 증설 관련 MMC 명령어인 경우 MP 증설 자식 프로세서를 생성하는 단계와; 증설한 ASP에 대해 초기화된 PLD 파일을 복사하는 단계와; PLD 헤더 정보와 중복 릴레이션 및 관련 릴레이션 데이터를 변경하는 단계와; 부모 프로세서와 타 MP의 로딩 블록으로 재시동 신호를 전달하여 모든 MP를 재시동시키는 단계와; ASP 증설 관련 MMC 명령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시스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MP 증설 관련 MMC 명령어는, 증설한 ASP 식별번호와 형태 및 재시동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시스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된 PLD 파일은, 증설한 ASP와 동일한 구조의 ASP에 존재하는 PLD 파일과 동일한 크기의 PLD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시스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ASP 증설 관련 MMC 명령어를 입력받는 경우 ASP 증설 자식 프로세서를 생성하는 단계와; 증설한 ASP의 PLD에 타임슬롯과 하이웨이 카드 수량을 할당하기 위한 관련 릴레이션 데이터를 변경하는 단계와; 부모 프로세서와 상기 ASP 로딩 블록으로 재시동 신호를 전달하여 OMP와 ASP를 재시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시스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 방법.
  7. 제 3항 또는 6항에 있어서,
    상기 ASP 증설 관련 명령어는, 증설한 ASP의 타임슬롯 할당을 위한 용량 정보와 상기 타임슬롯 할당에 따른 하이웨이 카드 수량 정보 및 재시동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시스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웨어 증설에 따른 PLD의 데이터베이스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드웨어 증설 관련 MMC 명령어를 분석한 결과 PP 증설 관련 MMC 명령어인 경우 PP 증설 자식 프로세서를 생성하는 단계와; 증설한 PP를 포함하는 ASP의 PLD에 증설 PP에 대한 중복 릴레이션 및 관련 릴레이션 데이터를 변경하는 단계와; 부모 프로세서와 타 MP의 로딩 블록으로 재시동 신호를 전달하여 모든 MP를 재시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시스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PP 증설 관련 MMC 명령어는, 증설한 PP를 포함하는 ASP 식별번호와 증설한 PP 식별번호와 형태 및 증설한 PP내의 PBA 수량 정보와 재시동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시스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웨어 증설에 따른 PLD의 데이터베이스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드웨어 증설 관련 MMC 명령어를 분석한 결과 PBA 증설 관련 MMC 명령어인 경우 PBA 증설 자식 프로세서를 생성하는 단계와; 증설한 PBA를 포함하는 ASP의 PLD에 증성 PBA에 대한 중복 릴레이션 및 관련 릴레이션 데이터를 변경하는 단계와; 부모 프로세서와 상기 ASP의 로딩 블록으로 재시동 신호를 전달하여 OMP와 ASP를 재시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시스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PBA 증설 관련 MMC 명령어는, 증설한 PBA를 포함하는 PP 및 ASP 식별번호와 상기 PP내의 제1 및 제2 PBA 수량 정보 및 재시동 정보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교환 시스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프로세서를 재시동시켜 변경된 데이터베이스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드웨어 증설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적용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는 경우 MP/PP 증설이면 역으로 삭제시킨 후 다시 증설을 수행하고, PBA 증설이면 반복하여 증설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시스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하드웨어를 증설하는 경우 모든 하드웨어 증설에 따른 PLD의 데이터베이스를 변경한 후, 관련 프로세서를 재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시스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 방법.
KR1019990033978A 1999-08-17 1999-08-17 교환 시스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 방법 KR100303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978A KR100303981B1 (ko) 1999-08-17 1999-08-17 교환 시스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978A KR100303981B1 (ko) 1999-08-17 1999-08-17 교환 시스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152A true KR20010018152A (ko) 2001-03-05
KR100303981B1 KR100303981B1 (ko) 2001-11-01

Family

ID=19607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978A KR100303981B1 (ko) 1999-08-17 1999-08-17 교환 시스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39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409A (ko) * 2002-04-26 2003-11-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교환기의 직렬 버스형 자동 형상인식장치 및 방법
KR100464147B1 (ko) * 2000-10-30 2004-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딩 서버를 사용한 교환기 시스템 로딩 에러 처리장치 및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147B1 (ko) * 2000-10-30 2004-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딩 서버를 사용한 교환기 시스템 로딩 에러 처리장치 및방법
KR20030084409A (ko) * 2002-04-26 2003-11-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교환기의 직렬 버스형 자동 형상인식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3981B1 (ko) 200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76400C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logic control units for railroad station-based vital computer apparatuses
CN1179595C (zh) 蜂窝通信系统中的后台软件加载
CN100471134C (zh) 电信设备升级的方法、设备及升级引擎单元
JPH0145658B2 (ko)
CN100428155C (zh) 通信设备的升级方法
CN102207879A (zh) Lua脚本热更新方法及系统
CN101631345B (zh) 单板运行状态的监控方法及装置
KR100303981B1 (ko) 교환 시스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변경 방법
CA2115656C (en) Fault tolerant radio communication system controller
CN100465911C (zh) 一种备份方法
CN100362760C (zh) 一种分布式配置数据库系统的备份方法
CN110377298B (zh) 一种分布式集群升级方法及分布式集群
JPH04299435A (ja) データベース等価方式
JP4070389B2 (ja) 電力系統監視制御装置
KR100443633B1 (ko) 에이티엠 교환기에서의 서브 시스템 추가 방법
KR960003974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원격 액세스 스위칭 모듈에서의 데이타 백업방법
KR940007843B1 (ko) 실시간 데이타 베이스 관리 시스팀(dbms)의 데이타 베이스 스키마 관리방법
JP3589433B2 (ja) データベース保証方式
KR100284491B1 (ko) 원격 교환기 시스템용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
JP3319146B2 (ja) 二重化制御システムのデータ同期転写方法
KR100217422B1 (ko) 교환기의 데이터 베이스 생성 방법
CN113297220A (zh) 数据的恢复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以及处理器
KR100241335B1 (ko) 교환기 데이터베이스 백업 시스템의 스탠바이 로딩을 위한 디스크 데이터 백업 금지 처리방법
JPH0668034A (ja) オンラインシステム監視方式
JP3623617B2 (ja) データ設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