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7817A - 실란 화합물, 이로부터 형성된 전도성 고분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실란 화합물, 이로부터 형성된 전도성 고분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7817A
KR20010017817A KR1019990033516A KR19990033516A KR20010017817A KR 20010017817 A KR20010017817 A KR 20010017817A KR 1019990033516 A KR1019990033516 A KR 1019990033516A KR 19990033516 A KR19990033516 A KR 19990033516A KR 20010017817 A KR20010017817 A KR 20010017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nductive polymer
group
hydrogen
silane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3276B1 (ko
Inventor
김연택
최문근
한봉환
김상원
Original Assignee
김연택
최문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택, 최문근 filed Critical 김연택
Priority to KR1019990033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3276B1/ko
Publication of KR20010017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3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32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0803Compounds with Si-C or Si-Si linkages
    • C07F7/081Compounds with Si-C or Si-Si linkages comprising at least one atom selected from the elements N, O, halogen, S, Se or Te
    • C07F7/0812Compounds with Si-C or Si-Si linkages comprising at least one atom selected from the elements N, O, halogen, S, Se or Te comprising a heterocyclic ring
    • C07F7/0814Compounds with Si-C or Si-Si linkages comprising at least one atom selected from the elements N, O, halogen, S, Se or Te comprising a heterocyclic ring said ring is substituted at a C ring atom by Si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고분자 단량체로 유용한 실란 화합물, 이로부터 형성된 전도성 고분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실란 화합물은 화학식 1로 표시된다.
상기식중, R1은 수소이고, R2, R3, R4및 R5는 서로에 관계없이 수소, C1∼C20알킬기, C1∼C20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및 할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실란 화합물을 중합하면 접착성이 우수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전도성 고분자를 얻을 수 있다. 이 전도성 고분자는 접착성과 전도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표시소자의 유기막 특히, 유기 전자발광소자의 발광층 또는 홀수송층 형성용 물질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일렉트로크로믹 물질이라서 자동차 계기판 등과 같이 표시 기능을 갖는 각종 기기 계기판에 적용가능하다.

Description

실란 화합물, 이로부터 형성된 전도성 고분자 및 그 제조방법{Silane compound, conductive polymer formed therefrom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능성 고분자 단량체로서 유용한 실란 화합물, 이로부터 형성된 전도성 고분자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산업의 발달이 가속화됨에 따라, 고도의 성능을 갖는 표시소자가 요구되고 있다. 표시소자는 일반적으로 발광형 표시소자와 비발광형 표시소자로 나눌 수 있다. 발광형 표시소자로는 음극선관, 전자발광표시소자(electroluminescence display: ELD),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등이 있으며, 비발광형 표시소자로는 액정표시소자 등이 있다.
표시소자의 기본적인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로는 작동전압, 소비전력, 휘도, 콘트라스트, 응답시간, 수명, 표시색 등이 있다.
비발광형 표시소자중의 하나인 액정표시소자는 가볍고 소비전력이 작다는 잇점을 가지고 있어서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응답시간, 콘트라스트, 시야각 등의 특성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여 아직까지 개선의 여지가 많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차세대 표시소자로서 전자발광소자가 주목받고 있다.
전자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device)는 자발 발광형 표시 소자로서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응답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EL 소자는 발광층(emitter layer) 형성용 재료에 따라 무기 EL 소자와 유기 EL 소자로 구분된다. 여기에서 유기 EL 소자는 무기 EL 소자에 비하여 휘도, 구동전압 및 응답속도 특성이 우수하고 다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유기 EL 소자는, 기판 상부에 애노드(anode)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애노드 상부에 홀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캐소드(cathode)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홀 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수송층은 모두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유기박막들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유기 EL 소자의 구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상기 애노드 및 캐소드간에 전압을 인가하면 애노드로부터 주입된 홀은 홀 수송층을 경유하여 발광층에 이동된다. 한편, 전자는 캐소드로부터 전자 수송층을 경유하여 발광층에 주입되고, 발광층 영역에서 캐리어들이 재결합하여 엑시톤(exiton)을 생성한다. 이 엑시톤이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변화되고, 이로 인하여 발광층의 형광성 분자가 발광함으로써 화상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애노드로는 ITO(Iindium Tin Oxide)가 통상적으로 이용된다. 그런데, 이 ITO 전극 상부에 형성되는 유기막들은 통상적으로 ITO 전극에 대한 접착성, 막강도 등의 물성이 충분치 않아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초래한다. 예를 들어, ITO 전극에 대한 접착성이 불량하면 유기막들이 ITO 전극으로부터 박리되어 본래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여 궁극적으로 소자의 발광 특성, 수명 특성 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능성 고분자 단량체인 실란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실란 화합물을 중합하여 제조되어 접착성이 매우 우수한 전도성 고분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고분자를 포함한 유기막을 구비하고 있어서 발광 특성 및 수명 특성이 개선된 표시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첫번째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란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식중, R1은 수소이고,
R2, R3, R4및 R5는 서로에 관계없이 수소, C1∼C20알킬기, C1∼C20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및 할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두번째 과제는 티오펜 화합물 (A)에, 이를 기준으로 하여 1당량의 유기 리튬 화합물 (B)를 부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응 혼합물에, 티오펜 화합물 (A)를 기준으로 하여 1/4 당량의 테트라클로로실란 (C)를 부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란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식중, R1과 R6은 수소이고,
R2, R3, R4및 R5은 서로에 관계없이 수소, C1∼C20알킬기, C1∼C20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및 할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은 메틸기 또는 부틸기이다.
본 발명의 세번째 과제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전도성 고분자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식중, R2, R3, R4및 R5는 서로에 관계없이 수소, C1∼C20알킬기, C1∼C20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및 할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유기용매에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현재 알려진 분자량 측정방법으로는 분자량을 알아내는 것이 불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하기 화학식 3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고분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네번째 과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란 화합물과 지지전해질을 유기용매에 용해한 다음, 소정의 전류, 전압 또는 순환전류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해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식중, R1은 수소이고,
R2, R3, R4및 R5는 서로에 관계없이 수소, C1∼C20알킬기, C1∼C20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및 할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다섯번째 과제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한 유기막을 채용하고 있는 표시소자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표시소자는 이러한 유기막을 홀수송층으로서 채용하고 있는 유기 전자발광소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실란 화합물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전도성 고분자와 같은 기능성 고분자의 단량체로서 매우 유용하다.
상기 실란 화합물을 중합하여 제조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전도성 고분자는 다음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먼저, 하기 반응식 1을 참조하여 화학식 1의 실란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티오펜 화합물 (A)를 유기용매에 용해한 다음, 여기에 상기 티오펜 화합물 당량을 기준으로 하여 1당량의 유기 리튬 화합물 (B)를 적가한다. 이 때 상기 유리 리튬 화합물 (B)와 유기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유기 리튬 화합물로는 n-부틸리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기용매로는 디에틸에테르 등을 사용한다. 그리고 유기 리튬 화합물 (B)의 적가시 반응 혼합물의 온도는 부가하는 유기 리튬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약간씩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n-부틸리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응 혼합물의 온도가 -78℃ 정도가 적절하다.
이어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소정기간동안 교반한 다음, 여기에 티오펜 화합물 (A)를 기준으로 하여 1/4 당량 정도의 테트라클로로실란 (C)를 부가하여 소정시간동안 교반시킨다.
반응이 완결되면, 워크-업(work-up)함으로써 화학식 1의 실란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정제과정을 더 실시하여 요구되는 순도의 실란 화합물을 얻는다.
상기식중, R1과 R6은 수소이고, R2, R3, R4및 R5은 서로에 관계없이 수소, C1∼C20알킬기, C1∼C20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및 할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은 메틸기 또는 부틸기이다.
한편, 화학식 2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는 하기 반응식 2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화학식 1의 실란 화합물을 중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는데, 이 때 중합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화학식 1의 실란 화합물을 FeCl3와 같은 산화제를 이용하여 산화반응을 통하여 얻을 수도 있고, 전기화학적인 방법 즉, 일정한 전압, 전류 또는 순환전류전압을 인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화학식 2의 반복단위를 갖는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고분자 박막을 제조하는 경우, 예를 들어 유기 전자발광소자의 홀수송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작업 용이성과 접착성면에서 전기화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전해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해중합에 의하여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전도성 고분자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실란 화합물의 전해 중합 반응은, 산화전위가 비교적 낮은 실란 화합물이 전기화학적으로 산화되고, 생성된 라디칼 양이온이 활성종으로 되어서 서로 커플링을 반복해서 중합반응이 진행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화학식 1의 실란 화합물을 지지전해질(支持電解質)과 함께 적당한 용매에 용해한다. 이후, 상기 혼합물에 소정의 전류, 전압 또는 순환전류전압을 걸면 작업전극에 화학식 2의 반복단위를 갖는 전도성 고분자로 된 박막이 생성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작업전극, 기준전극 및 보조전극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로서, 작업 전극으로는 ITO 전극을 사용하고, 기준전극으로는 Ag/AgCl을 사용하고, 보조전극으로는 백금막을 사용한다.
상기 지지전해질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테트라부틸암모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등을 사용한다.
상술한 전해중합법에 따르면, 1단계의 작업으로 전도성 고분자막을 간편하게 얻을 수 있으며, 이 방법에 따라 형성된 전도성 고분자박막은 ITO 전극에 대한 접착성이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고분자는 접착성과 전도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표시소자의 유기막 특히, 유기 전자발광소자의 홀수송층 형성용 물질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일렉트로크로믹 물질이라서 자동차 계기판 등과 같이 표시 기능을 갖는 각종 기기 계기판에 적용가능하다. 여기에서 일렉트로크로믹 물질이란 외부의 자극 즉, 전류에 의하여 능동적으로 색감을 띠는 물질을 말한다.
이하,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유기 전자발광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기판 상부에 애노드 전극용 물질을 코팅한다. 여기에서 기판으로는 통상적인 유기 EL 소자에서 사용되는 기판을 사용하는데, 투명성, 표면평활성, 취급용이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유리기판 또는 투명 플라스틱 기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애노드 전극용 물질으로는 투명하고 전도성이 우수한 산화인듐주석(ITO), 산화주석(SnO2), 산화아연(ZnO) 등을 사용한다.
상기 애노드 전극 상부에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고분자를 이용하여 홀수송층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화학식 2의 반복단위를 갖는 고분자를 이용하여 홀수송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즉, 홀수송층은 화학식 2의 고분자를 유기용매에 용해하여 스핀코팅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상술한 화학식 1의 실란 화합물을 전해중합함으로써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후, 상기 홀수송층 상부에 통상적인 발광층 형성용 물질을 이용하여 발광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발광층 상부에 캐소드 형성용 금속을 전체적으로 진공증착하여 캐소드를 형성함으로써 유기 EL 소자가 완성된다. 여기에서 캐소드 형성용 금속으로는 리튬(Li),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알루미늄-리튬(Al-Li), 칼슘(Ca), 마그네슘-인듐(Mg-In), 마그네슘-은(Mg-Ag) 등이 이용된다.
상기 발광층 상부에 캐소드를 형성하기 이전에 전자수송층을 형성하기도 한다. 이 전자수송층은 통상적인 전자수송층 형성용 물질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유기 전자발광소자는 애노드, 홀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및 캐소드중에서 선택된 2개의 층사이에 특성 향상을 위한 중간층을 더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애노드와 홀수송층 사이에 버퍼층(buffer layer)을 더 형성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버퍼층을 형성하면 애노드와 홀수송층간의 접촉저항이 감소되는 동시에 발광층에 대한 애노드의 홀 수송능력이 향상되어 소자의 특성이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버퍼층 형성물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폴리에틸렌 디옥시테오펜(polyethylene dioxythiophene: PEDT) 등을 사용한다.
유기 전자발광소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순서 즉, 애노드/홀수송층/발광층/전자수송층/캐소드 순으로 제조하여도 되고, 그 반대의 순서 즉, 캐소드/전자수송층/발광층/홀수송층/애노드 순으로도 제조하여도 무방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합성예와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1. 테트라키스(3,4-에틸렌디옥시-2-티에닐)실란의 제조
건조된 반응 용기에 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1.0g,(7.04mmol)을 부가한 다음, 여기에 무수 디에틸 에테르 30㎖를 부가하여 용해하였다.
아르곤 가스 분위기하에서, 드라이 아이스/아세톤 중탕기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물의 온도를 -78℃로 조절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에 n-부틸리튬 4.4㎖(7.04mmol, 1.6M in n-hexane)을 15분동안에 걸쳐 적가한 다음, 얼음 중탕기를 이용하여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0℃ 정도로 올렸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30분동안 교반한 다음, 얼음 중탕기를 제거하고 나서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 때 반응 혼합물은 흰색의 염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노란 색깔을 띠었다.
이와 별도로, 테트라클로로실란 0.2㎖(1.7mmol)을 디에틸 에테르 15㎖에 용해하였다. 이어서, 이 테트라클로로실란의 디에틸 에테르 용액을 상기 반응 혼합물에 적가하는데, 이 때 반응 혼합물은 얼음 중탕기를 이용하여 냉각한 상태이다.
테트라클로실란의 디에틸 에테르 용액을 적가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10분동안 더 교반하였다. 그 후, 얼음 중탕기를 제거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4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혼합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100㎖로 추출하여 메틸렌 클로라이드층을 모았다. 모아진 메틸렌 클로라이드층을 물 30㎖와 포화 NaCl 수용액으로 각각 2회 세척하였다. 얻어진 메틸렌 클로라이드층을 황산 마그네슘(MgSO4)을 이용하여 건조한 다음, 여과하여 여액을 모았다. 이어서, 여액을 감압증발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엷은 갈색의 액체를 얻었다.
용리액으로서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상기 갈색의 액체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다음의 4가지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첫번째로 분리된 화합물은 미반응의 3,4-에틸렌디옥시티오펜(Rf=0.8)이고, 두번째로 분리된 화합물은 미확인 화합물(Rf=0.5)이고, 세번째로 분리된 화합물은 흰색 고체 상태의 테트라키스(3,4-에틸렌디옥시-2-티에닐)실란(Rf=0.4)(수율: 30.7%)이고, 네번째로 분리된 화합물은 엷은 갈색 고체의 트리스(3,4-에틸렌디옥시-2-티에닐)실라놀(Rf=0.06)이었다.
이어서, 세번째로 분리된 테트라키스(3,4-에틸렌디옥시-2-티에닐)실란을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포화된 상태로 용해시킨 후, 헥산 증기확산법을 이용하여 정제하여 무색 투명한 결정 상태의 테트라키스(3,4-에틸렌디옥시-2-티에닐)실란을 얻었다.
1H-NMR(CD3COCD3/CD3SOCD3): δ 6.7(s, 4H), 4.1(m, 16H)
13C-NMR(CD3COCD3/CD3SOCD3): δ 149.6(C4), 142.9(C3), 107.8(C5), 105.3(C2), 64.9, 64.7(-CH2-)
원소분석: C24H2008S4Si Cacld. C 48.63, H 3.40; Found C 48.48, H 3.56
GC-MS: m/z 592(M+)
합성예 2. 화학식 3의 반복단위를 갖는 전도성 고분자 박막의 제조
테트라키스(3,4-에틸렌디옥시-2-티에닐)실란 10-3M과 0.1M의 테트라부틸암모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의 아세토니트릴 용액 10㎖의 혼합물을 전해중합시켰다.이 때 보조전극으로는 백금막을 사용하였고, 기준전극으로는 Ag/AgCl막을 사용하였으며, 작업전극으로는 1㎠ 면적의 ITO(indium-tin-oxide) 박막이 형성된 유리 기판을 사용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에 전압을 -1.0V에서 2.0V까지 반복적으로 인가함으로써 작업 전극 표면에 화학식 3의 반복단위를 갖는 전도성 고분자 박막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유기 전자발광소자의 제조
유리 기판상에 ITO 전극을 형성한 다음, 합성예 2의 방법에 따라 화학식 3의 반복단위를 갖는 전도성 고분자 박막을 형성하여 홀수송층을 400Å 두께로 형성하였다.
상기 홀수송층 상부에 폴리(p-페닐렌비닐렌)을 이용하여 발광층을 500Å 두께로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발광층 상부에 Al:Li을 진공증착하여 1200Å 두께의 알루미늄·리튬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유기 전자발광소자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유기 전자발광소자에 있어서, 홀수송층은 통상적인 홀수송층 형성용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ITO 전극에 대한 접착성이 매우 향상될 뿐만 아니라, 막강도도 양호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실란 화합물은 기능성 고분자 단량체로서, 이를 중합하면 접착성이 우수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전도성 고분자를 얻을 수 있다. 이 전도성 고분자는 접착성과 전도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표시소자의 유기막 특히, 유기 전자발광소자의 홀수송층 형성용 물질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자동차 계기판 등과 같이 표시 기능을 갖는 각종 기기 계기판에 적용가능하다.

Claims (7)

  1.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란 화합물:
    〈화학식 1〉
    상기식중, R1은 수소이고,
    R2, R3, R4및 R5는 서로에 관계없이 수소, C1∼C20알킬기, C1∼C20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및 할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R2, R3, R4및 R5가 모두 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란 화합물.
  3. 티오펜 화합물 (A)에, 이를 기준으로 하여 1당량의 유기 리튬 화합물 (B)를 부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응 혼합물에, 티오펜 화합물 (A)를 기준으로 하여 1/4 당량의 테트라클로로실란 (C)를 부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란 화합물의 제조방법.
    상기식중, R1과 R6은 수소이고,
    R2, R3, R4및 R5은 서로에 관계없이 수소, C1∼C20알킬기, C1∼C20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및 할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은 메틸기 또는 부틸기이다.
  4.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전도성 고분자:
    〈화학식 2〉
    상기식중, R2, R3, R4및 R5는 서로에 관계없이 수소, C1∼C20알킬기, C1∼C20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및 할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5.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란 화합물과 지지전해질을 유기용매에 용해한 다음, 소정의 전류, 전압 또는 순환전류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해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상기식중, R1은 수소이고,
    R2, R3, R4및 R5는 서로에 관계없이 수소, C1∼C20알킬기, C1∼C20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및 할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6.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유기막을 채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
    〈화학식 2〉
    상기식중, R2, R3, R4및 R5는 서로에 관계없이 수소, C1∼C20알킬기, C1∼C20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및 할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7. 제6항에 있어서, 유기 전자발광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
KR1019990033516A 1999-08-14 1999-08-14 실란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53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516A KR100353276B1 (ko) 1999-08-14 1999-08-14 실란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516A KR100353276B1 (ko) 1999-08-14 1999-08-14 실란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736A Division KR100382969B1 (ko) 2002-02-06 2002-02-06 전도성 고분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817A true KR20010017817A (ko) 2001-03-05
KR100353276B1 KR100353276B1 (ko) 2002-09-18

Family

ID=19607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516A KR100353276B1 (ko) 1999-08-14 1999-08-14 실란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32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712B1 (ko) * 2000-08-10 2004-12-20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유기전자장치와 그 제조방법과 그 동작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33311A1 (de) * 1996-08-19 1998-02-26 Bayer Ag Kratzfeste leitfähige Beschichtung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712B1 (ko) * 2000-08-10 2004-12-20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유기전자장치와 그 제조방법과 그 동작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3276B1 (ko) 200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720B1 (ko)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WO2001005863A1 (en) Arylamine-substituted poly(arylene vinylenes) and associated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
EP0861845B1 (en) Silicon-containing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ing the same
CN105367603B (zh) 一种基于蒽的双膦杂六元环有机电致发光化合物、合成方法及其应用
KR100254536B1 (ko) 두개의실릴기를갖는용해가능한피피브이유도체의합성방법및이를이용한전기발광소자
KR100528906B1 (ko) 청색 발광 화합물 및 이를 발색 재료로서 채용하고 있는 표시소자
KR100274871B1 (ko) 발광 화합물 및 이를 발색 재료로서 채용하고 있는 표시소자2
KR100280709B1 (ko) 발광 화합물 및 이를 발색재료로서 채용하고있는 표시소자
KR20070102305A (ko) 전기화학적 증착을 통한 유기발광소자의 유기박막층형성방법
TW201425439A (zh) 有機金屬聚合物組成物、其製備方法以及由其製造之oled(一)
KR100382969B1 (ko) 전도성 고분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353276B1 (ko) 실란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827866A (zh) 一种星型蓝色荧光分子及其合成方法与应用
JPH03244630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6885038B2 (en) Light-emitting polymers and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JPH08113576A (ja) El素子用有機化合物及びel素子
KR100453809B1 (ko) 스피로비플루오렌 화합물 및 전기발광 고분자와 이를포함하는 전기발광 소자
KR100293762B1 (ko) 플루오렌을 포함하는 피피브이 유도체와 이를 이용한 발광 효율이 개선된 유기 전자 발광 소자
US20040234814A1 (en) Blue light-emitting compounds, blue light-emitting polymers, processes of preparing the blue light-emitting compounds and luminescent element including the blue light-emitting polymers
WO2004083194A1 (ja) 青色発光化合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利用した発光素子
KR100377573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적색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사용한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271486B1 (ko) 발광고분자및이발광고분자를발색재료로서채용하고있는표시소자
CN105348325A (zh) 一种含有螺芴结构的双膦杂环有机电致发光化合物、合成方法及其应用
JP2006310023A (ja) 電気回路および電気回路の製造方法
KR100553734B1 (ko) 유기 실리콘 화합물, 이로부터 형성된 발광 화합물 및 이 발광 화합물을 발색재료로서 채용하고 있는 표시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