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7253A - 상감 장식부를 가지는 은수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상감 장식부를 가지는 은수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7253A
KR20010017253A KR1019990032652A KR19990032652A KR20010017253A KR 20010017253 A KR20010017253 A KR 20010017253A KR 1019990032652 A KR1019990032652 A KR 1019990032652A KR 19990032652 A KR19990032652 A KR 19990032652A KR 20010017253 A KR20010017253 A KR 20010017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gold
silver
silver cutlery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목
Original Assignee
홍성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목 filed Critical 홍성목
Priority to KR1019990032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7253A/ko
Publication of KR20010017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25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은수저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음각의 요홈내에 채워지는 금의 광택이 손상되지 않게 하여 제품의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상감(像嵌)장식부를 가지는 은수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은수저 제조 방법은 은수저의 표면에 광택을 내는 샌딩작업을 거치는 과정에서 금박판 표면의 광택이 없어짐에 따라 샌딩작업후에 금박판만을 별도로 광택을 내는 장식부 광택 공정을 행하여만 되어 생산성이 낮고 불량율도 높은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은수저(10)의 장식부(11)에 금박판(15)을 부착시키는 금박판 부착공정(1)과; 금박판(15)이 부착된 장식부(11)를 소정의 무늬 모양이 형성된 금형(20)으로 압착하여 장식부(11)에 무늬 모양을 형성시키는 장식무늬 성형공정(2)과; 무늬 모양이 형성된 장식부(11)에 보호막(30)을 도포 하는 보호막 도포공정(3)과; 보호막(30)이 도포된 장식부(11)에서 요홈(12)내에 삽입된 보호막(3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보호막(31)과 금박판(15)을 제거하는 절삭공정(4)과; 은수저(10)의 표면을 광택 처리하는 샌딩공정(5)과; 샌딩공정(5)이 완료된 은수저(10)로부터 보호막(32)층을 분리시키는 보호막 분리 공정(6)으로 은수저를 제조함으로서,금박판으로부터 음각의 요홈 내에 부착시킬 작은 조각의 금박판을 절취시키는 공정이 삭제됨에 따라 별도의 절취금형을 제조하지 않아도 되어 금형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작은 조각의 금박판을 요홈내에 삽입시키는 공정도 필요 없게 되어 숙달된 작업자 없이도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임.

Description

상감 장식부를 가지는 은수저의 제조방법{A method of inlaying with gold for silver spoon}
본 발명은 은수저에 음각의 장식 모양을 형성시키고, 음각의 요홈내에 금을 채워넣어 장식부를 형성시키는 상감(像嵌)장식부를 가지는 은수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은수저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음각의 요홈내에 채워지는 금의 광택이 손상되지 않게 하여 제품의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상감(像嵌)장식부를 가지는 은수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저의 손잡이부에는 다양한 형태의 무늬를 장식하게 되며, 장식에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는 가정의 화목을 나타내는 글씨 또는 장수를 상징하는 십장생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장식부는 형틀에 무늬를 형성시키고 이에 주물을 부어 손잡이에 장식부를 형성시키는 단순한 것에서부터 장식의 문양이 형성된 금형으로 손잡이부를 타격하여 장식부를 형성시키고 의의 표면에 금판을 부착시키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은수저는 오래 전부터 최고의 식사 용구로 애용되어 왔으며, 장식 또한 매우 정교하고 화려하였다.
종래에 있어서의 상감(像嵌)장식부를 가지는 은수저 제조방법은 은수저의 손잡이 또는 취식부를 소정의 무늬 모양이 형성된 금형으로 압착하여 음각의 무늬를 형성시키는 무늬 성형 공정과;
무늬 모양이 형성된 금형으로 두께가 매우 얇은 금박판을 압착하여 무늬의 요홈에 삽입되는 금박판을 절취하는 금박판 절취 공정과;
절취된 금박판을 은수저에 형성된 음각의 요홈내에 삽입시키는 금박판 삽입공정과;
금박판이 삽입된 은수저를 가열시키고 요홈내에 삽입된 금박판을 융착시키는 금박판융착공정과;
금박판이 융착된 은수저의 표면을 광택 처리하는 샌딩공정과;
샌딩공정을 거친 은수저의 금박판을 문질러 광택을 내는 장식부광택공정을 거쳐 은수저 제조하여 왔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제조방법은 금박판을 소정의 무늬 모양이 형성된 금형으로 찍어 요홈내에 삽입될 금박판을 절취하여야 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는 절취용 금형을 제조하여야만 된다.
또한 절취된 작은 조각의 금박판을 요홈에 정확하게 삽입시키기 위하여는 매우 정밀한 작업이 요구되어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아무리 정밀하게 작업한다 하더라도 불량율이 높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은수저의 표면에 광택을 내는 샌딩작업을 거친 과정에서 금박판 표면의 광택이 없어짐에 따라 샌딩작업후에 금박판만을 별도로 광택을 내는 장식부 광택공정을 행하여만 되는 것으로서 작은 홈내에 삽입된 금박판을 문질러 광택을 내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어 생산성이 낮고 불량율도 높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은수저의 제조공정을 간소화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불량품 발생율을 낮출 수 있게 하며, 음각의 요홈내에 채워지는 금의 광택이 손상되지 않게 하여 제품의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상감(像嵌)장식부를 가지는 은수저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은수저의 장식하고자 하는 부위에 금박판을 부착시키는 금박판 부착공정과;
금박판이 부착된 장식부를 소정의 무늬 모양이 형성된 금형으로 압착하여 장식부에 무늬 모양을 형성시키는 장식부 성형공정과;
무늬 모양이 형성된 장식부에 보호막을 도포하는 보호막 도포공정과;
보호막이 도포된 장식부에서 요홈내에 삽입된 보호막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보호막과 금박판을 제거하는 절삭공정과;
은수저의 표면을 광택 처리하는 샌딩공정과;
샌딩작업이 완료된 은수저로부터 보호막층을 분리시키는 보호막 분리 공정으로 은수저를 제조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상감(像嵌)장식부를 가지는 은수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은수저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금박판부착공정 2. 장식무늬 성형공정
3. 보호막도포공정 4. 절삭공정
5. 샌딩공정 6. 보호막분리공정
10. 은수저 11. 장식부
20. 금형 30. 보호막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상감(像嵌)장식부를 가지는 은수저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은수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은수저(10)의 장식부(11)에 금박판(15)을 부착시키는 금박판 부착공정(1)과;
금박판(15)이 부착된 장식부(11)를 소정의 무늬 모양이 형성된 금형(20)으로 압착하여 장식부(11)에 무늬 모양을 형성시키는 장식무늬 성형공정(2)과;
무늬 모양이 형성된 장식부(11)에 보호막(30)을 도포하는 보호막 도포공정(3)과;
보호막(30)이 도포된 장식부(11)에서 요홈(12)내에 삽입된 보호막(3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보호막(31)과 금박판(15)을 제거하는 절삭공정(4)과;
은수저(10)의 표면을 광택 처리하는 샌딩공정(5)과;
샌딩공정(5)이 완료된 은수저(10)로부터 보호막(32)층을 분리시키는 보호막 분리 공정(6)으로 은수저(10)를 제조하는 것으로서, 상기 보호막(30)은 에나멜 조성물로 하여 쉽게 탈 부착시킬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상감(像嵌)장식부를 가지는 은수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금박판 부착공정(1) -
기존의 방법으로 성형이 완료된 은수저(10)의 장식부(11)에 두께가 매우 얇은 금박판()을 부착시킨 후 금박판(15)의 표면을 경도가 높은 금속(일명 광쇠 이하 광쇠라 칭함)으로 빠르게 문질러 장식부(11)에 금박판(15)을 견고하게 부착시킨다.
이때 금박판(15)은 광쇠(14)의 빠른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열에 의해 장식부(11)의 표면에 융착되는 것이다.
또한 광쇠(14)의 빠른 마찰에 의해 금박판(15)이 아주 빤짝이는 광택을 가지게 된다.
- 장식무늬 성형공정(2) -
금박판(15)이 부착된 장식부(11)를 소정의 무늬 모양이 형성된 금형(20)으로 압착하여 장식부(11)에 무늬 모양을 음각으로 형성시킨다.
이때 장식부(11)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금형(20)의 표면을 아주 매끄럽게 연마하여 금박판(15)에 나타난 광택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 보호막 도포공정(3) -
무늬 모양이 형성된 장식부(11)의 표면에 보호막(30)을 도포한후 이를 건조시킨다.
- 절삭공정(4) -
보호막(30)이 도포된 장식부(11)에서 요홈(12)내에 삽입된 보호막(3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보호막(31)과 금박판(15)을 제거시킨다.
- 샌딩공정(5) -
일부의 보호막(31)층이 제거된 은수저(10)에 메쉬가 아주 작은 고운 모래를 고속으로 분사시켜 은수저(10)의 표면을 광택 처리한다.
이때 요홈(12)에 삽입된 금박판(15)은 그 상부에 보호막(32)층이 도포되어 있음에 따라 분사되는 모래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아 금박판(15)의 부착공정에서 나타난 광택을 그대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 보호막 분리 공정(6) -
샌딩공정(5)이 완료되면 요홈(12)내부에 부착된 나머지의 보호막(32)을 분리시켜 제품을 완성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금박판으로부터 음각의 요홈 내에 부착시킬 작은 조각의 금박판을 절취시키는 공정이 삭제됨에 따라 별도의 절취금형을 제조하지 않아도 되어 금형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작은 조각의 금박판을 요홈내에 삽입시키는 공정도 필요 없게 되어 숙달된 작업자 없이도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은수저의 표면에 광택을 내는 샌딩작업시에 금박판의 광택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제품의 품위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은수저(10)의 장식부(11)에 금박판(15)을 부착시키는 금박판 부착공정(1)과; 금박판(15)이 부착된 장식부(11)를 소정의 무늬 모양이 형성된 금형(20)으로 압착하여 장식부(11)에 무늬 모양을 형성시키는 장식무늬 성형공정(2)과; 무늬 모양이 형성된 장식부(11)에 보호막(30)을 도포하는 보호막 도포공정(3)과; 보호막(30)이 도포된 장식부(11)에서 요홈(12)내에 삽입된 보호막(3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보호막(31)과 금박판(15)을 제거하는 절삭공정(4)과; 은수저(10)의 표면을 광택 처리하는 샌딩공정(5)과; 샌딩공정(5)이 완료된 은수저(10)로부터 보호막(32)층을 분리시키는 보호막 분리 공정(6)으로 이루어지는 상감(像嵌)장식부를 가지는 은수저의 제조방법.
KR1019990032652A 1999-08-09 1999-08-09 상감 장식부를 가지는 은수저의 제조방법 KR200100172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652A KR20010017253A (ko) 1999-08-09 1999-08-09 상감 장식부를 가지는 은수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652A KR20010017253A (ko) 1999-08-09 1999-08-09 상감 장식부를 가지는 은수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253A true KR20010017253A (ko) 2001-03-05

Family

ID=19606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652A KR20010017253A (ko) 1999-08-09 1999-08-09 상감 장식부를 가지는 은수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725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184A (ko) * 1985-06-08 1987-02-16 최호섭 나전칠 금속 장식판 및 그 제조방법
JPH05245030A (ja) * 1992-03-06 1993-09-24 Masayoshi Tanaka 模様付き食器の製造方法
KR19980019302A (ko) * 1998-03-04 1998-06-05 김철웅 은수저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silver spoon and chopstick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184A (ko) * 1985-06-08 1987-02-16 최호섭 나전칠 금속 장식판 및 그 제조방법
JPH05245030A (ja) * 1992-03-06 1993-09-24 Masayoshi Tanaka 模様付き食器の製造方法
KR19980019302A (ko) * 1998-03-04 1998-06-05 김철웅 은수저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silver spoon and chopstick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44249B (zh) 陶瓷镶嵌金属装饰工艺
JPS62202092A (ja) 金属から実質的に中空に構成された装飾品を電鋳法により製造する方法
US6125516A (en) Method of producing an item of hollow jewelry
JP2003159900A (ja) 加飾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EP2861431B1 (en) Method for applying decorative elements on curved surfaces
KR20010017253A (ko) 상감 장식부를 가지는 은수저의 제조방법
EP0453382B1 (fr) Procédé de réalisation de motifs métalliques en relief sur une surface vernissée et polie
US2076387A (en) Manufacture of ornaments
CN104783419B (zh) 一种金银错饰品的制造方法
JPH01204605A (ja) 皮革しぼ跡を形成したプラスチックヒールとその製造方法
KR100530356B1 (ko) 기념패 및 그 제조방법
US20210230506A1 (en) Decorative wax element and a method of decorating a candle using a decorative wax element
JP2001327311A (ja) ステンレス製の台座に宝石を埋め込む方法
KR101139855B1 (ko) 피복용 부속물의 제작방법
JPH03111066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識別字体の成形方法
KR100468275B1 (ko) 홀로그램문양이 전사 된 핫픽스의 제조공정 및 구조
KR200217798Y1 (ko) 인쇄문양장신구
KR20030096988A (ko) 의복에 장식을 행하기 위한 홀로그램 장식물의 제조방법과이에 의하여 제조한 장식물
KR100336623B1 (ko) 건강수저 및 그 제조방법
US1689810A (en) Method of making metal articles
JPH08136670A (ja) 装飾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441108B2 (ja) 模様を有する装飾品及びその模様形成方法
US20180169915A1 (en) Making Method of Combination of Metal and Plastic with Metal Formed by Aid of High Temperature Gas
KR100855158B1 (ko) 핫픽스 제조방법
CN115740363A (zh) 一种装饰铜镜的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