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6663A - 인터넷과 에이티엠 망의 연결성 연동 모듈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과 에이티엠 망의 연결성 연동 모듈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6663A
KR20010016663A KR1019990031673A KR19990031673A KR20010016663A KR 20010016663 A KR20010016663 A KR 20010016663A KR 1019990031673 A KR1019990031673 A KR 1019990031673A KR 19990031673 A KR19990031673 A KR 19990031673A KR 20010016663 A KR20010016663 A KR 20010016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ssion
stream
interworking
atm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6785B1 (ko
Inventor
장종수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90031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785B1/ko
Publication of KR20010016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7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04LAN interconnection over a backbone network, e.g. Internet, Frame Relay
    • H04L12/4608LAN interconnection over ATM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과 ATM 망간의 중단없는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서비스 세션 및 전달 프로토콜의 연동을 제공하기 위한 연동 게이트웨이의 연결성 연동 모듈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터넷(IP망)과 ATM망간의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비스 세션 및 전달 프로토콜의 연동을 제공하는 연동 게이트웨이를 구비하되, 상기 연동 게이트웨이는, 실시간 세션 제어 모듈과, 실시간 스트림 전달 모듈과, ATM 세션 처리모듈과, ATM 스트림 전달 모듈과, IP 도메인의 서비스 프로토콜과 ATM 도메인의 서비스 프로토콜을 서로 연동시켜, 상기 실시간 세션 제어모듈과 상기 ATM 세션 처리모듈을 상호 연동시키고, 상기 실시간 스트림 전달모듈과 상기 ATM 스트림 전달모듈을 상호 연동시켜 주는 연동 에이젼트를 포함하여 인터넷과 ATM망의 연결성 연동 모듈을 구성하고, 그 연동모듈은, 세션이 전달되면 세션 열기인지, 스트림 제어, 스트림 전달, 세션 종료인지에 따라 각기 연동하고, 상기 세션 열기에서 교환형 연결이고 ATM API를 이용하여 제공된 경우는 제어세션용 연결과 스트림 세션용 연결을 구분하여 연결하고, 교환형 연결이고 스트림 전달방법이 TCP/IP를 이용하는 경우는, 스트림 세션용과 제어세션용 연결을 동시에 수행하여 세션 바인더 절차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인터넷과 에이티엠 망의 연결성 연동 모듈 및 제어방법{Connectivity-Interworking Function Module between and ATM Network}
본 발명은 인터넷 망과 ATM 망간의 서비스 차원의 연동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응용의 스트림 전달 방법의 연동과 이를 제어하기 위한 세션 연동을 자연스럽게 지원하기 위한 연동 게이트웨이를 제공하고, 시스템내의 연동 에이젼트가 수행하는 연결성 연동의 방법을 통하여 상위 레벨의 중단없는 서비스 연동을 수행하여 이종의 망간의 서비스 상호 운용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현재까지의 인터넷 기본 개념은 동일한 서비스 클래스, 낮은 대역폭의 서비스, 수신 대기형의 대용량 데이터 전송, 지연에 적응하는 서비스, 손실에 적응하는 서비스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WWW의 폭발적인 확산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주고받고자 하는 서비스는 확대일로에 있고 새로운 유형의 서비스들의 등장이 속출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에서는 상호 통신이 이루어지고 광대역성을 가지며 실시간성을 요구하는 응용들이 등장을 하게 되었고, 또한 사용자들도 이러한 서비스의 등장을 강렬히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와 함께 기존의 인터넷 망과 새롭게 구축하고 있는 ATM 서비스 망간의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연동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서비스 연동이 제공되기 위해서는 각 서비스 망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전달 프로토콜과 제어 프로토콜의 연동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프로토콜의 연동에는 연결과 관련한 부분이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ATM 망에서는 이를 간략히 생각하기 위해서 PVC(Permanent Virtual Circuit)를 이용하여 연결성을 제공한다고 가정을 하고 운용을 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서비스 서버와 단말간의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세션은 단순하게 세션 오픈으로 해결이 된다.
그러나 이를 교환형 연결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를 위한 연결 설정의 절차가 필요하게 되며, 인터넷과 ATM 망의 연동이 이루어 지는 경우에는 인터넷의 실시간 전달 프로토콜과 제어 프로토콜과 관련한 요구에 맞추어서 이의 프로토콜 변환 및 연결성의 연동이라는 제공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성 연동 에이젼트를 이용하여 이러한 프로토콜 변환 및 연결성 연동의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초고속 정보통신망 환경으로 발전하면서 현존하는 인터넷 망과 초고속 정보통신망의 기반이 되는 ATM 망간의 연동이 이슈가 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동에는 기존의 전송 프로토콜 관점의 연동 뿐만 아니라 제공 서비스의 상호 운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전달 메커니즘의 연동도 따라서 이루어 져야 한다.
이러한 서비스 전달 메커니즘의 연동을 무리없이 제공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전달 및 제어 프로토콜의 연동과 함께 이를 지원하기 위한 연결성 연동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인터넷과 ATM 망간의 경계에 존재하는 서비스 연동 게이트웨이내에 구성하는 서비스 전달 및 제어 프로토콜의 연동과 관계하는 연결성 연동 모듈의 구성 및 제공 방법을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동 게이트웨이가 위치하는 서비스 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연동 게이트웨이의 연결성 연동 모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연결성 연동 모듈의 동작 절차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IP 망 호스트 A 102 : 연동 게이트웨이
103 : ATM 망 호스트 B 201 : 실시간 세션 제어 모듈
202 : 실시간 스트림 전달 모듈 203 : 연동 에이젼트
204 : ATM 세션 처리 모듈 205 : ATM 스트림 전달 모듈
본 발명은 인터넷과 ATM 망의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연동을 지원하는 연결성 연동 모듈의 구성 및 제공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 1은 인터넷에 존재하는 호스트 A(101), 인터넷(IP망)과 ATM망을 연결하여 주는 서비스 연동 게이트웨이 장치(102), 그리고 ATM 망에 존재하는 호스트B(103)으로 구성되어 이종의 망 환경에서 서비스 레벨의 연동과 연결성 연동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한 기본적인 서비스 망 구성 예를 나타낸다.
IP 망에 존재하는 호스트A(101)와 ATM 망에 존재하는 호스트 B(103)를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단말과 서비스 서버로 생각할 때, 이를 지원하기 위한 연동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연동 게이트웨이(102)가 이들 망간의 경계에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인터넷에서는 실시간 트래픽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자원예약 프로토콜을 통하여 해당 흐름에 대한 자원 예약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자원예약을 통하여 비로소 실시간 스트림 서비스를 수신할 수가 있다. 상기 자원 예약 프로토콜을 RSVP(Resource Reservation Protocol)이라고 하고, 이러한 경로상의 자원 예약만으로 서비스 스트림의 순조로운 전달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실시간 전달 프로토콜(RTP : Real-time Transport Protocol)과 이의 흐름 제어를 수행하는 RTCP(RTP Control Protocol)을 이용하여야만 서비스 스트림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스트림 레벨에서 제어하기 위해서는 RTSP (Real-Time Streaming Protocol)와 같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야 한다. ATM 망에서는 이러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스트림 전달을 위해서는 MPEG-2 TS(Moving Picture Expert Group-2 Transport Stream)를, 세션 설정 및 제어를 위해서는 DSM-CC(Digital Storage Media Command & Control)를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서비스 연동 게이트웨이(102)에서는 이들 프로토콜의 연동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하고 이러한 세션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연결성의 제공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러한 수단을 모두 제공함으로써 IP 망과 ATM 망간의 서비스 연동이 성공적으로 제공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도 2는 연동 게이트웨이의 연결성 연동 모듈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IP 도메인에서 실시간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한 세션을 제어하는 실시간 세션 제어 모듈(201), 실시간 스트림 전달을 담당하는 실시간 스트림 전달 모듈(202), 이들 IP 도메인의 서비스 프로토콜과 ATM 도메인의 서비스 프로토콜을 서로 연동시켜주는 연동 에이젼트(203), ATM 도메인에서 세션을 담당하는 ATM 세션 처리 모듈(204), 및 스트림 전달을 담당하는 ATM 스트림 전달 모듈(205)로 구성된다.
상기 실시간 세션 제어 모듈(201)은 인터넷 도메인에서 서비스 세션과 관련한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모듈로 이는 연동 에이젼트(203)의 도움으로 ATM 세션 처리 모듈(204)과 상호 연동이 이루어 진다. 실시간 스트림 전달 모듈(202)은 인터넷 도메인에서 실시간 서비스 스트림을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연동 에이젼트(203)의 도움으로 ATM 스트림 전달 모듈(205)과 상호 연동이 이루어 진다. 연동 에이젼트(203)는 서비스 세션 제어 신호에 의해 서비스 세션이 발생하는 경우에 이에 따라 관련된 연결성을 제공하여 주는 기능까지 연동 에이젼트(203)에서 제공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연결성 연동 모듈의 동작 절차를 나타낸다.
먼저, 실시간 세션이 전달되기를 기다리는 대기 상태에서 실시간 세션이 전달되면 이를 읽어 세션 열기인지를 판단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제 1과정의 판단에서 세션 열기가 아닌 경우, 스트림 제어 및 전달 여부에 따라 연동하고 세션 종료인지를 판별하여 세션 종료가 아니면 상기 대기 상태로 천이하고 종료이면 연결 해제를 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제 1 과정의 판단에서 세션 열기이면, 스트림 연결 타입을 판별하여 교환형 연결이고 서비스 스트림이 ATM API를 이용하여 제공된 경우는 제어 세션용 연결과 스트림 세션용 연결을 구분하여 연결하는 제 3과정과, 상기 세션 열기에서 스트림 세션이 교환형 연결이고 스트림 전달 방법이 TCP/IP를 이용하는 경우는, 스트림 세션용과 제어 세션용 연결을 동시에 수행하는 제 4과정과, 상기 세션열기에서 스트림 세션이 교환형이 아닌 영구회선인 경우 및 상기 제 3, 제 4과정의 연결이 완료된 경우는, 해당되는 서비스 스트림 및 세션 제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세션 바인더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대기상태로 천이하는 제 5과정을 수행하여 연동 제어를 한다.
상기 제 1 과정은, 연동 에이젼트(203)내의 연결성 연동 모듈은 실시간 세션 제어 모듈(201)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기다리는 실시간 세션 전달 대기(S301) 단계를 수행한다. 이후, 실시간 세션 제어 모듈(201)에서 데이터가 전달이 되면, 실시간 세션 전달 패킷 수신(S302) 단계를 거쳐 실시간 세션 전달 패킷 읽기(S303)를 수행하고 읽기 결과가 세션 열기 인가?(S304)를 판단한다.
상기 제 2 과정은 세선 열기가 아닌 경우, 스트림 제어 인가?(S305), 스트림 전달인가?(S306), 세션 종료인가?(S307)에 따라서 해당되는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만약에 스트림 제어인 경우에는 스트림 제어 연동(S308) 절차를 수행하고, 스트림 전달인 경우에는 스트림 전달 연동(309)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세션 종료인 경우에는 연결 해제(310) 절차를 수행하며, 세션 종료가 아니면, 상기 대기(S301) 단계로 천이 하여 실시간 세션이 전달되기를 기다린다.
한편, 상기 제 3과정은, 제 1과정의 판단에서 세션 열기인 경우에는, 스트림 세션을 형성하는 타입을 판별(S311)하게 된다. 만약에 스트림 세션이 영구회선인 PVC인 경우에는 바로 세션 바인더(S318) 절차로 천이를 하지만 스트림 세션이 교환형 연결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서비스 스트림을 전달하는 방법을 판단(S312) 한다.
만약에 서비스 스트림을 기존의 TCP/IP기반으로 전달하는 경우에는 제 4 과정을 수행하여 스트림/제어 세션용 연결을 한번에 시도(S319)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이 완료(S320)되면 제 5 과정의 세션 바인더(318)를 수행하여 해당되는 서비스 스트림 및 세션 제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비스 스트림 전달 방법 판단(S312)에서 서비스 스트림이 세션 제어와는 다른 순수 ATM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경우에는, 스트림의 연결과 제어 세션의 연결을 따로 잡아야 한다. 따라서, 제어 세션을 교환형 연결을 통하여 할 것인지를 확인(S313)하여 제어 세션용 연결을 시도(S314)하고, 연결이 완료(S315)되면 스트림 세션용 연결을 시도(S316)하게 된다. 스트림 세션용 연결이 완료(S317)되면 상기 세션 바인더(318)를 통하여 서비스 스트림 및 세션 제어 신호를 기다리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비스 연결성 연동을 통하여 이종망간의 이음매 없는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고, 서비스 상호 운용성을 제공하며, 세션 설정에 따른 자원의 절약을 제공할 수 있고, 서비스 접속이 집중되는 연동 게이트웨이의 특성에 따라 영구적 회선에 의한 연결성만을 제공하는 기존의 방식보다 경쟁력 있는 연동 게이트웨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Claims (4)

  1. 인터넷(IP망)과 ATM망간의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비스 세션 및 전달 프로토콜의 연동을 제공하는 연동 게이트웨이를 구비하되,
    상기 연동 게이트웨이는,
    상기 인터넷(IP망) 도메인의 실시간 세션에 관련한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실시간 세션 제어 모듈과;
    상기 인터넷 도메인의 실시간 스트림 전달을 담당하는 실시간 스트림 전달 모듈과;
    상기 실시간 세션 제어모듈과 상호 연동되어 ATM망의 도메인의 ATM 세션에 관련한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ATM 세션 처리모듈과;
    상기 실시간 스트림 전달모듈과 상호 연동되어 ATM망과의 스트림 전달을 담당하는 ATM 스트림 전달 모듈과;
    IP 도메인의 서비스 프로토콜과 ATM 도메인의 서비스 프로토콜을 서로 연동시켜, 상기 실시간 세션 제어모듈과 상기 ATM 세션 처리모듈을 상호 연동시키고, 상기 실시간 스트림 전달모듈과 상기 ATM 스트림 전달모듈을 상호 연동시켜 주는 연동 에이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과 ATM망의 연결성 연동 모듈.
  2. 인터넷과 ATM망 사이에서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연동을 지원하는 연동 게이트 웨이를 구비하고,
    그 연동 게이트 웨이가,
    실시간 세션이 전달되면 이를 읽어 세션 열기인지를 판단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제 1과정의 판단에서 세션 열기가 아닌 경우, 스트림 제어 및 전달 여부에 따라 연동하고 세션 종료인지를 판별하여 세션 종료가 아니면 상기 실시간 세션이 전달되기를 기다리는 대기 상태로 천이하고, 세션 종료이면 연결 해제를 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제 1과정의 판단에서 세션 열기이면, 스트림 연결 타입을 판별하여 교환형 연결이고 서비스 스트림이 ATM API를 이용하여 제공된 경우는 제어 세션용 연결과 스트림 세션용 연결을 구분하여 연결하는 제 3과정과;
    상기 세션 열기에서 스트림 세션이 교환형 연결이고 스트림 전달 방법이 TCP/IP를 이용하는 경우는, 스트림 세션용과 제어 세션용 연결을 동시에 수행하는 제 4과정과;
    상기 세션 열기에서 스트림 세션이 교환형이 아닌 영구회선인 경우 및 상기 제 3, 제 4과정의 연결이 완료된 경우는, 해당되는 서비스 스트림 및 세션 제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세션 바인더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 5과정을 수행하여 인터넷과 ATM망 사이의 서비스 연동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과 ATM망의 연결성 연동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과정은,
    상기 제 1과정의 판단에서 세선 열기가 아닌 경우, 스트림 제어 인지를 판단하여 스트림 연동을 제어하는 단계와,
    스트림 제어가 아니면, 스트림 전달인지를 판단하여 스트림 연동을 제어하는 단계와,
    스트림 전달이 아니면, 세션 종료인지를 판단하여 세션 종료이면 연결 해제를 하고, 세션 종료가 아니면 상기 제 1과정으로 천이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과 ATM망의 연결성 연동 제어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과정은,
    상기 제 1과정의 판단에서 세션 열기인 경우에는, 스트림 세션을 형성하는 타입을 판별하는 단계와,
    스트림 세션이 영구회선인 PVC인 경우에는 바로 세션 바인더 절차로 천이하고, 스트림 세션이 교환형 연결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서비스 스트림을 전달하는 방법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스트림 전달 방법이 세션 제어와는 다른 ATM API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경우에는, 제어 세션을 교환형 연결을 통하여 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제어 세션을 교환형으로 연결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세션 바인더 절차로 천이하고, 제어 세션을 교환형으로 연결하는 경우는, 제어 세션용 연결을 하는 단계와,
    제어 세션용 연결이 완료되면 스트림 세션용 연결을 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과 ATM망의 연결성 연동 제어방법.
KR1019990031673A 1999-08-02 1999-08-02 인터넷과 에이티엠 망의 연결성 연동 모듈 및 제어방법 KR100346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673A KR100346785B1 (ko) 1999-08-02 1999-08-02 인터넷과 에이티엠 망의 연결성 연동 모듈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673A KR100346785B1 (ko) 1999-08-02 1999-08-02 인터넷과 에이티엠 망의 연결성 연동 모듈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663A true KR20010016663A (ko) 2001-03-05
KR100346785B1 KR100346785B1 (ko) 2002-08-01

Family

ID=19606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673A KR100346785B1 (ko) 1999-08-02 1999-08-02 인터넷과 에이티엠 망의 연결성 연동 모듈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7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275B1 (ko) * 2001-09-05 2004-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토콜과 그연동방법
KR100566250B1 (ko) * 1999-12-18 2006-03-29 주식회사 케이티 Atm이름서버(ans)를 이용한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ip 레벨 연결성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794415B1 (ko) * 2005-08-09 2008-01-1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무선 네트워크상에서의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는 tcp연결 종료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250B1 (ko) * 1999-12-18 2006-03-29 주식회사 케이티 Atm이름서버(ans)를 이용한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ip 레벨 연결성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430275B1 (ko) * 2001-09-05 2004-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토콜과 그연동방법
KR100794415B1 (ko) * 2005-08-09 2008-01-1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무선 네트워크상에서의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는 tcp연결 종료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6785B1 (ko) 200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4888B1 (ko) 영상 연동 게이트웨이 장치와 영상 통화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Landfeldt et al. SLM, a framework for session layer mobility management
US7979062B2 (en) Communications method between a combinational terminal and multimedia terminal
US8121028B1 (en) Quality of service provisioning for packet service sessions in communication networks
CN101924772B (zh) 支持跨网络、跨终端实现多媒体会话合并的通信方法
KR20100058431A (ko) 얼리 세션을 이용한 세션 설정 프로토콜 기반의 얼리 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응용 서버
JP2009506611A (ja) マルチメディア・ストリームにおいてデバイスが非同期を実行するように又は同期遅延を含むように装置に信号通知するための方法
US20030058836A1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multimedia connection with quality of service using an ATM backbone
US84468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tone/announcement over wireless network
US8144578B2 (en) Communication network with line-and packet-switching control
US2005004897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call handover in a media gateway
CN111478884B (zh) 不同视联网之间进行数据传输的方法、装置和存储介质
US8018899B2 (en) Handoff system and method between different kinds of devices, SIP server and operational method of SIP server
EP1863256B1 (en) A media stream bridging device and a media service system
CN109936563A (zh) 一种同声传译的数据处理方法和装置
KR100346785B1 (ko) 인터넷과 에이티엠 망의 연결성 연동 모듈 및 제어방법
US20080037513A1 (en) Call Jump System, Method & Apparatus
CN1663290B (zh) 在面向分组通信网中通信连接控制的方法
CN101772077B (zh) 一种传输实时媒体流数据的方法及视频会议系统
KR100518182B1 (ko) 비디오 게이트웨이를 구비한 아이엠티2000 통신시스템 및그 운영방법
Takatama et al. Intelligent SIP system for mobile Internet
KR20000033652A (ko) 서비스 품질(qos) 매핑 기능을 가지는 비동기전송 모드(atm)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51295A (ko)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 및 그 연동 방법
JP2001119740A (ja) 移動通信接続の移行方法
US20040059832A1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