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1295A -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 및 그 연동 방법 - Google Patents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 및 그 연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1295A
KR19980051295A KR1019960070171A KR19960070171A KR19980051295A KR 19980051295 A KR19980051295 A KR 19980051295A KR 1019960070171 A KR1019960070171 A KR 1019960070171A KR 19960070171 A KR19960070171 A KR 19960070171A KR 19980051295 A KR19980051295 A KR 19980051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function
interworking
ser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0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승원
장종수
최준균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60070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1295A/ko
Publication of KR19980051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1295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ATM 기술을 채용한 B-ISDN을 기반으로 하는 초고속 정보 통신망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 단말과 서버 및 통신망이 연결된 이종 통신망환경에서 서비스 이용자가 단말의 종류 및 처리 능력, 서버의 종류의 제공할 서비스 내용의 형식에 무관하게 초고속 정보 통신망을 통하여 서비스의 종류와 단말의 능력 및 위치에 무관하게 초고속 정보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 및 그 연동 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 및 그 연동 방법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 모드(Asunchronous Transfer Mode: 이하 ATM이라 함)기술을 채용한 광대역 중합 정보 통신망(Broadband Integrated Service Digita1Network: 이하 B-ISDN라 함)을 기반으로 하는 초고속 정보 통신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고속 정보 통신망 환경에서 다양한 이종 통신망간의 종단없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의하여 요구되는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 및 그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 단말과 서비스 제공자(이하 서버) 및 다양한 종류의 통신망이 연결된 이종 통신망 환경에서, 서비스 이용자가 단말의 종류 및 처리 능력, 서버의 종류와 제공할 서비스 내용의 형식에 무관하게 초고속 정보 통신망을 통하여 어느 의지에서 어느 단말의 능력을 사용하더라도 다양한 종류의 초고속 정보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이들 이종의 서비스 단말과 서버를 서비스 연동 브로커장치에 표준 접속하기 의한 방법 및 동작에 대한 정의가 요구된다.
초고속 정보 통신망은 ATM 기술을 채용한 B-ISDN 망을 기반으로하여 기존에 운용되고 있는 전화망, 데이터망, 케이블 텔레비전(cable television; CATV)망 및구내 정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이하 LAN이라 함)까지 접속된다. 따라서 기존의 각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는 서비스 단말 및 서버가 새로운 B-ISDN을 통하여 새로운 B-ISDN 서비스 단말 혹은 다른 이종의 통신망에 있는 서비스 장치들과 접속되어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기 의해서는 이들 이종의 통신망간을 접속하는 연동기술이 확보되어야 하며, 이러한 연동 기능을 제공하는 연동 장치가 필요하다. 이종 기술 및 이종 사입자 통신망간의 상호 접속을 의한 연동은 크게 전송계층 레벨의 네트워크 연등과 종단 서비스 응용간의 상호 통신을 의한 서비스 연동으로 나눌 수 있다. 기존의 이동 통신망과 B-ISDN 망간의 연동을 의한 구조 및 방법에 대한 인구와 표준화는 주로 통신망 레벨의 네트워크 연동에 대하여 이루어 지고있다. ITU-T의 경우 B-ISDN 망과 공중 교환 전의망(PubIic Switched TeIephoneNetwork;PSTN), 공중 교환 데이터망(Public Switched Data Network; PSDN) 등과의 네트워크 연동에 대하여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ATM 포럼(Forum),IETF, DAVIC등의 사설 표준화 단체에서도 프레임 릴레이(Frame ReIay), 회로 모방(Circuit Emulation), LAN 모방(Emu1ation)과의 연동에 대하여 규격와 작업을 하고 있으나, 이것도 통신망간의 망대망 접속 관점에서 상호 접속하기 의한 네트워크 레벨의 연동을 정의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레벨의 연동으로는 이종의 서비스, 이종 매체간의 변환, 이종 서비스간의 서비스 접근 방식의 통일 등을 달성하여 중단없는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임의의 서비스 가입자가 어떤 통신망, 어떤 종류의 단말을 사용하더라도 다양한 초고속 정보 통신 서비스를 액세스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있는 서비스/응용 레벨의 서비스 연동에 관한 구조 및 기능 구조의 서비스 연동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정하기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는 다양한 통신망과의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망 접속 수단과, 상기 망 접속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정보, 서비스 제어/관리 정보에 대한 프로토콜 변환 기능, 정보압축 방식 변환 기능 등을 수행한 후 상기 망 접속 수단으로 재송신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연동 지원 수단과, 다양한 서비스 연동 기능을 제공하기 의한 서비스 응용기능을 제공하는 브로커 응용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의 연동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가이드 상호작용을 통하여 서비스 요구 신호를 서비스 가이드 기능 수단으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요구 신호를 수신한 서비스 가이드 기능 수단에서 서비스 가이드 동작을 수행하여 얻어진 다양한 정보를 서비스 가이드 상호작용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단말에서 서비스를 선택하면 가상 서버 기능 수단에서 서비스/서버 정보 처리동작을 수행하여 서비스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서비스 가이드 상호작용을 통하여 서비스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의, 상기 가상 서버 기능 수단에서 서비스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서비스 가이드 상호작용으로 전달한 후 액세스 지원 기능 수단에서 서비스 단말과 서버의 능력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서비스 프로그랩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 단말에서 원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가상 서버기능 수단에서 서비스/서버 정보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서버정보 처리 동작에 의한 연동 지원 기능에 따라 프로토콜 및 데이터 변환이 필요하면 액세스 지원 기능 수단에서 프로토콜 및 데이터 변환 동작을 수행하여 서비스정보를 서비스 단말로 전달하고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연동 지원 기능에 따라 서비스 제어 메카니즘의 변환이 필요하면 액세스 지원 기능 수단에서 서비스 단말로부터 서비스 제어 상호작용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서비스 제어 상호작용 신호에 의해 서비스 제어 변환 동작을 수행한 후 서비스 제어 신호를 서버로 송신하고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초고속 정보 통신망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고속 정보 통신망 환경에서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의 물리적, 기능적 위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고속 정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의 접속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고속 정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의 연동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301 :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 302 : 브로커 응용 수단
303 : 연동 지원 수단 304 : 망 접속 수단
305 : 서비스 가이드 기능 수단 306 : 가상 서버 기능 수단
307 : 액세스 지원 기능 수단 308 : 연동 제어 기능 수단
309 : 연동 서버 기능 수단 310 : 연동 지원 기능 수단
311 : 통신 API 기능 수단 312 : 망 접속 기능 수단
313 : ATM 망 접속 기능 수단 314 : 서비스 단말
315 :서버 316:통신망
본 발명은 이종 통신망 환경에서 서비스 사용자가 모든 초고속 정보 통신 서비스를 중단 및 제약 없이 수신하기 의한 서비스 연동 브로커의 그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초고속 정보 통신망의 구성도이다. 최근 정보 고속도로의 구축을 의한 ATM 기반의 초고속 정보 통신망(101)은 체 1 통신망(106)과 제 2 통신망(l09)과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조를 가신다. 이때 서로 다른 통신 특정을 갖는 통신망간의 상호 접속 및 통신망 차원의 연동을 의하여 제 1 망 연동 장치(105) 및 제 2 망 연동 장치(108)를 사용하며, 서비스 사용자와 서비스제공자 간의 종단간 서비스 제공을 의하여 서비스 연동 장치(104)를 사용한다. 본발명의 대상 장치인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는 도시된 서비스 연동 장치(104)의 일종으로 임의의 제 1 통신망(106) 및 제 2 통신망(109)과 초고속 정보 통신망(l01)간의 중단없는 서비스의 제공을 지원하는 기능을 가진다. 초고속 정보 통신망(101)은 제 1 접속망(Access Network)(111), 체 2 접속망(1l2) 및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1l3)로 구성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단말(l02)(107)은 제 1 통신망(106) 및 제 1 망 연동 장치(l05)를 통하여 제 1 접속망(111)에 접속될 수 있으며, 직접 제 1 접속망(111)에 접속될 수 있다. 서버(103)(l10)도 마찬가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초고속 정보 통신망 환경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의 물리적, 기능적 위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서비스 연동브로커 장치(201)는 망 장치의 일종으로 다양한 통신망 환경(203)과 접속하여 이종의 서버풀(202)과 이종의 서비스 단말들(204)간의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지원한다. 통신망(203)은 ATM 교환 장치, 위성 통신망 교환 장치, 이동 통신망 교환 장치등이있으며, 이종의 서버물은 인터넷 서버, 동화상 전문가 그룹(Motion Picture Experts Group: 이하 MPEG라 함)-2 내용을 갖는 서버, MPEG-1 내용을 갖는 서버등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고속 정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의 기능 구조도이다.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301)는 다양한 서비스 단말(3l4)과 다양한 서버(315)간의 서비스 정보 흐름, 서비스 제어 흐름, 서비스 관리 흐름이 가능하도록 서비스 연동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301)는 통신망(316)에 적접 접속되며, 내부적으로 브로커 응용 수단(302), 연동지원 수단(303) 및 망 접속 수단(304) 등의 3가지 기능 그룹으로 구성된다. 망 접속 수단(304)은 다양한 통신망(316)과의 접속을 담당한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통신망과의 접속 프로토콜을 갖는 망 접속 기능 수단(312)과 초고속 정보통신망과의 접속 프로토콜을 가지는 ATM 망 접속 기능 수단(313), 연동 브로커 장치의 상위 응용 및 상위 기능과의 표준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ing Interface; API)(311) 기능 수단으로 구성된다. 연동 지원 수단(303)은 통신망(3l6)과의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망 접속 수단(304)으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정보, 서비스 제어/관리 정보에 대하여 프로토콜 변환 기능, 정보 압축 방식 변환 기능 등을 수행한 후 다시 망 접속 수단(304)으로 송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를 의하여 연동 제어 기능 수단(308), 연동 서버 기능 수단(309) 및 연동 지원 기능 수단(310) 등으로 구성된다. 연동 제어 기능 수단(308)은 연동 기능의 동작을 제어/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연동 서버 기능 수단(309)은 데몬(DEM0N) 기능을 통하여 연동 기능을 요구하는 서비스 정보를 망접속수단(304)으로 송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연동 지원 기능 수단(310)은 프로토콜의 변환, 어드레스의 변환, 영상 및 정보 압축 방식의 변환 등 서비스 연동을의하여 실질적인 변환 기능을 지원한다. 브로커 응용 수단(302)은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301)를 통한 다양한 서비스 연동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응용 기능을 담당하며, 이를 의하여 서비스 가이드 기능 수단(305), 가상 서버 기능 수단(306) 및 액세스 지원 기능 수단(307)으로 구성된다. 브로커 응용 수단(302)에 포함된 기능 수단들은 연동 지원 수단(303)에서 수행하는 연동 지원 및 정보 변환 기능을 이용하여 서비스 사용자의 서비스 제공자에게 통신망 및 서비스 제어/관리 프로토콜과는 무관한 서비스 수신 및 서비스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서비스 가이드 기능 수단(305)은 새로운 서비스의 수신을 요구하는 서비스 단말들(314)에게 서비스 제공자(이하 서버라 함)의 위치, 서버가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리스트, 서비스별 수신 요금등 서비스 수신과 관련된 일련의 정보를 서비스 단말(314)에게 제공하고, 서비스 단말(314)의 정보를 프로화일링하여 관리하는 기능등 서비스 연동을 의하여 요구되는 기능에서 서비스 단말(314)과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301)간의 접속/연결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한다. 가상 서버 기능 수단(306)은 각종 서버(315)와 접속하여 서버로부터 최신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서버(315)의 등록및 프로그램 갱신을 지원하는 기능, 서버(315)의 정보를 프로화일링하여 관리하는 기능 등 서비스 연동을 의하여 요구되는 기능에서 이종의 다양한 서버와 연동 브로커 장치(301)간의 접속/연결과 관련한 기능을 담당한다. 액세스 지원 기능 수단(307)은 서비스를 수신하려는 각중 서비스 단말(314)과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익을 얻으려는 서버들(315)간의 서비스 수신 능력, 서비스 송수신 프로토콜, 서비스 제어 및 관리 능력, 서비스 풀랫폼의 운용체제(Operating System; OS), 원도우 환경등의 차이를 파악하여 통신을 요구하는 해당 서비스 단말과 서버간의 필요한 연동기능을 파악하고, 이를 연동 지원 기능(303)의 지원을 받아 연동/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의 접속 개념도로서, 서비스연동 브로커 장치(40l)는 서비스 단말(404)과 서버(403)간에 접속되어 있다. 서비스 브로커 장치(401)는 물리적으로는 ATM망(402) 혹은 기반망과 제 1 호 및 연결설정 기능(405)을 통하여 적접 접속된다. 이때 통신망(402)의 종류에 따라 서비스연동 브로커 장치(401)는 다양한 망 접속 수단를 사용하여 접속할 수 있다. 서비스단말(404)들은 물리적으로 제 2 호 및 연결 설정 기능(406)을 통해 해당 접속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ATM 망(402)에 접속된다. 서버(403)들은 물리적으로 제 3 호 및 연결 설정 기능(407)을 통해 해당 접속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ATM 망(402)에 접속된다. 그러나,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401)는 논리적으로는 서비스 단말(404) 및 서버(403)의 각각 서비스 가이드 상호작용(408), 서버 네트워킹 상호작용(409)을 통해 접속되어 서비스 연동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401)의 도움 및 지원을 받아 서비스 단말(404)과 서버(403)는 논리적으로 접속되어 서비스 제어 상호작용(410)과 서비스 정보 전달(411)을 송수신하면서 서비스 제공/수신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서비스 단말(404)과 서버(403)의 서비스 능력 및 서비스 제어 메카니즘이 같으면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40l)를 거치지 앙고 서비스 제어 상호작용(410), 서비스 정보 전달(411)을 통해 적접 접속되어 서비스 절차를 수행한다. 그러나, 서비스 단말(404)과 서버(403)의 서비스 능력 및 서비스 제어 메카니즘이 다르면 서비스 가이드 상호작용(408), 서버 네트워킹 상호작용(409)를 통해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401)를 이용하여 서비스 가이드 기능, 가상 서버 기능, 액세스 지원 기능, 정보 및 프로토콜 변환 기능 등의 지원을 받아 이종의 서버(403) 및 서비스 단말(404)간의 서비스 동작이 수행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고속 정보 통신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의 연동 흐름도이다. 도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는 서버 및 서비스 단말과 접속되어 서비스 연동을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들 연동 기능은 5 가지의 동작을 통하여 수행하게 된다. 또한, 도 3에서 설명된 브로커 응용 수단은 서비스 연동 기능을 수행하기 의해 3가지의 연동 응용 기능 수단에서 동작하게 된다. 서비스 가이드 기능 수단은 서비스 가이드 동작을 수행하고, 가상 서버 기능 수단은 서비스/서버 정보 처리 동작을 수행하며,액세스 지원 기능 수단은 능력 비교 동작, 프로토콜/데이터 변환 동작, 서비스 제어 변환 동작을 수행한다.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의 5 가지 동작 순서를 도 4의 접속 개념도와 더불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단말이 제 4 도의 서비스 가이드 상호작용을 통하여 서비스 요구 신호를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로 보내면(501), 서비스의 종류정보, 서버의 위치 정보, 서비스 수신 요금 정보 등을 서비스 가이드 상호작용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에게 보낸다(502).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를 선택하면(503),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는 서비스/서버 정보 처리 동작을 통하여 수신한 서비스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서비스 가이드 상호작용을 통하여 서비스 단말로 전달한다(504). 능력 비교 동작을 통해 서비스 단말과 서버의 능력을 비교하여 통신을 원하는 서버와 서비스 단말과의 중단없는 서비스 제공을 의해 필요한 연동 지원 기능을 파악한다(505). 서비스 단말이 원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을 선택하면(506),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는 필요한 연동 지원 기능 항목을 서비스/서버 정보 처리 동작으로 보내어 서버로부터의 프로그램 정보 수신시에 필요한 변환 기능 수단를 가상 서버 기능 수단에서 준비하도록 한다(507). 이에 따라 실제적인 서비스 정보가 서버로부터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로 입력되면, 능력 비교 동작(505)에서 파악하고, 서비스/서버 정보 처리(507) 동작에서 준비한 연동 지원 기능에 따라, 프로토콜 및 데이터 변환이 필요하면 프로토콜 및 데이터 변환 동작(508)을 수행하여 서비스 정보를 서비스 단말로 전달한다(509). 연동 지원 기능에 따라 서비스 제어 메카니즘의 변환이 필요하면 서비스 단말로부터 서비스 제어 상호작용 신호를 수신하여(510) 서비스 제어 변환 동작(511)을 수행한 후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가 이 변환된 서비스 제어 신호를 서버로 송신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를 ATM 기반의 초고속 정보 통신망에 사용할 때, 첫째 기존의 통신망 장치와 ATM 기반의 통신망 장치간, 기존의 서비스 단말과 ATM 기반의 서버간, ATM 기반의 서비스 단말과 기존의 서버간의 서비스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둘째 동일한 통신망에 접속된 서비스 단말과 서버간의 프로토콜 및 매체 처리 능력 차이로 발생하는 서비스 중단을 프로토콜 변환 및 매체 변환 기능을 통하여 지원할 수 있다. 세째 초고속 정보 통신망에 연결된 다양한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준비된 서비스별 프로그램 리스트를 서비스 연동 기능을 통하여 통합하여, 초고속 정보 통신망에 접속된 모든 서비스 가입자에게 유일하고 통합된 서비스 메뉴를 제공할 수 있는 훌륭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다양한 통신망과의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망 접속 수단과,
    상기 망 접속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정보, 서비스 제어/관리 정보에 대한 프로토콜 변환 기능, 정보 압축 방식 변환 기능 등을 수행한 후 상기 망 접속수단으로 재송신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연동 지원 수단과, 다양한 서비스 연동 기능을 제공하기 의한 서비스 응용 기능을 제공하는 브로커 응용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 접속 수단은 다양한 통신망과의 접속 프로토콜을 갖는 망 접속 기능과,
    초고속 정보 통신망과의 접속 프로토콜을 갖는 비동기 전송 모드 망 접속 기능과,
    상위 응용 수단 및 상의 기능 수단과의 표준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폐이스 기능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지원 수단은 연동 기능의 동작을 제어/관리하는 연동 제어 기능 수단과,
    데몬 기능을 통하여 연동 기능을 요구하는 서비스 정보를 망 접속 수단으로 송신하는 연동 서버 기능 수단과,
    프로토콜의 변환, 어드레스의 변환, 영상 및 정보 압축 방식의 변환 등 서비스 연동을 의한 실질적인 변환 기능을 지원하는 연동 지원 기능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
  4. 제 l 항에 있어서, 브로커 응용 수단은 서비스 단말과의 접속/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가이드 기능 수단과,
    이종의 다양한 서버와의 접속/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가상 서버 기능 수단과,
    상기 서비스 단말과 서버간의 필요한 연동 기능을 파악하여 연동 지원 수단의 지원에 의해 연동/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액세스 지원 기능 수단으로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
  5.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가이드 상호작용을 통하여 서비스 요구 신호를 서비스가이드 기능 수단으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요구 신호를 수신한 서비스 가이드 기능 수단에서 서비스 가이드 동작을 수행하여 얻어진 다양한 정보를 서비스 가이드 상호작용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하는 단계의,
    상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단말에서 서비스를 선택하면 가상 서버기능 수단에서 서비스/서버 정보 처리 동작을 수행하여 서비스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서비스 가이드 상호작용을 통하여 서비스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 서버 기능 수단에서 서비스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서비스 가이드상호작용으로 전달한 후 액세스 지원 기능 수단에서 서비스 단말과 서버의 능력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서비스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 단말에서 원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가상 서버 기능 수단에서 서비스/서버 정보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서버 정보 처리 동작에 의한 연동 지원 기능에 따라 프로토콜및 데이터 변환이 필요하면 액세스 지원 기능 수단에서 프로토콜 및 데이터 변환 동작을 수행하여 서비스 정보를 서비스 단말로 전달하고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연동 지원 기능에 따라 서비스 제어 메카니즘의 변환이 필요하면 액세스 지원 기능 수단에서 서비스 단말로부터 서비스 제어 상호작용 신호를 수신하는단계와,
    상기 수신된 서비스 제어 상호작용 신호에 의해 서비스 제어 변환 동작을 수행한 후 서비스 제어 신호를 서버로 송신하고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의 연동 방법.
KR1019960070171A 1996-12-23 1996-12-23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 및 그 연동 방법 KR19980051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0171A KR19980051295A (ko) 1996-12-23 1996-12-23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 및 그 연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0171A KR19980051295A (ko) 1996-12-23 1996-12-23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 및 그 연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295A true KR19980051295A (ko) 1998-09-15

Family

ID=66436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0171A KR19980051295A (ko) 1996-12-23 1996-12-23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 및 그 연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12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3739B1 (ko) * 1998-12-29 2002-06-20 이계철 위성통신망과무선통신망간의부가서비스연동방법
KR101043167B1 (ko) * 2003-06-25 2011-06-20 주식회사 케이티 레거시 망 운용관리 시스템간의 연동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3739B1 (ko) * 1998-12-29 2002-06-20 이계철 위성통신망과무선통신망간의부가서비스연동방법
KR101043167B1 (ko) * 2003-06-25 2011-06-20 주식회사 케이티 레거시 망 운용관리 시스템간의 연동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3696B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for realizing uniform service providing environment
US6198738B1 (en) Communications between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and packetized data networks
EP0837579A2 (en) Data transfer control device, relay device and control device suitable for home network environment
US7450562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using internet phones and system therefor
US6339592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necting computer network to telephone
US7286488B1 (en) Multimedia communication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747466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ulsively receiving multi-calls over internet protocol phones in internet protocol telephony system
JP3980413B2 (ja) 接続選択方法および通信エンドポイント装置
US7130402B2 (en) Communication request processing system communication request processing method communication request processing apparatus
KR19980051295A (ko)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 및 그 연동 방법
KR100344011B1 (ko) 인터넷망을 이용한 휴대전화와 pc 사이의 통신 서비스제공 시스템
KR20050021438A (ko) 지역 통신망을 이용한 휴대 전화 시스템
US20020128003A1 (en) Telecommunication gateway between a private network and mobile network
KR20000033652A (ko) 서비스 품질(qos) 매핑 기능을 가지는 비동기전송 모드(atm)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11995B1 (ko) 서비스를 위한 지능망 개방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46785B1 (ko) 인터넷과 에이티엠 망의 연결성 연동 모듈 및 제어방법
Takatama et al. Intelligent SIP system for mobile Internet
KR100619675B1 (ko) 게이트웨이 관리 방법
KR100248397B1 (ko) 에이티엠 망 환경에서 이질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용을 위한 분산구조를 갖는 서비스 연동 장치 및 방법
KR100539732B1 (ko) 랜 텔레포니를 위한 콜서버의 구조
KR0168917B1 (ko) 서비스 에이전트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통신 서비스 방법
KR100628708B1 (ko) 자동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
CA2403629C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between a first and a second communication entity
KR100687438B1 (ko)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3346178B2 (ja) 複数対地同時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