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8397B1 - 에이티엠 망 환경에서 이질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용을 위한 분산구조를 갖는 서비스 연동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에이티엠 망 환경에서 이질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용을 위한 분산구조를 갖는 서비스 연동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8397B1
KR100248397B1 KR1019970071605A KR19970071605A KR100248397B1 KR 100248397 B1 KR100248397 B1 KR 100248397B1 KR 1019970071605 A KR1019970071605 A KR 1019970071605A KR 19970071605 A KR19970071605 A KR 19970071605A KR 100248397 B1 KR100248397 B1 KR 100248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nterworking
function
network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1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2156A (ko
Inventor
손승원
장종수
조세형
전경표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70071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8397B1/ko
Publication of KR19990052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2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8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8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60Software-defined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0Packet switch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witching fabric construction
    • H04L49/112Switch control, e.g. arbi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Abstract

본 발명은 ATM 기술을 채용한 B-ISDN망 환경에서 다양한 서비스 품질을 요구하는 이질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간의 중단없는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며 통신망 및 서비스 차원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장치인 서비스 연동 장치와 그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종의 서비스 단말 및 서버들과 연결되는 서비스 연동장치-에지 요소와, 실시간 처리가 필요하여 별도의 프로세싱 능력이 요구될 때 동작하는 서비스 연동장치-에이젼트 요소와, 상기 서비스 연동장치간의 서비스 연동, 위치, 장치간의 통신 등을 제어하는 서비스 연동장치-코어 요소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 단말과 다양한 유형의 서버가 연결된 B-ISDN 망 환경에서 인터넷 서비스 뿐만 아니라 표준 ATM 응용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서비스 이용자가 단말의 종류 및 처리 능력에 무관하게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담당하며 에이젼트 개념에 따라 분산 구조를 갖게 설계된 서비스 연동 장치의 기능 구조와 이 장치와 서비스 단말과 서버간의 표준 접속하기 위한 방법 및 동작에 대하여 정의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이티엠 망 환경에서 이질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용을 위한 분산구조를 갖는 서비스 연동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ATM 기술을 채용한 B-ISDN 망 환경에서 다양한 서비스 품질을 요구하는 이질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간의 중단없는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며 통신망 및 서비스 차원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장치인 서비스 연동 장치와 그 연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 단말과 다양한 유형의 서비스 제공자(이하, 서버)가 연결된 B-ISDN 망 환경에서 인터넷 서비스 뿐만 아니라 표준 ATM 응용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서비스 이용자가 단말의 종류 및 처리 능력에 무관하게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담당하며, 에이젼트 개념에 따라 분산 구조를 갖게 설계된 서비스 연동 장치의 기능 구조와 이 장치와 서비스 단말과 서버간을 표준 접속하기 위한 서비스 연동 장치 및 그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고속정보통신망은 ATM기술을 채용한 B-ISDN 망을 기반으로 하여 기존에 운용되고 있는 전화망, 데이타망, CATV망 및 LAN까지 접속된다. 따라서, 기존의 각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는 서비스 단말 및 서버가 새로운 B-ISDN을 통하여 새로운 B-ISDN 서비스 단말 혹은 다른 이종의 통신망에 있는 서비스 장치들과 접속되어 서비스를 제공 받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들 이종의 통신망간을 접속하는 연동 기술이 확보되어야 하며, 이러한 연동기능을 제공하는 연동장치가 필요하다.
이종 기술 및 이종 사업자 통신망간의 상호 접속을 위한 연동은 크게 전송 계층 레벨의 네트워크 연동과 종단 서비스 응용간의 상호 통신을 위한 서비스 연동으로 나눌 수 있다. 기존의 이종 통신망과 B-ISDN망간의 연동을 위한 구조 및 방법에 대한 연구와 표준화는, 주로 통신망 레벨의 네트워크 연동에 대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ITU-T의 경우 B-ISDN망과 PSTN, PSDN 등과의 네트워크 연동에 대하여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ATM 포럼, IETF, DAVIC 등의 사설 표준화 단체에서도 프레임 릴레이, 회로 에뮬레이션, LAN 에뮬레이션과의 연동에 대하여 규격화 작업을 하고 있으나, 이것도 통신망간의 망대망 접속관점에서 상호접속 하기 위한 네트워크 레벨의 연동을 정의하고 있다.
또한, 네트워크 레벨의 연동으로는 ATM 망 기반의 초고속 정보통신망 환경에서 이질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이종 매체간의 변환, 이종 서비스간의 서비스 접근 방식의 통일 등을 달성하여 중단없는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임의의 서비스 가입자가 어떤 통신망, 어떤 종류의 단말을 사용하더라도 다양한 초고속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액세스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응용 레벨의 서비스 연동에 관한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정의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에이젼트 개념을 적용한 분산 구조의 서비스 연동 장치와 관련 서비스 연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초고속정보통신망의 망 구성도,
도 2는 초고속정보통신망 환경에서 본 발명의 분산 구조를 갖는 서비스 연동 장치의 위치 및 관계도,
도 3은 본 발명의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산 구조의 서비스 연동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서비스 장치간의 접속 개념도,
도 5는 서비스 연동 장치간의 접속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분산형 서비스 연동 처리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분산형 서비스 연동 장치와 서비스 장치간의 동작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ATM 기반의 초고속정보통신망
102 : ATM 기반의 서비스 단말
103 : ATM 기반의 서버
104, 201, 301 : 서비스 연동 장치-코어 요소
105, 211, 314 : 서비스 연동 장치-에이젼트 요소
106, 205, 207, 323 : 서비스 연동 장치-에지 요소
202 : ATM 교환 장치 203 : 위성 통신망 교환 장치
204 : 이동 통신망 교환 장치 208 : 인터넷 서버
209 : MPEG-1 내용을 가진 서버 210 : MPEG-2 내용을 가진 서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서비스 연동 장치는, ATM 기반의 초고속 정보통신망에 접속된 이종의 서비스 단말과 서버간을 연결하여 서비스 연동 기능을 통하여 중단없이 서비스 제공 능력을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 연동 장치에 있어서, 서비스 연동장치-에지요소의 도움 및 지원을 받아서 ATM 망 또는 기반망과 접속된 이종의 서버들과 이종의 서비스 단말들간의 서비스의 연동, 위치 및 장치간의 통신 등 다른 서비스 연동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서비스 연동장치-코어 요소와, 상기 ATM망과 이종의 서버들 및 단말간의 상호 접속을 담당하고, 다른 서비스 연동장치와는 ATM망 또는 기반망을 통해 통신망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망 접속 요소를 사용하여 접속되어 망 레벨의 연동과 서비스 레벨의 연동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연동장치-에지 요소와, 및 실시간 처리가 필요한 연동기능을 중심으로 개별 연동 기능별로 분산되어 구현되고 상기 서비스 연동장치-코어요소의 요구에 의해 해당 연동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서비스 연동장치-에이젼트 요소로 구성되고, 상기 각 서비스 연동장치는 분산되어 공통 통신 응용 프로그램 접속(API)을 통하여 통신망 접속요소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ATM 망 중심의 초고속 정보통신망 환경에서 서비스 사용자가 모든 초고속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중단없이 제약 없이 제공하기 위해 분산 구조를 갖는 서비스 연동 장치와 그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초고속정보통신망의 망 구성도이다.
최근 정보 고속도로의 구축을 위한 ATM 기반의 초고속정보통신망(101)은 기존의 임의의 통신망A(107)과 기존의 임의의 통신망 B(110)을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서로 다른 통신 특성을 갖는 통신망간의 상호 접속 및 서비스 차원의 연동을 위하여 통신망의 여러 위치에 분산된 형태로 위치하여 각기 다른 연동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연동 장치(104, 105, 106, 109)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대상 장치인 서비스 연동 장치는, 도 1의 서비스 연동 장치(104, 105, 106, 109)의 일종으로 임의의 기존 통신망(107, 110)과 초고속정보통신망(101)간의 중단없는 서비스의 제공을 지원하는 기능을 가진다. 여기서, 서비스 연동 장치는 서비스 연동의 방법, 위치, 장치간의 통신 등 서비스 연동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서비스 연동 장치-코어 요소(104)와 이종의 통신망 사이에 위치하여 통신망 레벨의 연동 기능은 물론 서비스 레벨의 연동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연동 장치-에지 요소(106, 109)와 실시간 처리가 필요한 연동 기능을 중심으로 개별 연동 기능별로 분산되어 구현되는 다수의 서비스 연동 장치-에이젼트 요소(105) 등으로 구성된다.
도 2는 초고속정보통신망 환경에서 본 발명의 분산 구조를 갖는 서비스 연동 장치의 물리적, 기능적 위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서비스 연동 장치는, 3 종류의 독립적인 장치들로 구성된다.
서비스 연동 장치-코어 요소(201)는, 통신망 장치의 일종으로 다양한 통신망 환경, 즉, ATM 교환 장치(202), 위성 통신망의 교환 장치(203), 이동통신망의 교환 장치(204)와 접속하여, 이종의 서버들, 즉 인터넷 서버(208), MPEG-2 내용을 갖는 서버(210), MPEG-1 내용을 갖는 서버(209)와 이종의 서비스 단말들(206)간의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 가이드, 가상 서버 기능 등을 제공하며, 다른 서비스 연동 장치(205, 207, 211)와의 장치간 통신을 주도한다.
서비스 연동 장치-에지 요소(205, 207)는, 통신망 장치의 일종으로 ATM 망과 이종의 서버들(208, 209, 210) 및 단말(206)간의 상호 접속을 담당하며 프로토콜 변화, 포맷 변환 기능 등을 수행한다.
서비스 연동 장치-에이젼트 요소(211)는, 제공이 요구되는 서비스 연동 기능에 따라 다수의 별도 장치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서비스 연동 장치-에이젼트 요소(211)는 통신망 장치의 일종으로 실시간 처리가 필요하여 별도의 프로세싱 능력이 요구될 때 동작하게 되며, 서비스 연동 장치-코어 요소(201)의 요구에 의해 해당 연동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산구조의 서비스 연동 장치가 갖는 기능 구조를 나타낸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도면부호 (201, 205, 207, 211) 위치에 존재하는 서비스 연동 장치(301, 314, 323)는, 다양한 서비스 단말(338)과 다양한 서버(339)간의 서비스 정보 흐름, 서비스 제어 흐름, 서비스 관리 흐름이 가능하도록 서비스 연동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서비스 연동 장치(301, 314, 323)는 통신망(337)에 직접 접속되며, 내부적으로 통신망에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기능 그룹을 가진다.
즉, 서비스 연동 장치-코어 요소(301)는 브로커리지 요소(302), 연동지원 요소(303), 및 망 접속 요소(304) 등의 3가지 기능 그룹으로 구성된다. 서비스 연동 장치-에이젼트 요소(314)는 연동 에이젼트 요소(315) 및 망 접속 요소(316) 등의 2가지 기능그룹으로 구성된다. 서비스 연동 장치-에지 요소(323)는 서비스 연동 요소(324), 망 연동 요소(325), 및 망 접속 요소(326) 등의 3가지 기능그룹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각 서비스 연동 장치(301, 314, 323)는 공통 통신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312, 316, 334)를 통하여 통신망 접속 요소(313, 322, 335, 336)와 연결된다.
서비스 연동 장치-코어 요소(301)에서 망접속 요소(304)는 다양한 통신망(337)과의 접속을 담당하며, 이를 위하여 다양한 통신망과 초고속 정보통신망과의 접속 프로토콜을 가지는 ATM 망 접속기능(313)과 연동 브로커 장치의 상위 응용 및 상위 기능과의 공동의 표준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API(312)기능으로 구성된다.
연동 지원 요소(303)는 통신망(337)과의 접속기능을 제공하는 망접속 요소(304)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정보, 서비스 제어/관리 정보에 대하여 프로토콜 변환 기능, 정보 압축방식 변환 기능 등을 수행한 후 다시 망 접속 요소(304)로 송신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이를 위하여 연동 기능의 동작을 제어/관리하는 연동 제어 기능 요소(308)와, 데몬(DEMON) 기능을 통하여 연동기능을 요구하는 서비스 정보를 망 접속 요소(304)로 송수신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연동 서버 기능 요소(309)와, 프로토콜의 변환, 어드레스의 변환, 영상 및 정보 압축방식의 변환 등 서비스 연동을 위하여 실질적인 변환기능을 지원하는 연동 지원 기능 요소(310)과 다른 서비스 연동 장치(314, 323)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장치간 통신 기능 요소(311) 등으로 구성된다.
브로커리지 요소(302)는 서비스 연동 장치(301)을 통한 다양한 서비스 연동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응용 기능의 수행을 담당하며, 이를 위하여 서비스 가이드 기능 요소(305)와, 가상 서버 기능 요소(306)와, 액세스 지원 기능 요소(307)로 구성된다. 브로커리지 요소(302)에 속한 기능 요소들은 연동 지원 요소(303)에서 수행하는 연동 지원 및 정보 변환 기능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서비스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에게 통신망 및 서비스 제어/관리 프로토콜과는 무관한 서비스 수신 및 제공이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서비스 가이드 기능 요소(305)는 새로운 서비스의 수신을 요구하는 서비스 단말들(338)에게 서버의 위치, 서버가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리스트, 서비스별 수신 요금 등 서비스 수신과 관련한 일련의 정보를 서비스 단말(338)에게 제공하고, 서비스 단말(338)의 정보를 프로화일링하여 관리하는 기능 등 서비스 연동을 위하여 요구되는 기능에서 서비스 단말과 서비스 연동 정치(301, 314, 323)간의 접속/연결과 관련한 기능을 수행한다. 가상 서버 기능 요소(306)는 각종 서버(339)와 접속하여 서버로부터의 송신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서버(339)의 등록 및 프로그램 갱신을 지원하는 기능, 서버(339)의 정보를 프로화일링하여 관리하는 기능 등 서비스 연동을 위하여 요구되는 기능에서 이종의 다양한 서버와 서비스 연동 장치(301, 314, 323)간의 접속/연결과 관련한 기능을 담당한다. 액세스 지원 기능 요소(307)는 서비스를 수신하려는 각종 서비스 단말(338)과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익을 얻으려는 서버들(339)간의 서비스 수신 능력, 서비스 송수신 프로토콜, 서비스 제어 및 관리 능력, 서비스 플랫폼의 OS(Operating System), 윈도우 환경 등의 차이를 파악하여 통신을 요구하는 해당 서비스 단말과 서버간의 필요한 연동 기능을 파악하고, 이를 연동 지원 기능(303)의 지원을 받아 연동/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서비스 연동 장치-에이젼트 요소(314)에서 망접속 요소(316)는 다양한 통신망(337)과의 접속을 담당하며, 이를 위하여 초고속 정보통신망과의 접속 프로토콜을 가지는 ATM 망 접속기능(322)과 연동 브로커 장치의 상위 응용 및 상위 기능과의 공동의 표준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API(321)기능으로 구성된다.
연동 에이젼트 요소(315)는 통신망(337)과의 접속기능을 제공하는 망접속 요소(316)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정보, 서비스 제어/관리 정보에 대하여 포맷 변환 기능, 매체 변환 기능, 비디오 캐싱 기능 등을 수행한 후 다시 망 접속 요소(316)로 송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영상 영상 및 정보의 압축 방식을 변환하는 매체변환 기능 요소(317)와, 영상 및 음성 등 미디어의 표현 방법의 변환 및 정보의 캡슐화 방법의 변환 등을 담당하는 포맷 변환 기능 요소(318)와, 실시간 정보를 수신할 경우 서로 다른 통신망 전송 속도의 차이로 발생하는 속도 적응 기능과 비실시간성 정보를 수신하여 실시간성 정보로 변환을 수행하는 비디오 캐싱기능 요소(319)와 다른 서비스 연동 장치(301, 323)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장치간 통신 기능 요소(320) 등으로 구성된다.
서비스 연동 장치-에지 요소(323)에서 망접속 요소(326)는 다양한 통신망(337)과의 접속을 담당하며, 이를 위하여 다양한 통신망과 접속 프로토콜을 가지는 통신망 접속 기능 요소(335)와 초고속 정보통신망과의 접속 프로토콜을 가지는 ATM 망 접속기능(336)과, 연동 브로커 장치의 상위 응용 및 상위 기능과의 공동의 표준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API(334)기능으로 구성된다.
망 연동 요소(325)는, 통신망(337)과의 접속기능을 제공하는 망접속 요소(326)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대하여 통신망 레벨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 후 다시 망 접속 요소(326)로 송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를 위하여 이종의 라우팅 메카니즘을 가지는 통신망간의 라우팅 기법의 변환을 담당하는 라우팅 변환 기능 요소(330)와, 이종의 어드레싱 포맷을 가지는 통신망간의 주소의 변환을 담당하는 주소 변환 기능 요소(331)와, 이종의 통신망 프로토콜을 채택하고 있는 통신망간의 프로토콜 변환기능을 지원하는 프로토콜 변환 기능 요소(332)과 다른 서비스 연동 장치(314, 301)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장치간 통신 기능 요소(333) 등으로 구성된다.
서비스 연동 요소(324)는 이종의 통신망 사이에서 이질의 서비스 특성을 갖는 서비스간에 서비스 상호운용성을 제공하는 서비스 연동 기능의 수행을 담당하며, 이를 위하여 서비스 품질 변환 기능 요소(327)와 세션변환 기능 요소(328)와 그리고 서비스 가이드 변환 기능 요소(329)로 구성된다. 서비스 품질 변환 기능 요소(327)는 각종 서버(339)와 접속하여 서버로부터의 단말(338)에 제공되는 서비스별로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두 통신망 간의 관련 파라미터를 매핑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세션 변환 기능 요소(328)는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더라도 통신망에 따라 각각 다른 세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 이들 간을 매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서비스 가이드 변환 기능 요소(329)는, 서비스 도메인이 다를 경우 네비게이션 방법 및 수단이 다르므로 이들을 해당 통신망에 맡게 변환 기능을 담당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서비스 연동 장치(401), 서비스 단말(402) 및 서버(403)간의 접속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서비스 장치는 에지 요소, 코어 요소, 에이젼트 요소로 각각 구성되나, 여기서는, 개념적으로 통합된 형태의 서비스 연동 장치(401)로 표현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ATM 망(402) 혹은 기반망과 망 접속 기능을 통하여 직접 접속된다. 이때,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망(404)의 종류에 따라 서비스 연동 장치(401)는 다양한 망 접속 요소(304, 316, 326)을 사용하여 접속할 수 있다. 서비스 단말(402)들은 물리적으로 해당 접속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ATM망(404)에 접속된다. 서버(403)들은 물리적으로 해당 접속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ATM망(404)에 접속된다. 그러나, 서비스 연동 장치는 논리적으로는 서비스 단말(402)과 서버(403)와 각각 서비스 가이드 상호작용(20), 서버 네트워킹 상호작용(21)을 통하여 접속되어 서비스 연동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서비스 연동 장치(401)의 도움 및 지원을 받아서 서비스 단말(402)과 서버(403)는 논리적으로 접속되어 서비스 제어 상호작용(22)과 서비스 데이타 흐름(23)을 송수신하면서 서비스 제공/수신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서비스 단말과 서버의 서비스 능력 및 서비스 제어 메카니즘이 같으면 서비스 연동 장치를 거치지 않고 직접 접속되어 서비스 절차를 수행하나, 서비스 단말과 서버의 서비스 능력 및 서비스 제어 메카니즘이 다르면 (20), (21), (22)를 통하여 서비스 연동 장치를 이용하여 서비스 가이드 기능(305), 가상 서버 기능(306), 액세스 지원 기능(307), 정보 및 프로토콜 변환 기능(332, 318) 등의 지원을 받아 이종의 서버(403), 서비스 단말(402)간의 서비스 동작이 수행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분산 구조를 갖는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401)인 서비스 연동 장치-코어 요소(501), 서비스 연동 장치-에이젼트 요소(504), 서비스 연동 장치-에지 요소(502, 503) 간의 접속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서비스 장치는 물리적으로는 ATM 망(505) 혹은 기반망과 직접 접속된다. 이때,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망(505)의 종류에 따라 서비스 연동 장치(501, 502, 503, 504)는 다양한 망 접속 요소(304, 316, 326)를 사용하여 접속할 수 있다. 서비스 연동 장치들은 논리적으로는 연동 장치간 상호동작(30, 31, 32)를 통하여 접속되어 서비스 연동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서비스 연동 장치-코어 요소(501)는 서비스 연동 장치-에지 요소(502, 503)의 도움 및 지원을 받아서 서비스 단말(402)과 서버(403)와 논리적으로 접속되어, 경로 제어 상호작용(34)과 서비스 데이타 흐름(33, 35)를 송수신하면서 서비스 제공/수신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서비스 연동 초기에는 서비스 연동 장치-코어 요소(501)와 양 서비스 연동 장치-에지 요소(502, 503)들이 서로 연결되어 (30), (31)를 통하여 서비스 연동 기능[도 7에 나타낸 서비스 요구/사용자 인식(1), 서비스 초기 화면(2), 서비스 선택(3), 서비스 가이드(4), 서비스 타이틀 등록(4a), 가상 서버 구성 요구(4b), 가상 서버 구성 응답(4c), 서버/단말간 능력 비교(5), 타이틀 선택(6))을 수행하고 서버와 단말간의 서비스 제공 능력 및 수신 능력에 대한 비교가 이루어지고 필요한 연동 기능이 파악되면 (32)를 통하여 서비스 연동 장치-에이젼트 요소(504)에 실시간 변환 동작을 요구한다. 서비스 연동 장치-에이젼트 요소(504)는 (34), (32)를 통하여 서비스 연동 장치-코어 요소(501)와 협상을 한 후 서비스 단말의 서비스 재생 요구가 있으면, 서비스 연동 장치-코어 요소(501)를 거치지 않고 직접 서비스 연동 장치-에지 요소(502, 503)에 직접 접속되어 서비스 데이타 흐름(33, 35)를 수신하여 변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 연동 장치-에이젼트 요소(504)는 포맷 변환 기능(318), 매체 변환 기능(317), 비디오 캐싱 기능(319) 등의 서비스 동작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분산형 서비스 장치에서 초고속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동 동작의 정보 및 메카니즘 변환 등의 기능 처리 흐름도이다.
상기 도 4의 서비스 연동 장치(401)는, 서버(403)와 서비스 단말(402)과 접속되어, 서비스 연동을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들 연동 기능은 각 9가지(601∼609)의 동작을 통하여 수행하게 된다. 서비스 연동 장치-코어 요소(501)에서 상기 도 3의 브로커 응용 요소(302)는, 서비스 연동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5가지(601, 603, 604, 605, 609)의 연동 동작을 행하게 된다. 서비스 가이드 기능 요소(305)는, 서비스 가이드 동작(601)을 수행하며, 가상 서버 기능 요소(609)는 가상 서버 구성 작업 동작(609)을 수행하며, 액세스 지원 기능 요소(307)는 서버/단말간 능력비교 동작(603), 실시간 변환 장치 선택(704)와 연동 장치 경로 선택(605) 동작을 수행한다. 서비스 연동 장치-에지 요소(502, 503)에서 도 3의 서비스 연동 요소(324)와 망 연동 요소(325)는 서비스 연동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4가지(602, 605, 606, 608)의 연동 동작을 행하게 된다. 서비스 연동 요소(324)는 서비스 가이드 변환 동작(602)과 서비스 제어 기법 변환 동작(608)을 수행하며, 망 연동 요소(325)는 연동 장치 경로 선택(605) 동작과 프로토콜 변환(606) 동작을 수행한다. 서비스 연동 장치-에이젼트 요소(504)에서 도 3의 연동 에이젼트 요소(315)는 서비스 연동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3 가지(604, 606, 607)의 연동 동작을 행하게 된다.
분산 구조를 갖는 서비스 연동 장치의 9가지 동작 순서를 도 4, 도 5의 접속 개념도와 더불어 통합적으로 설명하겠다.
사용자 단말(402)이 도 4의 (20)를 통하여 서버스 요구 신호(41)를 서비스 연동 장치-코어 요소(501)로 보내면, 서비스 연동 장치-코어 요소(501)는 서비스 가이드 동작(601)을 수행한 후, 다양한 서비스의 종류 정보, 서버의 위치 정보, 서비스 수신 요금 정보 등을 (20)를 통하여 서비스 연동 장치-에지 요소(502, 503)에 보내면 서비스 연동 장치-에지 요소(502, 503)는 서비스 가이드 변환 기능(602)을 수행하여 단말에 적절한 서비스 가이드 신호로 변환하여 (2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에게 보낸다. 사용자 단말(402)이 서비스를 선택하면(42), 서비스 연동 장치-코어 요소(501)는 서비스 단말(402)의 능력과 서버(403)의 능력을 비교하여(603), 통신을 원하는 서버와 서비스 단말간의 중단없는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필요한 연동 지원 기능을 파악한다. 서비스 단말(402)이 원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을 선택하면(43) 서비스 연동 장치-코어 요소(501)는 필요한 연동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연동 장치-에이젼트 요소(504)를 찾아서(604) 관련 서비스 종류, 단말 및 서버의 프로화일 정보 등을 (32)를 통하여 전달한다. 서비스 단말(402)이 원하는 프로그램의 재생을 요구하면(44) 서비스 연동 장치-코어 요소(501)는 필요한 연동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연동 장치-에이젼트 요소(504)와 서비스 연동 장치-에지 요소(502, 503)간을 연결하는 연동 장치 경로 선택 동작(605)을 수행한다. 이어서 서비스 연동 장치-에이젼트 요소(504)와 서비스 연동 장치-에지 요소(502, 503)는 필요한 연동 지원 기능 항목에 따라 서비스 데이타 흐름(33, 35)에 대하여 프로토콜 변환(606) 동작과 매체 변환(607) 동작을 수행한다. 서비스 단말(402)이 서비스 제어 상호 동작(22)을 통하여 서비스 제어 명령(45)을 요구하면, 서비스 연동 장치-에지 요소(502, 503)는 서비스 제어 기법 변환(608) 동작을 수행한 후 관련 서비스 제어 정보를 서버(403)에 전달한다. 다시 서비스 단말(402)이 서비스 제어 상호 동작(22)를 통하여 서비스 재생(44)을 요구하면 서비스 연동 장치-에이젼트 요소(504)와 서비스 연동 장치-에지 요소(502, 503)는 필요한 연동 지원 기능 항목에 따라 서비스 데이타 흐름(33, 35)에 대하여 프로토콜 변환(606) 동작과 매체 변환(607)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서비스 연동 장치-코어 요소(501)는 서비스 가이드(601)를 마련하기 위하여 서버 네트워킹 상호 동작(21)을 통하여 서버(403)에서 제공하는 서버 정보 제공(46) 절차에 따라 가상 서버 구성 작업(609)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분산형 서비스 연동 장치를 ATM 기반의 초고속 정보통신망에 사용할 때, 기존의 통신망 장치와 ATM 기반의 통신망 장치간, 기존의 서비스 단말과 ATM 기반의 서버간, ATM 기반의 서비스 단말과 기존의 서버간의 중단없는 서비스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새롭게 개발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ATM 망 수용을 위한 공통의 망 구조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비스 차이와 단말의 능력 차리로 발생하는 서비스 수신의 애로를 서비스 연동 기능을 통하여 해결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을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통신망에 접속된 서비스 단말과 서버간의 프로토콜 및 매체 처리 능력 차이로 발생하는 서비스 중단을 프로토콜 변환 및 매체 변환 기능을 통하여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초고속 정보통신망에 연결된 다양한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준비된 서비스별 프로그램 리스트를 서비스 연동 기능을 통하여 통합하여, 초고속 정보통신망에 접속된 모든 서비스 가입자에게 유일하고 통합된 서비스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들 서비스 연동 기능을 한 시스템에 집중적으로 구현하는 것을 배제하고 기능별로 별도의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분산형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서비스 개발, 통신망의 발전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성능 향상 및 개선이 용이한 장점이 잇다. 나아가 ATM 망을 기반으로 차세대 인터넷 서비스 수용에 기반이 되는 영동 기능을 분산하여 수용할 수 있어서 다양한 인터넷 수용 구조를 통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ATM 기반의 초고속 정보통신망에 접속된 이종의 서비스 단말과 서버간을 연결하여 서비스 연동 기능을 통하여 중단없이 서비스 제공 능력을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 연동 장치에 있어서,
    서비스 연동장치-에지요소의 도움 및 지원을 받아서 ATM 망 또는 기반망과 접속된 이종의 서버들과 이종의 서비스 단말들간의 서비스의 연동, 위치 및 장치간의 통신 등 다른 서비스 연동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서비스 연동장치-코어 요소와;
    상기 ATM망과 이종의 서버들 및 단말간의 상호 접속을 담당하고, 다른 서비스 연동장치와는 ATM망 또는 기반망을 통해 통신망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망 접속 요소를 사용하여 접속되어 망 레벨의 연동과 서비스 레벨의 연동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연동장치-에지 요소와; 및
    실시간 처리가 필요한 연동기능을 중심으로 개별 연동 기능별로 분산되어 구현되고 상기 서비스 연동장치-코어요소의 요구에 의해 해당 연동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서비스 연동장치-에이젼트 요소로 구성되고, 상기 각 서비스 연동장치는 분산되어 공통 통신 응용 프로그램 접속(API)를 통하여 통신망 접속요소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망 환경에서 이질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용을 위한 분산구조를 갖는 서비스 연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연동장치-코어 요소는,
    통신망 접속요소와 공통 통신 API를 포함한 망 접속 요소와;
    상기 망 접속 요소와 접속되어 연동 제어 기능, 연동서버 기능, 연동 지원 기능, 장치간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연동 지원 요소와; 및
    상기 연동 지원요소와 접속되어 서비스 가이드 기능, 가상 서버 기능, 액세스 지원 기능을 수행하는 브로커리지 요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망 환경에서 이질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용을 위한 분산구조를 갖는 서비스 연동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연동장치 - 에이젼트 요소는,
    통신망 접속요소와 공통 통신 API를 포함한 망 접속 요소와;
    상기 망 접속 요소와 접속되어 매체 변환기능, 포맷 변환 기능, 비디오 캐싱 기능 및 장치간 통신기능을 포함한 연동 에이젼트 요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망 환경에서 이질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용을 위한 분산구조를 갖는 서비스 연동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연동장치 - 에지 요소는,
    통신망 접속 요소와 공통 통신 API를 포함한 망 접속 요소와;
    상기 망 접속 요소와 접속되어 라우팅 변환 기능, 주소 변환 기능, 프로토콜 변환 기능 및 장치간 통신 기능을 포함한 망 연동 요소와; 및
    상기 망 연동 요소와 접속되어 서비스 품질 변환 기능, 세션 변환 기능 및 서비스 가이드 변환 기능을 포함하는 서비스 연동 요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망 환경에서 이질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용을 위한 분산구조를 갖는 서비스 연동 장치.
  5. 서비스 연동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서비스 연동장치-코어 요소, 이종의 통신망사이에 위치하여 망 레벨 및 서비스 레벨의 연동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연동장치-에지 요소 및 실시간 처리가 필요한 연동 기능을 중심으로 개별 연동 기능별로 분산된 다수의 서비스 연동장치-에이젼트 요소가 분산된 서비스 연동장치에서 ATM 기반의 초고속 정보통신망에 접속된 이종의 서비스 단말과 서버간을 연결하여 중단없이 서비스 제공 능력을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 연동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가이드 상호 동작을 통하여 서비스 요구 신호를 서비스 연동장치-코어 요소로 보내면, 이 서비스 연동장치-코어 요소가 서비스 가이드 를 수행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서비스 가이드 수행 후, 다양한 서비스의 종류 정보, 서버의 위치 정보, 서비스 수신 요금 정보 등을 서비스 가이드 상호 동작을 통하여 서비스 연동 장치-에지 요소에 보내면 서비스 연동 장치-에지 요소가 서비스 가이드 변환 기능을 수행하여 단말에 적절한 서비스 가이드 신호로 변환하여 서비스 가이드 상호 동작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에게 보내는 제 2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를 선택하면, 서비스 연동 장치-코어 요소가 서비스 단말과 서버의 능력을 비교하여 통신을 원하는 서버와 서비스 단말간의 중단없는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필요한 연동 지원 기능을 파악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서비스 단말이 원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서비스 연동 장치-코어 요소가 필요한 연동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연동 장치-에이젼트 요소를 찾아서 관련 서비스 종류, 단말 및 서버의 프로화일 정보를 연동장치간 상호동작을 통하여 전달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서비스 단말이 원하는 프로그램의 재생을 요구하면 서비스 연동 장치-코어 요소가 필요한 연동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연동 장치-에이젼트 요소와 서비스 연동 장치-에지 요소간을 연결하는 연동 장치 경로 선택을 수행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서비스 연동 장치-에이젼트 요소와 서비스 연동 장치-에지 요소가 필요한 연동 지원 기능 항목에 따라 서비스 데이타 흐름에 대하여 프로토콜 변환과 매체 변환을 수행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서비스 단말이 서비스 제어 상호 동작을 통하여 서비스 제어를 요구하면, 서비스 연동 장치-에지 요소가 서비스 제어 기법을 변환한 후 관련 서비스 제어 정보를 서버에 전달하는 제 7 단계와;
    다시 서비스 단말이 서비스 재생을 요구하면 서비스 연동 장치-에이젼트 요소와 서비스 연동 장치-에지 요소가 필요한 연동 지원 기능 항목에 따라 서비스 데이타 흐름에 대하여 프로토콜 변환과 매체 변환을 수행하는 제 8 단계와;
    상기 제 8 단계 수행시에 서비스 연동 장치-코어 요소가 서비스 가이드를 마련하기 위하여 서버 네트워킹 상호 동작을 통하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버 정보 제공 절차에 따라 가상 서버 구성 작업을 수행하는 제 9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연동 방법.
KR1019970071605A 1997-12-22 1997-12-22 에이티엠 망 환경에서 이질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용을 위한 분산구조를 갖는 서비스 연동 장치 및 방법 KR100248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605A KR100248397B1 (ko) 1997-12-22 1997-12-22 에이티엠 망 환경에서 이질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용을 위한 분산구조를 갖는 서비스 연동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605A KR100248397B1 (ko) 1997-12-22 1997-12-22 에이티엠 망 환경에서 이질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용을 위한 분산구조를 갖는 서비스 연동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156A KR19990052156A (ko) 1999-07-05
KR100248397B1 true KR100248397B1 (ko) 2000-03-15

Family

ID=19528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1605A KR100248397B1 (ko) 1997-12-22 1997-12-22 에이티엠 망 환경에서 이질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용을 위한 분산구조를 갖는 서비스 연동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839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156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93823C2 (ru) Архитектура 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истемы
US6523696B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for realizing uniform service providing environment
JP4051381B2 (ja) データの伝送方法
US6728267B1 (en) Service capable network
JP3571912B2 (ja) 通信装置およびサービス提供方法
EP1575245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manage network addresses for private voice communications
RU99113030A (ru) Архитектура 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истемы
TW201006194A (en) Method of building connection channels among network terminal devices using servers with dynamic domain names
JP2003067527A (ja) コンテンツアクセス管理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コンテンツアクセス管理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KR20030016143A (ko)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접속 방법
KR100248397B1 (ko) 에이티엠 망 환경에서 이질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용을 위한 분산구조를 갖는 서비스 연동 장치 및 방법
Baravaglio et al. Web service applicability in telecommunication service platforms
KR20000033652A (ko) 서비스 품질(qos) 매핑 기능을 가지는 비동기전송 모드(atm)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hen et al. Video-on-demand session management
KR100216581B1 (ko)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사용자의 액세스 세션 접속 방법
CA2249824C (en) Service capable network
KR100242647B1 (ko) 가변 라우터경로와 가변 ip어드레스를 이용한 인터넷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518182B1 (ko) 비디오 게이트웨이를 구비한 아이엠티2000 통신시스템 및그 운영방법
KR19980051295A (ko) 서비스 연동 브로커 장치 및 그 연동 방법
EP3745670A1 (en) Management of a communication session
JP2004214948A (ja) パケット通信方法、パケット通信装置、パケット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パケット通信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0628708B1 (ko) 자동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
US200400130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a call via a path of least resistance in a network
KR0168917B1 (ko) 서비스 에이전트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통신 서비스 방법
KR100273770B1 (ko) 비동기전송모드(atm)망에서 인터넷 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