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250B1 - Atm이름서버(ans)를 이용한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ip 레벨 연결성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Atm이름서버(ans)를 이용한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ip 레벨 연결성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250B1
KR100566250B1 KR1019990058875A KR19990058875A KR100566250B1 KR 100566250 B1 KR100566250 B1 KR 100566250B1 KR 1019990058875 A KR1019990058875 A KR 1019990058875A KR 19990058875 A KR19990058875 A KR 19990058875A KR 100566250 B1 KR100566250 B1 KR 100566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ddress
atm
server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8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7105A (ko
Inventor
정수길
전홍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19990058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250B1/ko
Publication of KR20010057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7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0Managing network names, e.g. use of aliases or nicknames
    • H04L61/3015Name registration, generation or assig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9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for achieving mutual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유한 인터넷프로토콜(IP) 주소를 가지고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가입자 단말이 상대방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라인(ADSL) 단말의 인터넷 접속 여부와는 관계없이 두 단말간 IP 레벨 연결성을 설정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ATM이름서버(ANS)를 이용한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 IP 레벨 연결성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에 접속한 단말과 고유한 IP 주소가 없는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은 ADSL 단말간에 IP 레벨의 연결성을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절차와 망 구성 요소가 가져야 할 기능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안하므로써, 인터넷 전화, IP 팩스, 원격 홈 PC 접속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ATM이름서버(ANS)를 이용한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 IP 레벨 연결성 제공 장치 및 방법{A Provisioning device of IP level connectivity between internet access hosts by using ATM name system(ANS) server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와 서비스 제공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
도 3과 도 11은 도 2의 서비스 제공 절차에 따른 단말 A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 도 6, 도 8, 도 10은 도 2의 서비스 제공 절차에 따른 액세스 서버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도 2의 서비스 제공 절차에 따른 도메인이름서버(DNS)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도 2의 서비스 제공 절차에 따른 ATM이름서버(ANS)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9는 도 2의 서비스 제공 절차에 따른 인터넷액세스서버(IAS)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단말 A 2 : 단말 B
3 : ISP 망 3-1 : IAS
4 : DSLAM 5 : ATU-R
6 : 액세스 서버 6-1 : DNS 서버
6-2 : ANS 서버 6-3 : IAS 서버
본 발명은 ATM이름서버(ANS)를 이용한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 IP 레벨 연결성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유한 인터넷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 이하 IP 라 칭한다) 주소를 가지고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가입자 단말이 상대방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라인(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 이하 ADSL 이라 칭한다) 단말의 인터넷 접속 여부와는 관계없이 두 단말간 IP 레벨 연결성을 설정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터넷 사용자와 호스트의 급속한 증가와 함께 비동기 전송모드 방식(Asynchronous Transfer Mode : 이하 ATM 이라 칭한다) 및 ADSL 기술이 가입자망에 적용되어 고속 인터넷 액세스 환경이 본격적으로 구축됨에 따라 인터넷을 통한 인터넷 전화, IP 팩스, 원격 홈 PC 접속 서비스는 유력한 서비스로 대두되고 있 다.
이러한 서비스는 기존의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다이얼 톤(dial tone) 서비스와 같이 상대방 가입자 단말쪽으로 항상 연결 설정이 가능한 통신 환경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은 통신 환경은 두 가입자 단말이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고 단말간 IP 레벨의 연결성(connectivity)이 제공될 때 가능하다. 즉 두 가입자 단말이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고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고, 인터넷을 통해 단말간 IP 계층까지 연결이 설정되어 IP 패킷의 송/수신이 가능한 환경에서는 서로 상대방 가입자 단말의 IP 주소만 알면 인터넷 전화, IP 팩스, 원격 홈 PC 접속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서비스를 시작하는 단말(이하 원천지 단말이라 칭한다)은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고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지만, 상대방 단말(이하 목적지 단말이라 칭한다)은 인터넷서비스제공자(Internet Service Provider : 이하 ISP라 칭한다)로부터 동적으로 IP 주소를 할당받아 인터넷에 접속하는 ADSL 단말이고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두 단말간 IP 레벨의 연결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액세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ISP가 목적지 단말을 식별한 다음 그 단말과 점대점프로토콜(Point-to-Point Protocol : 이하 PPP라 칭한다) 세션을 설정하고 동적으로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에는 상기와 같은 기술이 제공되고 있지 않아 인터넷 전화, IP 팩스 서비스 등을 제공받기 위해서는 양측 단말이 IP 주소를 할당받아 인터넷에 접속이 되어 있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상기에서 ADSL 단말은 ADSL 모뎀을 장착하고 ISP 망의 인터넷 액세스 서버(Internet Access Server : 이하 IAS라 칭한다)와 PPP/ATM의 프로토콜 구조를 따르는 단말이다.
일반적으로 공중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PSTN)을 통해 ADSL 모뎀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ADSL 단말은 인터넷 접속시 ISP 망의 IAS와 PPP 세션을 설정하고 IP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받아 인터넷에 접속하며, 인터넷 접속이 종료되면 IP 주소를 다시 ISP쪽으로 되돌려 준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단말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며 가입자는 인터넷을 통해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존의 접속에서는 가입자가 원할 때만 가입자가 ISP쪽으로 PPP 세션을 설정하고 IP 주소를 할당받아 인터넷에 접속한다.
반면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원천지 단말의 가입자가 목적지 단말의 가입자와 인터넷 전화와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만일 목적지 단말이 ADSL 단말이고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도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목적지 ADSL 단말을 식별하고 그 단말에 IP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하여 단말간 IP 레벨 연 결성을 설정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 및 요구사항을 감안하여, IP 주소를 가지고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가입자 단말이, 고유한 IP 주소가 할당되지 않은 ADSL 단말과 언제든지 IP 레벨 연결성을 설정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터넷망에 연결된 단말 A와, 각종 서버를 구비하는 ISP망 및 ATM 망에 연결된 단말 B를 구비하는 통신환경상에서 상기 단말 A와 단말 B 상호간 IP레벨 연결을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ISP망에서 구비하는 서버로 도메인이름을 저장하는 도메인이름서버와, 인터넷망 접속을 위한 인터넷액세스서버 및 액세스 서버를 구비하되;
상기 액세스 서버는 상기 단말 A의 가입자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받을 경우, 상기 도메인이름서버로 단말 B의 도메인 이름에 대응하는 IP 주소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 A로 단말 B의 IP주소를 전송하는 기능과;
상기 수신한 결과에 IP주소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ATM망에서 운용하는 ATM이름서버로 단말 B의 도메인이름에 대응하는 ATM 주소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결과로 수신한 단말 B의 ATM주소를 이용해, 상기 인터넷액세스서버로 단말 B의 도메인이름과 ATM 주소가 포함된 IP 주소할당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과;
상기 IP 주소할당요청에 대한 결과로 단말 B의 IP 주소를 수신하면, 이를 상기 도메인이름서버에 등록한 후, 단말 A로 단말 B의 IP 주소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단말 B의 인터넷 접속 여부와 관계없이 두 단말간 IP 레벨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터넷망에 연결된 단말 A와, ISP망 및 ATM 망에 연결된 단말 B를 구비하는 통신환경상에서 상기 단말 A와 단말 B 상호간 IP레벨 연결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 A의 가입자가 ISP에서 운영되는 액세스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한 후, 자신과 상기 단말 B의 가입자 및 단말 B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정보를 수신한 액세스 서버에서 단말 A의 가입자와 단말 B의 가입자에 대한 인증 및 서비스 이용 권한 유.무를 판단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서비스 이용 권한이 있으면 도메인이름서버로 단말 B의 도메인 이름에 대응하는 IP 주소를 요청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요청을 수신한 도메인이름서버에서 도메인이름에 대응하는 IP주소를 검색하여 상기 액세스 서버로 전송하고, 액세스 서버는 수신한 단말 B의 IP 주소를 단말 A로 전송하는 제 4 과정과;
상기 제 4 과정에서 IP주소 검색에 실패한 경우, ATM이름서버로 단말 B의 도메인이름에 대응하는 ATM 주소를 요청하는 제 5 과정과;
상기 요청을 수신한 ATM이름서버에서 도메인이름에 대응하는 ATM 주소를 검색하여 상기 액세스 서버로 전송하고, 액세스 서버는 수신한 단말 B의 ATM주소를 이용해 인터넷액세스서버로 단말 B의 도메인이름과 ATM 주소가 포함된 IP 주소할당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6 과정과;
상기 요청을 수신한 인터넷액세스서버에서 단말 B와 ATM 가상채널을 설정한 후, IP 주소를 할당하고, 이 할당한 IP주소를 상기 액세스 서버로 전송하는 제 7 과정과;
상기 단말 B의 IP주소를 수신한 액세스 서버에서 상기 단말 B의 IP주소를 도메인이름서버에 등록한 후, 단말 A로 단말 B의 IP 주소를 전송하는 제 8 과정을 구비하여, 상기 단말 B의 인터넷 접속 여부와 관계없이 두 단말간 IP 레벨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환경과 망 구성도를 나타낸다.
단말 A(1)는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고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원천지 단말이고, 단말 B(2)는 ISP 망(3)의 'PoP(Point of Presence)'에 위치하는 IAS(3-1)와 ATM 가상채널(Virtual Channel: 이하 VC라 칭한다) 및 PPP 세션을 설정하여 IP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받아 인터넷에 접속하는 ADSL 단말로 목적지 단말에 해당한다.
단말 B(2)의 ADSL원격전송유니트(ADSL Transceiver Unit Remote : 이하 ATU- R이라 칭한다)(5)는 가입자측 ADSL 모뎀으로 디지털가입자라인접속다중화기(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er : 이하 DSLAM 이라 칭한다)(4)과 ADSL 루프(loop)를 형성한다. 단말 B(2)는 현재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지도 않고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지도 않다.
DSLAM(4)은 ADSL 신호를 종단하고 가입자 ATM VC의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단말 B(2)와 같은 ADSL 단말이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으면 단말 B(2)는 ISP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아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고 있고,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IP 주소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
단말 B(2)와 IAS(3-1)간의 통신 프로토콜은 PPP/ATM 프로토콜 구조를 따르며 ATM 사용자망인터페이스(User Network Interface : 이하 UNI 라 칭한다) 시그널링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ATM VC를 설정한다. 그리고 단말 B(2)는 전원이 "ON" 상태에 있고 시그널링 프로토콜의 셋-업(SETUP)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① ADSL 인터넷 액세스 단말 또는 ADSL 단말은 ADSL 모뎀을 통해 ISP 망의 IAS와 PPP 세션을 설정하고 IAS로부터 IP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받아 인터넷에 접속하며, 보통 PC(Personal Computer)가 될 수 있다.
② ISP는 IAS를 통해 ADSL 단말에 IP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하여 ADSL 단말에 인터넷 액세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이다.
③ IAS는 ISP가 운영하는 인터넷 액세스 서버로 PPP 서버와 IP 라우터의 기 능을 가져 단말에 동적인 IP 주소 할당과 IP 패킷의 라우팅을 수행한다.
④ 단말간 IP 연결성의 설정 또는 IP 연결성의 제공은 두 단말이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고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고, 인터넷과 ISP 망에 위치하는 IP 라우터 및 IAS의 IP 패킷 라우팅 기능을 통해 단말간 IP 패킷의 송/수신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도 1과 같은 통신 환경에서 단말 A(1)의 가입자가 단말 B(2)의 가입자와 인터넷 전화와 같은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IAS(3-1)와 단말 B(2)간에 IP 레벨 연결성이 설정되어야 한다. 여기서 IAS(3-1)와 단말 B(2)간의 IP 연결성의 설정은 단말 B(2)가 IAS(3-1)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아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고, IAS(3-1)가 단말 B(2)로 향하는 IP 패킷을 단말 B(2)쪽으로 라우팅하면 IP 패킷이 단말 B(2)까지 전달되고 또한 단말 B(2)로부터 IP 패킷을 인터넷 쪽으로 보낼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위해서는 먼저 IAS(3-1)와 단말 B(2)간에는 ATM VC와 PPP 세션이 설정되어야 한다.
도 2는 도 1과 같은 통신 환경에서 단말 A와 단말 B간의 단대단(end-to-end) IP 연결성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망 구성 요소와 망 구성 요소간의 서비스 제공 절차를 보여준다.
망 구성 요소 중 ATM이름서버(ATM Name System : 이하 ANS라 칭한다)(6-2)는 ATM 포럼의 'SAA(Services and Applications over ATM)' 그룹에서 표준화되고 있으며, ANS 서버(6-2)는 도메인 네임과 ATM 주소의 매핑을 저장하여 단말에 네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본 발명에서는 ANS 서버(6-2)와 액세스 서버(6), ANS 서 버(6-2)와 단말 B(2)의 ATM 네임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와 프로토콜은 ANS 버전 2.0을 기준으로 한다.
도 2의 서비스 제공 절차에 따른 각 망 구성 요소의 상세한 기능 동작 순서도는 도 3 ∼ 도 11과 같다. 이중 도 3과 도 11은 단말 A의 동작, 도 4, 도 6, 도 8, 도 10은 액세스 서버의 동작, 도 5는 DNS 서버의 동작, 도 7은 ANS 서버 동작, 도 9는 IAS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의 서비스 제공 절차와 도 3 ∼ 도 11을 참조한 단말 A(1)와 단말 B(2) 간의 IP 연결성을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절차는 단말 A(1)의 가입자가 도 2의 액세스 서버가 운영하는 웹 서버(Web Server)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고 가입자와 단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서 시작되며, 단말 B(2)가 ISP로부터 고유한 IP 주소를 할당받아 인터넷에 접속되고 단말 B(2)의 IP 주소 또는 가입자 오류 또는 이름 오류가 단말 A(1)로 되돌려지면 종료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동작 설명은 다음과 같다.
단말 A(1)의 가입자는 ISP가 운영하는 액세스 서버(6)에 접속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고, 자신과 단말 B(2)의 가입자와 단말 B(2)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도 2의 2-1, 2-2 과정으로 상세하게는 도 3)(3A). 이때 단말 A(1)의 가입자는 웹 브라우져(Web Browser)(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액세스 서버(6)가 운영하는 웹 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고, 가입자가 선택하는 서비스로는 인터넷 전화, IP 팩스 또는 원격 홈 PC 접속 서비스와 같이 단말간 접속을 요하는 서비스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A(1)의 가입자가 제공하는 가입자와 단말 정보 에는 자신의 가입자 이름과 패스워드, 단말 B(2)의 가입자 이름과 단말 B(2)에 대한 도메인 네임이 포함된다.
상기 과정에 이어(도 4 참조) 액세스 서버(6)는 단말 A(1)의 가입자 이름과 패스워드, 단말 B(2)의 가입자 이름과 도메인 네임을 참조하여 가입자에 대한 인증(Authentication)과 서비스 이용 권한(Authority)이 있는 지를 검사하고(4A), 권한이 없으면 단말 A(1)로 가입자 오류 메시지를 보내고, 이 메시지를 처리하는 루틴(도 11 참조)으로 점프한다(도 2의 2-12, 2-13 과정, 4B). 여기서 가입자 오류 메시지는 적법한 가입자가 아니거나 적법한 가입자이지만 서비스 이용권한이 없음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가입자 인증은 ISP의 정책(Policy)에 따라 단말 A(1) 또는 단말 B(2)의 가입자 만 수행하거나 양측에 대해 인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검사 결과 서비스 이용 권한이 있으면 DNS 서버(6-1)쪽으로 DNS 질의(QUERY) 메시지를 보낸다(도 2의 2-3과정, 4C). 이때 DNS 질의 메시지는 도메인 네임에 대응하는 IP 주소에 대한 요청인 바, DNS 질의 메시지의 연산코드(OPCODE) 필드에는 'QUERY', 이름(QNAME) 필드에는 단말 B(2)의 '도메인 네임', 클래스(QCLASS) 필드에는 인터넷 클래스를 나타내는 'IN', 타입(QTYPE) 필드에는 IP 주소를 나타내는 'A'로 채워진다.
상기 과정에 이어(도 5 참조) DNS 질의 메시지가 DNS 서버(6-1)로 전달되면 DNS 서버(6-1)는 자신이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질의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 B(2)의 도메인 네임에 대응하는 타입 A RR(Resource Record : 이하 RR이라 칭 한다)이 있는지 확인한다(5A). 여기서 타입 A RR은 단말의 도메인 네임과 대응되는 IP 주소의 쌍을 저장하는 레코드이다.
상기 확인 결과 타입 A RR이 있으면 단말 B(2)의 IP 주소(도 2의 2-4 과정, 5C)를, 타입 A RR이 없으면 이름 오류(Name Error)를 DNS 질의 메시지를 통해 액세스 서버(6)로 돌려준다(도 2의 2-4 과정, 5B). 여기서 이름 오류는 도메인 네임에 대응하는 타입 A RR이 없음을 나타낸다.
상기 과정에 이어(도 6 참조) DNS 질의 메시지가 액세스 서버(6)로 전달되면, 액세스 서버(6)는 DNS 질의 메시지에 단말 B(2)의 IP 주소가 있는지 확인하고(6A), IP 주소가 있으면 단말 A(1)로 단말 B(2)의 IP 주소를 돌려주고, 이 메시지를 처리하는 루틴(도 11 참조)으로 점프한다(도 2의 2-12, 2-13 과정, 6B).
상기 확인 결과 만일 DNS 질의 메시지에 이름 오류가 있으면 ANS 서버(6-2)로 ANS 질의 패킷을 전송한다(도 2의 2-5 과정, 6C). 이때 ANS 질의 메시지는 도메인 네임에 대응하는 ATM 주소에 대한 요청이다. 즉 ANS 질의 메시지의 연산코드(OPCODE) 필드에는 'QUERY', 이름(QNAME) 필드에는 단말 B(2)의 '도메인 네임', 클래스(QCLASS) 필드에는 인터넷 클래스를 나타내는 'IN', 타입(QTYPE) 필드에는 ATM 주소를 나타내는 'ATMA'로 채워진다.
상기 과정에 이어(도 7 참조) ANS 질의 메시지가 ANS 서버(6-2)로 전달되면, ANS 서버(6-2)는 자신이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질의 패킷에 포함된 단말 B(2)의 도메인 네임에 대응하는 타입 ATMA RR이 있는지 확인한다(7A). 여기서 타입 ATMA RR은 단말의 도메인 네임과 대응되는 ATM 주소의 쌍을 저장하는 레코드 이다.
상기 확인 결과 타입 ATMA RR이 있으면 단말 B(2)의 ATM 주소(도 2의 2-6 과정, 7C), 타입 ATMA RR이 없으면 이름 오류를 ANS 질의 메시지를 통해 액세스 서버(6)로 돌려준다(도 2의 2-6 과정, 7B). 여기서 이름 오류는 도메인 네임에 대응하는 타입 ATMA RR이 없음을 나타낸다.
상기 과정에 이어(도 8 참조) ANS 질의 메시지가 액세스 서버(6)로 전달되면, 액세스 서버(6)는 ANS 질의 메시지에 단말 B(2)의 ATM 주소가 있는지 확인하고(8A), ATM 주소가 있으면 IAS쪽으로 IP 주소할당요청 메시지를 보낸다(도 2의 2-7 과정, 8B). 이때 IP 주소할당요청 메시지에는 단말 B(2)의 도메인 네임과 ATM 주소가 포함된다.
상기 확인 결과 만일 ANS 질의 메시지에 이름 오류가 있으면 단말 A(1)로 이름 오류를 돌려주고, 이 메시지를 처리하는 루틴(도 11 참조)으로 점프한다(도 2의 2-12, 2-13 과정, 8C).
상기 과정에 이어(도 9 참조) IP 주소할당요청 메시지가 IAS 서버(6-3) 로 전달되면, IAS 서버(6-3)는 ATM UNI 시그널링 셋-업 메시지를 단말 B(2)쪽으로 보내고 단말 B(2)와 ATM VC를 설정한다(도 2의 2-8 과정, 9A). IAS 서버(6-3)는 상기에서 ATM VC가 설정된 후 PPP 세션을 설정하고 IP 주소를 할당한다(도 2의 2-9 과정, 9B). 이때 IAS 서버(6-3) 또는 단말 B(2)가 PPP 세션의 설정을 위한 PPP 링크제어프로토콜(Link Control Protocol : 이하 LCP라 한다)을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IAS는 IP 주소할당응답 메시지를 통해 단말B에 할당한 IP 주소를 액 세스 서버(6)로 전송한다(도 2의 2-10 과정, 9C).
상기 과정에 이어(도 10 참조) IAS로부터 IP 주소할당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액세스 서버(6)는 DNS 서버(6-1)쪽으로 DNS UPDATE를 메시지를 통해 단말 B(2)에 대한 IP 주소를 등록하며(도 2-11 과정, 10A), 단말 A(1)로는 단말 B(2)의 IP 주소를 돌려준다(도 2의 2-12 과정, 10B).
상기 과정에 이어(도 11 참조) 단말 A(1)는 단말 B(2)의 IP 주소 또는 가입자 오류 또는 이름 오류를 응용에게 알려준다(도 2의 2-13 과정)(11A).
한편 위와 같은 서비스 제공 절차를 지원하기 위해 망 구성 요소들은 다음과 같은 기능 요구사항을 갖는다.
첫째, 액세스 서버(6)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갖는다.
① 가입자 인증 기능
액세스 서버(6)는 단말 A(1)의 가입자가 제공하는 가입자 정보를 참조하여 그 가입자가 ISP의 적법한 가입자이며 또한 요청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지를 검사해야 한다. 즉 특정 가입자가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 그 가입자가 ISP에 등록된 가입자이며,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가입자 인증 및 서비스 이용 권한을 검사할 수 있어야 한다. 다만 ISP의 과금 정책에 따라 서비스를 요청한 가입자 또는 서비스를 요청받은 가입자(즉 단말 B(2)의 가입자) 만을 인증하거나, 양측에 대해 인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② 액세스 서버 동작(operation)
액세스 서버(6)는 단말 A(1)가 제공하는 가입자 이름 및 패스워드를 참조하여 가입자에 대한 인증 및 서비스 이용 권한이 있는 지를 검사하고, 권한이 없으면 단말 A(1)로 가입자 오류 메시지를 보내고, 권한이 있으면 DNS 질의 메시지를 DNS 서버(6-1)쪽으로 보낸다.
DNS 질의 메시지를 보낸 경우 DNS 서버(6-1)로부터 DNS 질의 메시지를 통해 결과를 수신하면 단말 B(2)의 IP 주소가 있는지 확인하고, IP 주소가 있으면 단말 B(2)로 IP 주소를 돌려주고, 만일 이름 오류가 있으면 ANS 서버(6-2)로 ANS 질의 메시지를 보낸다.
ANS 질의 메시지를 보낸 경우 ANS 서버(6-2)로부터 ANS 질의 메시지를 통해 결과를 수신하면 단말 B(2)의 ATM 주소가 있는지 확인하고, ATM 주소가 있으면 IAS쪽으로 IP 주소할당요청 메시지를 보내고, 이름 오류가 있으면 단말 A(1)로 이름 오류를 알려준다.
IP 주소할당요청 메시지를 보낸 경우 IP 주소할당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 A(1)로는 단말 B(2)의 IP 주소를 돌려주고, DNS 서버(6-1)로는 DNS UPDATE 메시지를 통해 단말 B(2)의 도메인 네임과 IP 주소를 등록한다.
③ IAS 서버(6-3)와 통신 기능
액세스 서버(6)는 ANS 서버(6-2)로부터 단말 B(2)의 도메인 네임에 대응하는 ATM 주소를 받으면 IAS쪽으로 IP 주소 할당 요청을 하고, IAS로부터 IP 주소 할당 응답을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IP 주소할당요청 메시지와 IP 주소할당응답 메시지를 정의하여 사 용하며, IP 주소할당요청 메시지는 액세스 서버(6)로부터 IAS로 보내지며 단말 B(2)의 도메인 네임과 ATM 주소가 포함되고, IP 주소할당응답 메시지는 IAS로부터 액세스 서버(6)로 보내지며 단말 B(2)의 도메인 네임과 IP 주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참고로 상기 IP 주소할당요청 메시지와 IP 주소할당응답 메시지의 포맷 정의와 메시지 전송을 위해서는 기존의 DNS 프로토콜을 확장하거나 새로운 프로토콜을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둘째, ISP 망의 IAS가 가져야 할 기능은 먼저 단말 B(2)로 ATM 연결 설정 요청 기능을 들 수 있다. 즉 IAS는 액세스 서버(6)로부터 단말 B(2)에 대한 IP 주소할당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단말 B(2)의 ATM 주소를 참조하여 단말 B(2)쪽으로 ATM UNI 셋-업 메시지를 보내고 단말 B(2)와 ATM VC를 설정해야 한다.
단말 B(2)와 ATM VC가 설정되고 나면 IP 주소 할당을 위한 PPP 세션을 설정해야 한다. PPP 세션을 설정하기 위한 PPP LCP는 IAS 또는 단말 B(2)가 먼저 할 수 있다. IAS의 PPP 엔티티(entity)는 PPP 링크 설정 단계(Link Establishment Phase), 인증 단계(Authentication Phase)를 거쳐 IPCP(IP Control Protocol) 프로토콜을 통해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IAS는 단말 B(2)에 IP 주소를 할당한 다음 IP 주소할당응답 메시지를 통해 단말 B(2)의 IP 주소를 액세스 서버(6)로 돌려주며, IP 주소할당요청 메시지와 IP 주소할당응답 메시지는 위의 액세스 서버(6)의 기능 요구사항에서 기술된 바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셋째, 단말 B(2)는 IAS와 ATM VC를 설정하기 위해 ATM UNI 셋-업 메시지를 받아들이고 VC를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IAS와 PPP 세션을 설정하기 위해 단말 B(2)의 PPP 엔티티는 PPP 링크 설정 단계, 인증 단계를 거쳐 IPCP 프로토콜을 통해 IP 주소를 할당받을 수 있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터넷에 접속한 단말과 고유한 IP 주소가 없는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은 ADSL 단말간에 IP 레벨의 연결성을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절차와 망 구성 요소가 가져야 할 기능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안하므로써, 인터넷 전화, IP 팩스, 원격 홈 PC 접속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인터넷망에 연결된 단말 A와, 각 종 서버를 구비하는 ISP망 및 ATM 망에 연결된 단말 B를 구비하는 통신환경상에서 상기 단말 A와 단말 B 상호간 IP레벨 연결을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ISP망에서 구비하는 서버로 도메인이름을 저장하는 도메인이름서버와, 인터넷망 접속을 위한 인터넷액세스서버 및 액세스 서버를 구비하되;
    상기 액세스 서버는, 상기 단말 A의 가입자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받을 경우, 상기 도메인이름서버로 단말 B의 도메인 이름에 대응하는 IP 주소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 A로 단말 B의 IP주소를 전송하는 기능과;
    상기 수신한 결과에 IP주소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ATM망에서 운용하는 ATM이름서버로 단말 B의 도메인이름에 대응하는 ATM 주소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결과로 수신한 단말 B의 ATM주소를 이용해, 상기 인터넷액세스서버로 단말 B의 도메인이름과 ATM 주소가 포함된 IP 주소할당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과;
    상기 IP 주소할당요청에 대한 결과로 단말 B의 IP 주소를 수신하면, 이를 상기 도메인이름서버에 등록한 후, 단말 A로 단말 B의 IP 주소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단말 B의 인터넷 접속 여부와 관계없이 두 단말간 IP 레벨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ATM이름서버(ANS)를 이용한 인터넷 액세스 단 말간 IP 레벨 연결성 제공 장치.
  2. 인터넷망에 연결된 단말 A와, ISP망 및 ATM 망에 연결된 단말 B를 구비하는 통신환경상에서 상기 단말 A와 단말 B 상호간 IP레벨 연결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 A의 가입자가 ISP에서 운영되는 액세스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한 후, 자신과 상기 단말 B의 가입자 및 단말 B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정보를 수신한 액세스 서버에서 단말 A의 가입자와 단말 B의 가입자에 대한 인증 및 서비스 이용 권한 유.무를 판단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서비스 이용 권한이 있으면 도메인이름서버로 단말 B의 도메인 이름에 대응하는 IP 주소를 요청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요청을 수신한 도메인이름서버에서 도메인이름에 대응하는 IP주소를 검색하여 상기 액세스 서버로 전송하고, 액세스 서버는 수신한 단말 B의 IP 주소를 단말 A로 전송하는 제 4 과정과;
    상기 제 4 과정에서 IP주소 검색에 실패한 경우, ATM이름서버로 단말 B의 도메인이름에 대응하는 ATM 주소를 요청하는 제 5 과정과;
    상기 요청을 수신한 ATM이름서버에서 도메인이름에 대응하는 ATM 주소를 검색하여 상기 액세스 서버로 전송하고, 액세스 서버는 수신한 단말 B의 ATM주소를 이용해 인터넷액세스서버로 단말 B의 도메인이름과 ATM 주소가 포함된 IP 주소할당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6 과정과;
    상기 요청을 수신한 인터넷액세스서버에서 단말 B와 ATM 가상채널을 설정한 후, IP 주소를 할당하고, 이 할당한 IP주소를 상기 액세스 서버로 전송하는 제 7 과정과;
    상기 단말 B의 IP주소를 수신한 액세스 서버에서 상기 단말 B의 IP주소를 도메인이름서버에 등록한 후, 단말 A로 단말 B의 IP 주소를 전송하는 제 8 과정을 구비하여, 상기 단말 B의 인터넷 접속 여부와 관계없이 두 단말간 IP 레벨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이름서버(ANS)를 이용한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 IP 레벨 연결성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과정에서 인증 단말 A의 가입자 이름과 패스워드, 단말 B의 가입자 이름과 도메인 네임을 참조하여 가입자에 대한 인증과 서비스 이용 권한의 유.무를 검사한 후, 인증에 실패하거나, 이용권한이 없으면 단말 A로 가입자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이름서버(ANS)를 이용한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 IP 레벨 연결성 제공 방법.
KR1019990058875A 1999-12-18 1999-12-18 Atm이름서버(ans)를 이용한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ip 레벨 연결성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566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875A KR100566250B1 (ko) 1999-12-18 1999-12-18 Atm이름서버(ans)를 이용한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ip 레벨 연결성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875A KR100566250B1 (ko) 1999-12-18 1999-12-18 Atm이름서버(ans)를 이용한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ip 레벨 연결성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105A KR20010057105A (ko) 2001-07-04
KR100566250B1 true KR100566250B1 (ko) 2006-03-29

Family

ID=19626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8875A KR100566250B1 (ko) 1999-12-18 1999-12-18 Atm이름서버(ans)를 이용한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ip 레벨 연결성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2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377B1 (ko) * 2004-02-02 2011-03-22 주식회사 케이티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한 ip 주소 할당 방법
CN111614792B (zh) * 2020-03-31 2023-04-18 视联动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透传方法、系统、服务器、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0545A (ja) * 1997-01-16 1998-07-31 Fujitsu Ltd Atm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0153944B1 (ko) * 1995-12-22 1998-11-16 양승택 에이티엠 스위치를 이용한 아이피 라우터 기능 수용을 위한 이더넷 접속 장치
KR20000031809A (ko) * 1998-11-10 2000-06-05 이계철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 인터넷 프로토콜(ip) 레벨 연결성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00033497A (ko) * 1998-11-24 2000-06-15 이계철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 인터넷 프로토콜 레벨 연결성 제공방법
KR20010016663A (ko) * 1999-08-02 2001-03-05 정선종 인터넷과 에이티엠 망의 연결성 연동 모듈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3944B1 (ko) * 1995-12-22 1998-11-16 양승택 에이티엠 스위치를 이용한 아이피 라우터 기능 수용을 위한 이더넷 접속 장치
JPH10200545A (ja) * 1997-01-16 1998-07-31 Fujitsu Ltd Atm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000031809A (ko) * 1998-11-10 2000-06-05 이계철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 인터넷 프로토콜(ip) 레벨 연결성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00033497A (ko) * 1998-11-24 2000-06-15 이계철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 인터넷 프로토콜 레벨 연결성 제공방법
KR20010016663A (ko) * 1999-08-02 2001-03-05 정선종 인터넷과 에이티엠 망의 연결성 연동 모듈 및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105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35449B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simultaneous connection to multiple service providers
KR100295457B1 (ko)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 인터넷 프로토콜(ip) 레벨 연결성 제공 장치 및 방법
US9319235B2 (en)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based on an automatically generated username
JP3656134B2 (ja) Vpn選択接続ゲートウェイおよびそれによる通信方法
KR100566250B1 (ko) Atm이름서버(ans)를 이용한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ip 레벨 연결성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295456B1 (ko)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 인터넷 프로토콜 레벨 연결성 제공방법
Cisco Protocol Translation Commands
Cisco Protocol Translation Configuration Commands
Cisco Protocol Translation Configuration Commands
Cisco Protocol Translation Configuration Commands
Cisco Protocol Translation Configuration Commands
Cisco Protocol Translation Configuration Commands
Cisco Protocol Translation Configuration Commands
Cisco Protocol Translation Configuration Commands
Cisco Protocol Translation Configuration Commands
Cisco Protocol Translation Configuration Commands
Cisco Protocol Translation Configuration Commands
Cisco Protocol Translation Configuration Commands
Cisco Protocol Translation Configuration Commands
Cisco Protocol Translation Configuration Commands
Cisco Protocol Translation Configuration Commands
Cisco Protocol Translation Configuration Commands
Cisco Protocol Translation Configuration Commands
Cisco Protocol Translation Configuration Commands
Cisco Protocol Translation Configuration Comma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