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6318A - 줄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줄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6318A
KR20010016318A KR1020000072628A KR20000072628A KR20010016318A KR 20010016318 A KR20010016318 A KR 20010016318A KR 1020000072628 A KR1020000072628 A KR 1020000072628A KR 20000072628 A KR20000072628 A KR 20000072628A KR 20010016318 A KR20010016318 A KR 20010016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shafts
housing
shaf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2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희장
차종근
Original Assignee
차종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종근 filed Critical 차종근
Priority to KR1020000072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6318A/ko
Publication of KR20010016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31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6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without essentially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e.g.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casing or container, or intermittently engaging a plurality of supports as in sinuous or serpentine fashion
    • B65H75/36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without essentially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e.g.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casing or container, or intermittently engaging a plurality of supports as in sinuous or serpentine fashion with pulle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4Springs, e.g. helical or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41Actuating mea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or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줄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의 내부에 상호간에 척력이 작용하는 2개의 축과, 상기 축에 삽입된 2개의 보빈과, 상기 2개의 보빈을 내포하도록 감긴 줄을 구성하고, 상기 줄의 일측말단은 고정시키고 타측말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하여 구성하므로써, 상기 줄의 상기 타측말단을 당기면 상기 2개의 축에 작용하는 척력을 극복하고 당겨겼다가 상기 줄을 놓으면 상기 2개의 축에 작용하는 척력에 의하여 줄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권취되는 줄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무한대로 확장할 수 있으며 탄성력이 일정하며 탄성력을 잃지 않는 인장스프링을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선권취장치로 만드는 경우에는 전선의 일측말단이 꼬이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인장스프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패킹화가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줄의 복원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줄 권취장치{APPARATUS PACKING ROPE}
본 발명은 줄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내부에 상호간에 척력이 작용하는 2개의 축과, 상기 축에 삽입된 2개의 보빈과, 상기 2개의 보빈을 내포하도록 감긴 줄을 구성하고, 상기 줄의 일측말단은 고정시키고 타측말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하여 구성하므로써, 상기 줄의 상기 타측말단을 당기면 상기 2개의 축에 작용하는 척력을 극복하고 당겨겼다가 상기 줄을 놓으면 상기 2개의 축에 작용하는 척력에 의하여 줄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권취되는 줄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1997-5214호(출원번호:20-1995-14720호)에는 차량용 착탈식 실내등으로서 태엽스프링을 이용하여 전선을 하우징내에 권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태엽스프링을 이용하여 전선을 권취하는 기술은 상기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의 한계로 인하여 인출되는 전선의 길이가 제한되며, 상기 전선을 최대한 인출하기를 수회 반복하는 경우에 상기 태엽스프링이 탄성을 잃어 상기 전선이 권취되지 않기도 하며, 적어도 상기 전선의 어느하나의 말단은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전선의 중간에서 꼬임과 풀림이 반복되어 단선이 되는 경우가 많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안에 두개의 보빈을 위치시키고, 상기 두개의 보빈을 줄로 감고, 상기 두개의 보빈사이에 척력이 발생하도록 하므로써, 줄을 당기면 상기 두개의 보빈사이가 가까워지며 줄이 인출되고, 줄을 놓으면 상기 척력에 의하여 상기 두개의 보빈사이가 멀어지며 줄이 권취되도록 하는 줄 권취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절단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절단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하우징 12. 레일 14. 인출구
20. 고정축 22. 스프링이탈방지쇠 30. 고정보빈
32. 홈 40. 이동축 42. 스프링이탈방지쇠
50. 보빈 52. 이동홈 60. 줄
70. 스프링 80. 연결수단
본 발명에 의한 줄 권취장치는,
대향하는 양면에 레일이 설치된 하우징과; 어느 하나는 상기 레일에 양말단이 위치하며, 다른 하나는 상기 레일 또는 상기 레일의 연장선에 위치하는 한쌍의 축과; 상기 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한쌍의 보빈과; 일측말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며, 타측말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상기 하우징, 축, 보빈 중 어느하나 또는 하나이상에 연결되며, 중앙은 상기 한쌍의 보빈을 내포하고 상기 보빈에 감겨있는 줄과; 상기 한쌍의 축과 축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줄의 상기 타측말단은, 상기 축 및/또는 보빈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보빈은, 상기 보빈의 원주면을 따라 상기 줄의 직경과 같거나 넓은 홈이 파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홈은, 나선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보빈은, 상기 홈 단위로 분리되어 각각 도르레 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한다.
상기 줄의 상기 타측말단은, 상기 축 또는 보빈과 회전자유로 결합되는 연결수단을 매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한쌍의 축과 축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이거나, 상기 한쌍의 축과 축 사이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절단사시도이다.
도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한 줄 권취장치는 하우징(10)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10)의 대향하는 측판(도면부호 미표시)의 내부에는 레일(12)이 위치한다. 또한 상판(도면부호 미표시)에는 인출구(14)가 있다.
상기 레일(12)에는 이동축(40)이 끼워지며, 상기 이동축(40)은 상하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이동축(40)은 자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레일(12)의 상부쪽으로의 연장선상에는 고정축(20)이 위치한다.
상기 고정축(20)은 상기 하우징(1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축(20)은 상기 하우징(10)에서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으나, 자체적으로 회전 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축(20)과 이동축(40)의 양말단에는 스프링이탈방지쇠(22, 42)가 끼워져 있으며, 상기 스프링이탈방지쇠(22, 42) 사이에는 스프링(70)이 위치한다. 상기 스프링(70)은 압축스프링이다. 상기 스프링(70)은 상기 고정축(20)과 이동축(40) 사이에 척력이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70)은 상기 고정축(20)과 이동축(40) 사이에 척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상기 고정축(20)과 이동축(40) 사이에 전자석을 위치시켜 척력이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이동축(40)에 인장스프링의 일측말단을 고정시키고 타측말단은 상기 하우징(10)의 하판(도면부호 미표시)에 고정시켜 척력이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면에는 스프링(70)은 하나만 표시되어 있으나, 충분한 탄성력을 얻기위하여 다수개를 둘 수도 있다.
상기 스프링이탈방지쇠(22, 42)는 상기 고정축(20)과 이동축(40)의 양말단에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고정축(20)과 이동축(40)이 자체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축(20)에는 고정보빈(30)이 끼워져 있으며, 상기 이동축(40)에는 이동보빈(50)이 끼워져 있다. 상기 고정보빈(30)과 이동보빈(50)은 상기 고정축(20)과 이동축(40)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축(20)과 고정보빈(30) 또는 상기 이동축(40)과 이동보빈(50)은 일체형으로 만들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0)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축(20)에는 상기 고정보빈(30)이외에 연결수단(80)이 끼워져 있다. 상기 연결수단(80)은 상기 고정축(20)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로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수단(80)은 상기 고정보빈(30)에 끼워져 있을 수도 있으며, 상기 하우징(10)에 고리의 형태로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연결수단(80)은 하기 줄(60)의 한쪽 끝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수단(80)에는 줄(60)의 한쪽 끝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줄(60)은 상기 고정보빈(30)과 이동보빈(50)을 포함하도록 감기고, 상기 하우징(10)에 뚫려 있는 인출구(14)를 빠져나와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축(20, 40)과 보빈(30, 50) 중 어느 하나는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회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본 발명에 의한 줄 권취장치에서는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된 상기 줄(60)을 당기면 상기 스프링(7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기 이동축(40)과 이동보빈(50)이 위로 당겨질 것이며, 상기 줄(60)을 놓으면 상기 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이동축(40)과 이동보빈(50)이 아래로 내려오며 상기 줄(60)이 하우징(10)내부로 권취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줄(60)이 상기 하우징(10)에 권취될 수 있는 길이는,
(고정보빈과 이동보빈의 최대거리와 최소거리의 차)*(줄이 감긴 횟수)*2로 나타낼 수 있다.
도1에서는 한쌍의 고정보빈(30)과 이동보빈(50)만을 표시하였으나, 이러한 쌍을 여러개 둘 수 있으며, 이렇게 구성하는 경우에는 인출할 수 있는 줄(60)의 길이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인출구(14)부근에는 상기 줄(60)을 고정시키거나 해제할 수 있는 장치를 추가로 부착할 수도 있으며, 상기 이동축(30)을 고정시키거나 해제하는 장치를 상기 레일(12)에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를 추가로 부착하는 것은 당업자로서 수월하기 구현 가능하며, 이러한 장치는 잡아당긴 상기 줄(60)을 고정시킬 수가 있다.
[실시예2]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2를 살펴보면, 상기 고정보빈(30)과 이동보빈(50)에 홈(32, 52)이 파여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같다.
상기 홈(32, 52)는 상기 줄(60)이 서로 엉키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2와 같이 홈(32, 52)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고정보빈(30)의 홈(32)과 이동보빈(50)의 홈(52)가 일직선상에 놓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에서의 줄(60)의 작동은 도1과 같다.
[실시예3]
실시예3은 도2에서의 홈(32, 52)이 나선상으로 파여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2와 동일하다.
상기 홈(32, 52)이 나선상으로 파여 있어도 줄(60)의 작동은 유사하다.
실시예3에서 보빈(30, 50)이 축(20, 40)을 따라 좌우로 이동될 수 없도록 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고정보빈(30)과 이동보빈(50)이 고정축(20)과 이동축(40)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4]
실시예4는 도2에서의 각각의 홈(32, 52)들이 분리되어, 각각의 홈(32, 52)들이 도르레처럼 구성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2와 동일하다.
상기 홈(32, 52)이 각각 분리되어 있어도 줄(60)의 작동에는 차이가 없다.
이상 실시예1 내지 실시예4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새롭게 결합하거나, 일부를 변형하여 많은 실시예들을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상기 줄(60)은 전선이나 피아노선, 밧줄 등 다양한 줄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줄 권취장치를 다른 곳에 적용시킬 수도 있다.
예를들면,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1997-5214호(출원번호:20-1995-14720호)에도 태엽스프링을 이용하는 것보다 본 발명에 의한 줄 권취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전선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선의 길이를 훨씬 길게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무한대로 확장할 수 있으며 탄성력이 일정하며 탄성력을 잃지 않는 인장스프링을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선권취장치로 만드는 경우에는 전선의 일측말단이 꼬이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인장스프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패킹화가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줄의 복원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대향하는 양면에 레일이 설치된 하우징과;
    어느 하나는 상기 레일에 양말단이 위치하며, 다른 하나는 상기 레일 또는 상기 레일의 연장선에 위치하는 한쌍의 축과;
    상기 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한쌍의 보빈과;
    일측말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며, 타측말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상기 하우징, 축, 보빈 중 어느하나 또는 하나이상에 연결되며, 중앙은 상기 한쌍의 보빈을 내포하고 상기 보빈에 감겨있는 줄과;
    상기 한쌍의 축과 축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권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의 상기 타측말단은, 상기 축 및/또는 보빈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권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보빈의 원주면을 따라 상기 줄의 직경과 같거나 넓은 홈이 파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권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나선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권취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홈 단위로 분리되어 각각 도르레 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권취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줄의 상기 타측말단은, 상기 축 또는 보빈과 회전자유로 결합되는 연결수단을 매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권취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한쌍의 축과 축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권취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한쌍의 축과 축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권취장치.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한쌍의 축과 축 사이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권취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한쌍의 축과 축 사이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권취장치.
KR1020000072628A 2000-12-02 2000-12-02 줄 권취장치 KR200100163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628A KR20010016318A (ko) 2000-12-02 2000-12-02 줄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628A KR20010016318A (ko) 2000-12-02 2000-12-02 줄 권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318A true KR20010016318A (ko) 2001-03-05

Family

ID=19702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628A KR20010016318A (ko) 2000-12-02 2000-12-02 줄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6318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5675U (ko) * 1974-09-09 1976-03-17
JPS6274657U (ko) * 1985-10-30 1987-05-13
JPH01104579A (ja) * 1987-10-13 1989-04-21 Sumitomo Electric Ind Ltd 移動物体用ケーブル配線装置
JPH08143232A (ja) * 1994-11-16 1996-06-04 Giken Seisakusho Co Ltd ウォータージェットホースの巻取装置
KR970015745U (ko) * 1995-09-28 1997-04-28 전기코드 수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5675U (ko) * 1974-09-09 1976-03-17
JPS6274657U (ko) * 1985-10-30 1987-05-13
JPH01104579A (ja) * 1987-10-13 1989-04-21 Sumitomo Electric Ind Ltd 移動物体用ケーブル配線装置
JPH08143232A (ja) * 1994-11-16 1996-06-04 Giken Seisakusho Co Ltd ウォータージェットホースの巻取装置
KR970015745U (ko) * 1995-09-28 1997-04-28 전기코드 수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6987A (en) Take-up reel for tape containing conductors
TWI618888B (zh) 照明昇降裝置
KR930016634A (ko) 블라인드(blind)의 서스펜젼코드(suspension cord)를 감는 장치
CA1256524A (en) Cable vibration damper and method of installing
JPS636808Y2 (ko)
US20040007640A1 (en) Units for storing flexible elongated objects
US2051735A (en) Tensioning device for flexible members
KR20010016318A (ko) 줄 권취장치
KR101282882B1 (ko)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
CN107546690B (zh) 方便排线的埋墙线管
US4570866A (en) Line retractor
US10594118B1 (en) Cable routing system for electrified glass
US793845A (en) Automatic take-up device for telephone connections.
US4679234A (en) Telephone cord twist restrainer
US1253415A (en) Automatic reel and let-off for electric-lighting devices.
JP3726288B2 (ja) 昇降式照明器具
KR102159524B1 (ko) 기계식 브레이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계식 브레이크 시스템
CN208255488U (zh) 一种蝶形光缆
JPH0212649Y2 (ko)
US469895A (en) Charles deavs
CN2435379Y (zh) 可减少线径摩擦的卷线盒结构
JPH058299Y2 (ko)
JP2001228377A (ja) 光ファイバコード撚合わせ形ケーブル
JP2002258065A (ja) 光ファイバ余長収納箱
CN112830348A (zh) 一种通信线缆收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