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6277A - 냉동차량 장착용 보조 냉동시스템과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냉동차량 장착용 보조 냉동시스템과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6277A
KR20010016277A KR1020000071758A KR20000071758A KR20010016277A KR 20010016277 A KR20010016277 A KR 20010016277A KR 1020000071758 A KR1020000071758 A KR 1020000071758A KR 20000071758 A KR20000071758 A KR 20000071758A KR 20010016277 A KR20010016277 A KR 20010016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power
refrigerant
pressure side
refrig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1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0109B1 (ko
Inventor
김봉훈
Original Assignee
김봉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훈 filed Critical 김봉훈
Priority to KR1020000071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0109B1/ko
Publication of KR20010016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1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2Defrosting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7/00Refrigeration system using an engine for driving a compressor
    • F25B2327/001Refrigeration system using an engine for driving a compressor of the internal combusti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구동식 압축기를 이용하여 주 냉동시스템을 구성한 냉동차량에 있어서, 엔진이 정지 시에도 외부 교류전원을 이용하여 냉동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냉동차량 장착용 보조 냉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냉매가스를 압축하고 냉동유를 회수, 저장하는 교류전원 냉동 압축장치 결합체와 이를 냉동차량의 주 냉동 시스템 냉동배관에 접속시키는 연결배관 키트, 주 냉동시스템과 보조 냉동시스템의 냉매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냉매량 조절장치, 보조 냉동시스템의 작동을 조절하고 제어하는 전기제어장치 결합체등으로 구성되는 냉동차량 장착용 보조냉동 시스템과 이 시스템의 작동방법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하여 냉동효율과 내구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차량 장착 작업성과 사용상 편리성이 개선되고, 주 냉동장치에 접속하여 개별적으로 작동시킬 경우에도 냉동사이클 및 전기제어장치의 구성상 원활한 냉동기능의 수행이 가능한 냉동차량용 보조 냉동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냉동차량 장착용 보조 냉동시스템과 작동방법{The automobile supplementary refrigeratio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본 발명은 벨트구동식 압축기를 이용하여 주 냉동시스템을 구성한 냉동차량에 있어서, 엔진이 정지 시에도 외부 교류전원을 이용하여 냉동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냉동차량 장착용 보조 냉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냉동 저장식품의 운반 및 유통과정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식품 운반 시 냉동차량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있다. 주간에는 냉동차량이 운행되면서 엔진에 의하여 구동되는 주 냉동시스템으로 적재물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야간주차를 하는 경우나 불가피하게 엔진을 장시간 정지해야될 경우에는 냉동 적재물을 냉동창고로 재 하역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엔진 정지 시에도 냉동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보조 냉동 시스템이 필요하게 된다.
제1도와 제2도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제1도에서는 교류모터와 벨트 구동식 제2 압축기로 구성되는 압축 구동장치(610)가 차량 엔진동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주 냉동장치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주 냉동장치는 고압측 냉동배관(500), 제1 압축기(501), 응축기(502), 리시버건조기(503), 팽창장치(504), 증발기(505), 차압 감지 라인(506), 저압측 냉동배관(507)과 마그네틱 클러치(510)를 포함한다. 압축 구동장치(610)는 고압측 연결배관(600), 저압측 연결배관(601), 토출구(602), 흡입구(603), 마그네틱 클러치(604), 제2 압축기(605), 구동벨트(606), 교류모터(607), 전원박스(608), 교류전원(609)으로 구성된다.
주 냉동장치에서 제1 압축기(501)는 마그네틱 클러치(510)에 의하여 단속적으로 작동된다. 압축 구동장치(610)에서도 교류모터(607)와 마그네틱 클러치(604)에 의하여 제2압축기가 단속적으로 구동된다. 주 냉동장치(501)가 작동되면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는 제1압축기(501)의 토출구(501a)를 통하여 유출되나, 보조 냉동장치인 압축 구동장치(610)가 작동되면 제2압축기(605)의 토출구(602)에서 유출되어 고압 연결배관(600)을 통하여 응축기(502)에서 냉각된다. 응축기(502) 출구에서 냉매는 고압의 액체상태로 되어 리시버와 건조기(503)를 지나 팽창장치(504)에서 저온 저압의 냉매로 되어 증발기로 유입되고 냉동고 내부의 열을 흡수하여 저압의 냉매증기가 된다. 이 경우 팽창장치로 모세관이나 열감지식 팽창장치가 사용되며, 열감지식 팽창장치의 경우 차압 감지 라인(506)을 통하여 저압을 감지함으로써 팽창장치를 통하여 흐르는 냉매유량을 조절한다. 증발기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저압측 연결배관(601)을 통하여 제2압축기(605)의 흡입구(603)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엔진을 구동하지 않고 교류전원을 사용하여 모터로 제2 압축기를 구동함으로써 냉동고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교류모터를 사용하는 보조 냉동장치는 차량 장착 시 과도한 설치 공간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교류모터는 계속 작동되고 있어야 하므로 에너지효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교류모터의 회전수를 가변시키기 위해서는 삼상 유도교류모터 및 추가적인 회전수 제어용 인버터가 별도로 장착되어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제2도에서는 직류전원 압축기(707)와 엔진 구동력 또는 교류전원을 이용한 교류발전기(712)로 구성되는 냉동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 냉동장치는 고압측 냉동배관(500), 제1 압축기(501), 응축기(502), 리시버건조기(503), 팽창장치(504), 증발기(505), 차압 감지 라인(506), 저압측 냉동배관(507), 직류전원 압축기(707), 정류장치(710), 전자전환스위치(711), 교류발전기(712), 구동벨트(713), 엔진(512)으로 구성된다. 제1도에서 도시되었던 벨트 구동식의 제1 및 제2 압축기(501, 605)를 사용하지 않고 직류모터(709)를 장착한 압축기만을 사용하여 냉동장치를 형성하였다. 교류발전기(712)는 엔진(512)에 의하여 구동되는 경우 교류전력을 발생시키며 전자 전환스위치(711)를 통하여 정류장치에서 직류전력을 발생시키고 직류전원 압축기(707)를 구동시킨다. 엔진 정지 시에는 교류전원(714)을 사용하여 정류장치(710)에서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직류를 만든다.
제2도에 도시된 냉동장치에서는 교류발전기(712)를 엔진(512)의 풀리와 벨트(713)로 연결해야 하므로 실제로 냉동차량에 설치하는 경우 문제점을 수반하게 된다. 교류발전기가 냉동장치의 일부로 추가적으로 엔진룸에 장착되어야 하므로 설치공간 확보가 어려울 수도 있고 엔진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하여 차량의 주행성능과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교류를 발생시키고 이를 정류하여 직류전원 압축기(707)를 구동시키기 때문에 에너지효율의 저하와 아울러 냉동고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직류모터의 회전수를 엔진의 회전수와 연동하여 가변시켜야 하므로 이를 위한 전자 제어회로가 복잡하게 된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엔진동력에 의존하는 벨트구동식 압축기를 이용하여 주 냉동시스템을 구성한 냉동차량에 있어서, 엔진이 정지 시에도 외부 교류전원을 이용하여 냉동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냉동차량 장착용 보조 냉동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하여 냉동효율과 내구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차량 장착 작업성과 사용상 편리성이 개선되고, 주 냉동장치에 접속하여 개별적으로 작동시킬 경우에도 냉동사이클 및 전기제어장치의 구성상 원활한 냉동기능의 수행이 가능한 냉동차량용 보조 냉동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 1도 : 종래기술에 의한 냉동장치 개략도(교류모터와 벨트로 구동되는 보조 냉동장치)
제 2도 : 종래기술에 의한 냉동장치 개략도(교류발전기와 정류장치로 구동되는 보조 냉동장치)
제 3도 : 본 발명에 의한 교류전원 보조냉동장치 블럭도
제 4도 : 본 발명에 의한 교류전원 보조냉동장치의 전기회로도
제 5도 : 본 발명에 의한 교류전원 보조냉동장치 작동순서와 방법
*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설명
100 : 교류전원 보조 냉동장치의 차량 장착용 연결배관 키트
101 : 교류전원 보조 냉동장치의 차량 장착용 냉동 압축장치 결합체
102 : 교류전원 보조 냉동장치의 차량 장착용 전기제어장치 결합체
103 : 교류전원 보조 냉동장치의 차량 장착용 냉매량 조절장치
110 : 고압측 배관 연결용 티
111 : 고압측 압력릴레리
112a : 고압측 연결배관
112b : 저압측 연결배관
113 : 냉매 및 냉동유 역전 방지 체크밸브
114 : 고압측 연결배관 서비스 밸브
115 : 고압측 연결호스 결합체
116 : 저압측 배관 연결용 티
117 : 저압측 압력릴레이
118 : 저압측 연결배관 서비스 밸브
119 : 저압측 연결호스 결합체
120 : 차량 장착용 냉동장치 결합체의 고압측 서비스 밸브
121 : 차량 장착용 냉동장치 결합체의 저압측 서비스 밸브
122 : 차량 장착용 냉동장치 결합체의 액분리기
123 : 흡입라인 냉동유 회수용 연결 티
124 : 차량 장착용 냉동장치 결합체의 유분리기
125 : 교류전원 밀폐형 압축기
126 : 차량 장착용 케이스
127 : 차량 장착용 냉매량 조절장치의 리시버건조기
128a, 128b : 차량 장착용 냉매량 조절장치의 리시버탱크
129a, 129b, 129c, 129d, 129e : 냉매량 조절밸브
130 : 차량 장착용 냉매량 조절장치의 과냉도 표시창
131 : 냉동차량용 직류전원 제상 솔레노이드 밸브
150 : 차량 장착용 전기제어장치 결합체의 교류전원 압축기 ON/OFF 스위치
151 : 조절기 전원 ON/OFF 스위치
152 : 수동 제상 스위치
153 : 전기제어장치 결합체의 온도와 제상 조절기
154 : 전기제어장치 결합체의 전압강하용 변압기
155 : DC 12V용 정류장치
156 : 교류전원 출력단자
157 : 직류전원 출력단자
158 : 차량 장착용 케이스
170 : 220V 교류전원
200 : 전기제어장치 결합체의 마그네트 콘택트 릴레이
201 : 차량 장착용 냉동장치 결합체의 교류전원 압축기 과열방지 릴레이
202 : 차량 장착용 냉동장치 결합체의 교류전원 압축기 교류모터
203 : 조절기 전원공급장치
204 : 냉동고 온도 감지 써미스터
205 : 전기제어장치 결합체의 제상 조절 릴레이
206 : 보조 냉동장치 전기회로와 냉동차량의 증발기 팬 구동 전기회로와의 연결점
207 : 보조 냉동장치 전기회로와 냉동차량의 응축기 팬 구동 전기회로와의 연결점
208 : 보조 냉동장치 전기회로와 냉동차량의 제상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 전기회로와의 연결점
500 : 고압측 냉동배관
501 : 벨트 구동식 압축기
501a, 602, 708a : 압축기 토출구
501b, 603, 708b : 압축기 흡입구
502 : 응축기
503 : 리시버건조기
504 : 팽창밸브
505 : 증발기
506 : 차압 감지 라인
507 : 저압측 냉동배관
510, 604 : 마그네틱 클러치
511, 606, 713 : 구동벨트
512 : 냉동차량 엔진
600 : 고압측 연결배관
601 : 저압측 연결배관
605 : 제2 벨트구동 압축기
607 : 교류 모터
608 : 전원박스
609, 714 : 교류전원
610 : 제2 압축기 구동장치
707 : 직류전원 압축기
708 : 스크롤식 압축부
709 : 직류 모터
710 : 정류장치
711 : 전원 전자 스위치
712 : 교류발전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냉매가스를 압축하고 냉동유를 회수, 저장하는 교류전원 냉동 압축장치 결합체와 이를 냉동차량의 주 냉동 시스템 냉동배관에 접속시키는 연결배관 키트, 주 냉동시스템과 보조 냉동시스템의 냉매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냉매량 조절장치, 보조 냉동시스템의 작동을 조절하고 제어하는 전기제어장치 결합체등으로 구성되는 냉동차량 장착용 보조냉동 시스템을 제시한다.
교류전원 보조 냉동 시스템이 작동되는 경우 냉매는 교류전원 압축기에서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로 압축되어 토출되는데, 이 때 냉동유는 유분리기에서 분리되어 압축기의 흡입측으로 귀환되어 압축기로 유입된다. 냉매가스는 고압측 서비스 밸브와 연결하는 연결배관 키트의 고압측 연결호스 결합체와 이와 접속된 주 냉동장치의 고압측 냉동배관을 통하여 응축기로 유입된다. 응축기에서 냉매는 고압의 액체상태로 되어 유출되고 냉매량 조절장치를 통하여 냉매량이 조절되도록 한 후 팽창장치에서 저온 저압의 냉매로 되어 증발기로 유입되고 냉동고 내부의 열을 흡수한다. 따라서 증발기 출구에서는 냉매가 저온 저압의 냉매가스가 되고 저압측 냉동배관에 접속되는 연결배관 키트의 저압측 연결호스 결합체를 통하여 냉동 압축장치 결합체의 액분리기로 유입되어 기체상태의 냉매만 압축기로 흡입된다.
본 발명에서 교류전원 냉동압축장치 결합체는 저온 저압의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로 만드는 기능을 하며 밀폐형 압축기이외에도 반폐형(Semi-hermetic) 압축기나 가변속 압축기(Variable speed compressor)들도 적용할 수 있다. 이중에서 벨트구동형 압축기보다 높은 냉동효율을 갖는 교류전원 밀폐형 압축기를 적용하고, 또한 냉동용 압축기의 사용환경을 고려하여 부수적인 압축기 보호장치인 유분리기와 액분리기를 내장함과 동시에 보조 냉동장치의 과도한 고압의 상승과 저압의 하강을 방지할 수 있는 고압 압력 릴레이와 저압 압력 릴레이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치들을 차량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차량 장착용 케이스에 내장하고 토출측과 흡입측에는 각각 서비스 밸브나 솔레노이드 밸브를 부착하여 연결배관 키트의 접속을 편리하게 하여 필요한 경우 차량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갖는다.
연결배관 키트는 주 냉동시스템의 냉동배관과 교류전원 보조 냉동시스템의 냉동 압축장치 결합체를 연결해 주면서 냉동장치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유지해 줄 수 있는 보호장치로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그 외 서비스 밸브나 솔레노이드 밸브가 부착된 고압 연결배관과 저압 연결배관은 각각 유연성이 있는 고압측 연결호스 결합체와 저압측 연결호스 결합체로 접속되어 차량 설치상 편리성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냉매량 조절장치는 벨트구동식 압축기를 사용하는 주 냉동장치와 교류전원 밀폐형 압축기로 작동되는 보조 냉동장치간의 냉매 토출유량과 충입량의 차이에 의해서 발생되는 냉동성능저하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로, 2-4개의 리시버탱크를 리시버건조기에 병렬로 연결하고 입구와 출구측 연결관에 수동밸브나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여 차량의 주 냉동시스템이 작동 시에는 냉매를 각 리시버탱크에 선택적으로 저장하고 보조냉동시스템이 작동 시에는 리시버탱크의 냉매를 다시 회수하여 주 냉동시스템과 보조 냉동시스템의 냉매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수의 리시버탱크를 사용하지 않고 단일 리시버탱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리시버탱크를 적용할 수도 있다.
전기제어장치 결합체는 냉동고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고 응축기 및 증발기의 팬과 제상 솔레노이드 밸브를 전기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냉동장치의 성능을 유지하고 각종 기능을 선택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결합체에는 교류전원으로부터 교류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전력을 기동시키는 마그네트 콘택트 릴레이와 동시에 직류12V를 생성할 수 있는 변압기와 정류기가 내장된다. 그리고 냉동고의 온도를 조절하는 조절기와 각종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선택스위치 또는 릴레이로 구성되며 차량 장착을 위하여 케이스에 각 구성품을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교류전원 보조 냉동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교류전원 보조 냉동시스템은 제3도와 같이 차량의 주 냉동장치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차량의 주 냉동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냉동배관(500), 벨트구동식 압축기(501), 응축기(502), 팽창장치(504)
증발기(505), 차압감지라인(506), 마그네틱 클러치(510), 구동벨트(511)
엔진(512), 제상 솔레노이드 밸브(131)
이 중에서 냉동배관(500), 응축기(501), 팽창장치(504), 증발기(505), 제상 솔레노이드 밸브(131)는 교류전원 보조 냉동시스템과 공유된다. 교류전원 보조 냉동시스템은 제3도에서 다음과 같이 4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냉동 압축장치 결합체(101), 연결배관 키트(100)
냉매량 조절장치(103), 전기제어장치 결합체(102)
교류전원 보조 냉동시스템의 냉동사이클을 형성하기 위하여 냉동 압축장치 결합체(101)에서 냉매를 고온 고압의 가스상태로 압축시켜서 냉동사이클을 형성할 수 있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는 고압측 연결호스 결합체(115), 고압측 연결배관(112a), 주 냉동장치의 배관(500)을 통하여 응축기(502)로 유입되고, 이곳에서 냉각되어 고압의 과냉상태 액냉매로 변화된다. 이 액냉매는 냉매량 조절장치(103)를 통하여 표시창(130)에 의하여 과냉상태를 표시한 후 팽창장치(504)로 유입되어 저온 저압의 냉매로 변화된다. 이 저온의 냉매는 증발기(505)로 유입되고 냉동고 내부의 열을 흡수하여 저압의 냉매가스가 된 후 저압측 연결배관(112b), 저압측 연결호스 결합체(119)를 통하여 냉동 압축장치 결합체(101)로 복귀한다.
냉동 압축장치 결합체(101)는 단상 교류전원 밀폐형 압축기(125)와 압축기의 토출측에서 냉매와 함께 유출되는 냉동유를 분리하여 압축기의 흡입측으로 회수시키는 유분리기(124)와 흡입배관 연결 티(123),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 중에서 액체를 분리하는 액분리기(122), 해당 결합체(101)를 분리시키거나 또는 연결배관 키트(100)에 접속시키기 위한 고압측 서비스밸브(120)와 저압측 서비스밸브(121), 보조 냉동시스템의 작동압력이 설정된 고압과 저압을 벗어나는 경우 압축기를 보호하기 위한 고압 압력릴레이(111)와 저압 압력릴레이(117), 그리고 차량의 진동과 충격으로부터 각 구성품을 보호하고 차량에 장착시키기 위한 케이스(126)로 구성된다.
냉동 압축장치 결합체(101)에 있어서 제3도와 같이 고온 고압으로 토출된 냉매가스는 유분리기(124)로 유입되며 이곳에서 냉매와 함께 토출된 냉동유는 분리되어 압축기의 흡입측 연결 티(123)로 귀환되어 압축기(125)로 다시 유입된다. 유분리기(124)를 통과한 냉매는 고압측 서비스밸브(120)를 통하여 고압측 연결배관 키트(100)로 유입된다.
압축기(125)의 저압배관에 있어서 증발기(505)를 통과한 저압의 냉매는 저압측 서비스밸브(121)를 통하여 액분리기(122)로 유입된다. 유입되는 냉매 중에서 액체는 액분리기(122)에서 분리되고 기체상태의 냉매만 압축기(125)로 흡입된다. 냉동고의 온도가 0도 이하로 하강하면서 증발기에 착상(Frost)이 형성되고 열교환량이 급격히 감소됨에 따라서 증발기 출구의 냉매의 과열도가 낮아져 액냉매가 압축기에 흡입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러한 사용조건으로부터 압축기의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액분리기(122)가 설치된다.
또한 교류전원 밀폐형 압축기를 적용한 보조 냉동시스템에 있어서 유분리기는 (124)는 압축기 내부의 냉동유의 유면의 급격한 강하를 방지하여 압축성능을 유지한다. 차량 운행 시 발생하는 급속한 감속과 가속 또는 도로의 요철에 의한 수직방향의 충격은 압축기 내부의 유면을 불안정하게 한다. 벨트구동식 압축기(501)와 달리 일반적으로 밀폐형 압축기의 압축성능과 내구성은 유면의 안정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냉동차량에 있어서 증발온도는 섭씨 -15∼-10도 정도가 일반적이므로 증발온도가 낮아지면서 발생하는 냉동유의 회수성 저하로 인한 유면의 하강현상이 앞에서 언급된 차량 운행 시 발생하는 유면의 불안정현상과 중복되어 압축기 성능이 급격히 저하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축기의 토출측에 유분리기를 장착하여 냉동유가 압축기의 흡입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배관 연결 티를 통하여 압축기로 원활히 회수되도록 한다.
고압 압력 릴레이(111)는 교류전원 보조 냉동 시스템의 냉매압력이 설정압력보다 높을 경우 냉동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하여 압축기(125), 응축기(502), 증발기(505)의 전원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반대로 저압 압력 릴레이는 설정압력보다 낮을 경우에도 위 구성품들을 구동하는 전원을 차단하여 압축기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또는 저압이 과도하게 낮은 경우 발생하는 압축기의 윤활성 악화로 인한 소착현상으로부터 냉동시스템을 보호한다.
연결배관 키트(100)는 보조 냉동장치를 주 냉동장치의 냉동배관(500)에 연결시키는 고압측 연결배관(112a)와 저압측 연결배관(112b), 이 연결배관들과 냉동 압축장치 결합체(101)를 접속시키는 연결호스 결합체(115, 119)로 구성된다. 고압측 연결배관(112a)은 주 냉동장치의 고압측 배관에 설치되는 연결용 티(110)와 체크밸브(113), 고압측 서비스밸브(114)로 구성된다. 여기서 체크밸브(113)은 주 냉동장치가 기동되는 순간 벨트구동식 압축기(501)로부터 토출된 냉매와 냉동유가 보조 냉동장치의 고압측 연결배관(112a), 고압측 연결호스 결합체(115)와 냉동 압축장치 결합체의 유분리기(124)로 유입되어 집적되는 것을 방지한다. 벨트구동식 압축기(501)는 마그네틱 클러치에 의하여 급속히 기동되므로 기동되는 순간 냉동유가 냉매와 함께 토출되는 현상이 밀폐형 압축기보다 심하다. 냉동유가 팽창장치(504) 방향으로 토출되면 냉매를 따라서 유동되어 압축기(125)로 회수되나 고압측 연결배관(112a)의 방향으로 토출되는 현상이 반복되면 압축기(502)의 냉동유가 점점 유실되어 압축성능과 내구성이 저하된다. 체크밸브를 제3도와 같이 고압측 연결배관(112a)에 설치함으로써 냉매와 냉동유의 유동을 팽창장치(504)의 방향으로만 유지하도록 하여 벨트구동식 압축기(501)로부터 냉동유의 이탈을 방지하고 주 냉동장치의 냉동유의 보유량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한다.
냉매량 조절장치(103)는 주 냉동장치와 교류전원 보조 냉동장치의 냉매량을 조정해주는 기능을 한다. 양쪽 냉매회로는 냉동배관의 길이가 상이할 뿐만 아니라 냉매 순환량도 차이가 있다. 주 냉동장치의 벨트구동형 압축기(502)는 1회전당 토출량이 보조 냉동장치의 밀폐형 압축기(125)보다 3배이상 크고 냉방능력도 밀폐형 압축기를 적용한 보조 냉동장치보다 크다. 또한 응축기(502)의 크기와 냉각능력은 벨트구동형 압축기(502)의 냉방능력과 냉매토출량과 부합되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보조 냉동장치는 상대적으로 큰 응축기와 연결되고 냉매순환량이 낮으므로 팽창장치 입구의 냉매유동이 불안정하게 된다. 보조 냉동장치의 경우 안정된 냉매순환을 위해서는 주 냉동장치보다 더 많은 냉매를 충입하여 팽창장치 입구의 냉매유동을 안정화시키고 또한 고압을 상승시켜 과냉도를 확보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보조 냉동장치 위주의 냉매 충입량은 주 냉동장치 측면에서는 적정량보다 과도한 냉매량으로 고압을 과도하게 상승시켜 냉동능력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응축기(502) 출구, 팽창장치(504)의 입구에 리시버건조기(127)과 이에 병렬로 연결된 리시버탱크(128a, 128b), 냉매량 조절밸브(129a, 129b, 129c, 129d, 129e)와 표시창(130)으로 구성된 냉매량 조절장치를 제3도와 같이 설치한다. 보조 냉동장치를 가동시킨 상태에서 냉매량 조절밸브(129a)만 개방시키고 나머지 냉매량 조절밸브(129b, 129c, 129d, 129e)의 폐쇄시켜 응축기(502)를 통과한 냉매가 리시버건조기(127)를 통하여 유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보조 냉동시스템를 가동시키고 표시창의 냉매가 액상으로 되어 안정된 냉동사이클이 되도록 냉매를 충입한다. 이 상태에서 보조 냉동장치는 안정된 작동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벨트구동식 압축기(501)를 가동하여 주 냉동장치를 작동시키면 냉매 토출량이 높기 때문에 고압이 과도하게 상승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냉매량 조절밸브(129d, 129e)를 개방시키고 냉매량 조절밸브(129b, 129c)의 개도를 조절하여 냉매의 일부가 리시버탱크(128a, 128b)로 저장되도록 하여 고압상승을 방지하고 냉동성능을 유지한다.
주 냉동장치를 정지시키고 다시 보조 냉동장치를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리시버탱크(128a, 128b)에 저장되었던 냉매를 다시 회수하여 원래 보조 냉동장치가 보유한 냉매량으로 환원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냉매량 조절밸브(129d, 129e)를 닫은 상태에서 냉매는 리시버건조기(127)의 방향으로 유동되는데, 이때 리시버건조기(127) 출구의 냉매량 조절밸브(129a)를 교축시켜 리시버 탱크(128a, 128b) 출구의 압력을 탱크 내부의 압력이하로 유지시키고 냉매량 조절밸브를 개방시켜 탱크내부의 냉매를 회수한다. 회수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탱크출구의 냉매량 조절밸브(129 b, 129c)는 폐쇄되고 리시버건조기(127)출구의 냉매량 조절밸브(129a)는 개방된다.
전기제어장치 결합체는 냉동고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고 응축기 및 증발기의 팬과 제상 솔레노이드 밸브를 전기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냉동장치의 성능을 유지하고 각종 기능을 선택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결합체에는 단상 교류전원으로부터 교류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전력을 기동시키는 마그네트 콘택트 릴레이와 동시에 직류12V를 생성할 수 있는 변압기와 정류기가 내장된다. 그리고 냉동고의 온도를 조절하는 조절기와 각종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선택스위치 또는 릴레이로 구성되며 차량 장착을 위하여 케이스에 각 구성품을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제어장치 결합체(102)는 교류전원 보조 냉동장치의 작동을 조절하고 제어하는 전기장치 및 부품들의 결합체이다. 주요한 기능은 교류전원 압축기(125) 의 ON/OFF제어, 응축기(502) 및 증발기(505) 팬의 ON/OFF제어, 냉동고 온도조절, 제상기능 제어등 이다.
전기제어장치 결합체(102)에 있어서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된 것처럼 마그네트 콘택트릴레이(200)를 기동시켜 단상 교류전원을 출력시킴으로써 교류 압축기를 기동, 정지시키는 교류전원 압축기 ON/OFF스위치(150), 조절기(153)용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조절기 전원 ON/OFF스위치(151), 수동 제상스위치(152), 온도감지 써미스터(204)로 감지된 냉동고 온도를 설정된 목표온도와 비교하여 교류전원 압축기(125)를 자동으로 ON/OFF시킴으로써 냉동고 내부온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설정된 제상주기와 제상시간에 따라서 자동으로 제상기능을 수행하는 조절기(153), 220V 교류전력(170)을 교류 12V로 변화시키는 전압강하용 변압기(154), 교류 12V로부터 직류 12V전력을 만드는 정류장치(155), 교류전원 압축기(125)용 전력을 출력하는 교류전원 출력단자(156), 직류전원 출력단자(157), 차량 장착용 케이스(158), 교류전원 압축기(125)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과열방지 릴레이(201)와 압축기 교류모터(202), 조절기(153) 전원공급장치(203), 제상 조절 릴레이(205), 주 냉동장치의 증발기 팬을 구동하는 전기회로와의 연결점(206), 주 냉동장치의 응축기 팬을 구동하는 전기회로와의 연결점(207), 주 냉동장치의 제상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 전기회로와의 연결점(208)으로 구성된다.
전기제어장치 결합체(102)의 회로도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조절기 전원 스위치(151)를 ON시키면 조절기 전원공급장치(203)에 교류전원(170)이 공급되어 조절기(153)에 각종 제어 설정치를 입력할 수 있고 동시에 냉동고 내부의 온도가 온도 감지 써미스터(204)를 통하여 표시된다. 교류전원 압축기 스위치(150)를 ON시키고 냉동고의 현재온도가 조절기(153)의 압축기 OFF 설정온도보다 낮은 경우 조절기(153)의 접점 4, 5를 통하여 마그네트 콘택트 릴레이(200)의 a1 기동단자를 ON시킨다. 따라서 교류전원 압축기는 고압 압력 릴레이(111), 저압 압력 릴레이(117), 압축기 과열방지 릴레이(210)과 같은 각종 보호장치용 릴레이들의 접점이 모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만 기동이 가능하게 된다. 압축기 스위치(150)를 OFF시키거나 또는 조절기의 접점 4, 5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압축기(125)가 기동되지 못한다. 마찬가지로 조절기 접점 4, 5를 포함하여 보호장치용 릴레이들 중에서 어느 한 구성품이라도 접속되지 않는 경우에는 압축기가 기동되지 못한다.
압축기(125)가 기동됨과 동시에 전압강하용 변압기(154)와 정류장치(155)를 통하여 DC12V를 발생시키고 응축기(502) 및 증발기(505)의 팬을 기동시킨다. 여기서 증발기(505) 팬은 수동 제상 스위치(152)가 OFF상태인 경우, 그리고 조절기(153)의 제상기능이 작동되지 않아서 단자2와 단자3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상조절 릴레이(205)의 단자7을 통하여 릴레이를 기동시키고 단자3에서 단자1로 DC12V가 공급되어 증발기(505) 팬이 기동된다.
수동 제상 스위치(152)가 ON되는 경우에는 제상 솔레노이드 밸브(131)가 ON되어 밸브가 개방되고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가 증발기(505)로 유입되어 열교환기 표면의 서리를 녹여 제거한다. 이 경우 증발기(505)의 팬이 작동되면 냉매가스의 온도가 낮아져 제상을 위한 소요시간이 증가되므로 증발기(505) 팬을 정지시켜야 한다. 따라서 제상기능이 작동되면 제상 조절 릴레이(205)의 단자7에 기동전원이 중단되어 단자1로 DC12V의 공급도 또한 중지되어 증발기(505) 팬이 정지된다.
교류전원 보조 냉동장치를 자동운전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조절기(153)에 압축기 OFF온도를 설정한다. 온도감지 써미스터(204)가 냉동고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고 이 온도가 설정된 압축기 OFF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조절기(153)의 단자4, 5가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여 마그네트 콘텍트 릴레이(200)의 기동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교류전원 압축기(125)의 작동을 지속시킨다. 그리고 DC12V의 공급을 지속하여 증발기(505) 및 응축기(502) 팬의 작동을 유지시킨다. 계속적인 냉동으로 인하여 냉동고의 온도가 압축기 OFF 설정온도보다 낮은 경우 조절기(153)의 단자4와 5간의 접속이 단절되어 압축기(125), 응축기(502) 및 증발기(505) 팬의 작동이 정지된다.
자동 제상운전을 위해서는 조절기(153)에 제상주기(제상이 실시되는 시간간격, 예: 1시간)와 제상시간(제상기능 작동시간, 예 : 6분)을 설정한다. 조절기(153)의 자체 타이머에서 나타난 시간이 제상주기로 판정되면 조절기(153)의 단자2, 3은 단절되어 제상 조절 릴레이(205)의 기동단자인 단자7에 전원이 차단됨으로써 단자1을 통한 증발기(505) 팬의 작동이 정지된다. 그리고 단자1, 3이 연결되면 수동제상 스위치(152)가 OFF 상태인 경우 제상 조절 릴레이(205)의 단자5에 공급된 전원이 단자8로 접속되어 제상 솔레노이드 밸브(131)를 ON시킨다. 이 작동상태가 제상시간동안 유지되며 제상시간을 경과할 경우 조절기(153)의 단자1, 3의 접속은 차단되고 다시 단자 2, 3간의 접속이 시작되어 제상 솔레노이드 밸브(131)는 OFF상태로 복귀됨과 아울러 증발기(505) 팬이 재 작동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교류전원 보조 냉동장치의 작동 순서와 방법이 제 5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순서로 작동된다.
순서 1 : 교류전원 보조 냉동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차량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차량냉동장치를 OFF시킨다.
순서 2 : 그리고 제3도의 고압측 서비스밸브(114)와 저압측 서비스밸브(118)를 개방시켜서 주 냉동장치의 배관이 보조 냉동장치의 냉동 압축장치 결합체의 배관과 통하도록 한다.
순서 3 : 전기제어장치 결합체의 조절기 전원 스위치를 ON시키고 압축기가 OFF되는 온도 TOFF(냉동고의 목표온도 : 예 -15도)를 입력한다.
순서 4 : 제상주기 tDEF(제상기능이 반복되는 시간적 주기 : 예 1시간)를 입력한다.
순서 5 : 제상시간 △ tDEF(제상기능이 자동되는 시간 : 예 6분)를 입력한다.
순서 6 : 교류전원 압축기 스위치를 ON시켜 보조 냉동장치의 압축기(125), 응축기(502) 및 증발기(505) 팬을 작동시키며 제상 솔레노이드 밸브는 OFF상태(폐쇄상태)를 유지토록 한다.
순서 7 : 냉동고의 내부온도(T)를 압축기가 OFF온도와 비교하여 낮은 경우에는 교류전원 압축기(125), 응축기(502) 및 증발기(505) 팬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높은 경우에는 내부온도가 목표온도(TOFF)가 될 때까지 작동을 지속한다.
순서 8 : 조절기의 타이머 ON 시간이 제상주기 tDEF에 도달 시 제상 솔레노이드 밸브(131)를 ON시켜 밸브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증발기(505) 팬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제상주기에 미치기 이전이면 "순서 6"의 상태(제상 솔레노이드 밸브(131)는 OFF상태이고 증발기(505) 팬은 ON상태)를 유지한다.
순서 9 : 제상 솔레노이드 밸브(131)가 ON된 후 제상이 실시된 시간(△t)이 설정된 제상시간 △tDEF에 미치지 못하면 제상 솔레노이드 밸브(131)를 ON, 증발기(505) 팬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초과 시에는 "순서 6"의 상태(제상 솔레노이드 밸브(131)는 OFF상태이고 증발기(505) 팬은 ON상태)로 복귀된다. 즉 교류전원 압축기 스위치를 ON시켜 보조 냉동장치의 압축기(125), 응축기(502) 및 증발기(505) 팬을 작동시키며 제상 솔레노이드 밸브는 OFF상태(폐쇄상태)를 유지토록 한다.
순서 10 : "순서 6"(제상 솔레노이드 밸브(131)는 OFF상태이고 증발기(505) 팬은 ON상태)이후에 수동제상 스위치가 OFF된 상태이면 제상기능은 조절기의 입력된 설정값에 따라서 "순서7"과 "순서8"과 같이 자동적으로 제어된다. ON상태이면 조절기에 입력된 설정값과 무관하게 수동 제상기능이 실시되어 제상 솔레노이드 밸브(131)를 ON, 증발기(505) 팬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가 된다.
순서 11 : 교류전원 압축기 스위치를 OFF시키면서 냉동장치의 압축기(125)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동시에 응축기(502) 및 증발기(505) 팬도 정지시키며 제상 솔레노이드 밸브(131)는 OFF상태(폐쇄상태)가 된다.
순서 12 : 교류전원 스위치를 OFF시켜 조절기의 전원을 차단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새로운 냉동차량용 교류전원 보조 냉동 시스템을 제시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을 이루고자 한다.
냉동차량의 엔진이 정지해 있는 경우에도 외부 상용 교류전원에 의하여 작동되는 보조 냉동장치를 가동시켜서 적재물의 온도를 기준에 부합되게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대량의 적재물을 운반하는 냉동차량의 경우 임시보관이나 야간주차가 불가피한 경우에도 적재물을 매일 냉동창고에 재 하역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이 냉동식품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교류전원 밀폐형 압축기를 적용함으로써 야간주차 또는 임시보관 시 교류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냉동장치(제1도의 종래기술)나 엔진과 교류발전기에 의하여 작동되는 종래기술(제2도)보다 높은 열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냉동장치의 주요 부품들인 응축기, 증발기, 팽창장치 및 냉동배관을 차량의 주 냉동장치와 공유하고 차체에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종래기술과 비교 시 설치의 편리성이 향상되고 냉동 시스템의 성능과 내구성도 개선된다.
따라서 고효율 밀폐형 압축기와 사용환경을 고려하여 부수적인 압축기 보호장치인 유분리기(124)와 액분리기(122)를 내장함으로써 압축기의 내구성 증대되고, 주 냉동장치의 냉동배관과 교류전원 보조 냉동장치(101)을 연결배관(112a, 112b)과 유연성이 있는 연결호스 결합체(115, 119)로 연결해 주면서 보조 냉동장치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다.
냉매량 조절장치(103)로 주 냉동장치와 보조 냉동장치간의 냉매 토출유량과 충입량의 차이에 의해서 발생되는 냉동성능저하를 방지하고 성능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교류전원 보조 냉동장치의 차량 장착용 전기제어장치 결합체(102)에 의하여 냉동고 내부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동시에 보조 냉동시스템의 사용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19)

  1. 냉동차량의 엔진동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벨트구동식 압축기를 사용한 냉동장치에 있어서, 엔진이 정지된 경우에도 외부 교류전원으로 구동되는 냉동 압축장치 결합체(101)에 의하여 냉매가 고온 고압으로 압축되고, 고압측 연결배관 키트을 통하여 응축기로 유입되어 고압의 액냉매가 되고, 냉매량 조절장치를 통과하면서 냉매량이 조절된 후에 팽창장치에서 저온 저압으로 변화되어 증발기로 유입되고, 냉동고 내부의 열을 흡수하여 저압의 냉매가스로 되어 저압측 연결배관 키트를 통하여 냉동 압축장치 결합체로 다시 흡입됨으로써 냉동사이클을 형성하는 보조 냉동장치와 이를 제어하는 전기제어장치 결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교류전원 보조 냉동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교류전원 밀폐형 압축기를 적용하여 냉매를 압축하고, 냉매와 함께 토출된 냉동유를 분리하여 회수하는 유분리기, 압축기의 흡입구로 유입된 액냉매를 분리하는 액분리기, 고압측과 저압측 냉매압력을 조절하는 고압 압력 릴레이와 저압 압력 릴레이, 차량 냉동시스템의 배관과 연결배관을 통하여 접속되는 고압측 서비스밸브와 저압측 서비스밸브가 설치된 차량 장착용 케이스로 구성되는 냉매 압축장치 결합체를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교류전원 보조 냉동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고압측 서비스밸브와 저압측 서비스밸브가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차량 장착용 교류전원 보조 냉동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압축기가 교류전원 반폐형(Semi-hermetic) 압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교류전원 보조 냉동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압축기가 가변속 압축기(Variable speed compress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교류전원 보조 냉동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냉동 압축장치 결합체의 고압측 서비스밸브를 차량 냉동장치의 고압측 배관에 접속시키는 고압측 연결배관과 고압측 서비스밸브 그리고 고압측 연결호스 결합체, 냉동 압축장치 결합체의 저압측 서비스밸브를 차량 냉동장치의 저압측 배관에 접속시키는 저압측 연결배관과 저압측 서비스밸브 그리고저압측 연결호스 결합체, 고압측 연결배관에 설치되어 있는 냉동유 유출방지용 체크밸브로 구성되는 연결배관 키트(100)를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교류전원 보조 냉동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고압측 연결배관의 고압측 서비스밸브와 저압측 연결배관의 저압측 서비스밸브가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교류전원 보조 냉동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고압측 연결호스 결합체와 저압측 연결호스 결합체가 유연성 있는 고무호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교류전원 보조 냉동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의 주 냉동장치와 교류전원 압축기로 작동되는 보조 냉동장치간의 냉매량을 조절하는 장치로, 리시버건조기와 냉매량 조절밸브로 형성된 배관에 병렬로 설치된 2-4개의 리시버탱크와 조절밸브의 조합과 팽창장치 입구에 설치된 냉매의 과냉도를 표시하는 과냉도 표시창으로 구성되는 냉매량 조절장치(103)를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교류전원 보조 냉동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냉매량 조절밸브가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교류전원 보조 냉동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리시버탱크가 가변용량의 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교류전원 보조 냉동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단상 220V 교류전원으로부터 직류12V를 생성할 수 있는 변압기와 정류기로 형성되는 직류 전원공급장치, 교류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전력을 기동시키는 마그네트 콘택트 릴레이, 그리고 냉동고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고 응축기와 증발기의 팬과 제상 솔레노이드 밸브를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보조 냉동장치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선택스위치와 릴레이로 구성되며, 차량 장착을 위하여 케이스에 각 구성품을 내장하는 전기제어장치 결합체(102)를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교류전원 보조 냉동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마그네트 콘택트 릴레이의 출력단자에 직렬로 압축기의 과열방지 릴레이와 전기모터회로, 저압 압력릴레이와 고압 압력릴레이를 설치하고 선택스위치에 의하여 기동되도록 하여 상기의 모든 릴레이들이 접속상태이고 그리고 조절기의 압축기 전원 릴레이가 접속된 경우에만 압축기가 작동되도록 구성된 차량 장착용 교류전원 보조 냉동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마그네트 콘택트 릴레이의 출력단자에 병렬로 직류전원 공급장치를 설치하여 선택스위치와 조절기의 압축기 전원 릴레이에 의하여 마그네트 콘택트 릴레이가 기동되어 압축기가 작동되는 경우에 증발기와 응축기의 팬도 동시에 작동되고, 압축기가 정지되는 경우 상기 팬이 정지되도록 구성된 차량 장착용 교류전원 보조 냉동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직류 전원 공급장치의 출력회로에 선택스위치와 직류릴레이, 조절기의 제상 릴레이를 접속하여, 선택스위치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제상 솔레노이드 밸브를 ON시키고 동시에 증발기 팬을 정지시키고, 조절기의 제상 릴레이가 접속되어 자동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를 ON시키고 동시에 증발기 팬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교류전원 보조 냉동시스템.
  16. (1) 차량 냉동장치를 OFF시키고.
    (2) 조절기 전원 스위치를 ON시키고
    (3) 압축기가 OFF되는 온도를 입력하고
    (4) 제상주기 입력하고
    (5) 제상시간 입력하고
    (6) 교류전원 압축기 스위치를 ON시켜 보조 냉동장치의 압축기, 응축기와 증발기 팬을 작동시키며 제상 솔레노이드 밸브는 OFF상태를 유지하고
    (7) 냉동고의 내부온도를 압축기가 OFF온도와 비교하여 낮은 경우에는 교류전원 압축기, 응축기와 증발기 팬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높은 경우에는 내부온도가 목표온도가 될 때까지 작동을 지속하여
    (8) 조절기의 타이머 ON 시간이 제상주기에 도달 시 제상 솔레노이드 밸브를 ON시켜 밸브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증발기 팬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제상주기에 미치지 못하면 순서 "(6)"의 상태(제상 솔레노이드 밸브는 OFF상태이고 증발기 팬은 ON상태)를 유지하여
    (9) 제상 솔레노이드 밸브가 ON된 후 제상이 실시된 시간이 설정된 제상시간 에 미치지 못하면 제상 솔레노이드 밸브를 ON, 증발기 팬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초과 시에는 순서 (6)의 상태(제상 솔레노이드 밸브는 OFF상태이고 증발기 팬은 ON상태)로 복귀되고, 교류전원 압축기 스위치를 ON시켜 보조 냉동장치의 압축기, 응축기와 증발기 팬을 작동시키며 제상 솔레노이드 밸브는 OFF상태를 유지토록 하여
    (10) 순서 "(6)"(제상 솔레노이드 밸브는 OFF상태이고 증발기 팬은 ON상태)이후에 수동제상 스위치가 OFF된 상태이면 제상기능은 조절기의 입력된 설정값에 따라서 순서"(7)"과 순서"(8)"과 같이 자동적으로 제어되고, ON상태이면 조절기에 입력된 설정값과 무관하게 수동 제상기능이 실시되어 제상 솔레노이드 밸브를 ON, 증발기 팬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가 되고
    (11) 교류전원 압축기 스위치를 OFF시키면서 냉동장치의 압축기(125)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동시에 응축기(502)와 증발기(505) 팬도 정지시키며 제상 솔레노이드 밸브(131)는 OFF상태가 되고
    (12) 교류전원 스위치를 OFF시켜 조절기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보조 냉동 시스템 작동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증발기 출구의 온도와 압력을 감지하여 제상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냉동시스템 작동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외기온도와 습도를 감지하여 제상시간을 증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냉동시스템 작동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외기온도와 냉동고의 내부온도간의 차이를 감지하여 압축기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냉동시스템 작동방법.
KR1020000071758A 2000-11-21 2000-11-21 냉동차량 장착용 보조 냉동시스템과 작동방법 KR100350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758A KR100350109B1 (ko) 2000-11-21 2000-11-21 냉동차량 장착용 보조 냉동시스템과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758A KR100350109B1 (ko) 2000-11-21 2000-11-21 냉동차량 장착용 보조 냉동시스템과 작동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7411U Division KR200230154Y1 (ko) 2000-12-26 2000-12-26 냉동차량 장착용 보조 냉동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277A true KR20010016277A (ko) 2001-03-05
KR100350109B1 KR100350109B1 (ko) 2002-09-05

Family

ID=19702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1758A KR100350109B1 (ko) 2000-11-21 2000-11-21 냉동차량 장착용 보조 냉동시스템과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010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642B1 (ko) * 2007-07-10 2008-03-25 이형주 냉동탑차용 냉동장치
KR101695475B1 (ko) 2016-11-21 2017-01-26 하이코주식회사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
CN107415642A (zh) * 2016-05-24 2017-12-01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物流车货舱的预冷系统与方法
KR20210136538A (ko)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냉동탑차용 냉동시스템
KR20210136536A (ko)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냉동탑차용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10136539A (ko)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냉동탑차용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10136533A (ko)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냉동탑차용 냉동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933B1 (ko) * 2002-08-29 2005-01-13 (주)코라이드 냉동 차량용 냉동장치 제어장치
KR101352850B1 (ko) 2012-09-24 2014-01-24 주식회사 윌링스 냉동 탑차용 인버터 시스템 및 그 인버터 시스템을 구비하는 냉동 탑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3137B2 (ja) * 1988-01-29 1994-12-14 神鋼電機株式会社 車載用冷凍庫制御装置
JP3106151B2 (ja) * 1993-06-25 2000-11-06 庄一 古浜 冷凍装置を装備したガスエンジン搭載車輌
JP2000085449A (ja) * 1998-09-09 2000-03-28 Mitsubishi Motors Corp 車載用冷却装置
JP4282117B2 (ja) * 1998-09-30 2009-06-17 中部車体株式会社 冷凍システム、冷凍システム付冷凍車、冷蔵システム、冷蔵システム付冷蔵車、冷房システム及び冷房システム付普通乗用車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642B1 (ko) * 2007-07-10 2008-03-25 이형주 냉동탑차용 냉동장치
CN107415642A (zh) * 2016-05-24 2017-12-01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物流车货舱的预冷系统与方法
KR101695475B1 (ko) 2016-11-21 2017-01-26 하이코주식회사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
KR20210136538A (ko)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냉동탑차용 냉동시스템
KR20210136536A (ko)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냉동탑차용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10136539A (ko)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냉동탑차용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10136533A (ko)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냉동탑차용 냉동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0109B1 (ko) 200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64045B (zh) 在用于交通工具的容器的制冷系统的电池模式期间控制压缩机速度、蒸发器风扇速度和冷凝器风扇速度的系统和方法
US3866433A (en) Auxiliary refrigeration power means
EP1146299B1 (en) Integrated electronic refrigerant management system
US6688125B2 (en) Refrigerating apparatus for use in vehicles, using an engine as power source
US4286438A (en) Condition responsive liquid line valve for refrigeration appliance
EP2823239B1 (en) Intelligent compressor flooded start management
WO2018005978A1 (en) System and method of mode-based compressor speed control for refrigerated vehicle compartment
KR100816642B1 (ko) 냉동탑차용 냉동장치
JPH0445373B2 (ko)
KR100350109B1 (ko) 냉동차량 장착용 보조 냉동시스템과 작동방법
KR101147393B1 (ko) 냉동차량용 냉각장치
CA2014348A1 (en)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with stand-by compressor drive motor also operable as a generator
KR100841257B1 (ko) 냉동탑차용 에어컨 겸용 냉동장치
WO2012144664A1 (ko) 냉동차량용 냉각장치
KR200230154Y1 (ko) 냉동차량 장착용 보조 냉동시스템
KR101186467B1 (ko) 냉동, 냉장 및 온장 식품 운반용 차량의 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JPH11182946A (ja) 冷凍装置
KR20090083543A (ko) 고출력 발전기를 구비한 냉동차량용 냉동장치
JP2002323280A (ja) 冷凍車
JP2003083621A (ja) 海上レフユニット
JP2004028503A (ja) 車両輸送用冷凍装置
JPH0381072B2 (ko)
JP7208063B2 (ja) 輸送用冷凍機械
JP7208066B2 (ja) 輸送用冷凍機械
JP2020143818A (ja) 輸送用冷凍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