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5939A - 통신용 멀티키입력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용 멀티키입력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5939A
KR20010015939A KR1020000017128A KR20000017128A KR20010015939A KR 20010015939 A KR20010015939 A KR 20010015939A KR 1020000017128 A KR1020000017128 A KR 1020000017128A KR 20000017128 A KR20000017128 A KR 20000017128A KR 20010015939 A KR20010015939 A KR 20010015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key input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7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7553B1 (ko
Inventor
김성태
Original Assignee
김성태
모바일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40227A external-priority patent/KR19990084148A/ko
Application filed by 김성태, 모바일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성태
Priority to KR10-2000-0017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7553B1/ko
Publication of KR20010015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5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5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22Electrolytes; Absorb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G4/00 - H01G11/00
    • H01G13/04Drying; Impregn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용 정보 작성시 입력 시간이 절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보 검색이 보다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통신용 멀티키입력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 사용시 이동통신 단말기와 접속되어 키입력 및 정보 확인이나 검색을 지원하는 별도의 멀티키입력 장치가 구비됨으로써 키입력시 정확한 내용을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고, 아울러 이동통신 단말기보다 더 큰 화면을 통해 정보 확인이나 검색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넷 이용 활성화에 기여하여 향후 팩스-투-이메일(Fax-to-Email), 이메일-투-팩스 통신이 가능한 새로운 통신수단으로의 발전이 기대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통신용 멀티키입력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The method of multi-key input for communication}
본 발명은 통신용 멀티키입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신용 정보 작성시 입력 시간이 절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보 검색이 보다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통신용 멀티키입력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를 이용한 서비스산업은 컴퓨터 통신과 인터넷(Internet)의 급격한 확산과 함께 인터넷을 이용하여 원격 사용자간에 이메일(E-Mail) 등의 각종 정보를 교류하는 일에서부터 웹(Web)을 이용한 금융, 쇼핑, 교육 및 오락 사업, 물품 판매 및 구매 등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다.
이러한, 인터넷 확산과 아울러 이동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유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와 동시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인터넷 접속이 가능토록 형성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 사용도 증가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인터넷 접속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인터넷 자동 접속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되는 동시에 인터넷 사용을 위한 키버튼이 추가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가 일련의 메시지를 작성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상대방과 송수신하기 위해,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버튼을 적절히 조합하여 인터넷 접속을 시도한 후에 문자 종류를 선택하고 숫자 또는 문자, 간단한 이미지의 메시지를 작성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보면서 자신이 입력한 메시지가 정확히 입력되는지를 확인하게 되고, 메시지 작성이 완료되면 상대방의 주소를 지정한 후에 송신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대방에게 인터넷망을 통해 메시지가 전송되면 메시지 확인을 위한 해당 키버튼을 누른 후에 LCD를 통해 메시지 내용을 확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메시지의 송수신 전자메일 기능뿐만 아니라 인터넷망을 통한 정보 검색 등에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경우에는 사용자가 전자메일 작성시 키버튼을 여러 번 조작하거나 조합시켜야 하므로 복잡하고 장시간 소요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LCD 크기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작은 화면으로 인해 메시지 확인이나 정보 검색에 어려움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 사용시 이동통신 단말기와 접속되어 키입력 및 정보 확인이나 검색을 지원하는 별도의 멀티키입력 장치가 구비됨으로써 키입력시 정확한 내용을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고, 아울러 이동통신 단말기보다 더 큰 화면을 통해 정보 확인이나 검색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는 통신용 멀티키입력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멀티키입력 장치의 전체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 구성요소인 키입력 및 화면 출력부분이 도시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멀티키입력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 : 이동통신단말기 5a : 카메라
10 : 전원공급수단 20 : 접속수단
30 : 키보드 40 : 마이컴
50 : 클록신호 발생부 61, 62 : 롬 및 램
70 : LCD 81 : 데이터 통신 케이블
85 : 지지수단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통신용 멀티키입력 장치의 특징에 따르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인터넷(Internet) 접속이 가능토록 통신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가 접속되는 접속수단과, 상기 접속수단에 이동통신단말기가 접속된 경우에 사용자의 키조작에 의해 정보 작성 및 송수신에 관한 각종 기능이 선택되도록 다수의 키버튼으로 이루어진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에서 선택된 기능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정보의 송수신이 수행되도록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동작의 시간 기준을 위해 주기적인 클록신호를 생성 출력시키는 클록신호발생부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송수신되는 메시지나 영상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통신용 멀티키입력 방법의 특징에 따르면, 시스템에 전원이 공급되면 초기화 기능을 수행한 후에 시스템의 정상 동작 유무를 조사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조사 결과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 오류 내용을 화면 출력하고 시스템 동작을 중지시키고, 그 조사 결과가 정상 상태인 경우에 키입력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제2 단계와; 사용자가 정보 작성 및 송수신을 위해 키입력을 수행하면 상기 입력된 키의 해당 기능에 따라 특정 프로세스 진행, 모드전환, 정보 작성, 정보의 송수신 결정에 관한 동작이 수행되는 동시에 그 키입력 상태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멀티키입력 장치의 전체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구성요소인 키입력 및 화면 출력 부분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로서 이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시스템에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10)과, 인터넷 사용이 가능토록 통신 프로그램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5)가 접속되는 접속수단(20)과, 상기 접속수단(20)에 이동통신 단말기(5)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공급수단(1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정보 작성 및 송수신을 위해 조작되는 키보드(30)와, 상기 키보드(3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전달받아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반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컴(40)과, 상기 마이컴(40)의 동작 시간 기준 신호로서 주기적인 클록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마이컴(40)으로 출력하는 클록신호 발생부(50)와, 상기 마이컴(40)의 제어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롬(ROM; 61) 및 램(RAM; 62)과, 상기 마이컴(40)의 제어에 따라 현재 송수신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LCD(70)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5)가 접속수단(20)에 접속되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5)를 지지하는 지지수단(85)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키보드(30)와 이동통신 단말기(5)는 데이터 통신 케이블(81)로 연결되는데 데이터 통신 케이블(81)은 키보드 연결시 시리얼 혹은 USB 커넥터 만 아니라 그 외에 다른 커넥터로 해당 신호의 호환성을 갖추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접속수단(20)은 RS-232C 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5)에는 카메라(5a)가 장착되어 있어 자체 화상 전화나 화상 통신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에도 적용되어 카메라(5a)를 이용한 화상 정보 작성 및 화상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5)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양방향 페이저(Pager)도 적용되며, 인터넷 접속 기능 외에도 개인정보 관리 기능이 추가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개인정보 관리 기능은 일종의 전자 수첩과 유사한 기능으로서 전원공급수단(1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접속수단(20)에 이동통신 단말기(5)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에 키보드(30)로 전화번호나 특정 정보를 입력하여 그 정보를 롬(61) 및 램(62)에 저장시켜 두었다가 필요한 경우에 롬(61) 및 램(62)에서 읽어들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도 3에 도시된 통신용 멀티키입력 방법의 순서도를 참고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단계에서는 전원공급수단(10)에 의해 시스템에 전원이 공급되게 되고, 제2 단계에서는 시스템 초기화 기능이 수행되게 된다.(S1 및 S2 참조)
그 후, 제3 단계에서는 시스템 자체 검사를 수행하여 정상 동작이 가능한지를 스스로 판별하게 된다.(S3 참조) 상기 제3 단계(S3)의 판별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에 제4 단계에서는 현재 시스템이 오류 상태임을 표시하는데 오류 정정이 용이하도록 미리 정해진 오류 코드 범위에서 해당 오류 코드를 표시하고 시스템을 종료하게 된다.(S4 참조)
그런데, 상기 제3 단계(S3)의 판별 결과가 '예'인 경우에 제5 단계에서는 LCD(70)에 프롬프트(Prompt) 및 블랭킹(Blacking)을 출력하여 키입력 대기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S5 참조)
제6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키입력이 시도되는지를 감시하고(S6 참조), 상기 제6 단계(S6)의 감시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에는 다시 제5 단계(S5)로 되돌아가지만 상기 제6 단계(S6)의 감시 결과가 '예'인 경우에는 제7 단계에서 현재 사용자가 입력한 키버튼이 기능키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7 참조)
제8 단계에서는 상기 제7 단계(S7)의 판단 결과가 '예'인 경우에 사용자가 현재 입력한 기능키에 해당되는 프로세스를 진행시키게 된다.(S8 참조) 그런데, 제9 단계에서는 상기 제7 단계(S7)의 판단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에 메시지에 관한 정보입력 모드로 전환하고, 제10 단계에서는 이메일 및 SMS용 메시지를 작성하게 된다.(S9 및 S10 참조)
제11 단계에서는 상기 제10 단계(S10)에서 작성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상대방 주소를 지정한 후에 전송 키버튼을 누르게 되면 송신 확인 메시지가 출력되게 된다.(S11 참조)
제12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다음 키입력을 시도하는지를 감시하고(S12 참조), 그 감시 결과가 '예'인 경우에는 상기 제7 단계(S7)로 되돌아가서 제8 내지 제11 단계(S8∼S11)를 반복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12 단계(S12)의 감시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에는 제13 단계에서 전원공급수단(10)에 의해 전원공급이 오프(Off)되기 전까지 키입력 대기 상태로 있게 된다.(S13 참조)
상기에서, 본 발명은 메시지 작성 및 송신을 일례로 설명하고 있지만,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도 키보드(30)의 특정 키버튼을 이용해 LCD(70)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을 통한 정보 검색이나 기타 인터넷 관련 기능,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5)간의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롬(61) 및 램(62)과 같은 데이터 저장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 외에도 인쇄 작업이나 컴퓨터와의 정보 송수신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70) 부분과 키보드(30) 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접이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LCD(70)와 키보드(30)가 같은 평면상에 설치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통신용 멀티키입력 장치 및 그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 사용시 이동통신 단말기와 접속되어 키입력 및 정보 확인이나 검색을 지원하는 별도의 멀티키입력 장치가 구비됨으로써 키입력시 정확한 내용을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고, 아울러 이동통신 단말기보다 더 큰 화면을 통해 정보 확인이나 검색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넷 이용 활성화에 기여하여 향후 팩스-투-이메일(Fax-to-Email), 이메일-투-팩스 통신이 가능한 새로운 통신수단으로의 발전이 기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인터넷(Internet) 접속이 가능토록 통신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가 접속되는 접속수단과, 상기 접속수단에 이동통신단말기가 접속된 경우에 사용자의 키조작에 의해 정보 작성 및 송수신에 관한 각종 기능이 선택되도록 다수의 키버튼으로 이루어진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에서 선택된 기능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정보의 송수신이 수행되도록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동작의 시간 기준을 위해 주기적인 클록신호를 생성 출력시키는 클록신호발생부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송수신되는 메시지나 영상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멀티키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접속수단에 이동통신단말기가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스템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 전화번호나 특정 정보가 기록 및 저장되도록 개인정보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멀티키입력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는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인쇄 출력, 컴퓨터로의 정보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멀티키입력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접속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멀티키입력 장치.
  5. 시스템에 전원이 공급되면 초기화 기능을 수행한 후에 시스템의 정상 동작 유무를 조사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조사 결과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 오류 내용을 화면 출력하고 시스템 동작을 중지시키고, 그 조사 결과가 정상 상태인 경우에 키입력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제2 단계와; 사용자가 정보 작성 및 송수신을 위해 키입력을 수행하면 상기 입력된 키의 해당 기능에 따라 특정 프로세스 진행, 모드전환, 정보 작성, 정보의 송수신 결정에 관한 동작이 수행되는 동시에 그 키입력 상태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멀티키입력 방법.
KR10-2000-0017128A 1999-09-17 2000-04-01 이동통신단말기용 멀티키 입력장치 KR100427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128A KR100427553B1 (ko) 1999-09-17 2000-04-01 이동통신단말기용 멀티키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227 1999-09-17
KR1019990040227A KR19990084148A (ko) 1999-09-17 1999-09-17 이동통신 단말기용 키보드
KR10-2000-0017128A KR100427553B1 (ko) 1999-09-17 2000-04-01 이동통신단말기용 멀티키 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5939A true KR20010015939A (ko) 2001-03-05
KR100427553B1 KR100427553B1 (ko) 2004-04-17

Family

ID=26636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128A KR100427553B1 (ko) 1999-09-17 2000-04-01 이동통신단말기용 멀티키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75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885A (ko) * 2001-11-07 2003-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를 통한 휴대폰의 상태정보 표시 방법
KR100607841B1 (ko) * 1999-12-08 2006-08-04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입력 기기 자동 재구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2754A (ko) * 1996-04-12 1997-11-07 남수헌 문자 데이타 송수신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65845A (ko) * 1997-01-15 1998-10-15 김광호 와이어리스 컴퓨터 통신 시스템
KR100256660B1 (ko) * 1997-08-29 2000-05-15 윤종용 개인용컴퓨터의키보드를이용한휴대형정보단말기의키입력방법
US5941648A (en) * 1998-10-21 1999-08-24 Olivetti Office U.S.A., Inc. Personal digital assistant having a foldable keyboard compon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841B1 (ko) * 1999-12-08 2006-08-04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입력 기기 자동 재구성 방법
KR100742525B1 (ko) * 1999-12-08 2007-08-02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무선 통신 단말 및 무선 통신 단말의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재구성하는 방법
KR20030038885A (ko) * 2001-11-07 2003-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를 통한 휴대폰의 상태정보 표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7553B1 (ko) 200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5592A (en) Portable telephone unit and indication adapter
US5884186A (en) Portable radio apparatus equipped with function to display received messag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process system used for portable radio apparatus
CN100594448C (zh) 操作装置和遥控系统
CA2256927C (en) Portable radio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screen operating method,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020037745A1 (en) Radio apparatus for storing and managing data to be processed by data-processing apparatuses, by using peripheral apparatuses that can perform radio communication, and a data management method
JP3642251B2 (ja) 携帯情報端末装置および情報通信システム
JP4255567B2 (ja) 移動電話装置
US6615254B1 (en) Terminal apparatus to enable use of an internet connection line
KR20010015939A (ko) 통신용 멀티키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060580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문자 폰트 변경 장치 및 그 방법
JP2006059117A (ja) 携帯端末
US67719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main-sub relation of electronic appliances
CN101610312B (zh) 一种备注信息管理方法、系统及移动终端
KR100337732B1 (ko) 정보단말기를 이용한 온라인 주문 방법
JPH10173802A (ja) 情報通信機能付充電器、情報通信機能付充電システム、並びに、充電中情報通信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JP2000307768A (ja) 縦横表示変換機能を有する電子装置
JP2007095097A (ja) Icカード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装置ならびにicカード
JP2000112799A (ja) 入力情報の分類記憶方法および情報記憶装置
KR200354482Y1 (ko) 아동용 이미지 표시 장치
KR100362146B1 (ko) 바코드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바코드 전송 방법
JP3912374B2 (ja) 携帯情報端末装置および情報通信システム
KR1012622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메시지 저장 방법
JPH11112706A (ja) データ通信装置、データ通信装置の登録方法、登録プログラムの記憶媒体
KR100208782B1 (ko) Ic카드를 이용한 메모기능 처리방법
US20030210238A1 (en) Digital image display stand, digital image display system, and use method of digital image display st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