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5727A - 가공성이 양호한 중합체 혼합물 - Google Patents

가공성이 양호한 중합체 혼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5727A
KR20010015727A KR1020007003858A KR20007003858A KR20010015727A KR 20010015727 A KR20010015727 A KR 20010015727A KR 1020007003858 A KR1020007003858 A KR 1020007003858A KR 20007003858 A KR20007003858 A KR 20007003858A KR 20010015727 A KR20010015727 A KR 20010015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mixture
ethylene
ethylene copolymer
copolymer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3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0488B1 (ko
Inventor
페터 바우어
마르틴 룩스
디이터 릴게
우베 팔러
Original Assignee
스타르크, 카르크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르크, 카르크,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스타르크, 카르크
Publication of KR20010015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5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4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16Making expandable particles
    • C08J9/18Making expandable particles by impregnating polymer particles with the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6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4/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way of preparation
    • C08L2314/06Metallocene or single site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밀도가 0.91 ∼ 0.93 g/cm3, HLMFR (190 ℃/21.6 kg)이 5 ∼ 60 g/10 분, 분자량 분포 Mw/Mn이 3 이하인 에틸렌 공중합체(A) 40 중량% 이상 85 중량% 미만, 및 밀도가 0.93 ∼ 0.945 g/cm3, HLMFR (190 ℃/21.6 kg)이 8 ∼ 20 g/10 분, 분자량 분포 Mw/Mn이 7 이상인 에틸렌 공중합체(B) 15 중량% 초과 60 중량% 이하 (상기 각각의 경우, 중량%는 성분(A) 및 성분(B)의 총량을 기준으로 함)를 함유하는 중합체 혼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가공성이 양호한 중합체 혼합물{Polymer Mixture with Good Workability}
본 발명은 밀도가 0.91 ∼ 0.93 g/cm3, HLMFR (190 ℃/21.6 kg)이 5 ∼ 60 g/10 분, 분자량 분포 Mw/Mn이 3 이하인 에틸렌 공중합체(A) 40 중량% 이상 85 중량% 미만, 및 밀도가 0.93 ∼ 0.945 g/cm3, HLMFR (190 ℃/21.6 kg)이 8 ∼ 20 g/10 분, 분자량 분포 Mw/Mn이 7 이상이고 에틸렌 공중합체(A)와는 상이한 에틸렌 공중합체(B) 15 중량% 초과 60 중량% 이하 (상기 각각의 경우, 중량%는 성분(A) 및 성분(B)의 총량을 기준으로 함)를 포함하는 중합체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중합체 혼합물의 필름 제조용 용도, 이러한 중합체 혼합물을 사용하는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중합체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필름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어 메탈로센 촉매반응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분자량 분포가 좁은 에틸렌 공중합체는 특히 유리한 기계적 특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 이들의 가공성은 만족스럽지 못하다. 따라서, 지금까지, 기계적 특성을 심각하게 손상시키기 않으면서 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한 많은 시도가 행해져 왔다.
자유 라디칼 고압 중합법에 의해 수득되는 LDPE는 이러한 에틸렌 공중합체에 대해 많은 면에서 상보적인 거동을 나타낸다: LDPE는 매우 신속하게 가공될 수 있으나 기계적 특성이 불량하다. 이러한 이유로, 메틸로센 촉매반응을 통해 제조된 에틸렌 공중합체를 LDPE와 혼합하는 실험이 수행되었다. 이러한 중합체 혼합물은 예를들어 WO 95/27005호에 기재되어 있다.
EP-B-0 662 989호에는 유사하게 LDPE 및 기타 에틸렌 공중합체와 메탈로센 공중합체의 배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메탈로센-LLDPE 성분은 0.92 g/cm3미만의 밀도를 갖는다. 제2 성분으로서, LDPE 뿐만 아니라 LLDPE 및 VLDPE도 언급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성분은 메탈로센 성분의 융점보다 10 ℃ 이상 높은 융점 및 그의 융점보다 2 ℃ 이상 낮은 배향 온도를 갖고 있어야 한다. 제2 성분의 분자량 분포는 어떠한 특정 요건을 갖지 않는다.
WO 90/03414호에는, 혼합물의 성분들이 동일한 분자량 및 상이한 공단량체 함량을 갖거나 또는 동일한 공단량체 함량 및 상이한 분자량을 갖거나 또는 분자량에 따라 증가되는 공단량체 함량을 갖는, 각종 에틸렌 공중합체의 혼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혼합물의 모든 성분들은 3 이하의 좁은 분자량 분포 Mw/Mn를 갖고 있다.
양호한 기계적 특성과 양호한 가공성을 조합하는 면에서, 공지된 에틸렌 공중합체 혼합물에는 여전히 요망 사항이 남아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호한 기계적 특성과 양호한 가공성이 조합되고, 특히 필름의 제조에 적절한 에틸렌 공중합체 기재의 중합체 혼합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목적이 서두에 기재된 중합체 혼합물, 그의 필름 제조용 용도, 이러한 중합체 혼합물이 사용되는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중합체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필름을 통해 달성됨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표현 "HLMFR"은 통상적으로 "고하중 용융 유동율"을 의미하며, 언제나 21.6 kg의 하중하에 190 ℃에서 결정된다 (190 ℃/21.6 kg).
본 발명의 중합체 혼합물은 필수 성분으로서 에틸렌 공중합체 (A) 및 (B)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에틸렌 공중합체 (A)는, 밀도가 0.91 ∼ 0.93 g/cm3, 바람직하게는 0.915 ∼ 0.925 g/cm3의 범위이고, 분자량 분포 Mw/Mn이 3 이하이다. 그의 HLMFR은 5 ∼ 60 g/10 분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0 ∼ 40 g/10 분의 범위이다.
공중합체 (A)에서 에틸렌 이외에도 개별적으로 또는 상호간의 혼합물로서 공중합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 공단량체로는, 3 내지 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모든 α-올레핀, 예를들면 프로펜, 부텐, 펜텐, 헥센, 4-메틸펜텐, 헵텐 및 옥텐이 있다. 공중합체 (A)는 바람직하게는 공단량체 단위로서 펜텐, 헥센, 4-메틸펜텐 또는 옥텐을 공중합된 형태로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헥센이다. 공단량체는 일반적으로 에틸렌 공중합체 (A)를 기준으로하여 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중량%, 및 특히 1 내지 8 중량%의 양으로 에틸렌 공중합체 (A)중에 공중합된 형태로 존재한다. 공중합체 (B)중에 공중합된 형태로 존재하는 공단량체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중합체 혼합물에 있어서, 에틸렌 공중합체 (A)는 에틸렌 공중합체 (A) 및 (B)의 총 질량의 40 중량% 이상 85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중량%를 차지한다.
에틸렌 공중합체 (A)는 원칙적으로, 요구되는 좁은 질량 분포를 갖는 생성물을 생성하는 임의의 촉매 또는 촉매계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촉매로는 단일-자리 촉매, 예를들면 메탈로센 촉매, 아자알릴 또는 β-디케티미네이트 리간드를 지닌 촉매, 또는 Pd 또는 Ni를 기재로 하고 치환된 디아자부타디엔 리간드를 지닌 촉매가 있다.
존재하는 에틸렌 공중합체 (A)가 메탈로센 촉매반응을 통해 제조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인 중합체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중합반응은 예를들면 기상 중합, 현탁 중합, 용액 중합 또는 고압 중합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현탁 중합 또는 기상 중합에서 사용되는 촉매계는 바람직하게는
a) 무기 또는 유기 지지체,
b) 메탈로센 착체, 및
c) 메탈로세늄 이온을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
을 포함하는 것이다.
사용되는 지지체 재료 a)는 입경이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0 μm, 특히 30 내지 70 μm 범위인 미분된 지지체이다. 적절한 무기 지지체는 예를들면 염화마그네슘 또는 실리카겔,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SiO2·a Al2O3(여기서, a는 0 내지 2,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5의 범위임)의 것인, 즉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또는 이산화규소이다. 이러한 제품은 예를들면, 그레이스 (Grace)로부터 실리카겔 332로 시판된다. 적절한 유기 지지체는 예를들면 미분된 폴리올레핀, 예컨대 미분된 폴리프로필렌이다.
지지체 a)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지지체 a) 및 메탈로센 착체 (성분 b))의 총량을 기준으로하여 50 내지 99.9 중량%이다.
특히 적절한 메탈로센 착체 b)는 하기 화학식 I의 것이다.
식 중, 치환기들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M은 티탄, 지르코늄, 하프늄, 바나듐, 니오븀 또는 탄탈, 특히 지르코늄이고,
X는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수소, C1∼C10-알킬, C6∼C15-아릴, 알킬 라디칼중의 탄소수가 1 내지 10개이고 아릴 라디칼중의 탄소수가 6 내지 20개인 알킬아릴, -OR7또는 -NR7R8이고,
R7및 R8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이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C1∼C10-알킬, C6∼C15-아릴, 알킬아릴, 아릴알킬, 플루오로알킬 또는 플루오로아릴 (알킬 라디칼중의 탄소수가 1 내지 10개이고 아릴 라디칼중의 탄소수가 6 내지 20개임)이며,
R2내지 R6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 C1∼C10-알킬, 치환기로서 C1∼C10-알킬기를 포함할 수도 있는 5원 내지 7원 시클로알킬, C6∼C15-아릴 또는 아릴알킬 (여기서, 2개의 인접한 라디칼은 함께 탄소수 4 내지 15개의 포화 또는 불포화 고리기를 형성할 수도 있음), 또는 Si(R9)3(여기서, R9는 C1∼C10-알킬, C3∼C10-시클로알킬 또는 C6∼C15-아릴임)이고,
Z는 X 또는
[식 중, 라디칼 R10내지 R14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C1∼C10-알킬, 치환기로서 C1∼C10-알킬기를 포함할 수도 있는 5원 내지 7원 시클로알킬, C6∼C15-아릴 또는 아릴알킬 (여기서, 2개의 인접한 라디칼은 함께 탄소수 4 내지 15개의 포화 또는 불포화 고리기를 형성할 수도 있음), 또는 Si(R15)3(여기서, R15는 C1∼C10-알킬, C6∼C15-아릴 또는 C3∼C10-시클로알킬임)임]이거나, 또는
라디칼 R5및 Z는 함께 -R16-A1-기
[식 중, R16,,,,,, =BR17, =AlR17, -Ge-, -Sn-, -O-, -S-, =SO, =SO2, =NR17, =CO, =PR17또는 =P(O)R17이고,
R17, R18및 R19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C1∼C10-알킬기, C1∼C10-플루오로알킬기, C6∼C10-플루오로아릴기, C6∼C10-아릴기, C1∼C10-알콕시기, C2∼C10-알케닐기, C7∼C40-아릴알킬기, C8∼C40-아릴알케닐기 또는 C7∼C40-알킬아릴기이거나 또는 인접한 2개의 라디칼이 이들을 연결하는 원자와 함께 고리를 형성하고,
M2는 규소, 게르마늄 또는 주석이고,
A1는 -O-, -S-,또는이고,
R20은 C1∼C10-알킬, C6∼C15-아릴, C3∼C10-시클로알킬, 알킬아릴 또는 Si(R21)3이고,
R21은 수소, C1∼C10-알킬, 치환기로서 C1∼C4-알킬기를 포함할 수도 있는 C6∼C15-아릴, 또는 C3∼C10-시클로알킬임]를 형성하거나, 또는
라디칼 R5및 R13은 함께 -R16-기를 형성한다.
화학식 I의 메탈로센 착체 b)중에서, 바람직한 것은 하기 화학식 Ia 내지 Id의 화합물들이다.
리간드로서 2개의 방향족 고리계를 함유하는 전이 금속 착체, 즉 특히 화학식 Ib 또는 Ic의 전이 금속 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라디칼 X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Ia의 화합물중에서, M이 티탄, 지르코늄 또는 하프늄이고, X가 염소, C1∼C4-알킬 또는 페닐이고, R2내지 R6이 수소 또는 C1∼C4-알킬인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화학식 Ib의 화합물중에서, M이 티탄, 지르코늄 또는 하프늄이고, X가 염소, C1∼C4-알킬 또는 페닐이고, R2내지 R6이 수소, C1∼C4-알킬 또는 Si(R9)3이고, R10내지 R14가 수소, C1∼C4-알킬 또는 Si(R15)3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시클로펜타디에닐 라디칼들이 동일한 화학식 Ib의 화합물이 특히 유용하다.
화학식 Ib의 특히 유용한 화합물의 예로는 비스(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비스(펜타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비스(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비스(에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비스(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비스(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및 또한 상응하는 디메틸지르코늄 화합물이 있다.
화학식 Ic의 특히 유용한 화합물은
R2및 R10이 동일하고 수소 또는 C1∼C10-알킬이며,
R6및 R14가 동일하고, 수소,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또는 tert-부틸이며,
R4및 R12가 C1∼C4-알킬이고, R3및 R11이 수소이거나, 또는 2개의 인접한 라디칼 R3및 R4또는 R11및 R12가 함께 탄소수 4 내지 12개의 고리기를 형성하며,
R16또는이며,
M이 티탄, 지르코늄 또는 하프늄이며,
X가 염소, C1∼C4-알킬 또는 페닐인 화합물이다.
화학식 Ic의 특히 유용한 착체의 예로는 디메틸실란디일비스(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란디일비스(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란디일비스(테트라히드로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에틸렌비스(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에틸렌비스(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에틸렌비스(테트라히드로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테트라메틸에틸렌-9-플루오레닐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란디일비스(3-tert-부틸-5-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란디일비스(3-tert-부틸-5-에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란디일비스(2-메틸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란디일비스(2-이소프로필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란디일비스(2- tert-부틸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디에틸실란디일비스(2-메틸인데닐)지르코늄 디브로마이드, 디메틸실란디일비스(3-메틸-5-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란디일비스(3-에틸-5-이소프로필시클로펜타디에틸)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란디일비스(2-메틸벤즈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란디일비스(2-에틸벤즈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메틸페닐실란디일비스(2-에틸벤즈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메틸페닐실란디일비스(2-메틸벤즈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디페닐실란디일비스(2-메틸벤즈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디페닐실란디일비스(2-에틸벤즈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및 디메틸실란디일비스(-2-메틸인데닐)하프늄 디클로라이드, 및 상응하는 디메틸지르코늄 화합물이 있다.
화학식 Id의 특히 유용한 화합물은
M이 티탄 또는 지르코늄이고,
X가 염소, C1∼C4-알킬 또는 페닐이고,
R16또는이고,
A1이 -O-, -S- 또는이고,
R2내지 R4및 R6이 수소, C1∼C10-알킬, C3∼C10-시클로알킬, C6∼C15-아릴 또는 Si(R9)3이거나, 또는 2개의 인접한 라디칼이 함께 탄소수 4 내지 12개의 고리기를 형성하는 화합물이다.
이러한 착체의 합성은 그 자체로 공지된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방법은 적절히 치환된 고리형 탄화수소 음이온을 티탄, 지르코늄, 하프늄, 바나듐, 니오븀 또는 탄탈의 할라이드와 반응시키는 것이다.
적절한 제조 방법의 예는 예를들어, 문헌 [Journal of Organometallic Chemistry, 369 (1989), 359-370]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각종 메탈로센 착체 b)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메탈로세늄 이온을 형성할 수 있는 적절한 화합물 c)로는 비하전된 강루이스산, 루이스산 양이온을 함유하는 이온결합 화합물 및 양이온으로서 브뢴스테드산을 함유하는 이온결합 화합물이 있다.
비하전된 강루이스산으로서는,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M3X1X2X3
식 중,
M3은 주기율표의 IIIa족의 원소, 특히 B, Al 또는 Ga, 바람직하게는 B이고,
X1, X2및 X3은 수소, C1∼C10-알킬, C6∼C15-아릴, 각각 알킬 라디칼중의 탄소수가 1 내지 10개이고 아릴 라디칼중의 탄소수가 6 내지 20개인 알킬아릴, 아릴알킬, 할로알킬 또는 할로아릴, 또는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특히 할로아릴, 바람직하게는 펜타플루오로페닐이다.
X1, X2및 X3가 동일하고, 바람직하게는 트리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란인 화학식 II의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루이스산 양이온을 함유하는 적절한 이온결합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이다.
[(Ya+)Q1Q2…Qz]d+
식 중,
Y는 주기율표의 주족 I 내지 VI 또는 전이금속 족 I 내지 VIII의 원소이고,
Q1내지 Qz는 C1∼C28-알킬, C6∼C15-아릴, 각각 아릴 부분중의 탄소수가 6 내지 20개이고 알킬 부분중의 탄소수가 1 내지 28개인 알킬아릴, 아릴알킬, 할로알킬 또는 할로아릴, 치환기로서 C1∼C10-알킬기를 포함할 수도 있는 C3∼C10-시클로알킬, 할로겐, C1∼C28-알콕시, C6∼C15-아릴옥시, 실릴 또는 메르캅틸기와 같은 단일 음하전 기이고,
a는 1 내지 6의 정수이고,
z는 0 내지 5의 정수이고,
d는 a-z의 차이값이지만, d는 1보다 크거나 같다.
특히 유용한 루이스산 양이온은 카르보늄 양이온, 옥소늄 양이온 및 술포늄 양이온 및 양이온계 전이금속 착체이다. 특히 트리페닐메틸 양이온, 은 양이온 및 1,1'-디메틸페로세닐 양이온을 언급할 수 있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비배위 반대이온을 가지며, 특히 WO 91/09882호에 언급된 바와 같은 붕소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이다.
양이온으로서 브뢴스테드산 및 바람직하게는 마찬가지로 비배위 반대이온을 함유하는 이온결합 화합물은 WO 91/09882호에 언급되어 있으며, 바람직한 양이온은 N,N-디메틸아닐리늄이다.
메탈로세늄 이온을 형성할 수 있는 특히 유용한 화합물 c)는 하기 화학식 IV 또는 화학식 V의 개환 또는 고리형 알루미녹산 화합물이다.
식 중, R1은 C1∼C4-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에틸이고, m은 5 내지 30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의 정수이다.
이러한 올리고머 알루미녹산 화합물의 제조는 통상 트리알킬알루미늄의 용액을 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되며, 예를들면 EP-A 284 708호 및 US-A 4,794,096호에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방식으로 수득되는 올리고머 알루미녹산 화합물은 다양한 길이의 직쇄 및 고리쇄 분자의 혼합물 형태이며, 따라서 m은 평균값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알루미녹산 화합물은 또한 다른 금속 알킬,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알킬과의 혼합물로 존재할 수 있다.
메탈로세늄 이온을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 c)로서, US-A 5,391,793호에 기재된 아릴옥시알루미녹산, US-A 5,371,260호에 기재된 아미노알루미녹산, EP-A 633 264호에 기재된 아미노알루미녹산 히드로클로라이드, EP-A 621 279호에 기재된 실록시알루미녹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체 혼합물에 존재하는 에틸렌 공중합체 (B)의 분자량 분포는 에틸렌 공중합체 (A)보다 더 넓고, 공중합체 (B)의 Mw/Mn은 7 이상이다. 에틸렌 공중합체 (B)의 밀도는 0.93 내지 0.945 g/cm3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932 내지 0.940 g/cm3의 범위이다. 이 성분의 HLMFR은 8∼20 g/10 분, 바람직하게는 10∼15 g/10 분의 범위이다.
공중합체의 유형 및 공중합체내에 공중합된 형태로 존재하는 그의 양에 대해서는, 에틸렌 공중합체 (A)의 공단량체에 관해 상기 설명된 내용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에틸렌 공중합체 (B)내에서 에틸렌 외에 공중합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 공단량체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의 중합체 혼합물중에서, 에틸렌 공중합체 (B)는 에틸렌 공중합체 (A) 및 (B)의 총량의 15 중량% 초과 6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중량%를 차지한다.
에틸렌 공중합체 (B)는 각종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에틸렌 공중합체 (B)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기상, 용액 또는 현탁 중합법과 같은 각종 중합 방법이 적합하다. 에틸렌 공중합체 (B)는 또한 현탁 또는 기상 중합 방법, 특히 유동층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한 촉매계로는 특히 당업자에게 일반적으로 공지된 지글러 또는 필립스 촉매계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존재하는 에틸렌 공중합체 (B)가 크롬 담지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인 중합체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촉매계는 예를들면 US-A-2825721, EP-B-589350 및 EP-B-537590에 기재되어 있다.
에틸렌 공중합체 (A) 및 (B)를 주성분으로 하는 본 발명의 중합체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분포 Mw/Mn이 3 내지 7이다.
추가로 (Mw/Mn)×1.1보다 크거나 같은 분자량 분포값 Mz/Mw을 갖는 중합체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Mz/Mw값은 3.5 ∼ 8이다.
에틸렌 공중합체 (A) 및 (B)와는 별개로, 본 발명의 중합체 혼합물은 그 자체로 공지된 보조제 및(또는) 첨가제, 예를들면 가공 안정화제, 광안정화제 및 열안정화제, 윤활제, 블로킹 방지제 및 대전방지제와 같은 통상의 필름 첨가제, 및 원한다면 착색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이러한 첨가제의 유형 및 사용량에 익숙할 것이다.
또한, 플루오로엘라스토머를 소량 혼합하면 본 발명의 중합체 혼합물의 가공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이러한 플루오로엘라스토머는 가공 보조제로서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들면 상표명 Viton및 Dynamar(예를들어 US-A 3125547 참조)로 시판된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중합체 혼합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1000 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 ppm의 양으로 첨가된다.
본 발명의 중합체 혼합물의 제조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예를들면 분말로서의 성분을 과립기, 예를들어 이축 혼련기 또는 파렐 혼련기내에 공급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더욱이, 과립 혼합물은 또한 필름 제조 유닛에서 직접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체 혼합물은 발포 필름 및 캐스트 필름 유닛에서 높은 산출량으로 필름을 제조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의 중합체 혼합물로 제조된 필름은 매우 양호한 기계적 특성, 높은 내충격성 및 높은 인열저항성과 함께 양호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다. 이들은 포장 부문, 고-강도 대형 포대 포장 및 식품 부문에 특히 적합하다. 또한, 필름의 차단 경향이 낮으므로, 윤활제 및 차단 방지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또는 이들을 단지 소량 사용하고도 기계를 통해 가공되어 나올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한다.
하기 에틸렌 공중합체 (A) 및 (B)로부터 과립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에틸렌 공중합체 (A)
루프 반응기에서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현탁 중합법으로 하기 특성을 갖는 에틸렌-헥센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MFR (190 ℃/2.16 kg): 1.7 g/10 분
HLMFR (190 ℃/21.6 kg): 26 g/10 분
밀도 : 0.917 g/cm3
헥센 함량: 5.5 중량%
Mw: 116,000 g/몰
Mn: 47,000 g/몰
Mw/Mn: 2.5
에틸렌 공중합체 (B)
크롬 담지 촉매를 사용하여 기상 유동층 중합법으로 하기 특성을 갖는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B)를 제조하였다:
HLMFR (190 ℃/21.6 kg): 13 g/10 분
밀도 : 0.938 g/cm3
헥센 함량: 2.5 중량%
Mw: 233,000 g/몰
Mn: 23,000 g/몰
Mw/Mn: 10.0
에틸렌 공중합체 (A) 및 (B)는 각각 1500 ppm의 가공 안정화제 IrganoxB 215 (제조회사: Ciba Geigy) 및 50 ppm의 플루오로엘라스토머 DynamarFX 9613 (제조회사: Dyneon)를 함유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1에 나타낸 중량 비율로의 혼합물로서 발포 필름 가공 기계에 공급하였다. 발포 필름 유닛 (Windmoeller & Hoelscher)는 60 mm의 스크류 직경, 장벽 스크류, 225 mm의 다이 직경 및 1 mm의 다이 간격 폭을 갖는다. 발포 비율은 1:2.5이었다. 과립 혼합물을 40 μm 두께의 필름으로 가공하였다.
분자량 분포 및 유도된 평균값 Mn, Mw및 Mz은 DIN 55672에 따른 고온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은 다음과 같이, 본 발명의 중합체 혼합물의 유리한 특성을 증명하였다: 혼합물은 순수한 메탈로센 공중합체의 경우에 비해 현저히 양호한 산출량으로 매우 양호하게 필름으로 가공될 수 있었다. 생성된 필름은 기계적 특성 및 광학적 특성 모두가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Claims (10)

  1. 밀도가 0.91 ∼ 0.93 g/cm3, HLMFR (190 ℃/21.6 kg)이 5 ∼ 60 g/10 분, 분자량 분포 Mw/Mn이 3 이하인 에틸렌 공중합체(A) 40 중량% 이상 85 중량% 미만, 및 밀도가 0.93 ∼ 0.945 g/cm3, HLMFR (190 ℃/21.6 kg)이 8 ∼ 20 g/10 분, 분자량 분포 Mw/Mn이 7 이상인 에틸렌 공중합체(B) 15 중량% 초과 60 중량% 이하 (상기 각각의 경우, 중량%는 성분(A) 및 성분(B)의 총량을 기준으로 함)를 포함하는 중합체 혼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분자량 분포 Mw/Mn이 3 ∼ 7인 중합체 혼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분자량 분포 Mz/Mw값이 (Mw/Mn)×1.1과 같거나 그 이상인 중합체 혼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 공중합체 (A) 및(또는) 에틸렌 공중합체 (B)에 존재하는 공중합체가 헥센인 것인 중합체 혼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존재하는 에틸렌 공중합체 (A)가 메탈로센 촉매반응을 통해 제조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인 것인 중합체 혼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존재하는 에틸렌 공중합체 (B)가 크롬 담지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인 것인 중합체 혼합물.
  7.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 공중합체 (A) 및 (B) 외에 플루오로엘라스토머를 더 포함하는 중합체 혼합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중합체 혼합물의 필름 제조용 용도.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중합체 혼합물을 사용하는, 필름의 제조 방법.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중합체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필름.
KR1020007003858A 1997-10-11 1998-09-18 가공성이 양호한 중합체 혼합물 KR1005504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45047A DE19745047A1 (de) 1997-10-11 1997-10-11 Polymermischung mit guter Verarbeitbarkeit
DE19745047.4 1997-10-11
PCT/EP1998/005942 WO1999019400A1 (de) 1997-10-11 1998-09-18 Polymermischung mit guter verarbeitbarke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5727A true KR20010015727A (ko) 2001-02-26
KR100550488B1 KR100550488B1 (ko) 2006-02-09

Family

ID=7845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3858A KR100550488B1 (ko) 1997-10-11 1998-09-18 가공성이 양호한 중합체 혼합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350814B1 (ko)
EP (1) EP1023389B1 (ko)
JP (1) JP4212233B2 (ko)
KR (1) KR100550488B1 (ko)
CN (1) CN1102943C (ko)
AT (1) ATE222594T1 (ko)
DE (2) DE19745047A1 (ko)
ES (1) ES2182359T3 (ko)
WO (1) WO19990194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849B1 (ko) * 2005-06-21 2007-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국부적인 불순물 영역을 갖는 cmos 이미지 소자 및 그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7502A (ja) 1999-08-13 2003-02-25 バーゼル、ポリオレフィン、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エチレンおよびC3−C12α−オレフィンの共重合体
EP1236209B2 (en) 1999-11-30 2014-04-09 PRYSMIAN Kabel und Systeme GmbH Electrical cable having a hardgrade-epr insulation
US6388017B1 (en) 2000-05-24 2002-05-14 Phillips Petroleum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a polymer composition
CN100406475C (zh) 2002-12-20 2008-07-30 巴塞尔聚烯烃有限公司 乙烯和α-烯烃的共聚物
EP1572360B1 (en) 2002-12-20 2008-06-25 Basell Polyolefine GmbH Monocyclopentadienyl complexes
US7238748B2 (en) * 2003-08-20 2007-07-03 Dupont Performance Elastomers L.L.C. Process aid for metallocene catalyzed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JP4752187B2 (ja) * 2004-03-24 2011-08-17 東ソー株式会社 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
US7309741B2 (en) * 2004-06-01 2007-12-18 Nova Chemicals (International) S.A. Polyolefin blends and pipe
DE102004027332A1 (de) 2004-06-04 2005-12-22 Basell Polyolefine Gmbh Übergangsmetallverbindung, Ligandsystem, Katalysatorsyste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olefinen
DE102005006402B3 (de) * 2005-02-11 2006-08-31 Siemens Ag Sensorvorrichtung und System
DE102005057559A1 (de) * 2005-11-30 2007-05-31 Basell Polyolefine Gmbh Übergangsmetallverbindung, Ligandsystem, Katalysatorsyste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olefinen
DE102007017903A1 (de) 2007-04-13 2008-10-16 Basell Polyolefine Gmbh Polyethylen und Katalysatorzusammensetzung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8435911B2 (en) * 2008-10-16 2013-05-07 Basell Polyolefine Gmbh Hybrid catalyst composition for polymerization of olefins
JP7279300B2 (ja) * 2017-03-28 2023-05-23 東ソー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よりなる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513721A (ko) 1953-01-27 1900-01-01
US3125547A (en) 1961-02-09 1964-03-17 Extrudable composition consisting of
US4794096A (en) 1987-04-03 1988-12-27 Fina Technology, Inc. Hafnium metallocene catalyst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EP0284708B1 (en) 1987-04-03 1996-01-31 Fina Technology, Inc. Metallocene catalyst systems for olefin polymerization having a silicon hydrocarbyl bridge.
EP0389611B1 (en) 1988-09-30 1997-06-04 Exxon Chemical Patents Inc. Linear ethylene interpolymer blends of interpolymers having narrow molecular weight and composition distributions
ATE122688T1 (de) 1990-01-02 1995-06-15 Exxon Chemical Patents Inc Ionische metallocenkatalysatoren auf träger für olefinpolymerisation.
ATE148905T1 (de) * 1992-09-16 1997-02-15 Exxon Chemical Patents Inc Weiche filme mit verbesserten physikalischen eigenschaften
ES2096949T3 (es) 1992-10-02 1997-03-16 Du Pont Pelicula retractil mejorada y procedimientos relacionados con la misma.
US5391793A (en) 1992-11-02 1995-02-21 Akzo Nobel N.V. Aryloxyaluminoxanes
US5391529A (en) 1993-02-01 1995-02-21 Albemarle Corporation Siloxy-aluminoxane compositions, and catalysts which include such compositions with a metallocene
US5412131A (en) 1993-07-09 1995-05-02 Albemarle Corporation Teritary amino-aluminoxane halides
US5371260A (en) 1994-01-10 1994-12-06 Albemarle Corporation Amino-aluminoxane compositions
AU686370B2 (en) 1994-03-31 1998-02-05 Mobil Oil Corporation LLDPE resin blends
US5773106A (en) * 1994-10-21 1998-06-30 The Dow Chemical Company Polyolefin compositions exhibiting heat resistivity, low hexane-extractives and controlled modulus
CA2299717A1 (en) * 1997-08-08 1999-02-18 The Dow Chemical Company Sheet materials suitable for use as a floor, wall or ceiling covering material, and processes and intermediates for mak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849B1 (ko) * 2005-06-21 2007-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국부적인 불순물 영역을 갖는 cmos 이미지 소자 및 그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22594T1 (de) 2002-09-15
KR100550488B1 (ko) 2006-02-09
JP2001520249A (ja) 2001-10-30
ES2182359T3 (es) 2003-03-01
DE19745047A1 (de) 1999-04-15
CN1102943C (zh) 2003-03-12
JP4212233B2 (ja) 2009-01-21
EP1023389B1 (de) 2002-08-21
US6350814B1 (en) 2002-02-26
WO1999019400A1 (de) 1999-04-22
CN1267316A (zh) 2000-09-20
DE59805258D1 (de) 2002-09-26
EP1023389A1 (de) 2000-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0488B1 (ko) 가공성이 양호한 중합체 혼합물
US5844045A (en) Ethylene interpolymerizations
US5844055A (en) Ethylene/branched olefin copolymers
US5869575A (en) Ethylene interpolymerizations
KR100605791B1 (ko) 포스핀이민 촉매를 이용하는 이중 반응기 폴리에틸렌 공정
US7829641B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multimodal polyethylene resins
US20030149181A1 (en) Ethylene interpolymer blend compositions
US5763547A (en) Supported catalyst complexes for olefin in polymerization
CZ366298A3 (cs) Polyolefinový prostředek s maximem molární hmotnosti nacházející se v té části prostředku, která má nejvyšší obsah komonomeru
KR100567303B1 (ko) 다 촉매 시스템을 위한 가동 방법
EP1108749A1 (en) Medium density polyethylene compositions for film applications
KR20020054318A (ko) 메탈로센 촉매 조성물, 상기 촉매 조성물을 사용한폴리올레핀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생성물
EP1100845B1 (en) Polyethylene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and improved processability in the melted state
EP0844277B1 (en) Medium density polyethylene compositions for film applications
WO1995013317A1 (en) A composition comprising a blend of an ethylene polymer or copolymer with sorbitol or a sorbitol derivative
US6297323B1 (en) Polymer mixture
EP1108530A1 (en) Medium density polyethylene compositions for easy-tear films
JPH0782322A (ja) エチレン重合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13136679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押出シート及び容器
EP0870802A1 (en) Medium density polyethylene compositions for film applications
TW202311310A (zh) 製備聚烯烴之方法及用其製備之聚烯烴
EP4269453A1 (en) Hybrid catalyst composition, catalyst comprising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olefin-based polymer using same
JPH08208754A (ja) エチレン−α−オレフィン共重合体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