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4553A - 바코드 판독 방법 및 바코드 판독 시스템 - Google Patents

바코드 판독 방법 및 바코드 판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4553A
KR20010014553A KR1020000011738A KR20000011738A KR20010014553A KR 20010014553 A KR20010014553 A KR 20010014553A KR 1020000011738 A KR1020000011738 A KR 1020000011738A KR 20000011738 A KR20000011738 A KR 20000011738A KR 20010014553 A KR20010014553 A KR 20010014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code
details
determining
bar cod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1778B1 (ko
Inventor
히다노에이이찌
스기모또다떼유끼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토무
Publication of KR20010014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4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7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51Circuits for pulse shaping, amplifying, eliminating noise signals, checking the function of the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acter Input (AREA)

Abstract

바코드 영역의 추출 및 바코드의 인식은 입력 쉬트상에서 가능한데, 입력 쉬트상에서 다중 내역의 다중 바코드는 다른 위치 혹은 다른 방향에서, 또는 각각의 쉬트에 대해서 프린팅되고, 입력 쉬트상에서 다른 내역의 바코드는 다른 위치에서 혹은 다른 방향에서 프린팅된다. 본 발명의 바코드 인식 시스템은
2차원의 픽셀 분산을 갖는 바코드의 이미지를 결정하고, 바코드 영역을 추출하는 수단,
바코드 영역내의 이미지가 2차원의 픽셀 분산을 갖는 바코드인지 확인하고, 바코드 내역을 추정하는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수단,
다중 바코드 내역을 갖는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인식 수단, 및
다중 바코드 내역에 대한 인식 결과에 기초해서 바코드 내역을 좁혀나가는 인식된 결과 결정 수단
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바코드 판독 방법 및 바코드 판독 시스템{METHOD OF READING BARCODE AND BARCODE READING SYSTEM}
본 발명은 자료의 바코드 이미지 데이터 및 기호 코드에 대한 입력 쉬트를 전송하는 판독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자동 추출 및 다중 내역의 바코드 영역의 판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OCR 유닛에 의한 바코드 판독에 있어서, 바코드 판독(바코드 영역) 및 바코드 유형(바코드 내역)의 위치는 앞 방향쪽으로 정해진다. 지정된 영역은 지정된 내역에 따라 판독된다. 판독은 수평 바코드에 따라서만 수행된다. 이 경우, 고정된 바코드 위치 및 바코드 내역을 갖는 입력 쉬트만이 판독될 수 있다. 임의의 수평 방향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90도로 회전) 및 180도 회전이 된 바코드는 판독될 수 없다.
바코드 영역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판독하는 바코드 인식 유닛은 일본 특허 미심사 공개 번호 9-22437에 의해 공개되었다. 이 바코드 인식 유닛은 각 라인 픽셀의 "0"과 "1"(예를 들어, 하얀 패턴에 대해서는 "0"이며 검정 패턴인 경우는 "1"인 픽셀 데이터)을 판독하고 패턴이 "1010" 패턴과 일치하는 위치를 찾는데, '01' 전이(transition) 간격이 미리 결정된 슬라이스 값을 넘지 않는 영역에서 "1010" 패턴은 JAN의 중심 바에 있다. 만일 위치가 발견될 수 없다면, 다음 라인의 픽셀상에서 찾게 될 것이다. 만일 중심 바가 발견된다면, 같은 간격의 "101" 패턴인 시작 바와 끝 바가 발견된다. 시작 바, 중심 바 및 끝 바가 발견된 경우, 기호 코드가 해독된다. 이 특허 공개는 JAN 표준 및 JAN의 것과는 다른 바코드 내역에 대해 수행하는 줄임(shorten) 코드를 인식한다. 위치시킴은 라인상의 픽셀의 "1" 패턴을 관찰해서 만들어지고, 그래서 라인상의 노이즈 패턴이 우연히 시작 바, 중심 바 및 끝 바와 맞을 때, 에러 섞인 추출이 발생될 수 있다. 그것은 수평 방향으로 정렬된 바코드에 대해서만 수행할 수 있다.
일본 특허 미심사 공개 번호 10-198755는 바코드 인식 유닛을 공개하며, 바코드 인식 유닛은 2진법 이미지의 윈도 스캐닝이 M ×M 마스크 결정 수단에 의해 실행되고 미리 결정된 간격을 갖는 매트릭스의 패턴이 탐지되는 유닛이다. 미리 매트릭스의 패턴을 연구하고 패턴이 일치하는 곳을 그룹화함으로써, 영역의 크기가 결정된다. 모은 영역이 바코드 영역이 된다. 바코드 영역에서 각 영역의 중심과 역행(regression) 라인사이의 거리로부터, 그것이 확실한 바코드 부분인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바코드 이외의 것은 거부된다. 그런 후, 바코드 영역에서의 바코드가 해독된다. 이러한 출원 공개는 우편 처리 바코드를 분리하고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공개는 다중 내역 바코드의 위치의 추출이나 혹은 다중 내역 바코드의 인식은 설명하지 않는다. 그래서, 그것은 임의의 다중 내역, 다중 바코드 및 다른 방향으로의 바코드에 대해서 수행할 수 없다.
ITF[2를 5로 인터리빙한 것(interleave)], NW7, Code39, Code128, JAN, UPC 등등의 바코드 내역들이 있다. ITF는 JIS-X-0502로, NW7은 JIS-X-503으로 그리고 JAN은 JIS-X-0501로써 표준화된다. 이 내역들은 표현하는 기호의 종류, 바의 크기(폭, 길이 및 두꺼운 요소와 얇은 요소사이의 비) 및 그것들 사이의 디지트(digit)의 갯수에 따라 서로 다르다. 어떤 내역은 디지트의 갯수를 임의로 결정하게 한다.
상술된 앞서의 바코드 판독기 유닛은 특정 내역 바코드 및 확인된 바코드 영역의 특징적인 점을 탐지한다. 그래서, 특정 내역 이외의 바코드는 인식될 수 없었으며, 입력 쉬트의 바코드 내역이 주어지지 않았을 때, 바코드 영역의 추출이 가능하지 않았다. 바코드 판독기 유닛은 입력 쉬트에 대해서 다른 위치에서 혹은 다른 방향에서 프린팅된 다른 내역의 바코드의 경우에 대해 수행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내역의 다중 바코드가 입력 쉬트상에서 다른 위치에서 혹은 다른 방향에서 프린팅되는 경우에 있어서, 바코드 영역의 추출 및 바코드의 인식을 할 수 있는 것이며, 다른 내역의 바코드가 각각의 입력 쉬트상에서 다른 위치에서 혹은 다른 방향에서 프린팅되는 경우에 있어서, 바코드 영역의 추출 및 바코드의 인식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코드 인식 유닛은
2차원 픽셀의 분산에 의해 바코드를 닮은 이미지를 구별함으로써, 바코드 영역을 추출하는 바코드 영역 추출 수단,
2차원 픽셀의 분산으로부터 추출된 바코드 영역내의 이미지가 바코드임을 확인하고, 바코드 내역을 추정하는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수단,
바코드 내역을 추정할 수 없거나 또는 추정된 바코드 내역이 다중인 바코드 영역인 경우, 다중 바코드 내역을 갖는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인식 수단 및
다중 바코드 내역에 의한 인식 결과에 기초한 바코드 영역에서의 바코드 내역을 정확히 나타내는 인식 결과 결정 수단을 제공한다.
그래서, 다중 내역의 다중 바코드가 입력 쉬트상에서 다른 위치 혹은 다른 방향에서 프린팅되는 경우에 있어서, 바코드 영역이 추출될 수 있고, 바코드가 인식될 수 있다. 더욱이, 다른 내역의 바코드가 각각의 입력 쉬트상에서 다른 위치에서 혹은 다른 방향에서 프린팅되는 경우에 있어서, 바코드 영역의 추출 및 바코드의 인식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프로세싱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부분을 결정함으로써, 바코드 영역 추출 프로세싱을 도시하는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작점과 끝점을 위해 옆으로 쉬프팅하며 가동한 결과에 의해 수평 방향에서의 바코드 영역 추출 프로세싱을 나타낸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작점과 끝점을 위해 옆으로 쉬프팅하며 가동한 결과에 의해 수직 방향에서의 바코드 영역 추출 프로세싱을 나타낸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의 줄무늬의 폭에 의한 바의 줄무늬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프로세싱을 도시하는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의 기준라인의 조건에서 바의 줄무늬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프로세싱을 도시하는 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판독가능한 기호에 의해 바의 줄무늬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프로세싱을 도시하는 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줄무늬의 갯수에 의해 바의 줄무늬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프로세싱을 도시하는 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인식 프로세싱을 도시하는 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식 결과를 결정하는 프로세싱을 도시하는 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영역내에 마크(mark)를 갖는 바코드의 판독 프로세싱을 도시하는 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시스템 구조를 도시하는 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판독 시스템 구조를 도시하는 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판독 순서를 도시하는 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프로세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인식 및 인식 결과를 결정하는 프로세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력 쉬트
12 : 추출된 바코드 영역
13 : 바의 줄무늬의 유사성을 결정
14 : 바코드 인식
15 : 인식 결과를 결정
16 : 출력 데이터
111 : 빨강 드롭아웃 입력
112 : 파랑 드롭아웃 입력
201 : 이미지 판독 유닛
202 : 이미지 기억 유닛
203 : 인식 결과 기억 유닛
204 : 외부 제어 유닛
205 : 인식 결과 편집 유닛
206 : 디스플레잇 유닛
207 : 컨트롤 유닛
300 : 판독 시스템 인터페이스
첫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론 및 작동이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프로세싱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입력 쉬트(10)는 판독될 바코드 쉬트이다. 바코드 영역 추출(12)은 이미지 스캐너(11)로부터의 입력인 입력 쉬트(10)의 이미지에 따라서 실행된다. 바코드 영역 추출(12)에서, 바코드 영역은 각각의 입력 쉬트상에서 다른 위치에서 프린팅된 다중 내역의 다중 바코드 및 다른 방향에서 프린팅된 입력 쉬트상의 바코드로부터 자동적으로 추출된다. 바코드 줄무늬(13)의 유사성의 결정에 있어서, 실질 바코드 영역인 추출된 바코드를 가리키는 인덱스인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의 결정 및 특정 바코드 내역을 정확히 나타냄으로써 바코드 내역의 추정이 수행된다. 바코드 인식(14)에 있어서, 바코드 영역에서의 바코드 인식은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 및 바코드의 추정 단계에 기초해서 수행된다. 바코드 인식은 바코드의 유사성의 결정 결과가 확실치 않은 경우(바코드가 탐지되었음에도, 바코드의 내역을 정확하게 나타낼 수 없음)에 있어서, 바코드 인식에 의해 지원되는 모든 바코드 내역에 대해 수행된다.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의 결정 결과가 몇 가지 내역으로만 좁혀질 수 있는 경우, 바코드는 바코드 인식안의 몇 가지 내역에 대해서 해독된다. 인식 결과의 결정(15)에 있어서, 판독가능한 결과는 바코드 인식에 의한 다중 내역을 갖는 인식 결과로부터 모아진다. 모은 결과는 출력 데이터(16)로의 출력이다.
도 2는 바코드 영역 추출(12)에서 연결 부분의 결정에 의한 바코드 영역 추출 프로세싱을 나타내는 도이다. 연결 부분은 연속하는 검정 점들로 포함된 패턴이다. 입력 쉬트(10)상의 (1)에서 수평 방향으로 프린팅된 바코드를 추출하는 예가 설명된다. 이 경우의 설명에 대해서, (1)의 바코드 주변의 영역만이 설명된다. 첫째, 입력 쉬트의 연결 부분(21)은 연결 부분의 추출에 의해서 추출된다. 그런 후, 연결 부분(22)의 형태가 연결 부분 크기의 결정에 의해 얻어진다. 연결 부분 크기의 결정에 있어서, 연결 부분의 형태가 추출된다. 연결 부분의 형태는 높이와 폭 사이의 비가 적어도 A:1이며, 폭은 B ㎜를 넘지 않는 연결 부분을 갖는다. 이 경우, 바코드가 수평 방향으로 프린팅될 때, 높이는 수직 방향에서의 크기가 되고 폭은 수평 방향에서의 크기가 된다. 수평 방향에서의 바코드 영역(23)은 연결 부분(22)의 형태에 관한 것으로, 연결 부분 사이의 거리를 결정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연결 부분 사이의 거리를 결정함에 있어서, C ㎜보다 길지 않은 연결 부분의 형태 사이의 거리가 추출된다.
그런 후, 수직으로 프린팅된 바코드 영역을 추출하는 예가 설명된다. 이 경우, (4)의 바코드 주변은 설명용 샘플로써 설명된다. 입력 쉬트의 연결 부분(24)은 연결 부분 추출에 의해서 추출된다. 연결 부분(25)의 모양은 연결 부분의 크기의 결정에 의해서 얻어진다. 연결 부분은 높이와 폭 사이의 비가 적어도 D:1이고 폭은 E ㎜를 넘지 않는 연결 부분이다. 이 경우, 바코드가 수직 방향으로 프린팅될 때, 높이는 수평 방향에서의 크기가 되고 폭은 수직 방향에서의 크기가 된다. 연결 부분(25)의 모양에 관한 것으로, 연결 부분 사이의 거리를 결정함으로써 수직 방향에서의 바코드 영역(26)이 결정된다. 연결 부분 사이의 거리를 결정함에 있어서, F ㎜보다 길지 않은 연결 부분의 모양 사이의 거리가 추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A와 D는 높이와 폭 사이의 비가 5이고 B와 E는 1.5이며 C와 F는 1.5이다.
도 3은 추출된 바코드 영역(12)에서 시작점과 끝점을 위해 옆으로 쉬프팅하며 가동하여, 수평 바코드의 바코드 영역을 추출하는 프로세싱을 도시하는 도이다. 입력 쉬트(10)상의 위치 (1)에 있는 수평으로 프린팅된 바코드를 추출하는 예가 설명된다. 이 경우, 설명하는 예에 따라서, 위치 (1)의 바코드 주변 영역이 언급된다. 첫째, 수평 방향으로 넓혀지고 그런 후 좁혀지는 입력 쉬트의 이미지 데이터 패턴에 대해 옆으로 쉬프팅하며 가동하는 시작점과 끝점을 위해서 쉬프팅하며 가동하는 결과(31)가 추출된다. 다음으로, 입력 쉬트의 연결 부분(32)은 시작점과 끝점을 위해서 옆으로 쉬프팅하며 가동하는 결과(31)로부터의 연결 부분 추출에 의해서 추출된다. 그런 후, 연결 부분(33)의 형태는 연결 부분의 형태의 추출에 의해 결정된다. 다른 한편으로, 입력 쉬트의 연결 부분(34)은 연결 부분 추출에 의해서 입력 쉬트(10)으로부터 추출된다. 그런 후, 연결 부분(35)의 형태는 연결 부분의 행태의 추출에 의해 추출된다. 연결 부분의 형태는 높이와 폭 사이의 비가 적어도 G:1이며, 폭은 H ㎜를 넘지않는 연결 부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G는 5로써 높이와 폭 사이의 비이고, H는 1.5이다. 연결 부분(33)의 모양 및 연결 부분(35)의 형태에 기초한 연결 부분의 오버랩의 결정에 있어서, 양쪽 다가 있는 영역이 찾아지게된다. 그 결과로써, 수평 방향 영역(36)이 추출된다.
도 4는 추출된 바코드 영역(12)에서, 시작점과 끝점을 위해 옆으로 쉬프팅하며 가동하는 결과에 의해 수직 바코드의 바코드 영역을 추출하는 프로세싱을 도시하는 도이다. 입력 쉬트(10)상에서 위치 (4)에서 수직 방향으로 프린팅된 바코드를 추출하는 예가 설명된다. 이 경우, 설명하는 예에 따라서, 위치 (4)의 바코드 주변이 언급된다. 첫째, 수직 방향으로 넓혀지고 그런 후 좁혀지는 입력 쉬트의 패턴을 쉬프팅한 후, 시작점과 끝점을 위해 옆으로 쉬프팅하며 가동하는 결과(41)가 추출된다. 다음으로, 입력 쉬트의 연결 부분(42)은 연결 부분 추출에 의해서, 시작점과 끝점을 위해서 옆으로 쉬프팅하며 가동하는 결과(41)로부터 추출된다. 그런 후, 연결 부분의 형태의 추출에 의해서, 연결 부분(43)의 형태가 얻어진다. 다른 한편으로, 입력 쉬트의 연결 부분(44)은 연결 부분 추출에 의해서 입력 쉬트(10)로부터 추출된다. 그리고나서, 연결 부분의 모양 추출에 의해, 연결 부분(45)의 모양이 추출된다. 연결 부분의 모양은 연결 부분의 모양의 추출에 의해서 추출된다. 연결 부분의 모양의 높이와 폭 사이의 비는 적어도 I:1이고, 연결 부분의 모양의 폭은 J ㎜를 넘지 않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바코드가 수직 방향으로 프린팅될 때, 높이는 수평의 크기가 되고 폭은 수직의 크기가 된다. 예를 들어, I는 5이며 높이와 폭 사이의 비이고 J는 1.5이다. 연결 부분의 오버랩의 결정에 의해, 연결 부분(43)의 형태 및 연결 부분(45)의 모양 양쪽이 존재하는 영역이 그것의 양쪽에 기초해서 결정된다. 그 결과로써, 수직 방향의 바코드 영역(46)이 추출된다.
도 5는 바의 폭을 갖는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프로세싱을 도시하는 도이다.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방법은 바코드 영역으로써 추출된 바코드 이미지와 함께 설명된다. 여기에서, 바코드 영역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방법은 바코드 영역 추출에 의해 추출된 위치 (1)에서 바코드 영역(50)의 예와 함께 설명된다. 첫째, 바의 폭(52)의 조건은 바코드(51)에 따라서 결정된다. 바의 폭(52)의 조건에 대해서, 탐지된 바의 폭의 주파수는 바코드 영역내에 모든 라인상의 바의 부분의 폭을 탐지하면서 결정된다.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은 바의 폭(52)의 조건에 기초해서 결정된다. 만약 주파수가 적어도 바코드 영역(라인의 개수)의 높이 ×K 이상이면, 주파수의 최대값이 존재한다고 판단된다. 예를 들어, 주파수의 최대값이 적어도 라인의 갯수의 두 배 이상인 주파수로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K=2를 얻는다. 바의 폭의 중심 값은 바의 폭의 조건에서 주파수의 최대 값이 존재하는 것으로, 이 값으로부터 ±N1 도트(dot)의 범위내에 있는 바의 폭의 조건에서의 전체 주파수가 적어도 전체 주파수의 N2%이상이면,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인 BCD1N53 = 25% ×"계수"가 출력된다. 계수는 다른 것을 포함한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을 프로세싱하는 중에서의 중요한 단계에 기초해서 부가된 계수이다. 바코드 내역의 추정에 있어서, 바의 폭의 조건에서 주파수의 최대값이 두 배로 나타날 때, 내역은 Code39, NW7, 2를 5로 인터리빙한 것, ITF, Code128 등과 같이 넓은 바 및 좁은 바에만 해당하는 내역일 것이다. 만일 주파수의 최대값이 적어도 3배 이상으로 나타난다면, 내역은 JAN, UPC 등과 같이 바의 폭이 유닛 바의 1, 2, 3 및 4 배인 바를 가질 것이다. 이 결과에 따라서, 추정된 바코드 BCS1N54가 출력된다. 각 부호의 값은 다음과 같다.
N1 = 2 ×(입력 이미지 dpi ÷200)
그러나, 입력 이미지가 적어도 200 dpi 이상일 때, "입력 이미지 dpi ÷200"은 1로 간주된다.
N2 = 80
최대값으로써 결정된 값 = 바코드 영역(라인의 갯수)의 높이 ×K 로써 값이 결정된다.
BCS1N = 25% ×계수
BCS1N = 코드 내역 플랙(flag)
"비트: 상위, JAN(표준), JAN(줄임), Code39, NW7, 2를 5로 인터리빙한 것, ITF, Code128 및 UPC로부터 각각의 비트와 함께함"
상술된 값은 디폴트 값이고 최적의 값은 판독될 입력 값을 평가함으로써 세팅될 수 있다.
도 6은 바의 기준라인을 갖는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프로세싱을 도시하는 도이다. 그것은 바코드 영역을 추출하는 프로세싱에 의해 추출되는 위치 (1)에서 바코드 영역(60)의 샘플과 함께 설명된다. 첫째, 상위쪽의 기준 라인 부분(61)은 각 바의 상위쪽의 위치를 가리키며, 하위쪽의 기준 라인 부분(62)은 각 바의 하위쪽의 위치를 가리키며 바코드 영역에서 찾아진다. 바의 기준 라인(63 및 64)의 조건은 상위쪽의 기준 라인 부분(61)으로부터의 바의 상위쪽(y축에서 시작)의 위치 및 하위쪽의 기준 라인 부분(62)으로부터의 하위쪽(y축에서 끝남)의 위치를 탐지함으로써 획득된다. 바의 기준 라인의 조건은 바의 상위쪽을 고려하여 바의 상위쪽의 축을 갖는 y-축상에서의 주파수 및 바의 하위쪽을 고려하여 바의 하위쪽의 축을 갖는 y-축상에서의 주파수로써 획득된다. 바코드의 줄무늬의 유사성은 이러한 바의 기준 라인(63 및 64)의 조건에 기초해서 결정된다. 전체 주파수가 바의 기준 라인(63 및 64)의 조건에서 주파수의 최대 값의 축으로부터 ±N11 도트의 범위내에서 얻어지며, 적어도 모든 주파수의 N21%이상인 경우,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인 BCD2N65 = 25% ×계수가 출력된다.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인 BCB1N53 = 25% ×계수가 출력된다. 계수는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다른 프로세싱을 고려하여, 중요한 단계에 의해 결정된 계수로 부과된다. 바코드 내역의 추정에 있어서, 바의 기준 라인의 조건에서 주파수의 최대값은 상위쪽에서 1이고 하위쪽에서 2이다. 내역은 JAN, UPC 등과 같이 다른 길이의 바를 갖는 내역이다. 이 결과와 함께, 추정된 바코드 BCS2N66이 출력된다. 각 부호의 값은 다음과 같다.
N11 = 2 ×(입력 이미지 dpi ÷200)
그러나, 입력 이미지가 적어도 200 dpi이상일 때, "입력 이미지 dpi ÷200"은 1로 간주된다.
N21 = 80
BCD2N = 25% ×계수
BCS2N = 코드 내역 플랙
"비트: 상위, JAN(표준), JAN(줄임), code39, NW7, 2를 5로 인터리빙한 것, ITF, Code128 및 UPC로부터의 각각의 비트와 함께함"
상술된 값은 디폴트 값이고, 최적의 값은 판독될 입력 쉬트를 평가하면서 세팅될 수 있다.
도 7은 바의 판독가능한 기호를 갖는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의 결정 프로세싱을 도시하는 도이다. 그것은 바코드 영역을 추출하는 프로세싱에 의해서 추출된 위치 (1)에서 바코드 영역(70)의 샘플과 함께 설명된다. 첫째, 판독 가능한 기호 영역(71)의 기호 크기의 비(폭:높이)가 H1:1에서 H2:1로 나타나는 바코드 영역에서의 상위쪽 혹은 하위쪽 영역이 획득된다. 판독가능한 기호 영역내의 부분을 인식하는 기호 인식 결과(72)가 얻어진다.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은 인식 결과(72)에 의해서 결정된다. 판독가능한 기호가 바코드 영역의 상위쪽 혹은 하위쪽에서 존재할 때,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인 BCD2N73 = 25% ×계수가 출력된다.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인 BCD1N53 = 25% ×계수가 출력된다. 계수는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다른 프로세싱을 고려하여 중요한 단계에 의해 결정된 계수로써 부과된다. 바코드 내역을 추정함에 있어서, 첫번째와 마지막번째 기호는 알파벳이고 기호 사이가 숫자일 때, 내역은 NW7일 것이다. 첫번째와 마지막번째 기호가 * 부호이고, 기호 사이에서 숫자, 알파벳과 부호, 혹은 숫자, 알파벳 및 부호가 두 가지 종류 혹은 세 가지 종류로 섞인 경우, 내역은 Code39일 것이다. 만약 기호가 숫자뿐이라면, 내역은 JAN, UPC, 2를 5로 인터리빙한 것 및 ITF중의 하나일 것이다. 첫번째와 마지막번째 기호가 알파벳이고 기호 사이에서 알파벳, 숫자 및 부호가 있는 경우, 내역은 Code 128일 것이다. 결과로써, 바코드 추정 BCS3N74가 출력된다. 각 부호의 값은 다음과 같다.
H1 = 0.3
H2 = 1.2
BCS3N = 25% ×계수
BCS3N = 코드 내역 플랙
"비트: 상위, JAN(표준), JAN(줄임), Code39, NW7, 2를 5로 인터리빙한 것, ITF, Code128 및 UPC로부터의 각각의 비트와 함께함"
상술된 값은 디폴트 값이고 최적의 값은 판독될 입력 쉬트를 평가하면서 세팅될 수 있다.
도 8은 바의 갯수를 갖는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프로세싱을 도시하는 도이다. 그것은 바코드 영역 추출 프로세싱에 의해서 추출된 위치 (1)에서 바코드 영역의 샘플(80)과 함께 설명된다. 첫째, 바코드 영역내의 검정 바의 갯수는 방향(81)을 탐색하면서 찾게되고, 바의 갯수가 추출된다. 결과로써, 바의 갯수인 NN(82)이 얻어진다. 갯수가 30일 때, 내역은 JAN(표준) 혹은 UPC일 것이다. 갯수가 22인 경우, 내역은 JAN(줄임)일 것이다. 갯수가 5로 나뉠 수 있는 경우, 내역은 Code39, 2를 5로 인터리빙한 것 및 ITF중의 하나일 것이다. 갯수가 4로 나뉠 수 있는 경우, 내역은 NW7일 것이다. 갯수가 3으로 나뉠 수 있는 경우, 내역은 Code39일 것이다. 결과로써, 바코드 추정 BCS4N83이 출력된다.
도 5, 도 6, 도 7 및 도 8이 수평 방향에서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의 결정을 설명함에도 불구하고, 결과는 내용을 90도로 회전함으로써 수직 방향에서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의 결정에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바코드를 인식하는 프로세싱을 도시하는 도이다. 90에서, 인식 대상인 바코드에 고려해서, 도 5에서 도8까지의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 및 바코드 추정의 결과에 기초한 결정 방법이 바뀐다.
실질적으로, 도 5에서 도 8까지의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의 결정 프로세싱에 의해서 바코드 줄무늬의 전체 유사성이 적어도 50% 이상이고, 바코드 추정의 결과가 확실하지 않을 때(정확히 나타나지 않음), 불분명(91)으로 프로세싱될 것이다. 이 경우, 데이터는 모든 내역에 대해서 해독되고, 각각의 해독된 결과는 인식 결과의 결정쪽으로(93) 전송된다.
도 5에서 도8까지의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의 결정 프로세싱에 의한 바코드 줄무늬의 전체 유사성이 적어도 50% 이상이고, 바코드 추정의 결과가 다중이지만 좁혀질 때(모든 내역이 코드 내역 플랙에 대해 활성화되지 않지만, 하나 이상의 내역이 활성화됨), 그것은 몇 개의 내역에 해당한 것(94)으로 프로세싱될 것이다. 이 경우, 다중 내역에 해당하는 것이 있을 때, 데이터는 추정된 다중 내역에 대해서 해독되고, 각각의 해독된 결과는 인식 결과의 결정쪽으로(93) 전송된다.
다중 내역을 좁혀나가면서, 데이터를 해독함에 있어서, 다중 내역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우선 순위는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프로세싱에서의 바코드 추정의 결과에 기초해서 결정될 수 있다. 즉, 도 5에서 도 8까지의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프로세싱에 의해 출력되는 코드 내역 플랙에 기초해서, X 점은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각각의 프로세싱에 주어진다. 플랙이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을 각각 결정함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계수 XK로 활성화되는 경우, X는 1이고, 플랙이 활성화되지 않는 경우, 0이 X에 곱해진다.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의 결정 후, 점들을 함께 모아놓은 점들의 총합이 각각의 바코드 내역에 점들이다. 만일 점들이 같은 단계이면, 사용자 정보내의 내용 세팅에 기초한 도 5에서 도 8까지의 프로세싱으로부터 지정된 프로세싱에서 플랙으로 활성화된 내역이거나 또는 JIS로써 표준화된 내역이 우선권을 갖는다.
예를 들어, 도 5의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을 결정함에 있어서, 최대값의 갯수는 3이다. 도 6에서, 최대값의 갯수는 상위쪽에서는 1이고, 하위쪽에서 2이다. 도 7에서, 기호는 숫자이다. 도 8에서, 바코드에서의 바의 갯수는 5의 곱이다. 상술된 바코드에서, XK = 1이라 가정하면, JAN(표준)은 4개의 점, JAN(줄임)은 3개의 점, UPC는 3개의 점, ITF는 2개의 점, 2를 5로 인터리빙한 것은 2개의 점이고 Code39는 1개의 점이다. 이 경우, ITF 및 2을 5로 인터리빙한 것은 같은 우선권(2개의 점)을 갖는다. 그러나, 만일 사용자 정보가 JIS에 의해 표준화된 내역에 우선권을 주도록 세팅된다면, ITF가 우선권을 가질 것이다. 바코드의 바코드 추정에 의한 바코드 내역의 우선권 단계는 JAN(표준), JAN(줄임), UPC, ITF, 2를 5로 인터리빙한 것 및 Code39의 순서에 있다. 도 5의 바코드의 결정에 있어서, 최대값의 갯수는 2이다. 도 6에서, 최대값의 갯수는 상위쪽에서는 1이고, 하위쪽에서는 2이다. 도 7에서, 기호는 숫자이다. 도 8에서, 바코드내에서의 바의 갯수는 5의 곱이다. 이러한 경우에서, XK = 1이라고 가정하면, JAN(표준)은 2개의 점, JAN(줄임)은 1개의 점, UPC는 2개의 점, ITF는 4개의 점, 2를 5로 인터리빙한 것은 4개의 점, Code39는 3개의 점이고 NW7은 2개의 점이다. 이 경우, JAN(표준), UPC및 NW7은 같은 우선권 단계(2개의 점)를 갖는다. 그러나, 만일 사용자 정보가 도 6에서의 프로세싱에 의한 결정에 우선권을 주도록 세팅된다면, NW7이 우선권을 가질 것이다. 더욱이, 만일 JIS 표준 내역이 우선권을 갖도록 세팅된다면, JAN(표준)은 JAN(표준)과 UPC 사이에서 우선권을 가질 것이다. 결과로써, 바코드의 바코드 추정에 의한 바코드 내역의 우선권 단계는 ITF, 2를 5로 인터리빙한 것, Code39, NW7, JAN(표준), UPC 및 JAN(줄임)의 순서에 있다.
도 5에서 도 8까지의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프로세싱에 의해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의 총합이 적어도 50% 이상이고, 바코드 추정의 결과가 좁혀지는(모든 프로세싱에 대해, 하나의 바코드 내역 플랙만이 활성화됨) 경우, 그것은 하나의 내역에 해당한 것(96)에서 프로세싱된다. 이 경우, 데이터는 추정된 내역에 대해서 해독되고, 각각의 해독된 결과는 인식 결과로써 출력된다.
모든 내역(92)에 대해 해독할 때, 다중 추출 내역(95)에 대한 해독 및 추출된 내역(97)에 대한 해독은 바코드 해독을 위한 프로세싱이다. 모든 내역(92)에 대해 해독하는 것은 바코드 인식 프로세싱이 지원하는 모든 내역을 갖는 바코드를 해독하는 것이고, 다중 추출 내역(95)에 대해 해독하는 것은 바코드 결정에서 추출된 다중 내역을 갖는 바코드를 해독하는 것이며, 추출된 내역(97)에 대해 해독하는 것은 바코드 결정 프로세싱에 의해 구체화된 내역을 갖는 바코드를 해독하는 것이다. 해독에 있어서, 첫째로, 내역의 시작과 끝의 내역이 확인된다. 만일 그것이 확인될 수 없다면, 바코드가 180도로 돌아갔을 거라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시작과 끝의 확인이 바코드를 180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만일 그것이 여전히 확인될 수 없다면, 그것은 판독가능하지 않음으로 출력된다. 바코드의 시작과 끝의 확인은 데이터가 바코드 내역에 의해서 구체화된 시작과 끝의 패턴을 확인하는 것이다. 바코드의 방향이 수평으로 프린팅된 바코드 혹은 수직으로 프린팅된 바코드로써의 바코드 영역 추출에 의해서 결정될 때, 바코드가 수직 바코드라면, 바코드는 90도로 회전해서 해독된다. 다중 내역에 대해 해독함에 있어서, 해독 프로세싱은 각각의 내역에 따라서 반복된다.
도 10은 인식 결과를 결정하는 프로세싱을 도시하는 도이다. 바코드가 바코드를 인식하는 프로세싱에서 다중 내역에 대해 해독되는 경우, 인식 결과는 해독된 결과로부터 추출된다.
예를 들어, 판독가능하지 않음을 제외한 해독된 결과가 100에 의해서 나타난 해독된 결과에 기초해서 101에서의 해독된 결과로부터 선택된다. 몇 개의 해독된 결과가 판독가능할 때, 해독된 결과는 인식결과로써 출력(104)된다.
해독된 결과 모두가 판독가능하지 않을 때, 시작/끝을 지원(102)하는 프로세싱이 수행된다. 이 프로세싱에서, 바의 시작 부분과 끝 부분에서의 코드 내역이 확인된다. 확인은 해독용으로 사용된 다중 내역의 모든 내역에 대해서 수행된다. 결과로써, 시작 부분과 끝 부분에 대한 내역이 다를 때, 시작 부분의 바코드 내역에서의 끝 부분이 시작 부분의 다음 바로부터 찾아진다. 끝 부분을 고려할 때, 끝 부분의 바코드 내역에서의 시작점은 끝 부분의 앞 바로부터 찾아지게 된다. 시작 부분과 대응하는 끝 부분 혹은 끝 부분에 대응하는 시작 부분이 탐지될 수 있는 경우, 바코드 이미지는 찾기 결과[나뉘어진 바코드(103)]에 기초한 시작/끝 내역이 확인하는 위치로 나뉘어진다. 탐지된 바코드 내역에 대해서 나뉘어진 바코드의 각각의 부분은 추출 내역에 대한 해독(104)에서 해독된다.
해독된 결과의 선택(101)에서, 판독가능한 것의 갯수가 다중인 경우, 판독가능한 것으로 좁혀가는 것이 수행된다. 판독가능한 것의 갯수가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의 결정에 의해서 몇 개의 내역으로 좁혀질 때, 첫번째 우선권의 바코드 내역을 갖는 결과가 선택된다. 더욱이, 그것이 첫번째 우선권의 바코드 내역에 대해서 판독가능하지 않는 경우, 다음 우선권의 내역이 사용된다. 그렇지 않으면, 그것이 첫번째 우선권의 내역에 대해서 판독가능하지 않을 때, 바코드가 판독가능하지 않는 것으로 남겨지거나 혹은 스페이스(space)가 출력될 수 있다. 상술된 출력을 바꾸는 것은 사용자의 지시 정보에 의해서 수행된다. 판독가능하지 않음을 출력하는 것은 판독가능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지정된 기호 코드(예를 들어, "?")를 갖으며, 스페이스를 출력하는 것은 스페이스 기호 코드를 갖는다.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의 결정이 바코드가 불분명하다고 결정하는 경우, 판독가능하지 않음 혹은 스페이스라고 출력된다(105).
도 11은 바코드 영역내에 마크를 갖는 바코드의 판독 프로세싱을 나타내는 도이다. 여기서, 입력 쉬트(110)상에 (6)의 마크를 갖는 바코드의 판독이 설명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마크의 색상은 드롭아웃(dropout)될 수 있는 빨강 혹은 파랑으로 가정된다. 마크를 갖는 바코드를 판독함에 있어서, 빨강 드롭아웃 색상을 갖는 입력 쉬트(110)를 입력하는 이미지(111)가 입력이고, 파랑 드롭아웃 색상을 갖는 입력 쉬트(110)을 입력하는 이미지(112)가 입력이다. 입력 이미지는 정규의 바코드를 갖는 것에 따라서, 바코드 영역 추출,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의 결정 및 바코드 인식(113)에 대해서 프로세싱된다. 이러한 프로세싱은 본 발명에서 상술된 프로세싱에 의한다. 빨강 드롭아웃 색상의 이미지에서의 바코드의 해독 결과(114)와 파랑 드롭아웃 색상의 이미지에서의 바코드의 해독 결과(115)는 해독된 결과로부터 판독가능하지 않는 것 이외의 다른 결과를 선택(116)하기 위해 프로세싱된다. 그래서, 판독가능하지 않음이 아닌 해독된 결과(114)는 인식 결과로써 선택되고 출력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바코드 판독 시스템의 구조의 자세한 설명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 시스템은 시스템과 판독 시스템을 포함한다.
도 12는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시스템은 이미지 데이터로써 자료 혹은 입력 쉬트를 입력하는 이미지 스캐너 유닛(210), 입력 이미지를 기억하는 이미지 기억 유닛(202), 판독 시스템의 부르기위한 판독 시스템 인터페이스(300), 인식된 결과를 기억하는 인식 결과 기억 유닛(203),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입력하는 외부 제어 입력 유닛(204), 입력 이미지를 프로세싱하는 이미지 프로세싱 유닛(205),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스크린 작동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206) 및 이러한 유닛들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207)으로 구성된다.
도 13은 판독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판독 시스템은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호스트 시스템(사용자 시스템)에 전송하는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301), 전송된 이미지를 기억하는 이미지 기억 유닛(302),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동작 데이터를 추출하는 동작 추출 유닛(303), 연결 부분을 추출하는 연결 부분 추출 유닛(304), 바코드 영역을 추출하는 바코드 영역 추출 유닛(305), 동작의 시작과 끝을 위해 옆으로 쉬프팅하며 가동하는 동작의 시작과 끝을 위해 옆으로 쉬프팅하며 가동하는 유닛(306), 수직 혹은 수평의 바코드의 방향을 결정하는 세로 혹은 가로의 바코드 영역 결정 유닛(307), 바코드 영역 정보를 기억하는 바코드 영역 기억 유닛(308), 바의 폭을 갖는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바의 폭 결정 유닛(309), 바의 기준라인을 갖는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바의 기준라인 결정 유닛(310), 판독가능한 기호를 갖는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판독가능한 기호 결정 유닛(311), 바의 갯수를 갖는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바의 갯수 결정 유닛(312),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는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 기억 유닛(313), 해독을 위한 내역이 적당한지 혹은 그렇지 않은지를 판단하는 바코드 내역 결정 유닛(314), 바코드(인식된 기호 코드)를 해독하는 바코드 해독 유닛(315), 해독된 결과로부터 바코드 판독에서의 올바른 인식 결과를 결정하는 인식 결과 결정 유닛(316), 바코드의 시작과 끝 부분을 확인하며 바코드 영역을 끊어주는 바코드 영역의 시작과 끝을 확인하며 끊어주는 유닛(317), 인식 결과를 기억하는 인식 결과 기억 유닛(318) 및 기호 인식 유닛(319)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14에서의 순서도는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 도 10, 도 11, 도 12 및 도 13을 사용해서 설명된다.
첫째, 도 14의 이미지 입력(120)에서, 입력 쉬트(10)의 이미지 데이터는 이미지 판독 유닛(201)으로부터의 입력이고, 이미지 데이터는 이미지 기억 유닛(202)에서 기억된다. 그런 후, 이미지 데이터는 판독 시스템 인터페이스(300) 및 시스템 인터페이스(301)를 통해서 이미지 기억 유닛(302)에서 기억된다.
바코드 영역 추출(121)에서, 바코드 영역은 이미지 기억 유닛(302)내에 있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출된다. 바코드 영역 추출에서, 연결 부분에 대한 추출 방법 및 동작의 시작점과 끝점을 위해 옆으로 쉬프팅하며 가동하는 것에 대한 추출 방법이 있다. 연결 부분은 검정 픽셀이 함께 모여있는 영역이며, 동작은 시작 및 끝 축의 정보에 대한 전체 픽셀로써, 이것의 검정 픽셀은 각각의 라인상에서 연속적인 라인으로 되어있다.
첫째, 연결 부분을 갖는 바코드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연결 부분을 갖는 바코드 영역 추출(122)에서, 동작은 이미지 기억 유닛(302)에서 기억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동작 추출 유닛(303)에 의해 달성되고, 연결 부분은 연결 부분 추출 유닛(304)에 의한 동작으로부터 얻어진다. 도 2의 프로세싱은 바코드 영역 추출 유닛(305)에 의해 수행되고, 바코드 영역은 연결 부분으로부터 추출된다.
그런 후, 동작의 시작점과 끝점을 위해 옆으로 쉬프팅하며 가동함으로써 바코드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시작점과 끝점을 위해 옆으로 쉬프팅하며 가동하는 것에 대한 바코드 영역 추출 결과(123)에 있어서, 동작은 이미지 기억 유닛(302)에서 기억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동작 추출 유닛(303)에 의해 달성되고, 동작의 시작점과 끝점을 위해 옆으로 쉬프팅하며 가동하는 유닛(306)에 대해서 프로세싱된다.
다음으로, 바코드 영역 세로 및 가로 결정(124)에 있어서, 바코드 영역 추출 유닛(305)으로부터의 결과는 세로 혹은 가로의 바코드 영역 결정 유닛(307)에 의해 결정된다. 방법을 결정하는 것은 도 2의 21부터 23까지의 프로세싱 결과가 수평의 바코드 영역이다는 것이다. 24에서 26까지의 프로세싱 결과는 수직의 바코드 영역에 대응한다. 도 3에서의 프로세싱 결과는 수평의 바코드 영역에 대응한다. 도 4에서의 프로세싱 결과는 수직의 바코드 영역에 대응한다. 그런 후, 이러한 것들은 바코드 영역 기억 유닛(308)에서 기억된다. 연결 부분에 대한 추출, 동작의 시작점과 끝점을 위해 옆으로 쉬프팅하며 가동함으로써 추출 및 위의 둘 다를 사용하는 방법 사이에서의 선택은 사용자 지시에 의해 결정된다.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의 결정(125)에서, 바코드 영역 기억 유닛(308)에서 바코드 영역내의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이 결정된다. 도 5의 프로세싱은 바의 폭 결정 유닛(309)에 의해 수행되고, 도 6의 프로세싱은 바의 기준라인 결정 유닛(310)에 의해 수행되고, 도 7의 프로세싱은 판독가능한 기호를 추출하는 판독가능한 기호 결정 유닛(311)에 의해 수행되고, 인식 결과는 기호 인식 유닛(319)에 의해 수행된 판독 기호의 기호 인식에 의해 얻어진다. 도 8의 프로세싱은 바의 갯수 결정 유닛(312)에 의해 수행된다. 결과로써 얻어진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 및 추정된 바코드는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 기억 유닛(313)에서 기억된다. 이 프로세싱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서 건너뛸 수 있다. 이 경우,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 정보가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에 대해 50%로 세팅되고, 바코드 추정에 대해서는 불분명(정확히 나타낼 수 없음)하다고 세팅된다.
바코드 인식(126)에서, 바코드 영역 기억 유닛(308)에 있는 바코드 영역내의 이미지는 이미지 기억 유닛(302)으로부터의 입력이다. 바코드의 시작과 끝은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 기억 유닛(313)으로부터의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 및 바코드 추정에 기초한 바코드 내역 결정 유닛(314)에 의해 해독하기 전에 확인된다. 도 9의 프로세싱(92, 93, 95 및 97)은 바코드 해독 유닛(315)에 의해 수행된다. 도 9의 프로세싱(98)은 해독된 결과를 인식 결과 기억 유닛(318)에 넣어서 기억한다. 다중 내역내에 판독 가능한 데이터가 있는 경우, 인식 결과 결정 유닛(316)은 도 10에 의해 설명된 것처럼 판독 가능한 데이터로 좁혀진다.
인식 결과의 결정(127)은 도 10에 의해 설명된 것처럼 인식 결과 결정 유닛(316) 및 바코드 영역의 시작 및 끝을 확인하며 끊어주는 유닛(317)에 의해, 바코드 해독 유닛(315)의 해독된 결과를 프로세싱한다. 바코드 영역의 시작 및 끝을 확인하며 끊어주는 유닛(317)에 의해 끊어지는 바코드는 바코드 해독 유닛(315)에 의해 해독된다. 도 10의 프로세싱(104)은 해독된 결과를 인식 결과 기억 유닛(318)에 넣어서 기억하는 것이다.
판독 결과의 출력(128)에 있어서, 인식 결과 기억 유닛(318)에 의해 기억된 바코드 인식 정보는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301)을 통한 판독 시스템 인터페이스(300)로부터 판독 결과 기억 유닛(203)에 넣어서 기억한다.
도 11의 프로세싱에 대한 것처럼, 빨강 드롭아웃 색상 입력 이미지(111) 및 파랑 드롭아웃 색상 입력 이미지(112)는 사용자의 지시에 의한 이미지 판독 유닛(201)으로부터의 입력이고, 이미지 기억 유닛(302)에 넣어서 기억된다. 바코드 영역 추출 및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의 결정은 양쪽의 이미지상에서 수행되고, 해독된다. 어떤 이미지 결과를 출력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결정 프로세싱(116)은 인식 결과 결정 유닛(316)에 의해 수행되고, 출력은 인식 결과 기억 유닛(318)에 넣어서 기억된다. 인식 결과 기억 유닛(318)에 넣어서 기억된 바코드 인식 정보는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301)을 통해 판독 시스템 인터페이스(300)로부터 판독 결과 기억 유닛(203)에 넣어서 기억된다.
입력 이미지는 다중 값을 가질 때, 다중 값의 이미지는 다중 슬라이스 단계를 갖는 것을 슬라이싱함으로써, 2진법으로 코딩된 이미지를 갖는 이미지 기억 유닛(302)에 넣어서 저장한다. 다중 슬라이스 단계로 슬라이싱함으로써 이미지의 2진법 코딩은 이미지 기억 프로세싱 유닛(206)에 의해 실행된다. 도 11의 프로세싱에서의 2개의 이미지를 다중 이미지로 대체함으로써 프로세싱을 인식할 때까지 계속 실행하는 것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중 슬라이스 단계를 갖는 2진법으로 코딩된 이미지는 하위 슬라이스 레벨, 표준 슬라이스 레벨 및 상위 슬라이스 레벨의 세 가지 종류이다. 다중 값의 슬라이스 단계가 256일 때, 하위 슬라이스 단계는 140, 표준 슬라이스 단계는 128 및 상위 슬라이스 단계는 110이다.
입력 이미지가 색상을 가질 때, 색상 이미지는 색상에 대한 다중 슬라이스 단계에 따른 2진법으로 코딩된 이미지를 갖는 이미지 기억 유닛(302)에 넣어서 기억된다. 이미지 기억 프로세싱 유닛(206)은 다중 슬라이스 단계에 대한 색상 이미지를 2진법의 코딩으로 수행한다. 도 11의 프로세싱에서의 2개의 이미지를 다중 이미지로 대체함으로써 프로세싱을 인식할 때까지 계속 실행하는 것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중 슬라이스 단계를 갖는 다중의 2진 코딩 색상 이미지에 대해서, 표준 슬라이스 레벨인 파랑, 표준 슬라이스 레벨인 빨강 및 표준 슬라이스 레벨인 녹색의 세 가지 종류가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바코드의 판독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2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의 결정은 바코드 영역 추출에 의해 추출된 바코드의 인식이 없이는 수행되지 않으며, 바코드 영역 추출은 바코드 인식에 의해 지원된 모든 내역에 대해 수행된다. 입력 쉬트(500)는 본 발명에 대해서, 판독이 되기 위한 바코드 쉬트이다.
첫째, 바코드 영역 추출(502)은 이미지 스캐너(501)에 의한 입력인 이미지 쉬트(10)에 적용된다. 바코드 영역 추출(502)이 입력상의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바코드 영역을 자동으로 추출할 때, 다중 바코드가 다르게 프린팅된 위치에서 프린팅되고, 다중 내역을 가지며, 각각의 쉬트상에서 다른 방향에서 프린팅됨에도 불구하고, 도 2에서 연결 부분의 결정에 의한 바코드 영역 추출 프로세싱과 도 3 및 도 4의 시작점과 끝점 결과를 위해 옆으로 쉬프팅하며 가동하는 결과에 대한 바코드 영역 추출 프로세싱이 수행된다. 제1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수평 혹은 수직으로 프린팅된 바코드 영역이 추출된다.
바코드 인식(503)은 추출된 바코드 영역의 바코드를 인식한다. 인식 결과의 결정(504)은 바코드가 인식되는 것을 결정하고, 해독된 결과를 출력 데이터(505)로 출력한다.
도 16은 바코드 인식 및 인식 결과를 결정하는 프로세싱을 도시하는 도이다. 550에서, 바코드 영역 선택(512)에 의해 추출된 바코드 영역(510)은 바코드 인식 프로세싱이 지원[단계(550)]하는 모든 해독 내역에 대해 선택되고 인식된다. 판독 가능하지 않은 것을 제외한 결과는 해독된 결과(552)[단계 (553)]로부터 선택된다. 해독된 결과에서 임의의 판독가능한 것이 있다면, 해독된 결과는 인식된 결과로써의 출력이다[단계 (554)].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바코드 인식이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의 결정없이, 바코드 영역의 추출 후에 수행될 때, 바코드 인식을 위해 지원된 내역이 많지 않은 경우에, 입력 쉬트상에서 다중 내역의 바코드가 프린팅되는데, 이러한 입력 쉬트에서의 바코드 인식이 간략화된 시스템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코드 영역 추출,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의 결정, 바코드 인식 및 바코드 인식 결과의 결정 프로세싱을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다중 내역의 다중 바코드가 다른 위치 및 다른 방향으로 입력 쉬트상에서 프린팅되는 경우에도 바코드 영역의 추출 및 바코드 인식을 할 수 있고, 다른 내역의 바코드가 각각의 쉬트상에서 다른 위치 및 다른 방향에서 프린팅되는 경우에도 바코드 영역 추출 및 바코드 인식을 할 수 있다.

Claims (18)

  1. 바코드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다중 바코드를 갖는 입력 쉬트를 2진법으로 코딩된 이미지로써 입력하는 이미지 입력 유닛,
    상기 2진법으로 코딩된 이미지의 상기 다중 바코드로부터 각각의 바코드 영역을 추출하는 바코드 영역 추출 유닛,
    데이터를 코딩하는 상기 다중 바코드 영역의 바코드를 전송하며, 다중 바코드 내역을 갖는 바코드로 인식하는 바코드 인식 유닛, 및
    상기 바코드 인식 유닛에 의한 인식 결과로써, 데이터를 코딩해서 전송한 것이 올바른지를 결정하는 인식 결과 결정 유닛
    을 포함하는 바코드 판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영역 추출 유닛은
    상기 2진법으로 코딩된 이미지로부터 연결 부분을 추출하는 수단,
    상기 연결 부분의 높이와 폭 사이의 비가 적어도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이고, 폭은 미리 결정된 값을 넘지 않도록 결정하는 수단,
    상기 다중 연결 부분 사이의 거리가 미리 결정된 길이를 넘지 않도록 결정하는 수단, 및
    연결 부분의 높이와 폭 사이의 비가 적어도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이고, 폭은 미리 결정된 값을 넘지않는 상기 다중 연결 부분 사이의 거리가 미리 결정된 길이를 넘지 않을 때, 바코드 영역으로써의 상기 다중 연결 부분의 영역을 추출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바코드 판독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바코드가 서로 다른 내역의 바코드인 바코드 판독 시스템.
  4. 바코드 판독 시스템에서,
    다중 바코드를 갖는 입력 쉬트를 2진법의 코딩된 이미지로 입력하는 이미지 입력 유닛,
    상기 2진법으로 코딩된 이미지의 상기 다중 바코드로부터 각각의 바코드 영역을 추출하는 바코드 영역 추출 유닛,
    상기 다중 바코드 영역에서의 바코드 내역을 결정하는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 결정 유닛,
    결정 결과에 기초한 상기 바코드 영역의 바코드를 결정하고, 데이터를 코딩한 바코드를 전송하는 바코드 인식 유닛, 및
    데이터를 코딩한 바코드의 전송이 상기 바코드 인식 유닛에 의한 인식 결과로써 올바른지를 결정하는 인식 결과 결정 유닛
    을 포함하는 바코드 판독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영역 추출 유닛은
    상기 2진법으로 코딩된 이미지로부터 연결 부분을 추출하는 수단,
    상기 연결 부분의 높이와 폭 사이의 비가 적어도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이고, 폭은 미리 결정된 값을 넘지 않도록 결정하는 수단,
    다중 연결 부분 사이의 거리가미리 결정된 길이를 넘지 않도록 결정하는 수단, 및
    연결 부분의 높이와 폭의 비가 적어도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이고, 폭은 미리 결정된 값을 넘지않는 상기 다중 연결 부분 사이의 거리가 미리 결정된 길이를 넘지않을 때, 바코드 영역으로써의 상기 다중 연결 부분의 영역을 추출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바코드 판독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 결정 유닛은
    상기 바코드 영역 내의 라인상에서 바의 부분의 폭을 탐지하고, 바의 폭의 조건으로써 탐지된 바의 폭의 주파수를 얻는 수단,
    상기 주파수가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할 때, 상기 주파수에 대한 최대값의 존재를 결정하는 수단,
    상기 최대 값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범위내에서, 상기 주파수의 총 빈도가 적어도 전체 주파수의 미리 결정된 빈도 이상일 때, 바코드로써 상기 바코드 영역내의 2진법으로 코딩된 이미지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최대값의 갯수에 기초한 바코드 내역을 결정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바코드 판독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의 결정 유닛은
    상기 바코드 영역 내의 바의 상위쪽상의 y축의 위치에서의 주파수와 바의 하위쪽상의 y축의 위치에서의 주파수를 가리키는 바의 기준라인의 조건을 획득하는 수단,
    상기 주파수의 최대값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범위내에서 상기 주파수의 총 빈도가 적어도 전체 주파수의 미리 결정된 빈도 이상일 때, 상기 바코드 영역내의 2진법으로 코딩된 이미지가 바코드의 것인지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상위쪽의 위치에서의 주파수의 최대값의 갯수 및 상기 하위쪽의 위치에서의 주파수의 최대값의 갯수에 기초한 바코드의 내역을 결정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바코드 판독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의 결정 유닛은 상기 바코드 영역내의 바의 갯수에 기초한 바코드의 내역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바코드 판독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의 결정 유닛은
    상기 바코드 영역내의 판독가능한 기호를 추출하는 수단, 및
    상기 판독 가능한 기호를 인식하는 기호의 종류에 기초한 바코드의 내역을 결정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바코드 판독 시스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인식 유닛은
    상기 바코드 영역내의 바코드 내역이 상기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의 결정 유닛에 의해 하나로 정확하게 나타날 때, 대응하는 내역에 대한 상기 바코드를 해독하고,
    바코드 내역에 해당하는 것이 상기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의 결정 유닛에 의해 바코드의 내역의 결정 결과로써 다중으로 결정될 때, 대응하는 다중 내역에 대한 상기 바코드를 해독하며,
    상기 바코드 줄무늬의 유사성의 결정 유닛이 상기 바코드의 내역을 정확히 나타낼 수 없을 때, 상기 바코드 인식 유닛이 해독할 수 있는 모든 내역에 대해 상기 바코드를 해독하는 바코드 판독 시스템.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바코드가 서로 다른 내역의 바코드인 기호화된 바코드 판독 시스템.
  12. 바코드의 판독 방법에 있어서,
    다중 바코드를 갖는 입력 쉬트를 2진법으로 코딩된 이미지로써 입력하는 단계,
    상기 2진법으로 코딩된 이미지로부터 연결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연결 부분의 높이와 폭 사이의 비가 적어도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이고, 폭은 미리 결정된 값을 넘지않도록 결정하는 단계,
    상기 연결 부분 사이의 거리가 미리 결정된 길이를 넘지 않도록 결정하는 단계,
    연결 부분의 높이와 폭의 비가 적어도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이고, 폭은 미리 결정된 값을 넘지 않는 상기 다중 연결 부분 사이의 거리가 미리 결정된 값을 넘지 않을 때, 바코드 영역으로써 상기 다중 연결 부분의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바코드 인식 유닛이 해독할 수 있는 모든 내역에 대해 상기 바코드 영역 내의 바코드를 해독하는 단계, 및
    인식 결과로써, 정상적으로 해독된 상기 바코드인 코드들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바코드의 판독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바코드가 서로 다른 내역의 바코드인 기호화된 바코드의 판독 방법.
  14. 바코드의 판독 방법에 있어서,
    다중 바코드를 갖는 입력 쉬트를 2진법으로 코딩된 이미지로 입력하는 단계,
    상기 2진법으로 코딩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다중 바코드에 대한 각각의 바코드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바코드 영역의 바코드 내역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 결과에 기초한 상기 바코드 영역의 바코드를 인식하고, 데이터로 코딩한 바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바코드가 정상적으로 해독될 수 있을 때, 해독된 코드들을 인식된 결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바코드의 판독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2진법으로 코딩된 이미지로부터의 상기 다중 바코드에 대한 각각의 바코드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2진법으로 코딩된 이미지로부터 연결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연결 부분의 높이와 폭 사이의 비가 적어도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이고, 폭은 미리 결정된 값을 넘지 않도록 결정하는 단계,
    상기 연결 부분 사이의 거리가 미리 결정된 길이를 넘지 않도록 결정하는 단계, 및
    연결 부분의 높이와 폭 사이의 비가 적어도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이고, 폭은 미리 결정된 값을 넘지 않는 상기 다중 연결 부분의 거리가 미리 결정된 값을 넘지 않을 때, 바코드 영역으로써의 상기 다중 연결 부분의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바코드의 판독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바코드 영역의 바코드 내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바코드 영역내의 라인상에서 바의 부분의 폭을 탐지하고, 바의 폭의 조건으로써 탐지된 바의 폭의 주파수를 얻는 단계,
    상기 주파수가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할 때, 상기 주파수의 최대값이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최대값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범위내에서 상기 주파수의 총 빈도가 적어도 전체 주파수의 미리 결정된 빈도 이상일 때, 상기 바코드 영역내의 2진법으로 코딩된 이미지가 바코드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최대값의 갯수에 따른 바코드 내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바코드 영역내에서, 상위쪽상의 y축에서의 위치의 주파수 및 하위쪽상의 y축에서의 위치의 주파수를 가리키는 바의 기준라인의 조건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의 최대값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범위내에서, 상기 주파수의 총 빈도가 적어도 전체 주파수의 미리 결정된 빈도 이상일 때, 상기 바코드 영역내의 2진법으로 코딩된 이미지가 바코드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상위쪽상의 위치의 주파수에서 최대값의 갯수 및 하위쪽상의 위치의 주파수에서 최대값의 갯수에 따른 바코드 내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바코드 영역내의 바의 갯수에 따른 바코드 내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바코드 영역내의 판독 가능한 기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판독 가능한 기호를 인식하는 기호의 종류에 기초한 바코드 내역을 결정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바코드의 판독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결정 결과에 기초한 상기 바코드 영역내의 바코드를 인식하고 데이터로 코딩한 바코드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바코드의 내역이 하나로 정확히 나타나질 때, 대응하는 내역에 대한 상기 바코드를 해독하는 단계,
    상기 바코드 내역에서 다중 내역에 해당하는 것이 있을 때, 대응하는 해당된 다중 내역을 갖는 상기 바코드를 해독하는 단계, 및
    상기 바코드 내역이 정확하게 나타날 수 없을 때, 상기 바코드 인식 유닛이 해독할 수 있는 모든 내역에 대한 상기 바코드를 해독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바코드 판독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바코드는 서로 다른 내역의 바코드인 바코드 판독 방법.
KR10-2000-0011738A 1999-07-27 2000-03-09 바코드 판독 방법 및 바코드 판독 시스템 KR1004017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211726 1999-07-27
JP21172699A JP3640573B2 (ja) 1999-07-27 1999-07-27 バーコード読取り方法及びバーコード読取り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553A true KR20010014553A (ko) 2001-02-26
KR100401778B1 KR100401778B1 (ko) 2003-10-17

Family

ID=16610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738A KR100401778B1 (ko) 1999-07-27 2000-03-09 바코드 판독 방법 및 바코드 판독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20074405A1 (ko)
JP (1) JP3640573B2 (ko)
KR (1) KR1004017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473B1 (ko) * 2005-11-05 2007-06-19 주식회사 칼라짚미디어 이미지 분별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05131B2 (en) * 2002-10-01 2007-12-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xtracting graphical bar codes from an input image
US7017816B2 (en) * 2003-09-30 2006-03-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xtracting graphical bar codes from template-based documents
KR100677830B1 (ko) 2005-01-18 2007-02-05 천지득 칼라코드 값의 인코딩, 디코딩 알고리즘을 이용한 인터넷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JP4254724B2 (ja) * 2005-02-16 2009-04-15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バーコード読取り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1818849A3 (en) 2006-02-07 2008-01-02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device
JP5092732B2 (ja) * 2007-12-19 2012-12-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コード認識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211941B2 (ja) * 2008-08-29 2013-06-1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062633B2 (ja) * 2008-09-03 2012-10-3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468054B1 (en) * 2009-08-21 2013-06-18 Cardstar, Inc. Identification related technology
DE102010037564A1 (de) * 2010-08-12 2012-02-16 Phoenix Contact Gmbh & Co. Kg Bedruckungsobjekt und Drucker zum Bedrucken eines Bedruckungsobjektes
KR101860569B1 (ko) 2011-09-08 201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및 바코드를 동시에 인식하는 문자 및 바코드 인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808211B2 (ja) * 2011-09-28 2015-11-10 株式会社ウェルキャット バーコードシンボル読取装置及びバーコードシンボル読取方法
US8608074B2 (en) * 2011-12-20 2013-12-17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nd decoding machine-readable symbols
JP2013186598A (ja) * 2012-03-06 2013-09-19 Toshiba Tec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090997B2 (ja) * 2013-05-07 2017-03-08 株式会社ウェルキャット バーコードシンボル読取装置及びバーコードシンボル読取方法
CN104298953A (zh) * 2014-10-27 2015-01-21 苏州睿新捷信息科技有限公司 批量条码识别方法及系统
US10598637B2 (en) * 2017-07-18 2020-03-24 Perkinelmer Health Sciences, Inc. Automated thermal desorption systems configured to determine sample tube orientation and/or cap presence, and related methods
JP6949596B2 (ja) * 2017-07-20 2021-10-13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商品データ処理装置及び商品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US10816516B2 (en) 2018-03-28 2020-10-27 Perkinelmer Health Sciences, Inc. Autosamplers and gas chromatographic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4130A (ja) * 1996-10-28 1998-05-22 Fujitsu Ltd バーコード読取方法およびバーコード読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473B1 (ko) * 2005-11-05 2007-06-19 주식회사 칼라짚미디어 이미지 분별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1778B1 (ko) 2003-10-17
US20020074405A1 (en) 2002-06-20
JP3640573B2 (ja) 2005-04-20
JP2001043308A (ja) 2001-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1778B1 (ko) 바코드 판독 방법 및 바코드 판독 시스템
CA2097359C (en) Record with encoded data
US7185816B1 (en) Bar code and method of forming a bar code having color for encoding supplemental information
KR930012137B1 (ko) 기계광학 판독 가능한 동적 가변 2진 코드 판독장치, 2진 코드의 크기 및 밀도 결정장치 및 2진 코드 생성장치
US6321986B1 (en) Robust machine-readable symbolog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and reading same
KR100341504B1 (ko) 기계로 판독가능한 코드와 그 코드의 인코딩/디코딩 방법및 장치
US4728784A (en) Apparatus and method of encoding and decoding barcodes
US6186406B1 (en) Bar code symbology capable of encoding bytes, words, 16-bit characters, etc.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and reading same
EP1016027B1 (en) Distortion resistant double-data correcting color transition barcode and method of generating and using same
EP0565738A1 (en) System for encoding and decoding data in machine readable graphic form
US20120024956A1 (en) Qr code having hidden codes and methods of forming and identifying the hidden codes
US6012638A (en) Machine-readable symbolog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and reading same
US66063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forgery
US7878414B2 (en) Code and a method for coding and encoding information
EP0976100A2 (en) Robust machine-readable symbolog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and reading same
US5189289A (en) Distinguishing bar code types by comparing bar block sizes
KR2009000227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하기 위한 분할형 2차원 바코드의인코딩 방법
KR100393423B1 (ko) 2차원 바코드 정보 인식방법
US20020056759A1 (en) Bar code symbology for consumer scanning applications
JP2001307013A (ja) バーコード読取装置
WO2021095457A1 (ja) 二次元コード生成方法、二次元コード評価方法、二次元コードシステム、二次元コード生成装置、及び二次元コード評価装置、及び二次元コード
KR100341601B1 (ko) 2차원 바코드 정보 인식방법
US8256687B2 (en) Method of coding information in a dual fashion on physical media and in DOTEM computerised form
EP0930787A2 (en) Image cod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pattern coding
EA002213B1 (ru) Способ идентификации изображения или докумен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