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4406A - 생리대용 신장성 크림프 봉합부 - Google Patents

생리대용 신장성 크림프 봉합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4406A
KR20010014406A KR1019997012587A KR19997012587A KR20010014406A KR 20010014406 A KR20010014406 A KR 20010014406A KR 1019997012587 A KR1019997012587 A KR 1019997012587A KR 19997012587 A KR19997012587 A KR 19997012587A KR 20010014406 A KR20010014406 A KR 20010014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sanitary napkin
extensible
region
fl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2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맥폴로날드레이
오에트젠데이비드크리스토퍼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20010014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440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a reinforcing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ncircling the crotch region of the under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1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astening strips, e.g. adhesive, on the undergarment-facing s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리대, 팬티 라이너, 실금자용 장치와 같이 언더가멘트내에 착용하기 위한 신장성 흡수 제품용 액체 불투과성 봉합부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흡수제품은 전형적으로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 상기 상면시이트에 결합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 및 상기 상면시이트와 상기 배면시이트 사이에 위치한 흡수 코어를 갖는다. 상기 흡수제품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는 사인 곡선 형태를 갖는 신장성 액체 불투과성 봉합부를 사용함으로써 함께 고정된다.

Description

생리대용 신장성 크림프 봉합부{EXTENSIBLE CRIMP SEAL FOR SANITARY NAPKINS}
생리대, 팬티라이너, 실금자용 패드와 같은 흡수제품은 신체로부터 분비되는 액체 및 기타의 분비물들을 흡수 및 보유하고, 신체 및 의복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설계된다. 생리대는 여성들이 착용하는 흡수제품의 한 형태이며, 보통 신체의 회음부에 인접하여 착용자의 양다리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전형적으로 전술된 형태의 일회용 흡수제품의 대부분은 연신되지 않는 물질로 되어 있다. 즉, 물질(및 제품 자체)은 착용시 보통 가해지는 힘에서 연신되지 않는다.
흡수제품이 연신성을 갖지 않음으로써 이러한 제품은 많은 심각한 단점을 갖게 된다. 가장 심각한 단점중의 하나는 착용자에게 가능한 만큼 편안함을 느끼게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착용자는 자신의 움직임 및 몸에 맞게 연신되는 제품과 연신이 불가능한 제품간의 차이를 관념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통상의 생리대는 연신되거나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와 함께 움직일 수가 없기 때문에 생리대는 언더가멘트내에서 이동하게 된다. 생리대에 연신성을 제공함으로써 생리대가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에 순응하게 변형되고 제 자리로 유지되게 된다.
몇몇 특허 공보에 연신성 있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갖는 흡수제품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노력들은 스미스(Smith)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2,701,567 호, 올슨(Olsso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570,493 호, 에슬리(Easley)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653,382 호, 슈왓츠(Schwartz)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717,150 호, 사베(Sabee)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013,816 호, 코작(Kozak)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041,949 호, 코프만(Korpma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166,464 호, 홀(Hall)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33,357 호, 피니악(Pieniak)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73,991 호, 홀트만(Holtma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78,070 호, 잭슨(Jackso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96,570 호, 모먼(Morma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655,760 호, 코프만(Korpma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731,066 호, 파렌쿠룩(Fahrenkrug)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47,134 호, 파렌쿠룩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91,258 호, 모먼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965,122 호, 두비(Dube)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992,324 호, 그로센즈(Grossens)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011,480 호와 모리스(Morris) 등의 명의로 공개된 유럽 특허 출원 제 0 450 541 A2 호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에 나열된 문헌들 중에는 하나 이상의 연신성 구성요소를 갖는 흡수제품을 개시하는 것도 있다. 보다 최근에는, 착용자 및 그의 언더가멘트의 움직임에 적응시키기 위해서 연신성 구성요소만으로 구성된 생리대와 같은 흡수제품의 다양한 실시태양이 "연신성 흡수제품(Stretchable Absorbent Articles)"이라는 명칭으로 1997년 3월 18일자로 오스본(Osbor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611,790 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흡수제품에 사용되기 위한 개선된 물질도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탄성-유사 행동을 나타내는 웹 물질(Web Materials Exhibiting Elastic-Like Behavior)"이라는 명칭으로 1996년 5월 21일자로 샤펠(Chappell)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518,801 호는 탄성-유사 행동을 나타내는 웹 물질 및 이러한 물질을 구체화한 흡수제품을 개시하고 있다. "연신성 흡수제품의 제조를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tretchable Absorbent Articles)"라는 명칭으로 1996년 10월 1일자로 드래구(Dragoo)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560,878 호에는 연신성 흡수물질을 개시하고 있다. 1995년 8월 10일에 오스본등의 명의로 "흡수제품(Absorbent Articles)"이라는 명칭으로 공개된 PCT 공개번호 제 WO 95/20931 호는 제품이 착용자의 신체와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개선된 메카니즘을 갖는 신장성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흡수제품 및 흡수 코어의 개선된 변경을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장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성적으로 신장성인 개선된 생리대와 같은 흡수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성인 생리대와 같은 흡수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수제품의 말단 영역이 나머지 부분 위로 접히려는 바람직하지 않은 경향과 같이 일반적인 고도의 가요성 흡수제품에 악영향을 미치는 몇몇 문제점들을 방지하기 위한 개선된 메카니즘을 갖는 연신성 흡수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이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에 부착되었을 때 착용자가 걷거나 이와 유사한 정도로 움직이는 경우에 제품에 가해지는 힘을 수용하는 대각선 방향으로의 신장성을 갖는 흡수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장성 흡수제품용의 개선된 흡수 코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랩이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의 측부 가장자리 둘레를 감싸는 때에 생리대에 가해지는 응력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신장이 가능한 부분을 갖는 측부 플랩 또는 날개를 갖는 흡수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수제품의 신장성 구성요소들을 결합시키면서도 여전히 신장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유형의 연신성 크림프 봉합부(crimp seal)을 갖는 신장성 흡수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및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하기 설명을 참조하면,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생리대, 팬티 라이너, 실금자용 장치와 같이 언더가멘트 안에 착용되는 다중 방향으로 신장이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탄성 신장성인 흡수제품을 제공한다.
다중 방향으로 신장이 가능한 흡수제품은 하나의 종방향 중심선, 하나의 횡방향 중심선, 한 쌍의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 한 쌍의 말단 가장자리, 제 1 말단 영역, 제 2 말단 영역, 제 1 및 제 2 말단 영역 사이에 존재하는 중간 영역을 가진다. 다중 방향으로 신장이 가능한 흡수제품은 바람직하게는 다른 방향으로 신장이 가능한 2개 이상의 영역을 포함하는 주 몸체부를 갖고, 상기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은 약 500g 이하의 힘에 대하여 25%의 연신율을 가진다. 다중 방향으로 신장이 가능한 흡수제품의 주 몸체부는 바람직하게는 다중 방향으로 신장이 가능한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면시이트의 주변에 결합되어있는 다중 방향으로 신장이 가능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 상면시이트와 배면시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다중 방향으로 신장이 가능한 흡수 코어를 포함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다중 방향으로 신장이 가능한 흡수제품의 주 몸체부는 횡방향으로 우선적인 신장이 가능한 중간 영역을 가진다. 제 1 및 제 2 말단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3개의 신장성 영역 즉, 제 1 신장성 영역, 제 2 신장성 영역, 제 3 신장성 영역을 가진다. 말단 영역에 있는 제 1 신장성 영역은 주 몸체부의 말단 가장자리의 하나에 인접한 종방향 중심선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된다. 제 1 신장성 영역은 우선적으로 횡방향으로 신장이 가능하다. 제 2 신장성 영역은 상기 제 1 신장성 영역의 한쪽 측부에 대해 제 1 신장성 영역의 적어도 일부의 측부 바깥쪽으로 배치되고, 흡수제품의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의 하나까지 신장된다. 제 2 신장성 영역은 종방향과 횡방향 사이의 한 방향으로 신장이 가능하다. 제 3 신장성 영역은 제 1 신장성 영역의 다른 측부에 대해 적어도 제 1 신장성 영역의 일부의 측부 바깥쪽으로 배치된다. 제 3 신장성 영역은 흡수제품의 나머지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까지 연장되고, 종방향과 횡방향 사이의 한 방향으로 신장이 가능하다.
본 실시태양 또는 기타 실시태양에서, 다중 방향으로 신장이 가능한 흡수제품은 흡수제품의 주 몸체부의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를 넘어 측부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측부 플랩 또는 날개를 가진다. 측부 플랩은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의 측부 가장자리 둘레를 에워쌀 때, 플랩위에 가해진 응력을 완화시키기 위해 그안에 신장성 부분의 개선된 형태를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측부 플랩은 주 몸체부와 일체를 이루고, 흡수제품의 흡수 코어의 가장자리 안쪽으로 위치한 영역에서 신장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범주에는 본원에 기술된 플랩을 종래의 비신장성 흡수제품에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신장성 흡수제품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구성요소로 하여금 탄성적으로 신장이 가능하게 하는 사인 곡선 패턴을 갖는 신규한 액체 불투과성 봉합부의 사용에 의하여 함께 유지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른 생리대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생리대의 플랩 중 하나의 코너 영역을 통과하는 도 1의 2-2선을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플랩 중 하나의 중앙부를 통과하는 도 1의 3-3선을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단순화를 위해 배면시이트에서 변형가능한 망상구조 영역이 생략되어 도시된 도 1의 생리대의 배면도이다.
도 5는 연신 후의 생리대의 간략화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개선된 특징을 갖지 않는다면 생리대에 발생하게 될 몇몇 문제점들을 보여주는 가요성이고 신장성인 생리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복합(compound) 생리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8-8선에 따른 복합 생리대의 단면도이며, 단순화를 위해 상면시이트 및 배면시이트에 주름이 없이 도시한다.
본 발명은 생리대, 팬티 라이너, 실금자용 장치와 같은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신장이 가능한, 바람직하게는 다중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성인 전술한 유형의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의 바람직한 태양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생리대, 팬티 라이너, 실금자용 장치 등과 같이 언더가멘트 안에 착용하는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흡수제품"이라는 용어는 신체 분비물들을 흡수 및 봉쇄하는 제품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용어는 신체로부터 분비되는 여러 가지 분비물을 흡수 및 보유하기 위해서 착용자의 신체에 대해 또는 이와 근접하여 위치하는 제품을 지칭한다. "흡수제품"이라는 용어는 생리대, 팬티 라이너, 실금자용 패드(및 언더가멘트의 가랑이 부위에 착용되는 다른 제품들)를 포함한다.
"일회용"이라는 용어는 일회 사용 후 버려지도록 의도되고, 바람직하게는 재생되거나 퇴비로 만들어지거나 그렇지 않으면 환경 친화적인 방법으로 버려지도록 의도된 제품을 지칭한다. (즉, 이들은 세탁이 되거나 수선되거나 흡수제품으로서 재사용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흡수제품은 20으로 표시된 생리대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생리대"라는 용어는 신체로부터 분비되는 여러 가지 분비물(즉, 혈액, 생리혈, 뇨)을 흡수 및 봉쇄하려는 의도에서 여성들의 외음부에 인접하여 착용되는 제품을 지칭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특정한 유형이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생리대(20)는 2개의 표면 즉, 신체에 접촉하는 면 또는 "신체면"(20A) 및 가멘트면(20B)을 가진다. 생리대(20)는 그의 신체면(20A)이 보이도록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신체면(20A)은 착용자의 신체에 인접하여 착용되도록 의도된다. 가멘트면(20B)은 생리대가 착용되었을 때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생리대(20)는 2개의 중심선 즉, 주요한 종방향 중심선(L) 및 횡방향 중심선(T)을 가진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종방향"이란 용어는 생리대(20)가 착용되었을 때에 서있는 착용자의 신체를 왼쪽 절반 및 오른쪽 절반 부분으로 이분하는 수직면에 통상 일렬로 배열된(즉, 거의 평행한) 생리대(20)의 평면내에 있는 선, 축 또는 방향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횡방향" 또는 "측방향"이라는 용어는 호환성이 있으며, 통상 종방향에 수직인 생리대(20)의 평면내에 있는 선, 축 또는 방향을 지칭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리대(20)는 바람직하게는 주 몸체부(22) 및 2개의 플랩(24)을 포함한다. 도 1은 생리대(20)의 주 몸체부(22)가 플랩(24)이 없이 생리대의 일부를 이루고 있음을 도시한다. 주 몸체부(22)은 이격된 2개의 종방향 가장자리(26)와 이격된 2개의 횡방향 또는 말단 가장자리(28)를 갖는데, 이들이 함께 주 몸체부의 주변부(30)를 형성한다. 주 몸체부(22)은 종방향 가장자리(26) 및 말단 가장자리(28)가 모이는 4개의 코너(27)를 가진다. 주 몸체부(22)은 또한 제 1 말단 영역(32) 및 제 2 말단 영역(34)으로 표시된 2개의 말단 영역을 가진다. 중간 영역(36)은 말단 영역(32 및 34) 사이에 위치한다. 말단 영역(32 및 34)은 주 몸체부 길이의 약 1/8 내지 1/3 또는 그 이상 중간 영역(36)의 가장자리로부터 종방향으로 바깥으로 연장된다. 생리대의 중간 영역 및 2개의 말단 영역의 특징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1987년 9월 1일자로 히긴스(Higgins)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690,680 호에 기재되어 있다.
생리대(20)의 주 몸체부(22)은 비교적 두꺼운, 중간 두께의, 비교적 얇은, 심지어는 매우 얇은(초박형의) 것을 비롯한 임의의 두께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장이 불가능한 "초박형의" 생리대의 특징은 오스본(Osbor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950,264 호 및 제 5,009,653 호에 기술되어 있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생리대(20)의 실시태양은 약 4 밀리미터의 캘리퍼를 갖는 초박형 생리대의 한 예를 나타낸다. 또한 생리대(20)의 주 몸체부(22)은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가요성이어서 착용자가 편안함을 느낀다.
도면에 나타난 생리대(20)는 다중 방향으로 신장이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연신이 가능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성적으로 연신이 가능하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신장성"이라는 용어는 X-Y 평면에 있어서 2차원중 한 방향 이상으로 늘어날 수 있는 제품을 지칭한다. X-Y 평면은 일반적으로 생리대(20)의 양면에 평행하다. "신장성"이라는 용어는 연신성이 있고 탄성적으로 연신성이 있는 제품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연신성"이라는 용어는 연신력이 제품에 가해진 경우에 신장이 가능하고 연신에 대한 저항을 주는 제품을 지칭한다.
"탄성 연신성" 또는 "탄성 신장성" 이라는 용어는 동의어로 의도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 5에서 생리대의 단순화된 개략도에 의해 설명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리대(20)는 연신된 길이 LS와 연신된 너비 WS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탄성 연신성" 또는 "탄성 신장성" 이라는 용어는 "F"로 표시된 연신력이 제거되었을 때에 생리대가 연장 또는 연신되지 않은 치수(또는 "원래의" 치수인 "Lu"와 "Wu")로 환원되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생리대(20)는 항상 연신되지 않았던 치수까지 환원될 필요는 없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신되지 않은 치수(Lu및 Wu) 및 연장(또는 연신)된 크기(LS및 WS) 사이의 완화된 크기(LR및 WR)까지 환원되어도 좋다.
도 2는 본 발명인 생리대(20)의 주 몸체부(22)의 개별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생리대의 주 몸체부(22)은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주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38)와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40), 및 상면시이트(38)와 배면시이트(40) 사이에 위치한 흡수 코어(42)를 포함한다.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 및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 흡수 코어는 하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신장이 가능하게 하는 많은 적합한 물질들을 포함하거나, 신장성을 부여하기 위해 본원에서 특정된 바와 같이 개질되기에 적합한 기본 물질들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태양에서,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38)의 기본 물질은 천공된 성형 필름을 포함한다. 적합한 성형 필름은 1975년 12월 30일자로 톰슨(Thompso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929,135 호, 1982년 4월 13일자로 물렌(Mullane)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324,245 호, 1982년 8월 3일자로 라델(Radel)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342,314 호, 1984년 7월 31일자로 아르(Ah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463,045 호, 1991년 4월 9일자로 바드(Baird)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006,394 호에 기술되어 있다. 상면시이트(38)를 위한 하나의 특별히 바람직한 기본 물질은 상기 특허들 중의 하나 이상에서 기술하고 있는 한 성형 필름을 포함하며, "드라이-위브(DRI-WEAVE)"라는 상표명의 상면시이트로서 오하이오주 신시내티 소재의 프록터 앤 갬블사에 의해서 상품화된다. 상면시이트(38)의 기본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제조되는 동안 그 안에 혼입된 친수성 계면 활성제를 가진다. 상면시이트(38)의 기본 물질은 하기에 더욱 상세히 논의하는 바와 같이 다중 방향으로 신장가능하게 하기 위해 개질된다.
흡수 코어(42)는 신장이 가능하거나, 흡수물질이 신장가능하도록 개질되기에 적합한 다양한 흡수물질을 포함한다. 예를들어, 흡수 코어(42)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물질은 다중 방향으로 신장가능하도록 개질된 니트 물질이나 부직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다중 방향으로" 신장가능하다는 것은 X-Y 평면에서 두 방향 이상으로의 신장성을 지칭한다. (필요하다면, 흡수 코어(42)에 사용되기 위해 본원에 기술된 물질들은 일회용 기저귀와 같은 다른 유형의 일회용 흡수제품에서 흡수 코어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다중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성인 하나의 적합한 부직물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섬유상의 초흡수성 중합체(또는 흡수성 겔화 물질)과 같은 중합체 섬유들의 50/50의 배합물이다. 하나의 적합한 섬유상의 흡수성 겔화 물질은 제품번호 1161로서 캐나다 알베르타 캘거리 소재의 카메롯 수퍼어브소번츠사(Camelot Superabsorbents)로부터 구입한다. 부직물은 바람직하게는 메기슨(Megiso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781,710 호에 기술된 패턴으로 엠보싱 처리된다. 그런 다음 엠보싱 처리된 부직물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약 280℉(38℃)) 의 바로 직전 온도까지 가열되고 "부직 웹의 후처리(Post-Treatment of Nonwoven Webs)"라는 명칭으로 1993년 9월 14일자로 하센뵐러 주니어(Jassenboehler, Jr.) 등에게 허여된 테네시 대학의 미국 특허 제 5,244,482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측면으로 응고되어, 제 1 방향으로 신장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 다음에 바람직하게는 부직 웹은 약 200℉(93℃)로 냉각되고 제 1 방향에 대해 수직인 제 2 방향으로의 신장성을 제공하기 위해 기계적으로 압축된다. 부직 웹을 기계적으로 압축하기 위한 적합한 방법이 1966년 7월 12일자로 월튼(Walto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260,778 호, 1969년 2월 11일자로 월튼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426,405 호, 1992년 6월 2일자로 월튼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117,540 호에 기술되어 있다. 전 과정을 거치고 나면 약 200g/in(약 80g/cm)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00g/in(약 40g/c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5g/in 내지 100g/in(약 10g/cm 내지 약 40g/cm),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0g/in(약 24g/cm)의 힘에 대하여 기계 방향(생리대의 제조 과정에서 직물이 롤에서 풀리는 방향) 및 기계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풀리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의 양 방향으로 약 25%까지 신장이 가능한 부직 흡수 코어 물질이 만들어진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태양에서 바람직하게는 흡수 코어(42)는 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성인 니트 물질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전 방향으로" 라는 말은 X-Y 평면내의 모든 방향으로의 신장성을 지칭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흡수 코어(42)는 둘 이상의 물질의 적층판이다. 바람직하게는, 흡수 코어(42)는 적층판에 자카드 퀼트 패턴(jacquard quilted pattern)을 제공하는 자수로 함께 바느질되어 있는 니트 나일론 물질, 니트 폴리에스테르 물질, 20/1의 니트 아크릴 물질의 층을 포함하는 3층 구조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물질은 제품 번호 B7112로 공지되어 있고, 노우쓰 케롤라이나주 벌링톤 소재의 프린트 암텍스 인컴퍼니사(Flynt Amtex Inc.)로부터 구입한다. 플린트(Flynt) 물질은 24mg/㎠의 기본 중량, 직물 g당 약 물 5g 이상의 흡수 용량, 약 2mm의 케리퍼를 가진다. 이러한 물질의 용량을 측정하는 간단한 시험은 하기 시험 방법 단락에서 기술한다.
흡수 코어(42)(즉, 플린트 물질)는 바람직하게는 특정 힘에 대해 전방향으로 다음과 같은 정도 즉, 약 20g/in(약 8g/cm) 이하의 힘에 대해서 5%의 연신율; 약 35g/in(약 14g/cm) 이하의 힘에 대해서 10%의 연신율 ; 약 200g/in(약 80g/cm) 이하의 힘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약 100g/in(약 40g/cm) 이하의 힘에 대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5g/in(약 33g/cm) 이하의 힘에 대해서 25%의 연신율 ; 약 225g/in(약 90g/cm) 이하의 힘에 대해서 50%의 연신율을 가진다. 본원에 특정된 모든 힘은 아래 시험 방법 단락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1 인치(2.54cm) 너비의 흡수물질 스트립으로 측정된다. 간략화를 위해서, 전 방향 신장성은 종방향, 횡방향, 및 45°대각선 방향으로 자른 스트립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흡수 코어(42)(즉, 플린트 물질)는 바람직하게는 고도의 가요성 및 드레이프성을 가진다. 플린트 물질은 오스본(Osbor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009,653 호에 설명된 시험을 사용하여 플린트 물질만에 대해 측정된 약 0.11 내지 0.12g cm의 태버 스티프니스(Taber Stiffness); 약 26mg cm/cm의 굽힘 강성; 약 14 내지 15g의 굽힘 저항을 가진다. 플린트 물질은 "부풀어 오른" 외관을 갖는 면 및 상대적으로 편평한 다른 면을 가진다. 플린트 물질은 어느 하나의 면이 상면시이트(38)에 인접하여 생리대(20)내에 위치한다. 상기 흡수 코어 물질은 본래 전 방향으로 신장가능하기 때문에 어떠한 개질도 필요치 않다.
어떤 경우에는, 흡수 코어(42)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플린트 물질에 추가의 흡수 용량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몇몇 비제한적인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한 실시태양에서, 추가의 신장성 물질의 웹 내지 스트립을 플린트 물질의 하부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태양에서, 추가의 신장성 물질의 웹 내지 스트립은 그 표면이 흡수성 겔화 물질이 표면에 제공된 플린트 물질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표면(즉, 그의 내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추가의 웹 내지 스트립은 플린트 물질의 하부면에 인접한 흡수성 겔화 물질을 "포획" 내지 유지한다.
본 실시태양의 바람직한 태양에서, 신장성 물질은 일본의 기푸시에 소재의 하빅스 코퍼레이션에 의해서 하빅스 에스2146(HAVIX S2146)이라는 상표명으로 제조되는 이성분 섬유로 구성된 공기 접합식의 부직물로 된 약 2 in(약 5cm) 너비 및 약 6.25 in(약 16cm)길이의 직사각형의 스트립을 포함한다. 하빅스 물질은 한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신장성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그 방향은 너비 방향이다. 하빅스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에서 논의된 다중 방향으로 신장성 부직물과 관련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기계적으로 압축되어 길이 방향의 신장성을 가질 수도 있다. 흡수성 겔화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일리노이주 네이퍼빌(Naperville) 소재의 낼코 케미컬 컴퍼니(Nalco Chemical Company)로부터 구입한 낼코 1180(Nalco 1180) 흡수성 겔화 물질 및 펜실베니아주 윌리엄스포트 소재의 론짜 인컴퍼니(Lonza, Inc.)로부터 구입한 퍼고스퍼스(PEGOSPERSE) 계면활성제의 혼합물로서 하빅스 물질에 적용된다. 이런 구성요소들은 10g의 흡수성 겔 물질 당 약 1g의 계면활성제의 비율로 혼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물의 약 0.3g 내지 0.4g이 하빅스 물질의 스트립에 사용된다.
하빅스 물질의 스트립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으로 플린트 물질의 하부면에 결합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빅스 물질은 연신 되고, 위스콘신주의 와우와토사 소재의 파인들리 어드히시브 컴퍼니(Findley Adhesive Company)에 의해서 제조된 접착제 번호 2031과 같은 접착제에 의해 플린트 물질의 하부면에 결합된다. 만약 추가의 고정이 필요하다면 플린트 물질에 부착하기 위해 하빅스 물질의 주위 둘레에 양면 접착 테잎이 놓여질 수 있다. 흡수성 겔화 물질과 함께 이와 같은 추가적인 웹 물질의 사용은 바람직하게는 생리대(20)의 전체 흡수 용량을 약 12g에서 약 23g까지 거의 배가시킨다. 흡수 용량은 바람직하게는 오스본(Osbor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009,653 호에 설명된 시험에 따라 측정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흡수 코어(42)에 다른 방법으로 추가적인 용량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흡수 코어의 하부면에 스트립 물질을 부가하는 대신에, 흡수성 겔화 물질이 (플린트 물질의 다른 층들 중의 하나와 같은) 흡수 코어의 하나 이상의 층의 표면위에 부가된다. 다르게는, 흡수 코어의 하나 이상의 층이 섬유상의 흡수성 겔 물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배면시이트(40)는 신장이 가능하거나 이에 신장성을 제공하기 위해 본원에 특정된 바와 같이 개질될 수 있는 기본 물질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액체 불투과성 물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면시이트(40)의 기본 물질은 약 0.012 mm(0.5 mil)에서 0.015 mm(2.0 mil)까지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필름이다. 예시의 폴리에틸렌 필름은 P18-0401 및 마이크로플렉스(microflex) 1401라는 상품명으로 오하이오주 신시내티 소재의 클로페이 코퍼레이션(Clopay Corporation)에서 제조된다. 배면시이트(40)는 보다 직물과 같은 외관을 제공하기 위해 엠보싱되고/되거나 소광 처리된다. 또한, 배면시이트(40)는 흡수 코어(42)로부터 기체를 배출시키지만(즉, 배면시이트(40)는 통기성이다), 여전히 분비물은 배면시이트를 관통하지 못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배면시이트(40)의 기본 물질이 제조되는 때에, 이는 상면시이트에서와 동일하게 의도된 부분을 부착하는 것을 돕기 위해 코로나 방전처리된다. 필름 물질을 코로나 방전 처리하기 위한 방법은 토마스(Thomas)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351,784 호, 제 4,456,570 호, 제 4,535,020 호에 기술되어 있다. 배면시이트(40)의 기본 물질은 하기에 더욱 상세히 논의된 바와 같이 다중 방향으로 신장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개질된다.
상면시이트(38), 배면시이트(40), 흡수 코어(42)는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적층 또는 "샌드위치" 형태와 감싸이거나 "튜브" 형태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조립된다. 도 1 내지 4는 상면시이트(38) 및 배면시이트(40)가 흡수 코어(42)의 길이와 너비보다 통상 더 큰 치수의 길이 및 너비를 갖는 샌드위치 구조로 조립된 생리대(20)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을 도시한다. 상면시이트(38) 및 배면시이트(40)는 주변부(30) 일부를 형성하기 위해 흡수 코어(42)의 가장자리를 넘어서까지 연장된다. 상면시이트(38)는 바람직하게는 흡수 코어(42)의 신체 대향면에 결합된다. 상면시이트(38)는 개방형 접착제에 의하는 바와 같이, 상기 목적을 위해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방법으로 흡수 코어(42)에 결합될 수 있다. 배면시이트(40)는 흡수 코어(42)에 결합될 필요가 없고, 바람직한 것으로 도시된 실시태양에서도 결합되지 않는다. 주변부(30)를 형성하기 위해 흡수 코어(42)의 가장자리를 넘어서까지 연장되는 상면시이트(38) 및 배면시이트(40)의 일부는 하기에 보다 자세히 기술될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서로 결합된다.
상면시이트(38)는 접착제의 균일한 연속층, 접착제의 패턴화된 층, 또는 일련의 접착제의 개별적인 선, 나선 또는 점들에 의하여 흡수 코어(42)에 결합된다. 이러한 목적에 만족할 만한 것으로 알려진 하나의 접착제가 접착제 번호 2031로서 위스콘신주 와우와토사 소재의 파인들리 어드히시브 컴퍼니(Findley Adhesive Company)에 의해서 제조된다.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1986년 3월 4일자로 "일회용 폐기물-함유 가멘트(Waste-Containment Garment)"라는 명칭으로 미네톨라(Minetola)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73,986 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개방형 망상구조의 접착제 필라멘트에 적용된다. 나선형으로 휘감겨진 접착제 필라멘트의 여러 선을 포함하는 개방형 망상구조의 접착제 필라멘트의 다른 예는 1975년 10월 7일자로 스프레그 주니어(Sprague, Jr.)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911,173 호; 1978년 11월 22일자로 지에커(Ziecke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785,996 호; 1989년 6월 27일자로 웨레니츠(Werenicz)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42,666 호에 도시된 기구 및 방법들에 의해 예시되어 있다. 다르게는, 생리대의 구성요소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고온 결합, 가압 결합, 초음파 결합, 동적 기계적 결합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부착 수단이나 이러한 부착 수단의 조합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생리대 전체 또는 영역은 여러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중 방향 신장성 흡수제품은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영역의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은 약 500g 이하의 힘에 대하여 25%의 연신율을 갖는 주 몸체부를 가진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실시태양에서, 생리대(20)의 중간 영역(36)은 통상 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는 통상 도 1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리대(20)가 플랩(24)을 가진다면, 중간 영역(36)의 신장성은 플랩(24)까지 미칠 수 있다. 중간 영역(36)은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의 곡선형의 측부 가장자리 둘레에 접혀져 있는 플랩(24)을 보완하기 위해 측면으로 확장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통상 횡방향으로"(또는 통상 다른 방향으로)라는 말은 신장성의 주요한 구성요소가 특정한 방향성을 가진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신장이 항상 특정된 방향으로 정확히 일어날 필요는 없다. 따라서, 통상 횡방향으로 신장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을때는 신장성은 생리대의 주요한 횡방향 중심선에 정확히 평행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신장성이 종방향으로보다는 횡방향으로 더 많이 배향된다.
도 1 내지 4의 각각에 도시된 생리대(20)의 제 1 및 제 2 말단 영역(32 및 34)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3개의 신장성 영역을 포함한다. 3개의 신장성 영역은 제 1 신장성 영역(44) 및 제 2 신장성 영역(46), 제 3 신장성 영역(48)을 포함한다. 비록 다른 실시태양에서는 그럴 필요가 없으나, 도면에 나타난 실시태양에서는, 생리대(20)의 제 1 말단 영역(32)에 있는 신장성 영역은 제 2 말단 영역(34)에 있는 각각의 동일한 영역과 대칭을 이룬다.
말단 영역(32 및 34)의 제 1 신장성 영역(44)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생리대(20)의 종방향 중심선(L)의 일부분을 따라 배치된다. 제 1 신장성 영역(44)의 일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주 몸체부(22)의 말단 영역(28)중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신장성 영역(44)은 통상 종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집중된 파이 형태의 영역이다. 제 1 신장성 영역(44)은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중심선(L)을 따라 존재하는 하나의 팁 또는 선단(50)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팁(50)은 실질적으로 중간 영역(36)의 말단 가장자리(52)까지 계속하여 연장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태양에서, 제 1 신장성 영역(44)은 바람직하게는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우선적으로 신장이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제 1 영역(44)이 착용자의 팬티와 함께, 특히 착용자의 둔부에서 연신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말단 영역(32 및 34)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신장성을 가지므로 착용자는 자신의 팬티의 가랑이 뒷 부분에 생리대(20)의 어느 한쪽 끝부분을 착용할 수 있다.
제 2 신장성 영역(46)은 제 1 신장성 영역(44)과 적어도 동일하게 측부 바깥 으로 배치된다. 제 2 신장성 영역(46)은 제 1 신장성 영역(44)의 한쪽 측부에 위치한다. 제 2 신장성 영역(46)은 바람직하게는 생리대(20)의 주 몸체부(22)의 종방향의 측부 가장자리중 하나 쪽으로 연장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생리대(20)가 플랩(24)을 가진다면, 이러한 신장성 영역은 주 몸체부의 종방향의 측부 가장자리(26)을 넘어서 심지어 측부 플랩(24)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태양에서, 주 몸체부(22) 위에 가로놓인 제 2 신장성 영역(46)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대략 정삼각형의 형태이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태양에서, 제 2 신장성 영역(46)은 종방향과 횡방향 사이의 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태양에서, 제 2 신장성 영역(46)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중심선(L)과 약 45°내지 5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8°사이의 각(A)을 형성하는 일차 벡터 구성요소를 갖는 방향으로 신장이 될 수 있다. 각(A)의 개방부는 회전되어 각이 생리대(20)의 횡방향 중심선(T)를 마주한다. 각(A)이 90°미만인 한, "내부로 배향된(inwardly-orinted)" 신장성, 내지 횡방향 중심선(T)에 대하여 내부로 배향된 일차 벡터 구성요소를 갖는 신장성을 가진다. 이는 횡방향 중심선으로부터 떨어져서 배열된 일차 벡터 구성요소를 갖는 "외부로 배향된(outward-orinted)" 신장성을 갖는 영역과 대조될 수 있다. 만약 신장성이 영역(46)에서 도시된 화살표에 수직이라면 외부로 배향된 신장성이 존재할 것이다. "내부로 배향된" 및 "외부로 배향된"이라는 용어는 그 영역이 뒤로 끌리는 방향 또는 도 1의 화살표 각각의 헤드에 의하여 도시되는 방향이라기보다는 신장성의 방향을 지칭하는 것이다.
제 3 신장성 영역(48)은 바람직하게는 제 1 신장성 영역(44)의 다른 측부에 대해 제 1 신장성 영역(44)의 적어도 일부의 측부 바깥으로 배치된다. 제 3 신장성 영역(48)은 바람직하게는 생리대(20)의 주 몸체부(22)의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26) 중 하나까지 연장된다. 제 3 신장성 영역(48)은 또한 측부 플랩(24)까지 연장된다. 주 몸체부(22) 위에 가로놓인 제 3 신장성 영역(48)은 또한 대략 정삼각형 형태를 이룬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태양에서, 제 3 신장성 영역(48)은 종방향과 횡방향 사이의 한 방향으로 신장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태양에서, 제 3 신장성 영역(48)은 종방향 중심선(L)에 대하여 약 45° 내지 5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8°사이의 각을 이루는 일차 벡터 구성요소를 갖는 방향으로 내부로 배향된 신장성을 가진다.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제 2 및 제 3 신장성 영역(46 및 48)은 제 1 신장성 영역(44)의 나머지 측부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생리대(20)는 바람직하게는 대각선 방향으로 전체적인 신장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많은 선행 흡수제품과는 다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대각선의"는 통상 주 몸체부의 한 코너(27)에서부터 종방향 및 횡방향 중심선에 반대되는 측부의 코너(27)까지를 의미한다. 이는 도 5에 도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리대(20)의 주 몸체부(22)의 전체적인 신장성의 우선적인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중심선(L)과 각(B)을 이루는 방향으로 배향된다. 각(B)은 0°보다 크고 45°보다 작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15°와 30° 사이이며, 도면에 도시된 실시태양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약 20°이다.
생리대(20)는 바람직하게는 주 몸체부(22)의 4개의 코너 사이를 흐르는 양 대각선 방향으로 신장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생리대(20)는 도 5에 도시된 각(B)으로 배향될 뿐아니라(상기 각은 종방향 중심선(L)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돈다), 또한 종방향 중심선(L)에 대하여 시계방향과 비슷한 각으로도 배향된 신장성의 일차 구성요소를 가진다.
생리대(20)가 갖는 신장성의 정도도 역시 중요하다. 도면에 도시된 생리대(20)는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중심선(L)을 따라 특정 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정도로 종방향 신장성 즉, 약 200g 이하의 힘에 대하여 5%의 연신율; 550g 이하의 힘에 대하여 10%의 연신율; 900g 이하의 힘에 대하여 15%의 연신율; 1,600g 이하의 힘에 대하여 25%의 연신율을 가진다. 생리대(20)는 바람직하게는 종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가능하다. 생리대(20)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후에 약간의(약 10%까지) 뒤틀림을 가질 수도 있다.
도면에서 보여지는 생리대(20)는 바람직하게는 횡방향 중심선(T)를 따라 측정된 주 몸체부(22)의 중간 영역(36)에 횡방향 신장성을 갖고, 특정 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정도의 신장성을 가진다 : 약 75g 이하의 힘에 대하여 5%의 연신율; 150g 이하의 힘에 대하여 10%의 연신율; 250g 이하의 힘에 대하여 15%의 연신율; 400g 이하의 힘에 대하여 25%의 연신율. 도면에서 보여지는 생리대(20)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동일한 힘에 대하여 동일한 정도로 횡방향 중심선에 평행하게 측정된 주 몸체부(22)의 말단 영역(32 및 34)에 횡방향 신장성을 가진다. 생리대(20)는 바람직하게는 중간 영역(36) 및 말단 영역(32 및 34)에 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이 가능하다. 생리대(20)는 이런 영역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된 후에 약간의(약 10%까지) 뒤틀림을 가질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생리대(20)는 바람직하게는 특정 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정도의 대각선 방향의 신장성 즉, 약 200g 이하의 힘에 대하여 5%의 연신율; 500g 이하의 힘에 대하여 10%의 연신율; 850g 이하의 힘에 대하여 15%의 연신율; 1,500g 이하의 힘에 대하여 25%의 연신율을 가진다. 본원에 특정된 모든 힘은 하기의 시험 방법 단락에 기술된 바와 같이 1인치(2.54cm) 너비의 클램프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생리대(20)는 바람직하게는 대각선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이 된다. 생리대(20)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된 후에 약간의(약 10%까지) 뒤틀림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논의된 신장성 방향의 모든 경우에 있어서, 생리대(20)는 바람직하게는 낮은 정도의 힘에 대해서는 그리 높은 신장성을 갖지 않으므로, 착용자의 언더가멘트 내에서 동일한 위치에 놓이기가 힘들다. 바람직하게는, 생리대(20)는 위에서 신장성이 특정된 각각의 방향에서 약 50g 이하의 힘에 대하여 약 10% 이상으로 신장이 될 수는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흡수제품은 본원에서 특정된 이외의 신장성이 바람직한 것처럼,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다르게 특정하지 않는다면, 본 발명의 흡수제품은 본원에 기술된 정도의 신장성을 갖는 흡수제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상면시이트(38) 및 배면시이트(42)의 다양한 영역의 신장성의 방향 및 본원에 기술된 바람직한 흡수 코어(42)의 전 방향 신장성으로 인하여 대각선 방향으로의 연신이 가능하다. 전체적인 대각선 방향의 신장성은 생리대(20)에 몇몇 이점을 제공한다. 대각선 방향의 신장성은 생리대(20)가 걷거나 이와 유사한 운동과 관련된 착용자의 팬티의 대각선 방향으로의 연신에 순응하는 것을 돕는다. 전체적인 대각선 방향의 신장성은 생리대의 말단 가장자리 부분이 주 몸체부(22)의 나머지 부분 위로 접혀지는 바람직하지 못한 경향을 유발시키는 생리대에 작용하는 장력을 완화시킨다(즉, 말단 영역이 "감겨지는 것"과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의 덮개 범위의 손실을 가져와 언더가멘트를 오염시키는 문제를 방지한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지만, 말단 감김의 감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생리대(20)가 전술한 대각선 방향의 연신에 더 잘 순응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종방향보다 대각선 방향으로 더 큰 신장성을 갖는 생리대를 설계함으로써 생리대에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종방향으로 가장 큰 신장성을 갖는 생리대보다)더 큰 강성을 제공하고, 또한 말단 가장자리의 감김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갖게 된다.
생리대(20) 및 이의 여러 영역의 연신성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태양에서, 생리대(20)의 상면시이트(38) 및 배면시이트(40)의 의도된 부분에 연신성 망상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신장성이 제공된다. 연신성 망상구조는 상면시이트 및 배면시이트의 기본 물질을 연신성 탄성 필름안에 형성시키는 것(또는 상면시이트 및 배면시이트의 기본 물질의 "SELFing")과 같은 본원에서 언급되는 과정에 의해서 형성된다. 연신성 망상구조를 상면시이트(38) 및 배면시이트(40)내로 형성시키는 적합한 과정은 1996년 5월 21일자로 "탄성-유사 행동을 하는 웹 물질(Web Materials Exhibiting Elastic-Like Behavior)"이라는 명칭으로 샤펠(Chappell)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518,801 호에 기술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시이트(38) 및 배면시이트(40)는 바람직하게는 그안에 형성된 몇몇 연신성 망상구조 영역을 가진다. 하나의 연신성 망상구조 영역은 주 몸체부(22)의 중간 영역(36)에 형성되고, 하나의 연신성 망상구조 영역은 생리대(20)의 말단 영역(32 및 34)에 있는 3개의 신장성 영역의 각각에 형성된다. 다른 연신성 망상구조 영역은 모두 바람직하게는 거기에 형성된 영역의 형태를 갖는 단일한 기본 상면시이트 또는 배면시이트 물질의 일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태양에서, (비록 도 4에서는 그위의 접착제 패턴의 간략한 도시를 위해 배면시이트(40) 위에 연신성 망상구조는 도시되지 않지만) 상면시이트(38) 및 배면시이트(40)는 모두 그안에 형성된 동일한 연신성 망상구조 영역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면시이트(38) 및 배면시이트(40)에 있는 연신성 망상구조는 서로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일렬로 정렬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신성 망상구조의 각각은 적어도 시각적으로 뚜렷한 두 영역 즉, 제 1 및 제 2의 망상구조 영역(64 및 66)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연신성 망상구조의 각각은 몇 개의 제 1 및 제 2 망상구조 영역(64 및 66)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제 1 망상구조 영역(64)은 실질적으로 평면이다. 제 2 망상구조 영역(66)은 바람직하게는 솟아오른 리브형의 요소(74)의 형태으로의 다수의 변형을 포함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망상구조 영역(64 및 66)의 특징은 연신성 망상구조가 장력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이러한 영역들의 표면에 대하여 지형학적으로 측정된 각각의 영역의 길이(또는 제 1 및 제 2 망상구조 영역의 "표면-경로길이")의 측면에서도 표현될 수 있다. 제 2 망상구조 영역(66)은 제 1 망상구조 영역(64)의 표면-경로길이보다 더 긴 표면-경로길이를 가진다. 연신력이 연신성 망상구조에 가해졌을 때, 제 1 영역이 분자 수준의 변형을 겪게 되는 반면 리브형의 요소(74)는 평평해지고 연장되는 기하학적인 변형을 겪게 된다. 이는 연신성 망상구조 영역이 연신을 받고 후속적으로 연신이 완화되는 때에 화살표의 방향으로 탄성-유사 행동을 나타내게 한다. 연신성 망상구조 영역의 일반적인 특징은 샤펠(Chappell)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518,801 호에 더욱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연신성 망상구조는 메쉬 형태의 롤 사이에 상면시이트 및 배면시이트를 위한 기본 물질을 개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형태를 갖는 쌍 플레이트 사이에서 기본 물질을 압축하거나 주조함으로써 형성된다. 연신성 망상구조는 여러 단계에서 도면에 도시된 생리대(20)의 구성요소의 조립체로 형성된다. 연신성 망상구조는 생리대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결합되기 전에 생리대의 구성요소로 형성된다. 다르게는, 연신성 망상구조는 완전히 조립된 생리대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태양에서, 연신성 망상구조는 그 사이에 흡수 코어(42)를 집어 넣기 위해 함께 결합되기 전에 상면시이트(38) 및 배면시이트(40)로 형성된다. 흡수 코어(42)는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다중 방향으로 신장성을 가지므로, 그 안에 형성된 연신가능한 망상구조를 가질 필요는 없지만 가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태양에서, 흡수 코어(42)는 그 안에 형성된 연신성 망상구조를 갖지 않는다.
흡수 코어(42)의 가장자리를 넘어서까지 연장되는 상면시이트(38) 및 배면시이트(40)의 일부는 플랜지(76)를 형성한다. 상면시이트(38) 및 배면시이트(40)의 일부는 생리대의 연신성을 저해하지 않는 임의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실시태양에서, 상면시이트(38) 및 배면시이트(40)는 실질적으로 흡수 코어(42)의 가장자리를 넘어서까지 연장되는 전 부분에 대하여 신장성인 접착제 및 상면시이트(38) 및 배면시이트(40)가 가압 또는 가온 및 가압에 의하여 조밀하게 되는 주 몸체부(22)의 말단 가장자리(28)에 강력을 부가하기 위한 크림프 봉합부(78)를 사용하여 결합된다. 적합한 신장성 접착제로는 미네소타주 바나이스 하이츠 소재의 에이치 비 풀러 컴퍼니(The H.B. Fuller Company)의 풀러(Fuller) 접착제 2352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은 양의 접착제가 흡수 코어(42)를 제자리에 유지시키기 위해 흡수 코어(42)의 가장자리에 부착된다.
크림프 봉합부(78)는 생리대의 구성요소들의 연신성을 저해하지 않아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크림프 봉합부(78)에 의하여 결합된 생리대의 신장성 부분은 생리대(20)에 대하여 상기에 특정 힘에 대하여 특정된 정도로 신장이 가능하다(즉, 말단 영역에서의 횡방향 신장성을 참조). 그러나, 크림프 봉합부(78)는 구성요소가 다중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크림프 봉합부(78)는 (비록 신장성 구성 요소와 함께 사용되지 않는다면 임의의 내재된 신장성을 제공하지 못할지라도) 신장성 크림프 봉합부으로 간주된다. 크림프 봉합부(78)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불투과성 봉합부를 포함한다. 크림프 봉합부(78)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상면시이트(38) 또는 배면시이트(40) 중 어느 하나의 일부가 압축되고/압축되거나 함께 용융되는 사인 곡선상의 봉합선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크림프 봉합부(78)는 일반적으로 굽은 형태로 정렬되는 사인 곡선 패턴으로 되어 있다. 곧바른 사인곡선 형태와 같은 다른 형태도 사용될 수 있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구속되지 않지만, 사인 곡선 형태의 웨이브가 크림프 봉합부(78)에 적어도 이가 부분적으로 연신할 수 있을 때까지 연신이 될 수 있는 "슬랙"을 제공하기 때문에 크림프 봉합부(78)는 거기에 인접한 생리대의 일부가 신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으로 믿어진다.
수 많은 다양한 신장성 크림프 봉합부(78)가 가능하다. 예를들어, 크림프 봉합부는 (하기에 기술된) 플랩의 원위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생리대의 주변부의 전부 또는 일부의 둘레에 위치될 수 있다. 사인곡선 패턴 이외에, 지그 재그 형태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요구되는 "슬랙"을 제공하는 기타 적합한 패턴도 사용될 수 있다. 신장성 크림프 봉합부(78)는 밴드의 너비, 크기, 빈도에 있어서 다양한 사인(또는 기타)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다중 사인 웨이브(기타 형태를 갖는 웨이브)는 서로 인접한 상태로 일렬로 정렬된다. 이러한 다중의 크림프 봉합부는 공정 이후에 생리대의 주변의 요구되는 부분의 둘레에 연속적인 주름이 존재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들어, 제조과정 중에 크림프 봉합부를 가로질러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생리대의 웹이 최종 절단 작업에 의해서(또는 "최종 나이프"에 의해서) 말단 영역에서 개별적인 생리대로 잘려지는 때에 가장 자주 일어난다. 다중 크림프 봉합부는 비록 크림프 봉합부의 일부가 제조과정 중에 잘려졌다 할지라도 액체가 크림프 봉합부(78)를 통과하여 젖지 못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연속적인 사인 곡선 상의 크림프 봉합부는 불연속적인(또는 단속적인) 결합 패턴으로 결합될 수 있다. 불연속적인 결합 패턴은 불연속적인 사인 웨이브, 또는 기타 적합한 불연속적인 패턴일 수 있다. 불연속적인 패턴은 일정한 형태를 이루어야 하므로, 만약 크림프 봉합부의 임의의 부분이 제조과정 중 잘려진다면, 불연속적인 패턴은 크림프 봉합부를 통하여 적시게 할 임의의 액체를 포획하기 위해 뒤틀린 유동 경로(flow path)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패턴은 또한 최종 나이프의 절단 위치가 주름위에 위치되는 장소가 그리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의 탄력성을 제공한다.
신장성 크림프 봉합부(78)는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 이점들은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물론 신장성 크림프 봉합부(78)는 액체가 생리대(20)의 말단부(28)로부터 새어나가는 것에 대한 불투과성 장벽을 형성한다. 비록 이가 연속적이라 할지라도, 생리대의 구성요소가 신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전에는 불연속적인 결합 형태가 신장성 흡수제품의 구성요소의 신장성을 저해하지 아니하도록 사용되어야 한다고 믿고 있었다. 신장성 크림프 봉합부(78)는 또한 생리대(20)의 말단 가장자리 영역이 주 몸체부의 나머지 부분 위로 접히는 바람직하지 못한 경향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구속되지 않지만, 신장성 크림프 봉합부(78)가 주 몸체부(22)가 연신될 때에 플랜지(76)가 권축되게 하는 플랜지(76)와 주 몸체부(22)의 나머지 부분 사이의 신장성의 차이를 제거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믿어진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생리대(20)는 또한 주 몸체부(22)에 결합되는 한 쌍의 플랩(24)을 포함한다. 플랩(24)은 이들의 기부의 가장자리(24A)에서부터 원위 가장자리(또는 "자유 말단")(24B)까지 주 몸체부(22)의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를 넘어서까지 측부 바깥으로 연장된다. 플랩(24)은 적어도 주 몸체부(22)의 중간 영역(36)으로부터 바깥으로 연장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플랩(24)은 플랩 횡방향 중심선(T1)에 의하여 전반(54)과 후반(56)으로 나누어진다. 플랩 횡방향 중심선(T1)은 생리대의 주요한 횡방향 중심선(T)와 일치할 수 있으나,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플랩(24)은 접합점을 따라 각각 주 몸체부(22)에 결합(또는 연합)된다. 이는 접합점(68)의 선과 같은 전형적인 종방향으로 배향된(또는 "종방향") 접합점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접합점"(또는 "접합점의 선")이라는 용어는 플랩(24)이 주 몸체부(22)으로부터 연장되거나 주 몸체부에 결합되는 영역을 지칭한다.
플랩(24)은 임의의 적합한 형태로 주 몸체부(22)에 결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결합된"이라는 용어는 그 요소를 직접 다른 요소에 고정시킴으로써 한 요소가 다른 요소에 직접적으로 단단히 고착하는 형태 즉, 그 요소를 중간 부재에 고정시킴으로써 한 요소가 다른 요소에 직접적으로 단단히 고착하는 형태; 하나의 요소가 다른 요소의 구성요소가 되는, 즉 한 요소가 필수적으로 다른 요소의 일부가 되는 형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실시태양에서, 플랩(24)은 주 몸체부(22)의 구성요소가 된다(즉, 플랩(24)은 상면시이트(38) 및 배면시이트(40)의 전체적인 연장부를 포함한다).
플랩(24)을 포함하는 상면시이트(38) 및 배면시이트(40)의 연장부는 임의의 적합한 방법으로 결합된다. 예를들어, 플랩을 형성하는 상면시이트(38) 및 배면시이트(40)의 연장부는 플랩을 형성하기 위해 이들의 대향면 전체 또는 임의의 적합한 일부가 접착제로써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랜지(76)를 형성하는 부분처럼) 플랩(24)을 포함하는 상면시이트(38) 및 배면시이트(40)의 연장부는 풀러 접착제 2352와 같은 신장성 접착제의 연속적인 층을 갖는 전체 계면 위로 결합된다.
플랩(24)은 임의의 적합한 형태일 수 있다. 적합한 플랩은 "생리대(Sanitary Napkin)"라는 명칭으로 반 틸버그(Van Tilburg)에게 허여된 재심사 특허 번호 제 B1 4,589,876 호; "플랩을 갖는 형태의 생리대(Shaped Sanitary Napkin With Flaps)"라는 명칭으로 1987년 8월 18일자로 반 틸버그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687,478 호; "플랩 및 다른 신장성의 영역을 갖는 흡수제품(Absorbent Article Having Flaps and Zones of Differential Extensibility)"이라는 명칭으로 1995년 2월 14일자로 래버쉬(Lavash)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389,094 호; 래쉬(Lash) 등의 명의로, "계단 배치의 플랩 및 신장성 영역을 갖는 흡수제품(Absorbent Article Having Flaps With Step Configuration and Zones of Extensibility)"이라는 명칭으로 1996년 10월 3일자로 출원된 국제 특허 출원 PCT US 96/15957 호에 기술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생리대(20)는 플랩(24)이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의 측부 가장자리 둘레를 에워쌀 때 주 몸체부(22) 및 플랩(24)에 가해진 응력을 완화하기 위한 몇몇 개선된 특징을 가진다.
상기에 논의된 하나의 개선된 특징은 주 몸체부(22)의 중간 영역(36)이 측부 신장성을 가진다는 것이다. 이는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의 굽은 측부 가장자리 둘레에 접히는 플랩(24)을 도와서 중간 영역(36)이 연장되게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의 신장성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주 몸체부(22)의 중간 영역(36)에서부터 측면 바깥으로 주 몸체부(22)의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26)를 넘어 플랩(24)까지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태양에서, 이러한 측면 신장성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플랩 접착제(82)를 둘러싸는 영역(70)에서 끝난다. 플랩 접착제(70)를 둘러싸는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소비자가 플랩을 사용하는 경우에 취급에 도움을 주기 위해 플랩(24)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뻣뻣하다.
도시된 실시태양에서 기타 개선된 특징은, 비록 측부 플랩(24)이 주 몸체부(22)의 구성요소가 된다하더라도 플랩이 생리대(20)의 흡수 코어(42)의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42A)의 안으로 위치한 한 점(즉, 제 2 및 제 3 신장성 영역(46 및 48))에서부터 시작되는 신장성 대역(72)을 가진다는 것이다. 몇몇 이유에서 흡수 코어(42)의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42A)의 안쪽으로 위치한 신장성 영역(72)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째로, 흡수 코어(42)의 종방향 가장자리(42A)의 안으로 신장성을 출발시킴으로써 플랩(24)이 가질 수도 있는 전체적인 신장성의 정도가 흡수 코어(42)의 측부 바깥으로 위치한 모든 신장성을 갖는 플랩에 대하여 현저하게 증가할 수 있다. 둘째로, 신장성이 흡수 코어(42)의 종방향 가장자리(42A)의 안으로 위치하는 때에 신장성은 보다 효과적으로 더욱 다양한 팬티의 사이즈 및 스타일에 부합할 수 있다. 플랩을 구성요소로 하는 생리대에 흡수 코어의 가장자리의 안으로 위치한 신장성을 제공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은 흡수 코어가 전형적으로 양방향으로 신장 불가능하고 그 안에 연신성 망상구조 영역을 형성하기에는 너무 두껍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된 실시태양에서, 이러한 어려움은 양자가 모두 그 안에 형성된 의도된 대로의 신장성 영역을 갖는 상면시이트(38) 및 배면시이트(40)에 의해서 둘러싸인 신장성 흡수 코어(42)를 사용하고, 상면시이트(38) 및 배면시이트(40)를 결합합으로써 극복된다.
상면시이트(38) 및 배면시이트(40)의 신장성 부분은 배면시이트(40)의 연신성 망상구조 영역 위에 직접 놓여진 상면시이트(38)의 연신성 망상구조 영역과 직각을 이루며 정렬된다. 상면시이트(38) 및 배면시이트(40)의 신장성 부분은 흡수 코어(42)에 결합되고 흡수 코어와 함께 연장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면시이트(38) 및 배면시이트(4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상기 영역에서 흡수 코어(42)에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배면시이트(40)는 상기 영역에서 흡수 코어(42)에 부착되지 않는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태양에서 생리대(20)의 또 다른 개선된 특징은 플랩(24) 및 주 몸체부(22)에 인접한 부분(제 2 및 제 3 신장성 영역(46 및 48))의 코너 영역(86)에서의 신장성의 일차 벡터 구성요소의 방향이다. 생리대를 정면으로 보았을 때 플랩(24)의 바깥 가장자리가 주 몸체부(22)의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26)와 교차하는 곳에서 플랩의 코너 영역(86)이 발생한다. 코너 영역(86)은 이런 코너 뿐아니라, 플랩(24)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영역 및 안쪽으로 인접한 영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가장자리의 교차부분에 형성된 예리한 각이 있거나, 동일한 것을 표시하기 위한 경계선이 있을 필요는 없다. 플랩을 갖는 생리대의 코너 영역에 대한 보다 상세한 기술은 래버쉬(Lavash)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389,094 호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태양의 코너 영역(86)은 신장성 대역(72) 및 동일한 영역에 위치한다.
여러 실시태양에서 코너 영역(86)에서의 신장성의 일차 벡터 구성요소의 방향은 일차적으로 횡방향, 종방향, 또는 횡방향과 종방향 사이의 한 방향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코너 영역(86)에서의 신장성의 일차 벡터 구성요소의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주 몸체부(22)의 신장성의 인접한 영역의 방향과 동일하다. 신장성의 인접 영역은 제 2 또는 제 3 신장성 영역(46 및 48)중 하나가 될 것이다. 신장성의 상기 두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대칭적이고, 각각의 플랩(24)의 양 코너 영역(86)에 대한 일차 벡터 구성요소의 상대적인 방향은 통상 동일하다. "상대적인 방향"이라는 용어는 종방향 중심선(L)과 일차 벡터 구성요소가 만드는 각을 지칭한다. 따라서, 코너 영역(86)의 신장성의 일차 벡터 구성요소의 상대적인 방향은 생리대(20)의 횡방향 중심선(T) 안으로 직면하고 있는 각 A에 있다.
코너 영역(86)에서의 신장성의 일차 벡터 구성요소의 안으로의 배향은 몇몇 이점을 제공한다. 신장성은 플랩(24)이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의 굽은 측부 가장자리 둘레에 겹쳐질 때에 플랩(24)에 가해지는 응력 완화를 위한 종래의 많은 시도들 보다 보다 효과적으로 완화하도록 설계된다. 특별히, 신장성은 플랩(24)이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의 가랑이 부분의 굽은 측부 가장자리 주위를 둘러쌀 때에 생리대(20)의 주 몸체부(22) 및 플랩(24) 양자에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유발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도록 의도된다.
본원에 기술된 신장성의 배향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하나는 본원에서 날개 또는 플랩 "팝 오프(pop off)"라고 언급된다. 이는 (하기에 보다 상세히 기술되는) 플랩 접착제(82)를 포함하는데, 이는 플랩(24)을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의 하부면 또는 반대쪽 플랩에 부착시킴으로써 언더가멘트 둘레에 플랩(24)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의 측부 가장자리 둘레에 플랩(24)을 접음으로써 플랩위에 장력이 놓이게 된다. 상기 장력은 플랩 접착제(82)가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의 하부면 또는 반대쪽 플랩과의 결합을 상실케 하고, 플랩이 부착되지 않거나 "팝 오프" 되게한다. 날개의 팝 오프를 제거하기 위해 시도된 한 방법은 플랩 접착제(82)의 강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플랩 접착제(82)의 강력 증가는 다른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신장성의 배향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문제점은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의 측부 가장자리 둘레에 플랩(24)을 접음으로써 생성된 장력은 또한 생리대(20)의 주 몸체부(22)에도 장력을 놓이게 할 수 있다는 사실로부터 기인한다. 이는 특별히 본원에 기술된 신장성 생리대와 같은 고도의 가요성 생리대에 관한 것이다. 플랩(24)을 둘러쌈으로써 주 몸체부(22)에 놓이게 된 장력은 주 몸체부(22)의 말단 영역(32 및 34)이 접착제로부터 떨어져서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에 놓이게 한다. 이는 주 몸체부(22)의 말단 영역(28)이 주 몸체부(22)의 다른 부분의 맨 위부분 위로 접혀지거나 말려들게 한다.
플랩(24)을 접음으로써 생성된 장력에 의해 유발되는 고도의 가요성 생리대에 나타나는 다른 문제점은 도 6에 도시된다. 도 6은 고도의 가요성 생리대(20)를 도시한다. 생리대(20)가 플랩을 가진다고 알고 있지만, 주 몸체부(22)의 장력의 효과가 일차적인 관심사항이기 때문에 간략화를 위해서 플랩이 없는 생리대가 도 6에 도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24)을 접음으로써 생성된 장력은 주 몸체부(22)의 하나 또는 양쪽 말단을 횡방향 중심선 안으로 잡아당기고, 주 몸체부(22)의 일부를 서로 접히게 한다. 생리대의 가멘트 대향면(20B) 위의 팬티 패스닝 접착제는 접혀진 부분을 주 몸체부(22)의 아래에 놓인 부분에 부착되게 한다. 이는 주 몸체부가 가진 형태으로 보아 본원에서 "Z 접힘"이라고 언급된다.
코너 영역(86)에 있는 신장성의 일차 벡터 구성요소의 방향은 실질적으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감소 내지 제거한다. 이러한 문제점들 대부분은 주 몸체부(22)의 말단 영역 및 플랩 접착제(82)에 의해 단단히 고착된 플랩(24)의 일부 사이에 작용하는 장력에서 기인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코너 영역(86)에 있는 신장성의 일차 벡터 구성요소의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통상 생리대의 이러한 부분 사이의 장력선에 평행한 방향이다. 상기 신장성은 주 몸체부(22)의 말단 영역 및 플랩 접착제(82)에 의해 단단히 고착된 플랩(24)의 일부 사이의 장력을 감소시킨다. 또한, 제 2 및 제 3 신장성 영역의 방향과 같이, 코너 영역(86)의 신장성의 방향은 횡방향 중심선(T1)의 안으로 배향된다. 선행된 몇몇 노력들은 착용자의 팬티의 고무줄의 신장성과 동일한 방향으로 플랩의 신장성 부분을 배향하는 쪽으로 조정되었다. 본원에 기술된 생리대에 제공된 신장성은 착용자의 팬티 고무줄의 방향과 십자로 교차되고, 오히려 팬티 고무줄의 방향에 거의 수직을 이룬다.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코너 영역(86) 및 제 2 및 제 3 신장성 영역(46 및 48)은 그 안의 연신성 망상구조 영역의 형성으로 인하여 바람직하게는 탄성적으로 신장이 가능하다는 것을 또한 주지해야 한다. 이는 생리대의 이러한 부분을 포함하는 물질에 전통적인 탄성 스트랜드를 부착시키지 않고 수행된다. 또한, 신장이 덜 되는 밴드(제 1 망상구조 영역)는 플랩을 흡수 코어 바로 아래에 접히게 하는 이러한 방법으로 생리대의 이러한 영역위에 장력을 두지는 않는다.
인접한 제 2 및 제 3 신장성 영역(46 및 48)과 함께 도면에서 보여지는 생리대(20)의 플랩의 코너 영역(86)은 바람직하게는 특정 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정도, 즉 약 75g 이하의 힘에 대하여 5%의 연신율; 약 150g 이하의 힘에 대하여 10%의 연신율; 약 175g 이하의 힘에 대하여 15%의 연신율; 약 250g 이하의 힘에 대하여 25%의 연신율 만큼 그 안의 제 1 망상구조 영역(64)에 평행한 방향으로 신장이 된다. 도시된 실시태양에서, 플랩(24)의 코너 영역(86)과 인접한 제 2 및 제 3 신장성 영역(46 및 48)은 바람직하게는 탄성적으로 신장이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된 플랩(24)의 코너 영역(86)과 인접한 제 2 및 제 3 신장성 영역(46 및 48)은 이들이 연장된 후에 약간의(약 10%까지) 뒤틀림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플랩(24)의 많은 다른 실시태양이 가능하다. (덜 바람직한)실시태양에서, 플랩(24)의 코너 영역은 본원에 기술된 안으로 배향된 신장성을 갖기보다는 완전히 횡방향, 완전히 종방향, 또는 횡방향과 종방향 사이의 한 방향의 바깥으로 신장성 영역을 가진다. 또한, 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플랩의 코너 영역(86)으로부터 연신성 망상구조의 제 1 영역(64)을 포함하는 신장이 덜 가능한 밴드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신장이 덜 가능한 밴드는 주 몸체부(22)를 포함하는 생리대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는 또한 통상의 비신장성 흡수제품에 대해 이용되는 본원에 기술된 플랩을 위한 본 발명의 범주내에 속한다.
생리대(20)의 가멘트 대향면(20B)은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에 생리대를 부착하기 위한 패스너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포함한다. 도 1은 생리대의 주 몸체부(22)를 언더가멘트의 가랑이 영역에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 중간 패드 패스너(80)를 도시한다. 접착제 패스너 및 기계식 패스너와 같이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유형의 패스너도 중간 패드 패스너(80)처럼 사용된다. 접착제를 포함하는 패스너는 이러한 목적에 잘 들어맞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감압성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중간 패드 패스너(80)는 임의의 적합한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패드 패스너(80)는 거기로부터 연장되는 몇 개의 "분지"(80B,80C,80D)를 갖는 접착제의 종방향으로 배향된 영역(80A)을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분지(80B,80C,80D)는 주 몸체부(22)의 말단 영역(32 및 34)에 놓이고,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중심선(L)로부터 주 몸체부(22)의 주변부(30)까지 연장된다. 각각의 말단 영역에서, 접착제의 분지(80B,80C,80D)중 하나는 3개의 신장성 영역(44,46,48)의 각각까지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분지(80B,80C,80D)는 각각의 영역의 일차의 신장성의 방향에 통상 수직인 방향으로 배향된다. 이는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에 생리대(20)를 단단히 고정시키고, 신장성이 요구되는 방향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접착제는 임의의 적합한 방법으로 배면시이트(40)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실시태양에서, 접착제의 다양한 영역과 분지들을 포함하는 접착제는 에이치 비 풀러 컴퍼니로부터 구입한 풀러 접착제 2238과 같은 연신성 고온 용융 접착제이고, 어느 정도의 신장성을 제공하기 위해 나선형 형태로 사용된다.
플랩의 원위 가장자리(24B)에 인접한 플랩(24)의 바깥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플랩 접착제(82)와 같은 플랩 패스너를 가진다. 플랩 접착제(82)는 팬티의 가랑이 부분의 가장자리 주변에 둘러싸인 후에 플랩(24)이 제 자리를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된다. 플랩 접착제(82)는 임의의 적합한 크기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플랩(24)의 원위 부분(24B)의 길이의 약 60%에서 80% 사이이다. 적합한 접착제 패스너가 미국 특허 제 4,917,697 호에 더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플랩(24)은 플랩(24)을 언더가멘트 또는 반대쪽 플랩에 부착시킴으로써 제자리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패스너 즉, 중간 패드 패스너(80) 및 플랩 패스너(82)는 접착제 부착 수단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해 분야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형태의 패스너도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들어, 생리대(20)는 벨크로 후크 물질(VELCRO hook material)과 같은 기계적인 패스너, 또는 "감압 접착제 패스너 및 이를 만드는 방법(Pressure-Sensitive Adhesive Faste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이라는 명칭으로 1990년 8월 7일자로 배트렐(Battrell)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946,527 호, 또는 "피부를 연마하지 않는 기계적인 고정 시스템(Non-abrasive Skin Friendly Mechanical Fastening System)"이라는 명칭으로 1995년 2월 28일자로 고레잇(Goulait)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392,498 호에 기술된 패스너에 의하여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에 고착되게 된다. 그러나, 간략화를 위해 패스너는 접착제 고정 수단이라는 용어로 기술될 것이다.
접착제 고정 수단은 각각 제거 가능한 이형 라이너, 중간 패드 이형 라이너, 플랩 이형 라이너에 의하여 덮여있고, 모두 84로 표시된다. 감압식 접착제는 접착제가 사용전에 외부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형 라이너(84)로 덮여져야 한다. 적합한 이형 라이너는 미국 특허 제 4,917,697 호에 기술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플랩(24)은 상면시이트 위로 접혀지고, 플랩 접착제(82)는 하나의 이형 페이퍼로 덮여있다. 이러한 플랩에 대한 접착제 고정 수단은 이형 라이너로 덮이는 대신, 주 몸체부, 또는 플랩, 또는 주 몸체부 또는 플랩에 부착된 별개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생리대의 임의의 다른 부분에 제공된 탈착면에 탈착이 가능하게 부착된다. 예를들어, 플랩(24)은 1994년 1월 25일자로 오스본(Osbor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281,209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접혀져 올라가게 된다. 생리대(20)에는 스완슨(Swanso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56,146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생리대를 감싸기 위한 개별 포장으로 쓰이는 특별히 바람직한 이형 라이너가 추가로 제공된다.
생리대(20)는 이형 라이너(84)를 제거한 후, 생리대(20)를 팬티안에 놓음으로써 사용된다. 주 몸체부(22)는 팬티의 앞 부분으로 연장되는 주 몸체부의 한쪽 말단 및 뒤 부분으로 연장되는 다른 말단을 가지며, 팬티의 가랑이 부분에 놓인다. 배면시이트(40)는 팬티의 가랑이 부분의 중앙의 내부면과 접촉된 채로 놓인다. 중간 패드 접착제 패스너(80)는 주 몸체부(22)를 제자리에 유지하게 한다. 그다음 플랩(24)은 팬티의 측부 가장자리 둘레에 접힌다. 플랩 접착제(82)는 플랩(24)을 팬티의 하부면이나 반대쪽 플랩에 단단히 고착하게 한다.
본원에 기술된 흡수제품의 다른 실시태양 또한 가능하다. 예를들어, 도 7및 8은 복합 생리대(720)의 모양으로 흡수제품의 실시태양을 도시한다. 복합 생리대(720)는 이차 흡수 요소(또는 "기본 패드")(792)의 신체 대향면에 결합된 일차 흡수 요소(또는 "코어 튜브")(790)을 포함한다. 일차 흡수 요소(790)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 의하여 방출된 방대한 체액을 흡수하도록 의도된다. 기본 패드(792)는 일차적으로 사용자의 가멘트가 일차 흡수 요소(790)로부터 배출되거나 일차 흡수 요소(790)를 우연히 통과한 흡수된 유체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7 및 8에 도시된 실시태양에서, 일차 흡수 요소(790)는 흡수 코어(794)와 같은 흡수 구조물 및 흡수 코어(794)를 둘러싸는 바깥 덮개(796)를 포함한다. 바깥 덮개(796)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실시태양의 상면시이트에 적합한 것으로서 상기에 기술된 임의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흡수 코어(794)는 액체(즉, 생리혈 및/또는 뇨)를 흡수 또는 유지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흡수물질의 예는 통상 에어펠트라고 하는 분쇄된 목재 펄프; 크레이프화된 셀룰로오스 솜뭉치; 코폼(coform)을 포함하는 용융취입된 중합체; 화학적으로 경화, 개질 또는 가교 결합된 셀룰로오스 섬유; 권축된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같은 합성섬유; 이탄 이끼; 티슈 싸개(wraps) 및 티슈 적층체를 포함하는 티슈; 흡수성 발포체; 흡수성 스폰지, 고흡수성 중합체; 흡수성 겔화 물질; 또는 임의의 등가의 물질 또는 물질들의 조합,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흡수 코어의 형태 및 구조는 다양하다(즉, 흡수 코어는 다양한 캘리퍼 대역(즉, 중앙에서 더 두꺼워지게 윤곽이 그려진다), 친수성 구배, 고흡수성 구배, 또는 더 낮은 밀도 및 더 낮은 기본 중량을 갖는 대역을 갖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층이나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차 흡수 요소(790)는 도 9에 도시된 선택적 포획층(798)을 포함한다. 포획층(798)은 바깥 덮개(796)과 흡수 코어(794)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 요소이거나, 복합된 바깥 덮개의 구성부분이다. 포획층(798)은 분비물의 흡수 코어(794)로의 흡상 및/또는 흡수 코어내의 흡수물질의 유지를 향상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몇몇 기능을 담당한다.
도 7 및 8에 도시된 복합 생리대(720)의 기본 패드(792)는 바람직하게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생리대(2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4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도 7 및 8에서 도시된 기본 패드(792)의 요소는 도 1 내지 4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참고 번호 앞에 700을 붙여 표시된다. 일차 흡수 요소(790)는 신장성일 필요는 없지만 신장성일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일차 흡수 요소(790)의 바깥 덮개(796)는 기본 패드의 상면시이트(738)에 사용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바깥 덮개(796)가 일차 흡수 요소(790) 둘레를 감싼 후에, 바깥 덮개(796)에 있는 신장성 영역은 도 7에서 도시된 대로 기본 패드(792)위의 상면시이트(738)의 신장성 영역에 대하여 직접 일렬로 정렬된다.
(본원에 기술된 신장성이 없는) 복합 생리대는 1984년 1월 10일자로 데스마라이스(DesMarais)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425,130 호 및 "신체 접합 혼성 생리대(Body Fitting Compound Sanitary Napkin)"라는 명칭으로 1996년 11월 5일자로 메이어(Mayer)의 명의로 공개된 법정 발명 등록(Satutory Invention Registration) H1614에 더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본원에 기술된 흡수제품의 상면시이트 및 배면시이트와 같은 구성요소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특허 및 특허 출원에 기술된 임의의 적합한 (신장성) 구성요소로 선택적으로 대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하나의 비제한적인 예에서, 본원에서 기술된 연신성 망상구조 영역을 갖는 배면시이트는 필요하다면, 액체 불투과성 신장성 접착제 필름으로 대치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기술된 흡수제품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특허 및 특허 출원에 기술된 특징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가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생리대(20)의 다른 실시태양은 본원에서 특정된 다양한 방향으로한 쌍의 팬티 안에 생리대를 착용할 때에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미국 특허 제 5,611,790 호에 기술된 정도로 신장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생리대는 또한 생리대에 가해진 힘의 정도에 실질적인 증가 없이 어느 정도를 초과하는 연신을 막기 위해 "힘 장벽"을 제공하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미국 특허 제 5,611,790 호에 기술된 생리대의 임의의 다른 특징을 가진다.
상기 또는 다른 실시태양에서, 본원에 기술된 흡수제품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태의 신장성 대역을 갖거나, 임의의 다른 적합한 방향으로 연신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흡수제품은 착용자의 신체와의 개선된 접촉이나 기타 목적을 위해서 다른 영역보다 잘 또는 덜 연신되는 다양한 영역을 가진다. 이러한 영역을 갖는 흡수제품의 몇몇 예가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한 특허 및 특허 출원에 기술되어 있다. 예를들어, 차별적인 신장성 영역을 갖는 생리대가 오스본(Osbor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611,790 호에 기술되어 있다. 생리대가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개선된 메카니즘을 갖는 생리대가 1995년 2월 2일자로 오스본등의 명의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08/383,536 호(P&G Case 5151R), 1995년 8월 10일자로 공개된 PCT 공개 번호 WO 95/20931 호에 기술되어 있다.
본원에 기술된 흡수제품은 또한 개선된 신체 접촉이나 기타 목적을 위해 다른 영역보다 더 뻣뻣하거나 가요성이 더 큰 영역을 가진다. 예를들어, 도 4는 생리대(20)가 선택적인 경화제(90)를 가진다는 것을 도시한다. 선택적인 경화제(90)는 적어도 흡수 코어(42)의 주변의 일부를 따라 제공되고, 특별히 흡수 코어(42)의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42A)를 따라 제공된다. 선택적인 경화제는 흡수 코어(42)의 완전한 주변부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인 경화제(90)는 생리대(20)의 종방향 중심선(L)을 따라 존재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실시태양에서, 선택적인 경화제(90)는 푸로이덴버트 논위븐즈(Freudenbert Nonwovens)가 판매하는 PELLONRCraft-Bond 물질로 공지된 직물점으로부터 구입하여 이용할 수 있는 60%의 폴리에스테르/40%의 레이온을 포함한다. 펠론(PELLON) 경화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0.35mm의 캘리퍼 및 약 33g의 굽힘 저항, 약0.85g/cm의 태버 스티프니스를 갖는다. 펠론 경화 물질은 생리대(20)의 임의의 층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펠론 경화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흡수 코어(42)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풀러 접착제 2031과 같은 접착제에 의해서 흡수 코어의 하부면에 결합된다.
도 4에 도시된 선택적 경화제(90)는 바람직하지 못한 뭉침을 감소시키고 상기에서 논의된 말단 가장자리가 "말려 올라가는" 문제를 감소 내지 제거하기 위해 흡수 코어의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 및 생리대(20)의 말단 영역(32 및 34)에 추가의 경화도를 제공한다. 또한 선택적인 경화제(90)는 착용자의 신체와의 개선된 접촉을 위해 생리대의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놓인 대역에 증가된 "리프트(lift)"를 제공할 것이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구속되지 않지만, 증가된 리프트는 경화제(90)의 존재로 인하여 모든 리프트가 경화제(90)의 내부 가장자리 사이의 종방향 중심선을 따르는 영역에 집중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고 믿는다. 생리대의 바깥 주변부 또는 측부에 있는 더 뻣뻣한 영역은 또한 생리대를 착용자의 팬티에 단단히 붙들어 두는것을 도울 수 있다.
그러나, 펠론과 같은 신장 불가능한 물질이 경화제로 사용된다면, 생리대(20)의 경화된 영역의 신장성은 감소 내지 제거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특별히 종방향 중심선(L)을 따른 경화제(90) 사이에 틈이 남겨져 있을 때 생리대(20)의 실시태양은 여전히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태양은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서, 및 상기에서 특정된 바와 같이 대각선 방향으로 신장성을 가진다. 본 실시태양은 또한 말단 영역(32 및 34)에 있는 제 1 신장성 영역(44)가 횡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한다. 만약 생리대의 신장성을 해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면, 어느 정도의 신장성을 갖는 경화 물질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태양에서, 흡수 코어는 플랩을 갖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기존 크기의 플랩보다 더 작은 스팬(span)을 갖고,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에 놓여질 때 착용자에 의하여 조정될 필요가 없는 언더가멘트를 덮는 요소나 ("측부 싸개용 요소")를 가진다. 측부 싸개용 요소를 갖는 흡수제품은 "팬티의 측부를 자연스럽게 감싸는 팬티 덮개용 요소를 갖는 흡수제품(Absorbent Articles Having Panty Covering Components That Naturally Wrap the Sides of Panties)"이라는 명칭으로 1996년 12월 17일자로 래비쉬(Lavash)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584, 829 호; "탄성-유사 행동을 나타내는 신장성 웹 물질을 포함하는 팬티 덮개용 요소를 갖는 흡수제품(Absorbent Articles Having Panty Covering Components Comprising Extensible Web Materials Which Exhibit Elastic-Like Behavior)"이라는 명칭으로 1993년 9월 17일자로 맨스필드(Mansfield) 등의 명의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08/124,180 호 ; 및 "신장성 대역이 있는 언더가멘트 덮개용 요소를 갖는 흡수제품(Absorbent Articles Having Undergament Covering Components With Zones of Extensibility)"이라는 명칭으로 1996년 9월 24일자로 와인버거(Weinberge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558,663 호에 기술되어 있다.
모든 특허 및 특허 출원(및 이로부터 허여되는 모든 특허뿐만 아니라 대응하는 공개된 외국 특허 출원)및 본 특허 출원을 통하여 언급된 특허는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되었다. 그러나,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 어떠한 문서도 본 발명을 교시 또는 개시하는 것은 명백히 아니다. 또한 본원에 기술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어떠한 물질이나 제품들도 본 발명을 교시하거나 개시하는 것은 명백히 아니다.
본원에 특정된 모든 한계 및 범위는 모두 특정된 한계 및 범위내에서 더 좁은 범위 및 한계 및 정도를 포함하고, 이러한 더 좁은 범위 및 한계는 개별적으로 열거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이들이 청구될 것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시험 방법
만약 다르게 지시된 바가 없다면, 다음의 모든 시험은 시험전에 한 두시간 동안 50%의 상대습도 및 73℉(23℃)온도에 샘플을 방치하여 컨디셔닝된 샘플을 갖고 수행된다. 시험은 유사한 조건하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흡수물질 용량
흡수물질의 흡수 용량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흡수물질의 2 1/2in ×3in(6.4cm ×7.6cm)의 직사각형 샘플을 준비한다. 샘플은 거의 0.1g까지 무게가 측정된다. 그런 다음 샘플을 증류수로 채워진 접시에 빠뜨려서 증류수에 완전히 잠기게 하고, 그런 샘플은 구부려지거나 그렇지 않으면 꼬이거나 접혀서는 안된다. 샘플은 20분간 잠겨진다. 샘플은 증류수로부터 건져지고, 증류수가 샘플 바깥으로 배출되도록 2분간 매달려있게 된다. 그런 다음 샘플은 거의 0.1g까지 무게가 측정되고, 여기에서 샘플의 건조 중량을 뺀다. g수의 차이가 샘플의 흡수 용량이다. 그런 다음 흡수 용량은 g/g의 단위로 샘플의 건조 중량에 대한 흡수 용량의 비율로서 표시된다.
신장성 시험
흡수물질 및 생리대(또는 다른 흡수제품)에 대한 다음의 신장성 시험은 인스트론 모델 #1122 인장 시험기 또는 오하이오주 44065 뉴버리, 피.오. 박스 187 소재의 이엠이 인컴퍼니(EME Inc.)로부터 구입한 이엠이 인장 시험기 모델 번호 559A와 같은 인장 시험 기구에 의한 연속 연신율을 사용하였다.
시험 기구에는 바람직하게는 기준시료의 원 위치로부터 클램프가 떨어져 있는 간격과 클램프가 원 위치로부터 다양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있을 때 샘플에 가해진 힘을 읽어내는 액정 화면이 있는 컴퓨터가 제공된다.
샘플은 시험을 수행하기 전에 어떠한 연신이든지 피하기 위해 조심스럽게 다루어진다. 만약 흡수제품으로 시험을 한다면, 시험은 동일한 형태의 5개의 개별적인 제품으로부터 취한 샘플을 갖고 시험이 각각 반복된다. 만약 임의의 샘플이 청구된 범위 또는 한계내에 든다면, 그 제품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내에 드는 것으로 여겨진다.
A. 흡수물질 신장성 -- 1인치(2.5cm) 스트립 시험
신장성 측정을 위한 샘플
샘플은 바람직하게는 흡수제품으로 되기 전의 흡수물질의 웹으로부터 취한다. 만약 이가 불가능하다면, 흡수물질 샘플은 흡수제품에서 흡수물질을 조심스럽게 제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는 흡수제품의 다른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이루어지고, 흡수물질에 손상을 입히거나 흡수물질의 신장성에 해를 끼칠 그 밖의 어떤일을 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샘플은 펜실베니아주 필라델피아 소재의 쓰윙-알버트(Thwing-Albert)로부터 구할 수 있는 제이 디 씨 프리시젼 샘플 커터, 모델 #1-12(JDC Precision Sample Cutter, Model#1-12)를 사용하여 흡수물질로부터 1.0in(2.54cm) 너비의 스트립을 절단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흡수물질"이라는 용어는 제품의 흡수 코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제품의 일차 흡수 요소로 사용되는 물질을 지칭한다. 이는 또한 흡상 내지 저장 기능을 담당하는 흡수물질을 포함한다.
종방향 신장성의 측정을 위해 샘플로 사용된 스트립은 흡수제품의 종방향 중심선에 중심을 두는 흡수제품의 일부로부터 취해야 한다. 스트립의 길이는 샘플이 취해진 흡수제품의 부분의 전체 길이가 된다.
만약 흡수물질이 흡수제품이 되기 전에 샘플이 흡수물질의 웹으로부터 취해진다면, 샘플이 조립된(assembled) 흡수제품에서 배향되는 것과 동일한 방향으로 그의 신장성을 갖도록 "4개"의 1인치 섬유 스트립이 절단되어야 한다. 종방향 신장성을 측정하기 위한 샘플은 흡수물질의 제 1 샘플로부터 절단된다. 횡방향 신장성을 측정하기 위한 샘플은 제 1 샘플과 동일한 유형의 흡수물질(즉, 동일한 물질 내지 제품)인 제 2 샘플로부터 절단된다. 이와같이, 대각선 방향의 신장성을 측정하기 위한 샘플은 제 1 샘플과 동일한 형태의 흡수물질 내지 흡수제품(즉, 동일한 물질 내지 제품)인 제 3 샘플로부터 절단된다.
횡방향 신장성을 측정하기 위한 샘플로 사용된 스트립은 흡수제품의 횡방향 중심선에 평행하게 흐르는(또는 횡방향 중심선에 평행하도록 조립된 흡수제품내에 위치되는)흡수물질로부터 절단된 0.1인치 너비의 스트립이다. 횡방향 신장성을 측정하기 위한 샘플로 사용된 스트립은 흡수물질의 1인치 너비의 섹션으로 절단되어 횡방향 중심선에 평행하게 흐른다. 샘플은 횡방향 중심선을 따라갈 필요는 없다.
대각선 방향의 신장성을 측정하기 위한 샘플로 사용된 스트립은 흡수제품의 종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45°의 각을 이루는(또는 그렇게 되도록 위치되는) 흡수물질의 1인치 너비의 섹션으로 절단된다.
시험절차
재연신되지 않은 샘플을 테이블에 놓아라. 샘플의 길이(1인치 너비의 치수에 대하여 수직하는 샘플의 치수)를 거의 0.1인치(0.25cm)까지 측정한다.
1인치(0.25cm) 너비의 클램프를 사용하는 인장시험기로 샘플의 각 말단을 고정시킨다. 인장 시험기의 클램프는 서로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당겨지도록(즉, 180°의 각으로 당겨진다) 셋팅한다. 샘플은 클램프에 중심을 맞추고, 고정 압력은 클램프내의 샘플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충분히 커야 한다(이는 모든 신장성 시험 방법에 적용한다). 클램프의 최외부의 가장자리(즉, 자유말단)가 흡수물질의 말단 영역으로부터 안으로 대략 0.5인치(약 1.3cm)에 위치하도록 샘플이 고정되어야 한다.
인장 시험기의 게이지 길이를 (상기에서 측정된 바와 같이) 흡수물질의 길이에 맞추어서 각 클램프에 고정된 흡수물질의 길이를 (전형적으로 1인치) 더 적게한다. 2in(5cm)의 게이지 길이가 적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20in/min(51cm/min)의 크로스 헤드 속도로 연신을 시작한다. 샘플이 게이지 길이에 도달하였을 때, 시험기의 로드 셀을 0점으로 조절한다. 5g의 힘에서 데이타를 모집하기 시작하도록 트리거 포인트를 셋팅한다.
힘 및 신장성이 의도된 시간에 측정이 되면, 시험은 완료된다. 첨부된 청구항의 목적을 위해서, 상기의 과정이 뒤따르면, 힘은 시험기상에서 읽는 실제 힘이 된다. 그 결과는 g/in 또는 g/cm로 표현된다.
흡수물질의 1인치 스트립이 세가지 방향(즉, 종방향, 횡방향의 임의의 단면을 따르는 방향, 45°대각선 방향)으로 청구항에서 특정 힘에 대하여 특정된 정도로 신장이 된다면, 흡수물질은 전 방향으로 신장성 것으로 여겨질 것이다.
B. 흡수제품 또는 이의 다양한 부분의 신장성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이 시험은 흡수제품 또는 이의 여러가지 영역의 신장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시험 형태는 "그랩 시험(grab test)"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는 인장 시험기의 클램프에 있는 흡수제품의 일부를 고정하는 것 및 흡수제품의 전체 또는 의도된 영역에 인장력을 가하는 것을 수반한다.
이 시험을 위해 사용된 샘플은 완전한 흡수제품이다. 동일한 형태의 흡수제품(즉, 동일한 제품)의 별개의 샘플은 흡수제품의 신장성 또는 흡수제품의 다른 영역의 신장성의 다른 방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흡수제품은 다음 즉, 흡수제품의 종방향 신장성; 흡수제품의 횡방향 신장성(양자는 횡방향 중심선을 따르고, 흡수제품의 말단 영역에 있다); 흡수제품의 대각선방향 신장성; 플랩 및 플랩에 인접한 주 몸체부의 이러한 신장성 영역의 신장성; 크림프 봉합부의 신장성을 알기 위해 시험될 수 있다.
이 시험에서, 1인치(2.54cm) 너비의 클램프가 상기 시험기에서 사용된다. 만약 흡수제품이 다른 신장성 방향을 가진 영역을 갖고, 다양한 영역의 신장성을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면, 양쪽 클램프가 의도된 영역 내에 완전히 놓여지도록 조절되어야 한다. 만약 이가 불가능하다면, 될수 있는 한 클램프가 완전히 의도된 영역 내에 있는 것과 근접하도록 해야 한다.
흡수제품의 종방향 신장성을 시험할 때, 클램프는 흡수제품의 종방향 중심선에 중심을 두어야 한다. 흡수제품의 중간 영역의 횡방향 신장성을 시험할 때, 클램프는 횡방향 중심선에 중심을 두어야 한다. 흡수제품의 말단 영역의 횡방향 신장성을 시험할 때, 연신이 횡방향 중심선에 평행하게 되도록 클램프가 말단 영역에 위치해야 한다. 흡수제품의 대각선 방향의 신장성을 시험할 때, 연신력의 일차 벡터 요소가 흡수제품의 종방향과 횡방향 중심선의 교차점을 지나가도록 클램프가 흡수제품의 주 몸체부의 반대쪽 코너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플랩의 코너 영역과 흡수제품의 주 몸체부의 신장성 있는 인접 영역 사이의 신장성을 시험할 때, 클램프는 적당한 각 A를 이루도록 정렬되어야 한다. 하나의 클램프가 플랩에 위치하고, 나머지 클램프는 주 몸체부의 신장성 영역에 위치한다. 크림프 봉합부의 신장성을 시험할 때, 연신이 크림프 봉합부를 포함하는 영역의 신장성의 방향으로 향하게 되도록 클램프는 크림프 봉합부에 중심을 두어야 한다.
흡수제품은 클램프의 최외부 가장자리(즉, 자유말단)가 다양한 영역에 있는 흡수물질의 말단 가장자리로부터 안쪽으로 대략 0.5in(약 1.3cm)에 있게 되도록 고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만약 (플랩의 코너 영역에 놓인 하나의 클램프와 같은)영역의 일부에 흡수물질이 없다면, (또는 양쪽 클램프가 크림프 봉합부의 영역내에 있다면), 흡수물질의 내부 가장자리를 고정시킬 필요가 없다.
인장 시험기의 게이지 길이를 흡수물질의 길이에 맞추어 각 클램프에 고정된 흡수물질의 길이를 더 적게 한다. 20in/min(51cm/min)의 크로스 헤드 스피드로 연신을 시작한다. 샘플이 게이지 길이에 도달되면, 테스트 기구의 로드 셀을 0점에 맞춘다.
의도된 시간에 힘 및 신장성이 측정되면, 시험이 완료된다. 그 결과는 g으로 표현된다.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태양이 도시되고 기술되었지만, 발명의 취지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다른 변화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사실은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하다.

Claims (4)

  1. 주변부를 형성하는 한쌍의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와 한쌍의 말단 가장자리를 갖는 흡수제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신장성 영역을 갖는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
    하나 이상의 신장성 영역을 갖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상기 주변부에서 상기 상면시이트에 결합되는 액체 투과성 배면시이트; 및
    상기 상면시이트와 상기 배면시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상면시이트 및 상기 배면시이트의 하나 이상의 신장성 영역의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를 결합시키는데 사용되고, 사인 곡선면 형태를 가지며, 장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상면시이트 및 상기 배면시이트의 상기 신장성 영역이 신장되도록 만드는 크림프 봉합부(crimp seal)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가멘트내에 착용하기 위한 흡수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크림프 봉합부가 50g 내지 500g의 힘하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10%보다 많이 신장될 수 있는 흡수제품.
  3. 제 2 항에 있어서,
    크림프 봉합부가 200g 이하의 힘하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10%보다 많이 신장될 수 있는 흡수제품.
  4. 주변부를 형성하는 한쌍의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와 한쌍의 말단 가장자리를 갖는 흡수제품에 있어서,
    신장성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상기 주변부에서 상기 상면시이트에 결합되는 신장성 액체 투과성 배면시이트; 및
    상기 상면시이트와 상기 배면시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상면시이트 및 상기 배면시이트의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를 결합시키는데 사용되고 사인 곡선 형태를 갖는 크림프 봉합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언더가멘트내에 착용하기 위한 흡수제품.
KR1019997012587A 1997-06-30 1998-06-30 생리대용 신장성 크림프 봉합부 KR200100144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886,057 1997-06-30
US08/886,057 US5993431A (en) 1997-06-30 1997-06-30 Extensible crimp seal for feminine hygiene produc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406A true KR20010014406A (ko) 2001-02-26

Family

ID=25388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2587A KR20010014406A (ko) 1997-06-30 1998-06-30 생리대용 신장성 크림프 봉합부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993431A (ko)
EP (1) EP0993295A1 (ko)
JP (1) JP2002507916A (ko)
KR (1) KR20010014406A (ko)
CN (1) CN1268037A (ko)
AU (1) AU8272598A (ko)
BR (1) BR9810381A (ko)
CA (1) CA2295060A1 (ko)
ID (1) ID24352A (ko)
MY (1) MY132808A (ko)
WO (1) WO1999000094A1 (ko)
ZA (1) ZA9856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9141C2 (sv) * 1997-11-17 2003-01-21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med förbättrad formningsförmåga
US6582414B1 (en) * 1998-03-26 2003-06-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garment having improved fitness to body during use
US6716229B2 (en) 1999-02-25 2004-04-06 Joseph Toth Hemorrhoid relief and anal hygiene device
US6680423B1 (en) * 1999-08-27 2004-01-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reinforced elastic absorbent core
BR9904370A (pt) * 1999-09-28 2001-06-05 Johnson & Johnson Ind Com Absorvente higiênico feminino
AU780641B2 (en) * 1999-09-28 2005-04-07 Johnson & Johnson Industria E Comercio Ltda A hygienic napkin
WO2001056526A1 (en) * 2000-02-04 2001-08-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mproved crimp seal for absorbent articles
US6881205B2 (en) 2000-10-27 2005-04-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ndependence of components in absorbent articles
US7608069B2 (en) * 2000-10-27 2009-10-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captured leg elastics
US6592561B2 (en) * 2001-03-30 2003-07-15 Johnson & Johnson, Inc. Sanitary absorbent article having a tear-resistant flange seal
US20040068244A1 (en) * 2002-10-07 2004-04-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 combination of stress relief
US7404813B2 (en) * 2002-12-11 2008-07-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Undergarment having crotch member with unattached end portion
US7754940B2 (en) * 2003-06-12 2010-07-13 Johnson & Johnson Inc. Thin sanitary napkin having protrusions
US7258684B2 (en) 2003-11-11 2007-08-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guising personal care products
US8231590B2 (en) 2003-12-30 2012-07-3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Visually coordinated absorbent product
US20050148981A1 (en) * 2003-12-30 2005-07-07 Price Cindy L. Customizable absorbent article with extensible layers
US7252656B2 (en) * 2004-02-18 2007-08-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with wings having corrugated reg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
US7373698B2 (en) 2004-06-24 2008-05-20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Closure tabs for absorbent articles
US7811271B2 (en) * 2005-09-09 2010-10-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flap activation
ES2374217T3 (es) * 2006-04-07 2012-02-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ículo de higiene femenina con un diseño ondulado.
US8043274B2 (en) * 2007-12-05 2011-10-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undergarment with stretch areas for optimal fit
JP5580169B2 (ja) * 2010-10-28 2014-08-2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RU2554011C2 (ru) * 2011-01-26 2015-06-20 Ска Хайджин Продактс Аб Поглощающее изделие, содержащее элемент определенной формы,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го изделия
US9220641B2 (en) * 2011-12-22 2015-12-29 Sca Hygiene Products Ab Disposable absorbent product with bonded lateral regions and related methods
JP5847055B2 (ja) * 2012-02-29 2016-01-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9820897B2 (en) 2015-12-28 2017-11-21 Veronica Lee Berry Composite liquid-retentive substrate for a hygiene article
CN111194201A (zh) * 2017-11-03 2020-05-22 宝洁公司 图案化基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17150A (en) 1951-07-06 1955-09-06 Cliston Machine Company Choke valve assembly
US2701567A (en) 1953-09-16 1955-02-08 Smith Agnes Lenz Infant's undergarment
SE312882B (ko) 1967-12-29 1969-07-28 Moelnlycke Ab
US3599640A (en) * 1968-12-02 1971-08-17 Phyllis M Larson Disposable undergarment with absorption pad
US3653382A (en) 1969-12-22 1972-04-04 Procter & Gamble Expandable airfelt pad
US3828784A (en) * 1972-08-21 1974-08-13 Kendall & Co Conformable baby diaper
US4013816A (en) 1975-11-20 1977-03-22 Draper Products, Inc. Stretchable spun-bonded polyolefin web
US4166464A (en) 1976-06-23 1979-09-04 Johnson & Johnson Absorbent dressing
US4041949A (en) 1976-07-02 1977-08-16 Union Carbide Corporation Flexible waistband diaper
US4205679A (en) * 1976-07-23 1980-06-03 Johnson & Johnson Disposable undergarment
DE3232446A1 (de) 1982-08-12 1984-02-16 Metallgesellschaf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wefelsaeure
US4662874A (en) * 1983-08-03 1987-05-05 Johnson & Johnson Body member conformable disposable articles
DE3613042A1 (de) * 1986-04-17 1987-10-22 Hartmann Paul Ag Saugfaehiger wegwerfartikel
US4911701A (en) * 1988-02-26 1990-03-27 Mcneil-Ppc, Inc. Sanitary napkin having elastic shaping means
US5702382A (en) * 1990-06-18 1997-12-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xtensible absorbent articles
DE69220770T3 (de) * 1991-07-23 2004-09-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incinnati Befestigungsmuster für absorbierende artikel
US5429630A (en) * 1992-05-29 1995-07-04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and a method of removing said article from an undergarment
US5518801A (en) * 1993-08-03 1996-05-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b materials exhibiting elastic-like behavior
EG20791A (en) * 1994-02-04 2000-03-29 Procter & Gamble Absorbent articles
WO1996023472A1 (en) * 1995-02-03 1996-08-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side extens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985675B (en) 1999-01-26
WO1999000094A1 (en) 1999-01-07
JP2002507916A (ja) 2002-03-12
CA2295060A1 (en) 1999-01-07
CN1268037A (zh) 2000-09-27
EP0993295A1 (en) 2000-04-19
ID24352A (id) 2000-07-13
AU8272598A (en) 1999-01-19
US5993431A (en) 1999-11-30
MY132808A (en) 2007-10-31
BR9810381A (pt)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14405A (ko) 다층의 신장성 날개를 갖는 흡수제품
KR20010014406A (ko) 생리대용 신장성 크림프 봉합부
JP3506710B2 (ja) 吸収物品
KR20010014401A (ko) 다중 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생리대
US5810800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flexure resistant elasticized cuffs
JP3098034B2 (ja) パンティの両サイドを自然に包むパンティカバー部材を有する吸収用品
US5730738A (en) Absorbent article with angled band structural elastic-like film cuffs
US9913763B2 (en) Absorbent article with channels
JP2000505693A (ja) 離されたトップシートを有している吸収構造
AU702048B2 (en) Sanitary napkin with expandable flaps
KR100234466B1 (ko) 다중 플랩을 갖는 흡수제품
KR100298062B1 (ko) 종방향 신장성의 측방향 연장 플랩을 갖는 아치형 흡수 제품
US20050074584A1 (en) Liner composites adapted to attain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s
JP3833244B2 (ja) 下着カバー部材を有する吸収材製品
MXPA00000054A (en) Multi-directionally extensible sanitary napkin
MXPA00000050A (en) Absorbent article with multi-layered extensible wings
MXPA00000052A (en) Extensible crimp seal for sanitary napkins
MXPA98004464A (en) Absorbent article with film doubles in the form of structural elastic of banda angu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