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3364A - 퓨즈 홀더 및 접속기 - Google Patents

퓨즈 홀더 및 접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3364A
KR20010013364A KR19997011360A KR19997011360A KR20010013364A KR 20010013364 A KR20010013364 A KR 20010013364A KR 19997011360 A KR19997011360 A KR 19997011360A KR 19997011360 A KR19997011360 A KR 19997011360A KR 20010013364 A KR20010013364 A KR 20010013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chamber
pair
connection chamber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9997011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KR100592030B1 (ko
Inventor
시니어. 스웬손로저엠.
Original Assignee
스웬손, 로저, 엠., 시니어
스웬손, 유니스, 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웬손, 로저, 엠., 시니어, 스웬손, 유니스, 알. filed Critical 스웬손, 로저, 엠., 시니어
Publication of KR20010013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0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3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01R11/09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the connecting locations being ident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1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for connecting a fuse in a lead and adapted to be supported by the lead alo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Landscapes

  • Fus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2개 절연 와이어(13, 14)를 전기 회로에 일체적으로 접속시키는 퓨즈 홀더 및 접속 조립체는, 일 쌍의 관형 하우징 부재(15L, 15R)를 포함하며, 각각의 하우징 부재는 접속실, 퓨즈실 및, 그 사이로 연장되는 도전부재(W1)를 구비하는 것이다. 도전 부재는 접속실에 위치한 탄환형상 부분(23') 과 퓨즈실에 위치한 퓨즈 결합부(61)를 가지는 것이다. 클램핑 부재(31')는 접속실의 내부 나사 벽과의 나사식 결합이 이루어지는 외부 나사 면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클램핑 부재도, 도전성 부재의 탄환모양 단부에 접속되는 와이어 단부를 수용하는데 채택되는 관통 보어를 가지며, 접속실에 와이어 단부를 클램핑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퓨즈 홀더 및 접속기{FUSEHOLDER AND CONNECTOR}
이건 출원인의 미국 특허 출원번호 08/720,912호에는 다중 블라인드 접속실이 그 안에 제공된 급속식 다중 접속 전기 접속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의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탄환 모양 도전체가 비-도전성 암 결합의 각각의 접속실에 고착 고정되며, 여기에는 각각의 와이어 단부가 접속되는 일 접속실이 있는 것이다. 접속실의 내부 벽에는, 각각의 접속실이 비-도전성 수 결합 부재를 나사식으로 수용하도록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수 결합 부재는, 와이어 단부를 유도하여 공유 전기 도전체에 와이어 단부를 클램핑하는 이건 출원인의 특허 제 5,228,87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비-도전성 수 결합 부재의 형상을 이루고 그리고 그 안에 형성된 보어(bore)와 유사한 모양 및 구조로 이루어진 관통 보어를 구비하는 것이다. 비-도전성 수 결합 부재는 도전성 금속 접속기 부재의 원추형상 또는 탄환모양 단부 면과 상보(相補)적인 원추형상 환형 벽을 가진 제 1 단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수 결합 부재 와 금속 도전체 접속부재에 원추형상 면은, 절연 피복부가 벗겨진 생(bare) 단부 와이어가 보어 안에 삽입될 시에, 보어의 중심부로 안내되어, 금속 접속기의 원추형 단부 면에 의해 벌려져서 공간 이격진 원추 면 사이에 놓여지게 안내되도록, 와이어 단부를 수용하는 일정 거리로 공간 이격진 것이다. 서로 관련된 암/수 부재의 일 부재의 회전은 상기 거리를 감소시키어 스레드(threads)와 결합하여 원추 면 사이에 와이어의 생(生) 단부 부분을 클램핑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중 블라인드 접속실(multiple blind connection chambers)이 그 안에 제공된 전기 회로에 2개 이상의 가요성 전선의 자유 단부를 전기 회로와 일체로 급속 접합시키는 퓨즈 홀더 및 전기 접속기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예의 접속기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
도 1b는 2개 와이어가 함께 결합되는 종래예의 접속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거 합체된 퓨즈 홀더 및 접속기 조립체의 단면도.
도 3은 퓨즈실에 퓨즈와 함께 결합된 도 2의 접속기의 단면도.
도 4는 퓨즈 하우징 부위의 상호 결합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본 발명에 의거, 공유 접속부재는 퓨즈 홀더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거, 일 쌍의 관형상 하우징 부재 각각은 접속실, 퓨즈실(fuse chamber) 또는 그 부위, 및 접속실 과 퓨즈실 사이로 연장된 도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다. 도전성 부재에는 퓨즈실(또는 그 부위)에 퓨즈-결합부 와 접속실에 탄환 모양 부분이 있다. 따라서, 비-도전성 하우징 부재에는 퓨즈실 부분을 개별적으로 둘러싸는, 협력 동작하는 나사진 단부(또는 다른 상호 록킹 결합부)를 가진 하우징이 있는 2개 부분이 만들어 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이한 사용으로 회로를 일체로(fusing)하고 그 사이에 퓨즈 조립체와 2개 절연 와이어를 접속하는 개량된 퓨즈 홀더 및 접속기 조립체를 제공하여, 어떠한 종류의 공구의 사용도 없는 저렴한 가격으로 안정되게 와이어를 클램핑하는 것이다.
도 1은 쌍으로 이루어진 와이어(13, 14)와 와이어의 절연 피복부가 벗겨진 생(生) 와이어 단부(11, 12)를 접속하는 전기 접속기(10)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기 접속기는 원형, 사각형, 삼각형, 또는 다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비-도전성 제 1결합 부재(15)를 구비하는 것이다. 비-도전성 결합 부재(15)에는 접속실(16, 17)용 하우징이 형성되어 있다.(도 1b를 참조) 각각의 접속실은 각각의 내부 나사진 벽(18, 19)과 공유 금속 접속부재(21)를 장착 또는 고정하는 구획 부재(20)를 구비하는 것이다. 금속 접속부재(21)는 성형 또는 아교 또는 다른 고정수단에 의해 제 위치에 고착되어 구획 부재(20)에 고정 장착되는 것이다. 공유 금속 접속부재(21)는 개별적으로 접속실(16, 17) 안으로 돌출된 일 쌍의 탄환모양 또는 원추형 돌출부(22, 23)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다.
일 쌍의 비-도전성 제 2결합 부재(30, 31)는 외부 나사진 벽(32, 33)을 각각 구비하며, 파지부재(finger grasp members)(34, 35)가 깔쭉하게 홈이 형성된 것이다. 외부 나사진 벽(32, 33)은 개별적으로 내부 나사진 보어(18, 19)와 나사 결합되는 것이다. 각각의 비-도전성 제 2결합부재(30, 31)는 내부방향으로 돌출된 부재(38, 39)가 있는 관통 보어(36, 37)를 구비하는 것이다. 제 1원추면(40, 41)은 관통 보어의 협폭부를 구성하는 선단부(42, 43)를 구비하는 것이다. 원추 면(40, 41)은, 선단부로 그리고 금속 접속부재(21)의 탄환모양체 단부(22, 23) 위로, 풀려진 와이어 스트랜드(loose wire strands)를 유도하는 기능을 하는 역활을 한다. 선단부(43)의 대향 측은, 탄환모양 또는 원추모양체 단부(22, 23)와 개별적으로 협력하는 제 2원추 면을 구비하여, 접속부재(21)의 탄환모양 단부(22, 23)에 의해 펼쳐져서 유도되는 절연 피복부가 벗겨진 생 와이어 단부(11, 12)가 그 안으로 유입되는 클램프 공간이 형성된다. 선단부는 와이어 절연부가 제 1 및 제 2 원추형상 면 사이에 공간 안으로 밀어 넣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전선의 생 와이어 단부가 제 2 결합 부재에 관통 보어의 제 2 단부 안으로 삽입 시에, 절연 피복부가 벗겨진 와이어 단부는 탄환모양 단부 면에 의해 중앙 축선을 벗어나서 유도되어 원추 모양 면 사이에 놓여지게 된다. 사용자가 부재(34, 35)를 파지하여 결합 부재(30, 31)가 내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생 와이어 단부(11, 12)는 원추 모양 면(44, 45) 과 탄환 모양 단부 와의 사이에서 각각 기밀하게 물려지거나 또는 클램프 되는 것이다. 와이어(11, 12)는 동시적으로 또는 분리적으로 클램프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하우징 부재(15) 상에 깔쭉한 부분을 형성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르는 위치에서 클램프 되는 와이어 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로 설명되며, 상기 도면에서 도 1a 및 도 1b에 개시된 유사 부분 및 대응 부분에는 프라임(')을 더하여 나타내었다. 절연 피복부가 벗겨진 와이어 단부를 클램핑하는 기술은 상술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이며, 따라서 그에 따른 설명은 생략한다.
설명된 바와 같이, 탄환 모양 도전성 요소는 분리 부재로서 제공되어지며 그리고 하우징은 각각이 퓨즈실(F1, F2)을 가지는 2개 부분(15L, 15R)으로 분할 되어져 있는 것이다. 각각의 탄환 모양 도전성 접속부재(22', 23')는 벽(W1, W2)에 견고하게 설치되고, 퓨즈실(F1, F2)의 단부를 형성하는 퓨즈-결합부 또는 버튼(60, 61)이 제공된다. 퓨즈실 또는 퓨즈실 부분(F1, F2)에는, 개별적으로 나사부(63, 64)와 같은 협력 동작 결합요소가 제공되어서, 선택 단계에 있는 퓨즈(FU)가 퓨즈실(F1, F2)에 끼워지고 그리고 스레드(63, 64)가 상호 결합하고 그리고 버튼(60, 61) 사이에 전기 도전성 회로가 퓨즈(FU)를 관통하여 완전하게 와이어가 접속된 회로와 일체로 되는 것이다. 버튼(60, 61)을 대신하여, 스프링 핑거를 합체 시키어 나사진 결합부(63, 64)가 버튼(60, 61) 과 퓨즈 요소(FU) 간에 도전성 접촉을 안정하게 만들지 않는 경우에는, 스프링 접촉이 그와 같은 것을 만들것임을 예견할 수 있을 것이다.
나사진 결합 요소(63, 64)를 대신하여, 퓨즈실 부분(F1')의 벽은 축 단면(70A), 회전 단면(70R) 및 록킹 단면(70L)을 가진 그 안에 형성된 슬롯(70)(각 측 상에 있는 하나) 그리고 대향 퓨즈 하우징 부분(F2')에 코팅 돌출부(71)를 가질 수 있는 것도 예측될 수 있다. 돌출부(71)가 슬롯에 저부에 이를때까지 서로를 향하는 축 방향으로 밀려지는 2개 퓨즈실(F1', F2') 과 슬롯 부분(70)에 돌출부(71)가 끼워 설치되고, 다음 퓨즈 하우징 성분이 서로에 대하여 회전되어 상기 돌출부(71)는 슬롯의 단부로 슬롯 부분(71R)에서 이동하여 록킹 단면(71L)에 돌출부(71)가 걸리도록 풀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설명되어졌지만, 당 분야의 기술인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다른 실시예의 실시 및 변경 그리고 개조가 가능한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퓨즈 홀더 및 접속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일 쌍의 하우징 부재 와, 접속실의 내부 나사 벽과 나사 결합하는 외부 나사 면을 가진 일 쌍의 수 클램프 부재를 포함하고;
    각 하우징 부재는 접속실, 퓨즈실 및 접속실 과 퓨즈실 사이에서 연장되는 도전성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도전성 부재는 접속실 내에 탄환모양 부분 과 퓨즈실 내에 퓨즈-결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실은 내부 나사 벽을 구비하고;
    탄환모양 단부와 협력 동작하여 단부에 와이어 단부가 접속되도록 수용하는 일 단부를 가진 관통 보어를 구비하는 일 쌍의 수 클램프 부재는, 탄환모양 단부 와 제 2 단부 사이에서 와이어 단부가 접속되도록 클램핑하고;
    상기 하우징 부재 각각은 개별적으로 협력 동작하는 상호 결합 고착 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홀더 및 접속기 조립체.
  2. 회로를 일체로 하여 2개 절연선을 접속하는 퓨즈 홀더 및 접속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일 쌍의 관형상 하우징 부재와, 접속실의 내부 나사 벽과 나사 결합을 하는 외부 나사 면을 가진 클램핑 부재를 포함하며;
    각각의 하우징 부재는 접속실, 퓨즈실 및 그 사이로 연장 형성된 도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퓨즈실에 퓨즈 결합부와 접속실에 탄환모양 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실은 내부 나사 벽을 구비하고;
    탄환모양 단부와 협력 동작하는 단부에 와이어 단부가 접속되도록 수용하는 일 단부가 있는 관통 보어를 가진 각각의 상기 클램핑 부재는, 탄환모양 단부 와 제 2 단부 사이에서 와이어 단부가 접속되도록 클램핑하고;
    상기 관형 하우징 부재 각각은 개별적으로 퓨즈실 둘레에서 협력 동작하는 나사진 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홀더 및 접속기 조립체.
  3. 전기 회로에 2개 이상의 가요성 전선의 자유 단부를 전기 회로와 일체로 하여 접합시키는 퓨즈 접속기에 있어서, 상기 퓨즈 접속기는:
    각각의 접속실이 개별적으로 나사진 보어를 가지는, 적어도 일 쌍의 접속실 과 퓨즈실을 구비하는 비-도전체 부재와;
    공유 도전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공유 도전 수단은:
    (a)일 라운드진 팁 돌출부가 개별적으로 일 접속실 쪽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일 쌍의 라운드진 팁 돌출부,
    (b)비-도전체 부재에 고착 고정되는 중앙 부분, 및
    (c)퓨즈실에 퓨즈 접촉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 쌍의 중공 비-도전성 수 부재로서, 각각의 중공 비-도전성 수 부재는, 라운드진 팁 돌출부의 모양을 상보(相補)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내부 면 과, 나사진 보어와의 나사식 결합을 하는 외부 나사 면을 구비하고;
    상기 퓨즈실은 상호 록킹 결합하는 2개 부분으로 구성되고;
    2개 이상의 가요성 와이어의 각각의 자유 단부가 접속실에 수용되고, 적어도 일 쌍의 중공 비-도전성 수 부재의 각각은, 중공 비-도전성 수 부재가 일체형 도전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퓨즈실에 퓨즈 와 상기 비-도전체 부재에 관련하여 축선방향으로 이동될 시에, 라운드진 팁 과 상보(相補) 형상 면 과의 사이에 2개 이상의 가요성 전선의 단부를 클램핑 결합하는 나사진 보어와의 나사식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접속기.
KR1019997011360A 1997-06-05 1998-06-04 퓨즈홀더 및 접속기 KR1005920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869,892 1997-06-05
US08/869,892 US5868589A (en) 1996-10-03 1997-06-05 Fuseholder and connector
PCT/US1998/010935 WO1998056075A1 (en) 1997-06-05 1998-06-04 Fuseholder and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364A true KR20010013364A (ko) 2001-02-26
KR100592030B1 KR100592030B1 (ko) 2006-06-21

Family

ID=25354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1360A KR100592030B1 (ko) 1997-06-05 1998-06-04 퓨즈홀더 및 접속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868589A (ko)
EP (1) EP0986841B1 (ko)
JP (1) JP4260224B2 (ko)
KR (1) KR100592030B1 (ko)
CN (1) CN1117416C (ko)
AT (1) ATE377270T1 (ko)
AU (1) AU729018B2 (ko)
BR (1) BR9811095A (ko)
CA (1) CA2290483C (ko)
DE (1) DE69838642T2 (ko)
TW (1) TW405139B (ko)
WO (1) WO19980560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639A (ko) * 2016-08-04 2019-04-02 스피너 게엠베하 낮은 수동 상호변조 rf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1414B1 (en) 1999-10-29 2002-10-08 Baker Hughes Incorporated Foam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US6696969B2 (en) 2000-06-30 2004-02-24 Cooper Technologies, Inc. Compact fused disconnect switch
US6672900B2 (en) 2000-10-23 2004-01-06 Robert Bosch Corporation Universal aftermarket connector
US6784783B2 (en) * 2000-10-24 2004-08-31 Cooper Technologies Company Compact fused disconnect switch
US6814630B1 (en) * 2001-10-05 2004-11-09 Swenco Products, Inc. No-crimp reusable universal electrical connector
US20030069974A1 (en) * 2001-10-08 2003-04-10 Tommy Lu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 balancing web servers and virtual web servers
US6830491B1 (en) * 2001-10-09 2004-12-14 Swenco Products, Inc. Weathertight electrical connector
US6796853B1 (en) * 2002-09-06 2004-09-28 Swenco Products, Inc. No-crimp electrical connector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014513B2 (en) * 2002-10-09 2006-03-21 Swenco Products, Inc. Weathertight electrical connector
US6881090B1 (en) 2003-11-07 2005-04-19 R & B Inc. Rotatable no strip no crimp electrical connector for wires
FI116331B (fi) 2004-02-03 2005-10-31 Abb Oy Sulakkeenpidin
US20080233791A1 (en) * 2006-05-26 2008-09-25 Centerpin Technology, Inc. Compression snap electrical connector
US7226308B1 (en) 2006-05-26 2007-06-05 Centerpin Technology, Inc. Compression snap electrical connector
US7520772B2 (en) * 2006-05-26 2009-04-21 Centerpin Technology, Inc. Compression snap electrical connector
US20090215306A1 (en) * 2006-05-26 2009-08-27 Centerpin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compression gores
CN102568970B (zh) * 2011-12-26 2014-07-23 东莞市思普太阳能科技有限公司 太阳能光伏发电系统用保险丝管座
CN103560365A (zh) * 2013-10-31 2014-02-05 无锡市凯旋电机有限公司 快速插拔式弹性自锁保险丝座
GB2521447A (en) * 2013-12-20 2015-06-24 Technip France A PIP trace heating connection assembly
RU2563582C1 (ru) * 2014-06-03 2015-09-20 Дмитрий Анатольевич Семак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проводов
US9768523B1 (en) * 2017-01-04 2017-09-19 Stanislaw L Zukowski In-line twist on electrical wire connector
CN108022815B (zh) * 2018-01-24 2024-05-14 安徽锐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水功能的保险丝座
CN109378605B (zh) * 2018-09-21 2024-01-19 深圳供电局有限公司 插接式电缆连接头
JP7435048B2 (ja) * 2019-05-10 2024-02-2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接続装置および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56248A (en) * 1933-09-08 1936-10-06 Thomas & Betts Corp Wire conecter
US2659062A (en) * 1950-05-03 1953-11-10 Otto S Tibbetts Detachable coupling for electrical cables
USB355869I5 (ko) * 1968-06-14
US4909761A (en) * 1989-05-10 1990-03-20 Gould, Inc. In-line breakaway fuse holder
US5228875A (en) * 1991-09-12 1993-07-20 Swenson Sr Roger M Quick connect electrical conn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639A (ko) * 2016-08-04 2019-04-02 스피너 게엠베하 낮은 수동 상호변조 rf 커넥터
US11158984B2 (en) 2016-08-04 2021-10-26 Spinner Gmbh RF connector with low passive intermod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811095A (pt) 2000-07-18
KR100592030B1 (ko) 2006-06-21
AU8054698A (en) 1998-12-21
CN1257613A (zh) 2000-06-21
ATE377270T1 (de) 2007-11-15
CA2290483C (en) 2007-08-21
EP0986841A4 (en) 2000-07-19
EP0986841B1 (en) 2007-10-31
DE69838642D1 (de) 2007-12-13
TW405139B (en) 2000-09-11
DE69838642T2 (de) 2008-08-28
WO1998056075A1 (en) 1998-12-10
JP4260224B2 (ja) 2009-04-30
AU729018B2 (en) 2001-01-25
JP2002514349A (ja) 2002-05-14
CN1117416C (zh) 2003-08-06
US5868589A (en) 1999-02-09
CA2290483A1 (en) 1998-12-10
EP0986841A1 (en) 2000-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13364A (ko) 퓨즈 홀더 및 접속기
KR19980032146A (ko) 급 접속 전기 커넥터
US5989056A (en) Cable connector with stress relief assembly
US4655534A (en) Right angle coaxial connector
US6280229B1 (en) Plug connector
US5975939A (en) Twist termination connector
JPH11260463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5261839A (en) Angled electrical connector
JPH06104024A (ja) 電気コネクタ
JPH02132781A (ja) 電気プラグコネクタ用の金属ケーシングスリーブ
US4461530A (en) Socket contact for electrical connectors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0739899B1 (ko) 병렬형 무-주름 전기 커넥터
US7371123B2 (en) Electrical connector
CA1115370A (en) Connector plug for coaxial cables
US20020039853A1 (en) Connector
GB2094564A (en) Lamp socket for a push-in type lamp assembly
JPH05347162A (ja) 絶縁電気端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99973B1 (ko) 통신 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MXPA99011195A (en) Fuseholder and connector
KR200420046Y1 (ko) 조인트 커넥터
US1154415A (en) Handle and terminal connection for electrically-heated instruments.
KR100504103B1 (ko) 커넥터
JPS6219813A (ja) 光・電気複合コネクタ
KR970002777Y1 (ko) 안테나 연결용 콘넥터
JP6545004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