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2449A - 벤젠의 알킬화 방법 - Google Patents

벤젠의 알킬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2449A
KR20010012449A KR1019997010403A KR19997010403A KR20010012449A KR 20010012449 A KR20010012449 A KR 20010012449A KR 1019997010403 A KR1019997010403 A KR 1019997010403A KR 19997010403 A KR19997010403 A KR 19997010403A KR 20010012449 A KR20010012449 A KR 20010012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zene
distillation column
olefins
column reactor
over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0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언데니스
아간브라이트로버트피.
스미스로렌스에이.쥬니어
아담스존알.
Original Assignee
캐털리틱 디스틸레이션 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털리틱 디스틸레이션 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캐털리틱 디스틸레이션 테크놀로지스
Publication of KR20010012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244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34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with one or more auxiliary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69/00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by at least one hydrotreatment process and at least one other conversion process
    • C10G69/02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by at least one hydrotreatment process and at least one other conversion process plural serial stages only
    • C10G69/12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by at least one hydrotreatment process and at least one other conversion process plural serial stages only including at least one polymerisation or alkylation step
    • C10G69/123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by at least one hydrotreatment process and at least one other conversion process plural serial stages only including at least one polymerisation or alkylation step alky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009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in combination with chemical re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9/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with other chemicals
    • C10G29/20Organic compounds not containing metal atoms
    • C10G29/205Organic compounds not containing metal atoms by reaction with hydrocarbons added to the hydrocarbon oi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49/00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in the presence of hydrogen or hydrogen-generating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10G45/02, C10G45/32, C10G45/44, C10G45/58 or C10G47/00
    • C10G49/002Apparatus for fixed bed hydrotreatment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400/00Products obtained by processes covered by groups C10G9/00 - C10G69/14
    • C10G2400/02Gasol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400/00Products obtained by processes covered by groups C10G9/00 - C10G69/14
    • C10G2400/30Aroma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3/00Distillation: processes, separatory
    • Y10S203/06Reactor-distil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정유 스트림(2)이 먼저 선택된 유형 및 양의 저급 올레핀(1)을 사용하는 벤젠으로의 알킬화(12)에 앞서 고급 올레핀의 수소화(14)에 투입되는 혼합된 정유 스트림에 함유된 벤젠의 알킬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황 화합물을 함유하는 스트림은 수소첨가 탈황에 의해서 예비처리될 수 있다. 모든 공정 단계는 유리하게도 그러한 양식의 작동을 사용하기 위해서 증류 컬럼 반응기(10)에서 수행된다.

Description

벤젠의 알킬화 방법{PROCESS FOR THE ALKYLATION OF BENZENE}
에틸 벤젠 및 큐멘은 벤젠과 반응성 올레핀, 즉,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의 산 촉매작용에 의한 반응에 의해서 생성된다. 일부의 공지 방법에서, 촉매, 예를 들면, AlCl3, 점토 상의 H3PO4, 알루미나 상의 BF3는 매우 부식성이고 상대적으로 짧은 수명을 지니며, 다른 것들은 주기적인 재생, 예를 들면, 분자 시이브를 요한다. 반응의 발열성 외에도, 다치환 벤젠을 생성하는 경향은 통상적인 공정에서 대용적 재순환과 함께 통과당 저 벤젠 전환을 요한다.
통상적인 공정의 다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올레핀과 벤젠의 반응이 산물의 분리와 함께 분별 증류에 의해서 동시에 수행되는 공정이 개발되었다. 이 공정의 일 양태가 반응 시스템의 성분이 증류에 의해서 동시에 분리될 수 있고 증류 구조로서 촉매 구조를 사용하는 반응 시스템을 활용하는 미국 특허 제5,243,115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이 미국 특허 제4,215,011호; 제4,232,177호; 제4,242,530호; 제4,250,052호; 제4,302,356호; 및 제4,307,254호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용도를 위한 다양한 촉매 구조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는 미국 특허 제4,443,559호 및 제5,348,710호에 기재되어 있다.
가솔린의 납 함량의 감소 및 납-노킹 방지(anti-knock) 화합물의 사용은 가솔린을 위한 블렌딩 성분의 옥탄가를 개선하는 기타 방법에 대한 연구를 유발시킨다. 납-노킹방지 화합물 사용의 대안은 화학 가공 및 기타 첨가제의 사용이다.
원료 나프타를 고 옥탄 가솔린으로 개량하는 정유 산업에 의해서 오래 사용된 하나의 통상적인 방법은 촉매적 개질이다. 원료 나프타내 다수의 화합물로 인하여, 촉매적 개질에서 일어나는 실제 반응은 다수이다. 그러나, 다수 생성 산물 중의 일부는 아릴 또는 방향족 화합물이고, 모두 고 옥탄가를 나타낸다. 생성된 아릴 화합물은 정유소에서 사용된 나프타 및 원유원의 비등 범위에 의해서 조절되는 출발 물질에 의존한다. 촉매적 개질 방법으로부터의 "개질" 산물은 보통 개질물이라고 불리고, 종종 통상적인 증류에 의해 두 분획-- 약 115 내지 250 ℉의 비등 범위를 갖는 경량 개질물과 약 250 내지 350 ℉의 비등 범위를 갖는 중량 개질물로 분리된다. 따라서, 각 분획의 아릴 화합물은 이의 비점에 의존한다. 경량 개질물은 더 낮은 비점 또는 더욱 경량의 아릴 화합물, 예를 들면, 벤젠 및 톨루엔을 함유한다.
경량 개질물은 벤젠과 더욱 경량의 성분을 함유하는 부분이다. 가솔린을 위한 복잡한 모델은 가솔린의 옥탄을 유지하면서 가솔린의 벤젠 함량에 심한 감소를 요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효과적인 수단은 벤젠을 알킬화하는 것이지만, 이러한 목적을 위한 올레핀 스트림은 비용이 많이 들 수 있거나 그렇지 않다면 사용될 수 있다.
벤젠은 또한 직류(直溜) 나프타로서 상당한 양으로 및 더 적은 정도로 촉매 크래커로부터의 나프타로서 이러한 기타 정유 스트림에 함유된다. 알킬화 반응을 위한 벤젠을 생성하는 통상적인 방법은 벤젠의 이러한 혼합된 정유 스트림으로부터의 용매 추출에 이어 또한 추출 스트림에 존재하는 더욱 높은 비점의 방향족 화합물, 예를 들면, 톨루엔 및 자일렌으로부터 벤젠을 분리하기 위한 증류이다. 또한, 상당량의 에너지가 용매를 추출된 방향족 화합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소비되어야 한다.
촉매 개질 유닛으로부터의 나프타에 함유된 벤젠의 알킬화가 또한 상기의 동시 반응/증류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는 미국 특허 제5,082,990호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벤젠의 알킬화는 단순히 예상되는 EPA 요구를 만족시키고 옥탄을 개선하기 위해서 벤젠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알킬화에 사용되는 올레핀은 일반적으로 촉매 분해 유닛으로부터의 방출 기체로 이루어진 다른 혼합된 정유 스트림에 함유된다. 올레핀의 방향족 혼합물과의 혼합물은 알킬화 톨루엔과 디알킬화 산물을 포함할 수 있는 산물의 복합 혼합물을 유발한다. 이것은 목적이 가솔린을 생성하는 것이므로 기재된 방법에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좀더 최근에 와서는 방향족 알킬화 방법에서 촉매 탈활성화의 제 1 요인은 고농도의 올레핀의 존재임이 밝혀졌다. 본 발명자는 지수함수 관계가 올레핀 농도와 촉매 수명 사이에 존재함을 측정하였다. 따라서, 분명히 알킬화는 올레핀 반응물의 주의 깊은 조절을 요한다. 또한, 탈활성화는 C4이상의 고급 올레핀에서 더욱 신속하다.
경량 개질물 자체는 또한 더 높은 비점의 올레핀 화합물을 함유한다. 또한 증기 또는 촉매 분해로부터의 벤젠은 또한 적합한 올레핀을 함유한다. 더욱 높은 비점의 올레핀은 또한 방향족 화합물 또는 이들 자신과 반응할 수 있는 더욱 긴 쇄의 불포화물이다. 공급원에 관계없이, 이러한 더욱 높은 비점의 올레핀 화합물의 반응은 이들이 코크스화하고 촉매를 오염시켜 가속화된 촉매 에이징을 유발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직류 나프타 또는 증기 또는 촉매 분해 공정으로부터의 나프타의 사용과 연관된 문제는 나프타가 황 오염물질, 예를 들면, 벤젠 비등 범위에서 직류 나프타내 분해된 나프타 또는 머캡탄인 티오펜을 함유할 수 있다는 것이다. 티오펜은 에틸 벤젠 또는 큐멘에서 불필요한 오염물질이다. 조 증류 컬럼으로부터 직접 직류 나프타에서 발견될 수 있는 것과 같은 황 오염물질은 또한 올레핀 수소화 촉매에 유해한 머캡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은 직류 나프타 또는 개질물 스트림 중의 벤젠이 다른 용매 추출 단계 없이 에틸 벤젠 또는 큐멘으로 알킬화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개질물 또는 직류 나프타 스트림 중의 올레핀이 수소화되어 촉매 수명을 증가시킨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장점은 유기 황이 촉매의 독성을 억제하기 위해서 수소화 전에 나프타 분획으로부터 제거된다는 점이다.
간단히 말해서, 본 발명은 나프타를 처리하여 불포화 물질을 제거한 다음 벤젠을 알킬화하여 에틸 벤젠 또는 큐멘을 생성함을 포함하는, 개질 스트림, 직류 나프타 스트림 또는 기타 나프타 분획에 함유된 방향족 화합물, 특히 벤젠의 알킬화 방법이다. 수소화 촉매를 보호하고 가솔린 성분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물질을 개선하기 위해서, 황 화합물을 함유하는 공급물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수소첨가 탈황에 의해서 이들을 제거하도록 처리된다.
공정의 각 단계, 예를 들면, 불포화물의 수소화 및 알킬화는 바람직하게는 각 반응기 내에서 동시 반응 및 증류를 이용하기 위해서 증류 컬럼 반응기에서 수행된다.
알킬화 반응으로의 올레핀 공급물은 바람직하게는 알킬화 촉매층 아래에 첨가되고 이로 인해 촉매층과 접촉하기 전에 반응물이 혼합되게 한다.
또한, 모노 알킬화를 향한 높은 선택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임), 올레핀 몰당 2 내지 100 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몰의 아릴의 매우 과량의 유기 방향족 화합물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혼합 정유 스트림에 함유된 벤젠의 알킬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올레핀을 함유하는 공급물이 올레핀을 제거하기 위해서 수소화되는 방법 및 이어서 조절된 유형 및 양의 올레핀으로의 벤젠의 알킬화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또한 황 함유 정유 스트림을 스트림 내에 함유된 유기 황의 수소첨가 탈황에 의해서 예비처리하는 것으로써 정의된다. 모든 공정 단계는 그러한 양식의 작동을 이용하기 위해서 증류 컬럼 반응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 양태의 개략적 형태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개략적 형태의 흐름도.
황 화합물을 함유하는 나프타 공급물을 처리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일 양태에서, 수소첨가 탈황은 H2S 및 경량 부분 오버헤드를 취하는 제 1 증류 컬럼 반응기에서 일어난다. 탈황된 바닥물질은 올레핀, 디올레핀 및 아세틸렌을 포화시키면서 벤젠 오버헤드를 함유하는 C6이하의 경량 물질을 취하는 탈헥산화기로서 작동하는 제 2 탑으로 취해진다. C7이상의 중량 물질은 바닥물질로서 취해진다. 오버헤드는 벤젠의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으로의 알킬화에 적합한 촉매를 함유하는 제 3 증류 탑으로 공급된다. 알킬화 산물, 에틸 벤젠 또는 큐멘은 바닥물질로서 제거되고 미반응 저비점 물질은 오버헤드로 제거된다. 황이 나프타, 즉, 개질된 나프타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 1 탑은 사용되지 않는다.
다른 양태에서, 경량 개질물의 옥탄가는 전체 경량 나프타를 불포화 물질의 제거를 위한 처리에 이어 FCCU로부터의 폐 기체에 함유된 조절된 저급 올레핀으로의 알킬화로 투입함으로써 개선된다.
일 양태에서 수소화는 알킬화와 동일한 컬럼에서 수행되고, 이들 모두 촉매 증류로서 작동된다. 아릴 화합물은 올레핀 화합물과 촉매적으로 반응하여 우선적으로 본래의 아릴 화합물 보다 더욱 높은 옥탄가 및 더욱 낮은 비중을 갖는 일치환 알킬화 아릴 화합물을 생성한다. 동시에, 알킬화 아릴 화합물은 미반응 물질로부터 분획화된다. 촉매 증류 구조는 촉매 부위와 증류 부위 모두를 제공한다. 알킬화 아릴 화합물은 알킬화 고정층 아래의 지점에서 증류 반응기로부터 취출되고 미반응 물질은 알킬화 고정층 위의 지점에서 오버헤드로 취출된다. 적합한 산 촉매의 예에는 제올라이트와 같은 분자 시이브(몰 시이브)가 포함된다.
알킬화 촉매의 과도한 촉매 에이징을 방지하기 위해서 경질 개질물 내에 함유되는 고 비점 올레핀 및 기타 불포화물을 알킬화층으로의 도입에 앞서 수소화 촉매의 개별 층에서의 수소화에 의해서 포화시킬 수 있다. 이것은 증류 컬럼 반응기 앞의 통상적인 고정층에서 수행될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수소화는 알킬화 영역 아래에 위치한 증류 컬럼 반응기의 증류 반응 영역에서 수행된다. 알킬화 올레핀, 예를 들면, FCCU 폐 기체는 수소화 영역으로부터 올라오는 감소된 올레핀 함량을 갖는 경량 개질물과 배합되는 수소화 영역 위 및 알킬화 영역 아래에 공급되어야 한다. 알킬화 영역에서와 같이 촉매는 증류 구조에 적합한 형태이다.
방향족 화합물원은 촉매 개질 또는 증기 촉매 분해 방법, 또는 조 증류(직류 나프타)일 수 있다. 상기에 주지된 바와 같이, 촉매 개질기로부터의 경량 개질물(110 내지 250 ℉) 비등 물질은 고급 올레핀의 적합한 양을 함유할 수 있다. 증기 또는 촉매 분해 공정으로부터의 경량 나프타는 더 많은 고급 올레핀과 추가로 적당한 양의 유기 황 화합물, 주로 머캡탄 및 약간의 티오펜을 함유한다. 티오펜은 특히 벤젠 및 벤젠 산물의 오염물로 생각된다.
올레핀원은 상대적으로 순수한 스트림 또는 상기와 같은 FCCU일 수 있다. 유체 촉매 분해에서 약 600 내지 1300 ℉를 갖는 중량 "기체 오일" 스트림은 장쇄 탄화수소를 단쇄 탄화수소로 떨어뜨리거나 분해하는 승온, 약 900 내지 1050 ℉에서 미세 촉매 물질, 보통 제올라이트 물질과 배합된다. 일부 기체가 분해 정도에 따른 양으로 생성되고, 기체는 또한 불포화 화합물, 즉, 에틸렌, 프로펜 및 부텐이 풍부하다. 화합물은 가치가 있으므로, 보통 개별적으로 회수되고 사용되거나 판매된다. 그러나, 불포화 화합물 또는 올레핀 분리는 10 몰% 이하의 올레핀 함량을 갖는 "폐 기체"를 유발시킨다. 이러한 폐 기체는 보통 정유소 가열기의 연료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스트림은 또한 상기 알킬화에 적합한 올레핀원이다.
FCCU 폐 기체는 다양한 비회수 올레핀을 함유하지만, 주된 올레핀 화합물은 에틸렌, 프로필렌(프로펜) 및 부텐이다. 기체의 나머지는 다양한 표준 탄화수소로 이루어진다. 전형적인 총 올레핀 함량은 42.1 %이고 에틸렌 11.1 %; 프로펜 30.6 %; 및 부텐 0.4 % 이상으로 분리된다.
일부 경우에 폐 기체에 함유된 올레핀 화합물은 항상 경량 나프타의 고급 올레핀 보다 더 낮은 비점을 지닐 것이다.
가장 일반적인 양태에서 목적은 경질 개질물의 옥탄을 개량하는 것이다. 약 110 내지 250 ℉에서 비등하는 전체 비등 개질물은 개질물에 함유된 올레핀 물질이 방향족 화합물을 떠나면서 포화되는 촉매 증류의 형태로 탄화수소 촉매를 함유하는 수소화 영역 아래의 증류 컬럼 반응기로 수소와 함께 공급된다. 상기의 FCCU 폐 기체와 같은 저급 올레핀만 갖는 조절된 올레핀 함량 기체가 수소화 영역 위에, 그러나 증류 컬럼 반응기의 알킬화 영역 아래에 공급된다. 올레핀이 제거된 경량 개질물은 비등하여 알킬화 촉매를 또한 방향족 화합물이 저급 올레핀에 의해서 알킬화되는 촉매 증류 구조의 형태로 함유하는 알킬화 영역으로 간다. 알킬화 방향족 화합물은 하향 증류하고 결국 증류 컬럼 반응기로부터 바닥물질로서 취해진다. 미반응 물질은 오버헤드로 취해지고 대부분 환류로서 복귀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나프타 및 수소는 제 1 증류 컬럼 반응기의 수소화/증류 영역 아래에 공급된다. 나프타내 수소 대 올레핀의 몰비는 약 10 대 1, 바람직하게는 1.5 대 1이다. 경량 개질물의 올레핀 화합물은 모든 올레핀 물질을 실질적으로 포화시키기 위해서 수소화 촉매의 존재하에 수소와 배합한다. 수소화 영역 내의 조건은 올레핀은 수소화되지만 방향족 화합물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 1 증류 컬럼 반응기는 벤젠을 오버헤드로서 함유하는 C6이하의 경량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탈헥산기로서 작동한다. C7이상의 중량 물질은 바닥물질로서 제거된다. 바닥물질은 가솔린 블렌딩 풀로 통과되거나 벤젠의 추가 생성을 위한 수소첨가 탈알킬화로 보내어질 수 있다.
적어도 약 0.1 psig 내지 70 psig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psia 이하의 유효 수소 분압에서 수소 스트림과 함께 올레핀을 함유하는 탄화수소 스트림이 증류 컬럼 반응기로 공급된다. 매우 낮은 총 압력은 약간의 존재하는 수소화의 최적 결과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우수한 결과를 갖는 50 내지 150 psig의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수소화 반응에 유용한 촉매에는 8족 금속이 포함된다. 주요 촉매 성분으로서 일부 적합한 수소화 촉매, 예를 들면, 원소 주기율표의 8족 금속이 단독으로 또는 촉진제 및 개질제,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나, 내화벽돌, 경석, 탄소, 실리카, 수지 등과 같은 지지체에 침착된 팔라듐/금, 팔라듐/은, 코발트/지르코늄, 백금, 니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금속은 알루미나 지지체 상에 옥사이드로서 침착된다. 지지체는 보통 적은 직경의 압출물 또는 구체이다. 촉매는 촉매 증류 구조의 형태로 제조되어야 한다. 촉매 증류 구조는 촉매 및 질량 전달 매질로서 작용할 수 있어야 한다. 촉매는 적합하게 지지되고 촉매 증류 구조로서 작용하도록 컬럼 내에서 공간배치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촉매는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는 미국 특허 제5,266,546호에 기재된 직조 와이어 메쉬 구조에 함유된다. 이러한 목적에 유용한 기타 촉매 증류 구조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는 미국 특허 제4,731,229호, 제5,073,236호 및 제5,431,890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수소화를 증류에서와 같이 증기 상 및 약간의 액체 상을 함유하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는 촉매 패킹 컬럼에서 수행한다. 증류 컬럼 반응기는 반응 혼합물이 촉매층(비등 조건)에서 비등하도록 하는 압력에서 작동된다.
올레핀 포화를 위한 본 방법은 0 내지 350 psig, 바람직하게는 250 이하, 적합하게는 35 내지 120 psig의 범위의 증류 컬럼 반응기의 오버헤드 압력에서 및 150 내지 230 ℉, 바람직하게는 175 내지 200 ℉, 예를 들면, 175 내지 180 ℉ 범위의 증류 반응 하단 영역의 온도에서 요구되는 수소 분압에서 작동한다. 본원에서 촉매 증류 구조의 촉매 중량당 증류 컬럼 반응으로 들어가는 시간당 공급물의 단위 중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공급물 중량 시간당 공간 속도(WHSV)는 다른 조건 파라미터, 예를 들면, 0.1 내지 35 시간-1내의 매우 광범위한 범위에 걸쳐서 다양할 수 있다.
현 공정에서 온도는 반응기를 반응 혼합물의 부분 증발을 허용하는 주어진 압력에서 작동시킴으로써 조절된다. 따라서, 반응의 발열은 혼합물 증발의 잠열에 의해서 방산된다. 증발부는 오버헤드로서 취해지고 응축성 물질은 응축되어 환류로서 컬럼으로 복귀된다.
하향 유동하는 액체는 증류에서 통상적인 반응기 내 추가 응축을 유발한다. 컬럼내 응축하는 액체의 접촉은 수소를 반응 액체 내에 용해시키기 위한 우수한 물질 전달과 반응 혼합물의 촉매 부위로의 동시 전달을 제공한다. 이러한 응축 양식의 작동이 본 방법의 우수한 전환 및 선택성을 유발하고 더 낮은 수소 분압과 반응기 온도가 주지되게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반응이 촉매 증류로부터 획득될 수 있는 추가의 이득은 내부 환류를 촉매로 제공하고 이로 인해 중합체 형성 및 코킹을 감소시키는 세척 효과이다. 내부 환류는 우수한 결과를 생성하기 위해서 0.2 내지 20 L/D(촉매층 바로 아래의 액체 중량/증류물 중량)에 걸쳐서 다양할 수 있다.
제 2 증류 컬럼 반응기의 바닥물질이 알킬화기의 역할을 하는 제 3 증류 컬럼으로 공급된다. 제 3 증류 컬럼 반응기는 적합한 증류 구조 용기에 함유된 산성 촉매인 상부의 촉매 증류 구조를 함유한다. 제 2 증류 컬럼 반응기로부터의 바닥물질 및 올레핀,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이 촉매층 아래에 공급된다. 또한, 일치환을 향한 높은 선택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임), 올레핀 몰당 벤젠 2 내지 100 몰 범위의 과량의 반응기내 벤젠 대 올레핀이 존재하고, 즉, 비록 시스템이 반응 영역의 상당한 몰 과량의 벤젠 대 올레핀을 유지하기 위해서 작동되지만 벤젠 대 올레핀의 네트 몰 공급물 비는 1:1에 근접할 수 있다. 스트림내 벤젠은 원하는 알킬화 산물 -- 에틸 벤젠 또는 큐멘을 형성시키기 위해서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반응한다. 알킬화 산물은 바닥물질로서 제거되고 미반응 물질은 오버헤드로서 제거된다. 적합한 산성 촉매에는 분자 시이브(몰 시이브)와 양이온 교환 수지가 포함된다.
좀더 상세하게는 몰 시이브 또는 양이온 교환 수지 촉매 패킹은 층을 통한 증기 유동을 허용하기 위한 성질의 것이지만,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는 상기에 주지된 미국 특허 제4,215,011호, 제4,302,356호, 및 제4,443,559호에 기재된 촉매 접촉을 위한 충분한 표면적을 제공한다. 촉매 패킹은 바람직하게는 증류 컬럼 반응기의 상부에 배열되고 좀더 바람직하게는 컬럼의 약 1/3 내지 약 1/2을 점유하고 실질적으로 상부 말단까지 연장된다.
촉매 증류의 성공은 증류와 연관된 원리의 이해에 있다. 첫째, 반응이 증류와 동시에 일어나므로, 초기 반응 산물은 이것이 재빨리 형성되는 대로 반응 영역으로부터 제거된다. 알킬화 산물의 제거는 다치환, 알킬화 산물의 침착, 및/또는 올레핀의 올리고머화를 최소화한다. 둘째, 반응 혼합물이 비등하므로, 반응의 온도는 시스템 압력에서의 혼합물의 비점에 의해서 조절된다. 반응열은 단순히 더 많은 비등을 유발하지만, 온도에 있어 증가는 없다. 셋째, 반응은 반응 산물이 제거되고 역 반응으로 제공될 수 없으므로 증가된 추진력을 지닌다(르 샤틀리에 원리).
결과적으로, 반응 속도 및 산물의 분포에 걸친 다량의 조절이 시스템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처리량을 조절함(체류 시간=액체 시간당 공간 속도)은 산물 분포 및 올레핀 전환도의 추가 조절을 제공한다. 반응기내 온도는 주어진 압력에 존재하는 액체 혼합물의 비점에 의해서 결정된다. 컬럼 하부의 온도는 오버헤드보다 더 높을 컬럼 부분의 물질의 분포를 반영할 것이고; 즉, 일정한 압력에서, 시스템 온도의 변화는 컬럼내 조성물의 변화를 나타낸다. 온도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압력이 변화된다. 따라서, 반응 영역내 온도 조절은 압력에 의해서 조절되고; 압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시스템내 온도는 반대로 증가한다. 또한 일부 증류에서와 같이 촉매 증류에서도 액체 상(내부 환류)과 증기 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따라서, 반응물은 부분적으로 반응을 위한 분자의 더욱 조밀한 응축을 허용하는 액체 상에 존재하고, 반면에 동시 분획화는 산물과 미반응 물질을 분리하고, 액체 상(및 증기 상 시스템)의 이득을 제공하며, 동시에 반응 시스템의 모든 성분을 반응 시스템의 성분의 평형으로의 전환을 제한하는 촉매와 접촉하여 연속적으로 갖는 손실을 피한다.
도 1에 관하여, 단순한 옥탄 개량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증류 컬럼 반응기는 표준 증류 구조, 예를 들면, 패킹 또는 트레이로 채워진 컬럼의 상부 및 하부 1/4이 10으로 묘사되어 있다. 컬럼의 상부 중간부는 12로 표시된 패킹으로서의 알킬화 촉매 증류 구조로 채워진다. 경량 개질 공급물은 라인(2)을 통하여 수소화 촉매 반응 영역(14) 아래의 컬럼으로 공급된다. 수소는 경량 개질물을 갖는 혼합물에 의해서 라인(15)을 통하여 또는 직접(도시되지 않음) 층(14) 아래의 컬럼으로 공급될 수 있다. 포화된 화합물이 실질적으로 전부 제거되고 수소화 영역으로부터 라인(2)으로부터의 올레핀 공급물과의 혼합물로 지나가는 경량 개질물은 본래의 불포화물을 함유하지 않는다. 이는 알킬화 영역의 전체 올레핀이 조절되게 하고 매우 바람직하지 못한 고급 올레핀을 제거한다. FCCU 기체는 라인(1)을 통하여 촉매 반응 영역(12) 아래의 컬럼으로 공급된다. FCCU 기체 중의 올레핀 화합물은 촉매를 더 낮은 증류부로 증류시키는 더욱 고 비점 알킬화 아릴 화합물을 형성시키기 위해서 반응 영역의 경량 개질물내 아릴 화합물과 반응한다. 하향 운반되는 약간의 미반응 경량 개질물 및 FCCU 기체는 추가 반응을 위해 반응 영역으로 되돌려져 비등하고, 반면에 알킬화 산물은 라인(8)을 통하여 컬럼의 하단에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미반응 경량 성분은 라인(5)을 통하여 미반응 경량 개질물이 응축되는 응축기(13)로의 오버헤드로 취해진다. 배합된 미반응 산물(기체 및 개질물)이 기체가 액체 개질물과 분리되도록 하는 라인(4)을 통하여 축적기(11)로 통과된다. 미반응 기체가 라인(3)을 통하여 축적기의 상단을 빠져나가고 라인(6)을 통하여 환류로서 증류 컬럼으로 되돌려 보내지거나 라인(7)을 통하여 알킬화 산물과 재배합될 수 있는 액체 경량 개질물이 빠져 나간다. 원래의 경량 개질물 보다 더 높은 옥탄가 및 더 낮은 비중을 갖는 재배합 산물이 라인(9)을 통하여 저장소로 보내어질 수 있다.
밸브, 재비등기, 슬립 스트림 등과 같은 이러한 통상적인 아이템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러한 장치를 세팅시키는 명백한 수단이다.
도 2에서, 전반적인 공정 체계가 예시된다. 방향족, 올레핀, 및 알칸을 함유하는 C5400 ℉ 나프타 조 유동 라인(101)을 통하여 제 1 증류 컬럼(110)으로 공급된다. 제 1 증류는 H2S 및 경량 부분 오버헤드(102)를 제거하기 위해서 탈황 반응기의 역할을 한다. 라인(104)을 통한 수소는 탄화수소와 함께 동시에 반응기로 공급된다. C5이상의 중량 물질은 라인(107)을 통하여 증류 컬럼(110)으로부터 바닥물질로서 취해지고 촉매 증류 구조로서 제조된 수소화 촉매를 함유하는 증류 반응 영역(132) 아래 증류 컬럼 반응기(130)로 공급하기 위해서 유동 라인(105)내 유동 라인(103)으로부터의 수소와 배합된다. 올레핀, 디올레핀 및 아세틸렌이 포화되고 방향족 화합물은 불포화된 채로 남는다.
C7이상의 중량 탄화수소는 라인(109)을 통하여 탑(130)으로부터 바닥물질로서 취해진다. C5및 C6분획은 과량의 수소가 배출되게 하는 응축기/축적기 (136/137)로 오버헤드(131)로 취해진다. 오버헤드 액체 분획의 일부는 환류로서 컬럼(13)으로 복귀되고 일부는 라인(111)을 통하여 촉매 증류 구조로서 제조된 알킬화 촉매를 함유하는 증류 반응 영역(134) 아래의 탑(140)으로 공급된다. 적절한 올레핀,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이 라인(121)으로 공급된다. 공급물보다 더 높은 비점의 알킬화 산물, 즉 에틸벤젠 또는 큐멘이 라인(119)을 통하여 바닥물질로서 제거된다. 미반응 물질은 라인(135)을 통하여 배출되고 응축기/축적기 (138/139)에서 응축되어 축적되며 일부는 환류로서 컬럼(140)으로 복귀하고 일부는 유동 라인(117)을 통하여 오버헤드로 제거된다. 일부 폴리알킬화 산물, 예를 들면, 디에틸벤젠 또는 디프로필벤젠이 바닥물질로서 제거된다. 폴리알킬레이트는 일치환 산물로부터 분리되고 일치환 산물로의 전환을 위해 반응기로 재순환될 수 있다.
3 개의 컬럼은 모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오버헤드 응축기와 바닥물질 재비등기를 포함한다.

Claims (18)

  1. (a) 아릴 화합물과 불포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량 개질물을 불포화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처리하고,
    (b) 처리된 경량 개질물과 저급 올레핀을 경량 개질물 스트림 중의 아릴 화합물 보다 더 높은 옥탄가와 더 낮은 비중을 갖는 알킬화 아릴 화합물을 함유하는 반응 산물을 형성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일부의 아릴 화합물을 저급 올레핀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알킬화 조건 하에서 방향족 알킬화 영역으로 공급하며,
    (c) 반응 산물을 중량 알킬화 아릴 화합물 분획과 경량 분획을 분리하기 위해서 분획화함을 포함하는 경량 개질물에 함유된 아릴 화합물의 알킬화 방법.
  2. (a) 아릴 화합물과 불포화 화합물을 불포화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처리하고,
    (b) 처리된 경량 개질물과 저급 올레핀을
    (c) 동시에:
    (1) 경량 개질물을 비등시켜 증류 구조로서 제조된 고정층 산성 촉매를 함유하는 증류 반응 영역으로 보내고 이로 인해 아릴 화합물의 적어도 일부를 저급 올레핀 화합물과 촉매 반응시켜 경량 개질물 스트림내 아릴 화합물 보다 더 높은 옥탄가와 더 낮은 비중을 갖는 알킬화 아릴 화합물을 형성시킨 다음;
    (2)생성된 알킬화 아릴 화합물을 미반응 물질로부터 분획화하는 증류 컬럼 반응기로 공급하며,
    (d) 알킬화 아릴 화합물을 증류 컬럼 반응기로부터 반응기 영역 아래의 지점에서 취출한 다음,
    (e) 미반응 물질을 증류 컬럼 반응기로부터 반응기 영역 위의 지점에서 취출함을 포함하는 경량 개질물에 함유된 아릴 화합물의 알킬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불포화 화합물이 경량 개질물을 수소화함으로써 경량 개질물로부터 제거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a) 증류 구조로서 제조된 수소화 촉매를 함유하는 증류 컬럼 반응기로의 불포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량 개질물을 수소화 공급 영역으로 공급하고;
    (b) 수소를 공급 영역으로 공급한 다음,
    (c) 경량 개질물 스트림과 수소를 증류 반응 영역내 수소화 촉매 증류 구조와 접촉시키고 이로 인해 적어도 일부의 불포화 화합물을 포화 화합물을 형성시키기 위해서 촉매 반응시킴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불포화 화합물이 고급 올레핀을 포함하는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미반응 기체를 약간의 미반응 경량 개질물과 분리하고 알킬화 아릴 화합물을 경량 개질물 스트림 보다 더 높은 옥탄가를 갖는 혼합물을 제공하기 위해서 미반응 경량 개질물과 배합시킴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7. (a) (1) 벤젠, 올레핀, 디올레핀, 아세틸렌 및 유기 황 화합물을 포함하는 나프타 스트림과 (2) 수소를 유기 황화합물이 경량 부분과 함께 오버헤드로서 제거되는 H2S로 수소화되고 C5및 더욱 중량 물질이 바닥물질로서 제거되는 제 1 증류 컬럼 반응기로 공급하고,
    (b) 벤젠과 올레핀을 함유하는 바닥물질과 부가 수소를 올레핀, 디올레핀 및 아세틸렌이 알칸으로 수소화되고 C6이하의 경량 물질이 오버헤드로서 취해진 C7이상의 중량 물질로부터 오버헤드로 분리되는 제 2 증류 컬럼 반응기로 공급하며;
    (c) 제 2 오버헤드를 에틸렌과 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올레핀과 함께 벤젠이 올레핀과 반응하여 알킬화 산물을 생성하고 알킬화 산물이 제 3 증류 컬럼 반응기로부터 오버헤드로서 취해진 나머지 C5및 C6물질로부터 제 3 바닥물질로서 분리되는 제 3 증류 컬럼 반응기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량 나프타에 함유된 벤젠의 알킬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올레핀이 에틸렌이고 알킬화 산물이 에틸 벤젠을 포함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올레핀이 프로필이고 알킬화 산물이 큐멘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알킬화 산물이 디에틸 벤젠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알킬화 산물이 디프로필 벤젠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제 1 증류 컬럼 반응기내 수소 분압이 70 psi 이하인 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제 2 증류 컬럼 반응기내 수소 분압이 70 psi 이하인 방법.
  14. 제 7 항에 있어서, 제 3 증류 컬럼 반응기내 벤젠 대 올레핀의 몰비가 약 20:1인 방법.
  15. 제 8 항에 있어서, 제 3 바닥물질 스트림이 실질적으로 순수한 에틸 벤젠인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제 3 바닥물질 스트림이 실질적으로 순수한 큐멘인 방법.
  17. (a) (1) 벤젠, 올레핀, 디올레핀, 아세틸렌 및 유기 황 화합물을 포함하는 나프타 스트림과 (2) 수소를 유기 황화합물이 경량 부분과 함께 오버헤드로서 제거되는 H2S로 수소화되고 C5및 더욱 중량 물질이 바닥물질로서 제거되는 제 1 증류 컬럼 반응기로 공급하고,
    (b) 벤젠과 올레핀을 함유하는 바닥물질과 부가 수소를 올레핀, 디올레핀 및 아세틸렌이 알칸으로 수소화되고 C6이하의 경량 물질이 오버헤드로서 취해진 C7이상의 중량 물질로부터 오버헤드로 분리되는 제 2 증류 컬럼 반응기로 공급하며;
    (c) 제 2 오버헤드를 프로필렌과 함께 벤젠이 프로필렌과 반응하여 큐멘을 생성하고 큐멘이 제 3 증류 컬럼 반응기로부터 오버헤드로서 취해진 나머지 C5및 C6물질로부터 제 3 바닥물질로서 분리되는 제 3 증류 컬럼 반응기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큐멘의 생성방법.
  18. (a) (1) 벤젠, 올레핀, 디올레핀, 아세틸렌 및 유기 황 화합물을 포함하는 나프타 스트림과 (2) 수소를 유기 황화합물이 경량 부분과 함께 오버헤드로서 제거되는 H2S로 수소화되고 C5및 더욱 중량 물질이 바닥물질로서 제거되는 제 1 증류 컬럼 반응기로 공급하고,
    (b) 벤젠과 올레핀을 함유하는 바닥물질과 부가 수소를 올레핀, 디올레핀 및 아세틸렌이 알칸으로 수소화되고 C6이하의 경량 물질이 오버헤드로서 취해진 C7및 더욱 중량 물질로부터 오버헤드로 분리되는 제 2 증류 컬럼 반응기로 공급하며;
    (c) 제 2 오버헤드를 에틸렌과 함께 벤젠이 에틸렌과 반응하여 에틸 벤젠을 생성하고 에틸 벤젠 산물이 제 3 증류 컬럼 반응기로부터 오버헤드로서 취해진 나머지 C6물질로부터 제 3 바닥물질로서 분리되는 제 3 증류 컬럼 반응기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틸 벤젠의 생성방법.
KR1019997010403A 1997-05-12 1998-03-19 벤젠의 알킬화 방법 KR200100124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854,731 1997-05-12
US08/854,731 US5894076A (en) 1997-05-12 1997-05-12 Process for alkylation of benze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2449A true KR20010012449A (ko) 2001-02-15

Family

ID=25319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403A KR20010012449A (ko) 1997-05-12 1998-03-19 벤젠의 알킬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5894076A (ko)
EP (2) EP1369465B1 (ko)
JP (1) JP2001525007A (ko)
KR (1) KR20010012449A (ko)
AU (1) AU6573898A (ko)
CA (1) CA2289640C (ko)
DE (1) DE69836155T2 (ko)
ES (1) ES2271424T3 (ko)
WO (1) WO19980516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7314B2 (en) 2007-02-12 2010-06-1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duction of high purity ethylbenzene from non-extracted feed and non-extracted reformate useful therei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86829C1 (ru) * 2001-08-02 2002-08-10 Фалькевич Генрих Семенович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ысокооктанового бензин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варианты)
US6783659B2 (en) 2001-11-16 2004-08-31 Chevron Phillips Chemical Company, L.P. Process to produce a dilute ethylene stream and a dilute propylene stream
US6642425B2 (en) * 2002-03-05 2003-11-04 Sasol North America Inc. Reactive distillation process for the alkylation of aromatic hydrocarbons
US20050035026A1 (en) * 2003-08-14 2005-02-17 Conocophillips Company Catalytic distillation hydroprocessing
US7431827B2 (en) * 2004-10-27 2008-10-07 Catalytic Distillation Technologies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low sulfur, low olefin gasoline
US7348465B2 (en) * 2005-02-08 2008-03-25 Shell Oil Company Selective alkylation of aromatic hydrocarbons
US20060183952A1 (en) * 2005-02-16 2006-08-17 Catalytic Distillation Technologies Process for the removal of benzene from gasoline streams
US20060194991A1 (en) * 2005-02-25 2006-08-31 Fina Technology, Inc. Treatment of alkylation catalyst poisons
US8258360B2 (en) * 2005-03-31 2012-09-04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ultiphase alkylaromatics production
US20060247479A1 (en) * 2005-04-29 2006-11-02 Nova Chemicals Inc. Ethyl benzene from refinery grade feedstocks
US7632974B2 (en) * 2006-07-19 2009-12-15 Lammus Technology Inc. Alkylation process for increased conversion and reduced catalyst use
CN101679882B (zh) * 2007-02-09 2013-09-11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改进的烷基芳族化合物的制备方法
US7683228B2 (en) * 2007-02-12 2010-03-23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duction of high purity cumene from non-extracted feed and hydrocarbon composition useful therein
EP2223987A1 (en) * 2009-02-17 2010-09-01 ISP Marl GmbH Purification of an aromatic fraction containing acetylenes by selective hydrogenation of the acetylenes
US8895793B2 (en) 2010-06-11 2014-11-25 Uop Llc Process for the reduction of gasoline benzene content by alkylation with dilute ethylene
US8414851B2 (en) 2010-06-11 2013-04-09 Uop Llc Apparatus for the reduction of gasoline benzene content by alkylation with dilute ethylene
IN2013MU01456A (ko) 2013-04-19 2015-04-17 Reliance Ind Ltd
CN109173310A (zh) * 2018-08-29 2019-01-11 张家港市科华化工装备制造有限公司 甲缩醛精馏塔
CN114436736B (zh) * 2020-10-19 2024-01-26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用于重芳烃转化的催化反应系统和催化重芳烃转化的方法
CN113384910B (zh) * 2021-07-19 2022-04-22 南京工程学院 一种与热泵相结合的多效异丙苯反应精馏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71163A (en) * 1945-03-13 Manufacture of aromatic compounds
NL133842C (ko) * 1961-12-08
GB1080586A (en) * 1964-04-23 1967-08-23 Mitsubishi Petrochemical Co Process for producing high purity benzene
US3969222A (en) * 1974-02-15 1976-07-13 Universal Oil Products Company Hydrogenation and hydrodesulfurization of hydrocarbon distillate with a catalytic composite
US4316997A (en) * 1976-02-23 1982-02-23 Varen Technology Alkylation process and apparatus useful therein
US4209383A (en) * 1977-11-03 1980-06-24 Uop Inc. Low benzene content gasoline producing process
US4232177A (en) * 1979-02-21 1980-11-04 Chemical Research & Licensing Company Catalytic distillation process
US4469908A (en) * 1978-12-14 1984-09-04 Mobil Oil Corporation Alkylation of aromatic hydrocarbons
US4423254A (en) * 1980-03-14 1983-12-27 Pcuk Produits Chimiques Ugine Kuhlmann Superacid catalyzed preparation of resorcinol from meta-isopropylphenol
US4371714A (en) * 1980-12-30 1983-02-01 Mobil Oil Corporation Preparation of 4-alkylanisoles and phenols
US4849569A (en) * 1987-11-16 1989-07-18 Chemical Research & Licensing Company Alkylation of organic aromatic compounds
US5082990A (en) * 1988-10-28 1992-01-21 Chevron Research And Technology Company Alkylation of aromatics-containing refinery streams
US4975179A (en) * 1989-08-24 1990-12-04 Mobil Oil Corporation Production of aromatics-rich gasoline with low benzene content
US5476978A (en) * 1989-09-05 1995-12-19 Chemical Research & Licensing Company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ethyl benzene
CA2033250C (en) * 1990-01-16 1998-08-18 Lawrence A. Smith, Jr. Octane improvement process
US5210348A (en) * 1991-05-23 1993-05-11 Chevron Research And Technology Company Process to remove benzene from refinery streams
US5414172A (en) * 1993-03-08 1995-05-09 Mobil Oil Corporation Naphtha upgrading
AU1699495A (en) * 1994-02-18 1995-09-04 Chevron U.S.A. Inc. Zeolite ssz-42
US5446223A (en) * 1994-05-23 1995-08-29 Chemical Research & Licensing Company Alkylation of organic aromatic compounds
ES2214544T3 (es) * 1995-07-10 2004-09-16 CHEMICAL RESEARCH & LICENSING COMPANY Procedimiento de hidrodesulfuracion.
US5595634A (en) * 1995-07-10 1997-01-21 Chemical Research & Licensing Company Process for selective hydrogenation of highly unsaturated compounds and isomerization of olefins in hydrocarbon streams
US5597476A (en) * 1995-08-28 1997-01-28 Chemical Research & Licensing Company Gasoline desulfurization process
JP4275739B2 (ja) * 1996-09-06 2009-06-10 エクソンモービル・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ゼオライトβを用いるアルキル化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7314B2 (en) 2007-02-12 2010-06-1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duction of high purity ethylbenzene from non-extracted feed and non-extracted reformate useful therein
US7868219B2 (en) 2007-02-12 2011-01-11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duction of high purity ethylbenzene from non-extracted feed and non-extracted reformate useful ther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36155D1 (de) 2006-11-23
US6002058A (en) 1999-12-14
DE69836155T2 (de) 2007-08-30
EP1369465A3 (en) 2004-01-14
CA2289640C (en) 2008-01-22
EP0988264A1 (en) 2000-03-29
US5894076A (en) 1999-04-13
JP2001525007A (ja) 2001-12-04
EP1369465B1 (en) 2006-10-11
CA2289640A1 (en) 1998-11-19
WO1998051648A1 (en) 1998-11-19
EP1369465A2 (en) 2003-12-10
AU6573898A (en) 1998-12-08
EP0988264A4 (en) 2002-10-16
ES2271424T3 (es) 2007-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4076A (en) Process for alkylation of benzene
AU743095B2 (en) Alkylation process using zeolite beta
CN1726271B (zh) 制备芳族物质的综合方法
KR100457472B1 (ko) 수소가분배되는반응영역을가진촉매증류영역을포함하는장치
CN100579943C (zh) 烯烃复分解反应
US9315741B2 (en) Process for ultra low benzene reformate using catalytic distillation
CZ297855B6 (cs) Zpusob selektivní hydrogenace vysoce nenasycenýchsloucenin
US8143466B2 (en) Process for benzene removal from gasoline
US20060183952A1 (en) Process for the removal of benzene from gasoline streams
WO2000043467A1 (en) Integrated pyrolysis gasoline treatment process
US8471082B2 (en) Process for converting methane to ethylene
US5756872A (en)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FCCU off gas
US5866736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lkyl benzene
US8395002B2 (en) Use of catalytic distillation for benzene separation and purification
WO2003062178A1 (en) Process for the utilization of refinery c4 streams
CN101578250A (zh) 无回流反应器气提器
US5554275A (en) Catalytic hydrodesulfurization and stripping of hydrocarbon liquid
CA2033250C (en) Octane improvement process
MXPA99010359A (es) Proceso para la alquilacion de benceno
EP0158503B1 (en) High selectivity process for dehydrogenation of paraffinic hydrocarbons
WO2021216576A1 (en) On-purpose propylene production from butenes
KR20010037949A (ko) 고순도 디아릴에탄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