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2252A - 스커트 또는 바지의 허리띠 폭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스커트 또는 바지의 허리띠 폭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2252A
KR20010012252A KR1019997010203A KR19997010203A KR20010012252A KR 20010012252 A KR20010012252 A KR 20010012252A KR 1019997010203 A KR1019997010203 A KR 1019997010203A KR 19997010203 A KR19997010203 A KR 19997010203A KR 20010012252 A KR20010012252 A KR 20010012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waistband
rims
width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0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휘브너토마스
Original Assignee
휘브너 토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휘브너 토마스 filed Critical 휘브너 토마스
Publication of KR20010012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225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07Belt loo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0Buckles
    • Y10T24/4088One-piece
    • Y10T24/4091Hook attach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0Buckles
    • Y10T24/4088One-piece
    • Y10T24/4093Looped stra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4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44641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having gripping member formed from, biased by, or mounted on resilient member
    • Y10T24/44769Opposed engaging faces on gripping member formed from single piece of resilient material

Landscapes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Buckles (AREA)
  • Outerwear In General, And Traditional Japanese Garment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커트 또는 바지의 허리띠 폭을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허리띠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허리띠(10)로 슬라이드하는 U 형상의 클립을 갖는다. 상기 클립은 두개의 림(1,2)으로 구성된다. 상기 림은 상측에 연결되어 상호 개략 평행하게 진행한다. 허리띠(10)는 주름으로 설치되며, 상기 주름은 클립을 지나는 상기 허리띠(10)에 의하여 개략 평행하게 클립의 하나의 림(1)에 먼저 형성된다. 허리띠는 클립의 두 림(1,2) 사이에서, 대향 방향으로 되돌아가기 전에 상기 제 1 림을 돌아 다른 림(2)을 감는다. 이는 최종 반대 방향으로 안내되기 전에 상기 제 2 림을 감는다. 클립의 각 측부에는 또한 수직으로 전개하는 아암(3,4)이 설치된다. 상기 아암은 클립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면 가까이에 형성되어, 클립에서 멀리 떨어져 면하는 쪽에의 주름의 각 외측면(1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커트 또는 바지의 허리띠 폭 조정장치{Device for adjusting the width of the waistband of a skirt or a pair of trousers}
이런 장치는 예를 들어, 독일특허 제 221,474 호에 알려져 있다. 이 특허에는, 클립의 림을 거쳐 주름에 가이드 되며 클램프에 의해 의복 안쪽에 고정되는 허리띠를 공개하고 있다. 이는 클립을 의복에 부착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허리띠의 폭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의 단점은 클램프된 주름이 바지 또는 스커트를 입는 사람의 움직임에 의해 더 이동되거나 또는 허리띠가 고정지점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떨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클램프는 허리띠 안쪽에 완전히 위치하고 있어서 보기싫게 튀어 나올 수 있다.
또한, 허리띠의 주름은 외부로 보여지므로 외양에 있어 별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클립이 의복에 붙여지기 때문에 다양한 바지 또는 스커트로 이용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커트 또는 바지의 허리띠 폭을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허리띠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허리띠로 슬라이딩하는 U 형상의 클립을 갖는다. 상기 클립은 두개의 림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림은 상측에 상호 연결되며, 다른 부위를 잡기 위하여 거의 평행하게 진행된다. 허리띠는 주름에 배열된다.
이하 4 개의 도면은 본 발명의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 은 단순한 클립의 도시도.
도 2 는 허리띠 주름를 갖는 클립을 지나는 수평 단면도,
도 3 은 허리띠에의 홀더와 함께 두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클립의 파단 사시도, 그리고
도 4 는 다소 다른 허리띠 배열을 하는 유사 클립의 사시도.
이를 감안한 본 발명은, 고정 없이 기능을 하는 이런 개략적인 개념으로, 허리띠 안쪽의 불거져 나옴이 없고 바지 및 스커트에 변화를 줄수 있으며, 필요시 솟아오르는 주름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허리띠가 클립을 지나도록 특히 그에 평행하게 클립의 하나의 림 첫번째를 지나가게 주름을 형성한다. 허리띠는, 클립의 두개의 림 사이의 다른 림의 반대 방향으로 역으로 가기 전에 상기 첫번째 림에 고리로 맨다. 이는 반대 방향 뒤로 최종 안내되기 전에 상기한 제 2 림을 맨다.
클립의 각 내측은 또한, 수직으로 신장하는 아암을 갖추고 있다. 상기한 아암은 클립에 의해 이루어지는 평면 근처에 설치되며, 클립에서 떨어져 마주하는 쪽 주름 각 측면에 고정된다.
클립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면의 위치는 주로 클립의 형상에 의한다. 예를 들어 만약 클립의 림이 수직으로 신장하는 핀일 경우, U 형상이 누워 있는 면이다. 이에 대하여 만약 림이 U로 이루어지는 면에 수직으로 배열되는 플레이트에 수직할 경우, 클립에 의해 이루어지는 면은 플레이트에 평행하게 전개된다. 주름의 외측면은, 허리띠가 클립의 림에서 그리고 클립의 외측에서 일정하게 벗어나는, 편들이다. 어떤 경우엔, 허리띠가 클립에서 벗어나 클립에 의해 이루어지는 평면에 거의 평행하게, 조각들에 배열되도록 클립을 고정하여야 한다.
클립은 허리띠에 고정되어, 하나의 림은 안쪽에 다른 림은 바깥쪽에 위치한다. 그러면 허리띠를 수직축 주위를 감아 허리띠가 상기한 주름의 형상에 배열된다. 클립이 되돌아 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허리띠와 함께 고정하여야 한다. 클립은 고정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단지 아암의 하나가 허리띠와 허리 사이의 허리띠 안쪽에 놓여야 한다. 결국 아암은, 특히 클립과 분리되어 있는 요소에 일체로 몰드 또는 설치되는 클립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아암은 버클의 두 림의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림은 바깥쪽 측면을 둘러싸고, 다른 림은 필요시, 클립 또는 허리띠 편에 고정된다. 두개의 아암은 또한 예를 들어, 만약 클립의 상측에서 아래로 향하는 아암과 같이, 두개의 외측 면들을 둘러싼다면 하나의 단일 버클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것은, 클립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면의 양측상의 주름을 포함한, 두개의 아암을 가지며 클립을 둘러싸는 홀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름의 외측면은 홀더의 대향면 바깥쪽으로 가이드된다. 홀더의 형상은 주름 내측과 함께 클립을 수직축 주위를 회전할 수 없게 형성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홀더는 클립면에 가장 가까운 외측면을 잡을 뿐만 아니라 특히 눈에 띄이지 않게 클립과 허리띠 주름을 덮을 것이다.
따라서, 홀더의 외측 표면을 시각적으로 디자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를 상기 상태에서 클립으로 슬라이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폭을 가변 조절 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두개 이상의 림이 또한 클립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림의 다른 쌍은 클립의 다른 평면을 구성할 수 있다. 소정의 길이를 짧게하는 것에 따라 대응 림이 선택되고 클립은 그에 따라 비틀어지게 된다. 만약 필요할 경우엔 허리띠는 클립의 두개의 림 이상 감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만약 여러개의 림이 개략 하나의 평면에 놓일 경우, 특히 더 잘 입을 수 있다. 허리띠에 수직한 클립의 연장은 상대적으로 작아 본 장치는 부피가 작다.
그러나 림을 두개의 평면 상에 배열하여 상호 평행하게 신장토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서 U 형상의 클립은 플레이트에 수직으로 된다. 허리띠는 하나의 플레이트의 외측상에 먼저 가고 그리고 이 플레이트의 림 주위를 감고 그리고 플레이트 사이의 내측 공간 속으로 가이드되어, 여기서 반대 방향을 따라 가, 그 다음엔 다른 플레이트의 림을 돌아 감아 마지막으로 다른 플레이트를 따라 반대 방향으로 가이드 된다. 허리띠는 플레이트의 측면 한계를 돌수 있게 하기 위하여 플레이트의 측면 한계선은 가능한 수직으로 신장되어야 한다. 하나의 플레이트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림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수직한 슬롯에 의해 상호 각각 간격져 떨어져 있게 된다. 짧게하기 위하여는 클립을 허리띠에 위치시켜 허리띠가 두개의 플레이트에 의해 수직한 축 주위를 약 180 도 둘러싸 틀어지도록 한다.
허리띠는 또한 만약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가 복수의 림을 포함할 경우 가변적으로 짧어지게만 할 수 있다. 비교적 허리띠를 크게 줄이는 것은, 그들의 전체 길이를 가로 질러 플레이트를 따라 안내될 경우 가능하게 된다. 더 작게 줄이고자 할 경우엔, 허리띠가 플레이트의 외측 주위 대신 플레이트의 슬롯을 지나 안내될 경우 가능하다. 클립은 여기에 고정되어 허리띠가 두개의 플레이트 사이의 편을 지나고 슬롯을 지나 하나의 슬라이드 상의 내측 공간 바깥으로 가이드 된다. 대응 방향으로 수직 축 주위를 약 180 도 감은 후, 소망의 결과를 얻는다. 반대 방향으로의 180 도 돌리는 것은 허리띠의 치수를 매우 짧게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양 플레이트를 세분하여 클립을 한층 더 가볍게 하는 것이다. 가능한 림은 플레이트에 등거리로 배열하여, 허리띠를 어떤 위치와 관련하여 동일 거리 간격으로 신축할 수 있게 하여 다루기 용이하게 한다. 만약 모든 림이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면 클립을 최소의 수직한 길이로 만들 수 있다.
두개의 플레이트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클립은 홀더를 거쳐 상기한 방법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홀더는 상측과 연결되는 셀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주름을 포함한 허리띠의 클립이 홀더 안쪽의 여분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바깥면 사이의 안쪽 간격이, 허리띠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플레이트의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로 질러, 플레이트에 수직한 클립의 길이에 플레이트의 내측에 놓이는 허리띠의 두배 두께를 더한 길이보다 더 커야 한다. 허리띠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홀더 길이는 바깥면이 상호 거의 평행하게 놓일 경우, 더 작을 수 있다. 클립을 홀더 안쪽에 고정하기 위하여 플레이트 사이의 안쪽 간격은 수평 절단면에서 플레이트 사이의 대각선 보다 작아야 한다. 즉 그리하여 허리띠 길이를 단단히 고정하지 않더라도 클립이 홀더로 돌려지지 않게 될 수 있다. 두개의 표면 외측 모서리 사이엔 허리띠가 바깥쪽으로 가이드 되는 개략 수직한 각각의 슬롯형 개구가 있어야 한다.
홀더가 허리띠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특히 이로 인해 몇 단계에의 클립이 더 이상 홀더에 의해 둘러싸지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쪽으로 향하는 쉘면 사이의 거리는 최소한 단면 방향으로 줄어들어야 한다. 이를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는 개구의 폭을 두 플레이트의 외측 사이 거리 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홀더는 또한 허리띠 두께와 무관하게 클립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더 이상 미끄러지지 않는다.
홀더는 만약 허리띠 안쪽에 위치하는 쉘면이 거의 판 형상인 것이 가장 입기에 좋다. 그리고 쉘면 두께가 작고 부피가 적다.
만약 허리띠의 주름이 홀더에 의해 덮혀지면 본 발명의 가시적 효과가 더 좋다. 이를 위하여, 홀더의 바깥 쉘면을 길게 하여 클립 보다 허리띠 아래로 더 내려오게 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결국, 이 쉘면은 클립 보다 더 큰 수직 길이를 가져야 한다.
본 발명 장치를 가장 최적으로 편안하게 입기 위하여는 허리띠에 수직한 클립의 길이가 가능한 작아야 한다. 이는 두 플레이트의 외측 사이의 거리가 허리띠 길이 방향으로 플레이트의 길이 보다 훨신 더 작게 즉, 클립이 허리띠 방향으로 길게한 디자인을 갖도록 하면, 허리띠를 가능한 최대로 짧게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플레이트의 외측면 사이의 거리가 허리띠 방향으로 반 길이 보다 작게 하는 것이다.
도 1 은 상측을 거쳐 상호 연결되는 두개의 림(1,2)으로 이루어지는 단일 클립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허리띠(10)에의 이런 클립을 수평 단면상 배열을 보여 주고 있다. 허리띠(10)는 두개의 림(1,2)을 둘러 S 형으로 안내된다. 허리띠(10) 주름 바깥쪽 측면은 아암(3,4)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파단면으로 보여준다. 클립의 림(2,5)은 전체 2개의 플레이트(11)를 형성한다. 플레이트(11)의 림(2,5) 사이에는 슬롯(8)이 있으며 이는 사용되지는 않는다. 허리띠(10)는 먼저 하나의 플레이트(11)의 외측을 따라 신장하고, 그리고 플레이트(11,14) 사이에서 마지막으로 다른 플레이트(14)의 외측을 따라 신장한다. 두개의 표면(6,7)을 포함하는 홀더(12)는 클립 상에 가이드 된다. 허리띠(10) 안쪽에 위치하는 표면(6)은 플레이트(판)로 구현되었다. 두개의 쉘면(6,7)은 상측에 상호 연결되며, 상호 개구(9) 방향으로 향한다.
도 4 는 도 3 과 유사한 측면도로 클립과 허리띠(10) 편이 그 주위에 놓인다. 허리띠(10)는 단지 여기에서만 슬롯(8)을 통해 안내된다. 따라서 허리띠를 줄이면 더 작아진다. 홀더는 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허리띠 안쪽의 불거져 나옴이 없고 바지 및 스커트에 변화를 줄수 있으며, 필요시 솟아오르는 주름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한다.

Claims (20)

  1. 스커트 또는 바지의 허리띠 폭을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허리띠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허리띠(10)로 슬라이드하는 U 형상의 클립을 가지며, 상기 클립은 두개의 림(1,2)으로 구성되고 상측에 연결되어 상호 개략 평행하게 진행하며, 허리띠(10)는 주름으로 설치되며, 상기 주름은 클립을 지나는 상기 허리띠(10)에 의하여 개략 평행하게 클립의 하나의 림(1)에 먼저 형성되며, 허리띠는 클립의 두 림(1,2) 사이에서, 대향 방향으로 되돌아가기 전에 상기 제 1 림을 돌아 다른 림(2)을 감으며, 최종 반대 방향으로 안내되기 전에 상기 제 2 림을 감으며, 클립의 각 측부에는 또한 수직으로 전개하는 아암(3,4)이 설치되며, 상기 아암은 클립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면 가까이에 형성되어, 클립에서 멀리 떨어져 면하는 쪽에의 주름의 각 외측면(1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커트 또는 바지의 허리띠 폭 조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아암(3,4)은 상기 클립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커트 또는 바지의 허리띠 폭 조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아암(3,4)은 버클의 두 림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커트 또는 바지의 허리띠 폭 조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두 아암(3,4)은 버클의 림이며, 버클은 클립의 구역에서 주름의 두 외측면(13)을 둘러 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커트 또는 바지의 허리띠 폭 조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두 아암(3,4)은 클립에 의하여 형성되는 면의 양측에의 주름을 포함하는 전체 클립을 둘러싸는 홀더(12)에 의하여 형성되며, 주름의 외측면(13)은 개구(9)를 지나 대향측 홀더(12) 밖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커트 또는 바지의 허리띠 폭 조정장치
  6. 상기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클립은 적어도 3 개의 림(1,2,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커트 또는 바지의 허리띠 폭 조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클립의 적어도 3 개의 림(1,2,5)이 하나의 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커트 또는 바지의 허리띠 폭 조정장치
  8. 상기 항 들 중 한 항에 있어서, 클립의 적어도 두 림(1,2,5)이 설치되어, 상호 평행한 그리고 거의 수직으로 신장하는 측 한계선을 갖는 전체 2 개의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커트 또는 바지의 허리띠 폭 조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허리띠가 감는 상기 클립의 두 림(1,2)은 다른 플레이트(11,14)에 속하며, 상기 허리띠(10)는 상기 림(1,2) 사이 플레이트(11,14)의 내측 공간으로 안내되며, 주름의 외측면(13)은 각각 플레이트(11,14)의 외측으로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커트 또는 바지의 허리띠 폭 조정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11,14)는 단일 림(1,2)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커트 또는 바지의 허리띠 폭 조정장치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11,14)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슬롯(8)에 의하여 여러 림(2,5)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허리띠(10)는 림(1,2)을 감는 영역에서 하나의 슬롯(8)을 통하여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커트 또는 바지의 허리띠 폭 조정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두 플레이트(11,14)는 각각 여러 림(1,2,5)으로 나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커트 또는 바지의 허리띠 폭 조정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림(1,2,5)은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11,14)에 동일한 거리로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커트 또는 바지의 허리띠 폭 조정장치
  14. 제 8 항 내지 제 13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클립의 모든 림(1,2,5)은 동일한 수직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커트 또는 바지의 허리띠 폭 조정장치
  15. 제 8 항 내지 제 14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홀더(12)는 상측에 연결되는 두개의 쉘면(6,7)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쉘면은 허리띠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플레이트(11,14)의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를 가로질러, 플레이트(11,14) 외면과 두 주름 허리띠 두께 사이의 거리 보다 더 크고 플레이트 사이의 수평 대각선 보다는 작은 안쪽 거리부와 함께 플레이트(11,14) 및 상호에 거의 평행하게 놓이며, 개구(9)는 두개의 쉘면(6,7) 측 모서리 사이에서 각각 신장하여 술롯 형상으로 거의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커트 또는 바지의 허리띠 폭 조정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개구(9) 쪽으로의 쉘면(6,7) 사이의 거리는 적어도 단면 방향으로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커트 또는 바지의 허리띠 폭 조정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개구(9)의 폭은 두 플레이트(11)의 외측 사이 거리 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커트 또는 바지의 허리띠 폭 조정장치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허리띠 안쪽에 위치하는 쉘면(6)은 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커트 또는 바지의 허리띠 폭 조정장치
  19. 제 15 항 내지 제 18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허리띠 바깥쪽에 위치하는 쉘면(7)의 수직한 길이는 상기 클립의 수직 길이 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스커트 또는 바지의 허리띠 폭 조정장치
  20. 제 8 항 내지 제 19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두 플레이트(11,14)의 외측 사이의 거리는 허리띠(10)의 길이 방향으로 플레이트(11,14)의 길이 보다 작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이 길이의 반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커트 또는 바지의 허리띠 폭 조정장치
KR1019997010203A 1997-05-27 1998-05-27 스커트 또는 바지의 허리띠 폭 조정장치 KR200100122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709261U DE29709261U1 (de) 1997-05-27 1997-05-27 Hosenbundhalter
DE29709261.8 1997-05-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2252A true KR20010012252A (ko) 2001-02-15

Family

ID=8040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203A KR20010012252A (ko) 1997-05-27 1998-05-27 스커트 또는 바지의 허리띠 폭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305056B1 (ko)
EP (1) EP0986317B1 (ko)
JP (1) JP2001526743A (ko)
KR (1) KR20010012252A (ko)
CN (1) CN1258202A (ko)
AT (1) ATE211623T1 (ko)
AU (1) AU745085B2 (ko)
CA (1) CA2288176A1 (ko)
DE (3) DE29709261U1 (ko)
DK (1) DK0986317T3 (ko)
ES (1) ES2171035T3 (ko)
PT (1) PT986317E (ko)
WO (1) WO19980537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905B1 (ko) * 2002-01-30 2007-08-28 온요네가부시끼가이샤 투피스 또는 원피스로 사용 가능한 의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709261U1 (de) * 1997-05-27 1997-07-31 Huebner Thomas Hosenbundhalter
US6474068B1 (en) * 2002-01-18 2002-11-05 Daimlerchrysl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the output members of multiple power sources
US20040154141A1 (en) * 2002-08-05 2004-08-12 Ray Barnes Barnes & Barnes neck reliever
AU2004228046B2 (en) 2003-04-03 2009-02-05 Cook Incorporated Branch stent graft deployment and method
US9750293B1 (en) 2012-02-06 2017-09-05 Harold C. Lang Waistband tightening device and method
AT525656B1 (de) * 2023-01-10 2023-06-15 Ursula Duerr Vorrichtung zum verkürzen einer randkante von textilien
PL68679Y1 (pl) * 2014-03-12 2016-11-30 Nfm Production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Szlufka prowadząca
JP6371935B2 (ja) * 2014-07-31 2018-08-08 渡辺 秀夫 ウエストサイズ調節具
US20160262479A1 (en) * 2015-03-11 2016-09-15 Peach CARR Bra strap clip and method of use
US9943126B2 (en) * 2015-03-13 2018-04-17 Nike, Inc. Waistband for article of apparel featuring cord and embroidery tunnel
US10111502B2 (en) * 2016-04-06 2018-10-30 Robin Darnell Hough Circumference or length decreasing device
CN107752146A (zh) * 2017-10-25 2018-03-06 上海理工大学 辅助卷小裤脚的装置
DE102017010967B3 (de) * 2017-11-27 2019-02-14 Mike Lungwitz Einrichtung zur partiellen Verkürzung der Länge flexibler Flächen in deren Randbereich
US11540573B1 (en) 2021-02-05 2023-01-03 Lateshia L. Brown Waistband clip
AT17974U1 (de) 2022-09-16 2023-09-15 Ackerl Msc Stefanie Klemme sowie Verfahren zum Verringern der Weite eines Bundes eines Kleidungsstück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57005A (en) * 1935-05-16 1936-11-16 John Peter Boiardi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lides or buckles
US2229003A (en) * 1939-08-26 1941-01-14 George H Reinberger Adjuster for garment straps and the like
US2849773A (en) * 1957-01-25 1958-09-02 Bruno E Kaselow Waistband tightening device
KR850000778A (ko) * 1983-06-08 1985-03-09 원본미기재 거품반도체 도판트 캐리어 및 그 제조방법
WO1998053716A1 (de) * 1997-05-27 1998-12-03 Huebner Thomas Vorrichtung zum verstellen der weite eines rock- oder hosenbund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100919A (de) 1922-06-24 1923-08-16 Ehrensperger Jakob Hosenklammer für Velofahrer.
US2984879A (en) * 1959-02-19 1961-05-23 Marshall M Budd Strap retaining device for undergarment
US5566427A (en) * 1994-04-13 1996-10-22 Lathrop; Kim N. Strap clip and retainer
US5600875A (en) * 1995-09-05 1997-02-11 Chang; Chung-Hsin Buckle device for tightening strap
DE29515386U1 (de) 1995-09-26 1996-01-11 Rometsch Herbert Schließbarer Riemen aus einem Band und einer Schließ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57005A (en) * 1935-05-16 1936-11-16 John Peter Boiardi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lides or buckles
US2229003A (en) * 1939-08-26 1941-01-14 George H Reinberger Adjuster for garment straps and the like
US2849773A (en) * 1957-01-25 1958-09-02 Bruno E Kaselow Waistband tightening device
KR850000778A (ko) * 1983-06-08 1985-03-09 원본미기재 거품반도체 도판트 캐리어 및 그 제조방법
WO1998053716A1 (de) * 1997-05-27 1998-12-03 Huebner Thomas Vorrichtung zum verstellen der weite eines rock- oder hosenbund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905B1 (ko) * 2002-01-30 2007-08-28 온요네가부시끼가이샤 투피스 또는 원피스로 사용 가능한 의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9709261U1 (de) 1997-07-31
ATE211623T1 (de) 2002-01-15
DK0986317T3 (da) 2002-04-29
ES2171035T3 (es) 2002-08-16
WO1998053716A1 (de) 1998-12-03
JP2001526743A (ja) 2001-12-18
CA2288176A1 (en) 1998-12-03
DE19880672D2 (de) 2000-05-11
AU745085B2 (en) 2002-03-14
EP0986317A1 (de) 2000-03-22
CN1258202A (zh) 2000-06-28
AU8431898A (en) 1998-12-30
PT986317E (pt) 2002-05-31
US6305056B1 (en) 2001-10-23
EP0986317B1 (de) 2002-01-09
DE59802838D1 (de) 200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12252A (ko) 스커트 또는 바지의 허리띠 폭 조정장치
KR940004711Y1 (ko) 흘러내림 방지 수단을 구비한 바지
US2583992A (en) Trouser waistband construction
KR950030889A (ko) 바지 등의 웨이스트 신축(伸縮)구조
US4069514A (en) Beltless slacks
TR25543A (tr) Özellikle pantolon etek veya benzeri icin kemer kenedi
US2722011A (en) Maternity slip
SE9700385D0 (sv) Sikt med överlappande långsträckta siktdukselement
RU95122239A (ru) Тканевые непромокаемые штанишки для детей, размер которых можно изменять
US6073270A (en) Pants garment
KR20000005967U (ko) 바지의 허리밴드구조
KR200342596Y1 (ko) 바지의 숨김형 허리사이즈 조절구조
US5063643A (en) Apparel belt retaining device
KR960002932Y1 (ko) 혁 대
US3181214A (en) Lingerie strap retainer
US3059240A (en) Garment with attached belt
KR950013091U (ko) 벨트의 내외측 위치변경과 미세조절 기능을 갖는 버클
AU737872B1 (en) Waistband arrangement
KR200192231Y1 (ko) 팬티의 조임구조
KR960000068Y1 (ko) 팬 티
GB1597166A (en) Garments which also serve as hernia appliances
KR950007627Y1 (ko) 허리용 벨트
JP2000119909A (ja) 衣服のウエスト調節方法
JPH10251910A (ja) 伸縮自在なベルト
JPH1121705A (ja) スカートの腰回り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