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2234A - 관형 플러그 접속 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분리가 가능한신속 장착형 커플링 장치 - Google Patents

관형 플러그 접속 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분리가 가능한신속 장착형 커플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2234A
KR20010012234A KR1019997010183A KR19997010183A KR20010012234A KR 20010012234 A KR20010012234 A KR 20010012234A KR 1019997010183 A KR1019997010183 A KR 1019997010183A KR 19997010183 A KR19997010183 A KR 19997010183A KR 20010012234 A KR20010012234 A KR 20010012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plug
quick
holding
coupl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0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8877B1 (ko
Inventor
모레띠에르미니오
레이몽알베르트
Original Assignee
레이몽 알렝
아. 레이몽 에 씨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이몽 알렝, 아. 레이몽 에 씨에 filed Critical 레이몽 알렝
Publication of KR20010012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2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8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 F16L37/098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the flexible hook being progressively compressed by axial tensile loads acting on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4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transversally slidable locking member surrounding the tube

Abstract

분리가 가능한 신속 장착형 커플링 장치는 환형 유지 리브(4)가 마련된 관형 플러그 접속 부재(3)를 수납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그러한 신속 장착형 커플링 장치는 플러그 접속 부재(3)의 삽입을 위한 원통형 수납 하우징(1)과 플러그 접속 부재(3)의 압입 후에 유지 리브(4)의 배후에 맞물리기 위한 탄성 복원이 가능한 유지 에지(17)가 마련된 별개의 유지 스프링(2)으로 이루어진다. 유지 에지(17)는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체(13)에 형성되며, 그 지지체(13)는 내장된 상태에서 유지 스프링(2)을 축방향으로 고정시키도록 하우징 벽(5)의 해당 절결부(12) 속에 집어넣어진다. 지지체(13)의 단부 면(21)은 하우징(1) 속에서의 유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내측 에지(22)와의 접촉 구역에서 외측을 향해 삽입 방향 쪽으로 수직 면에 대해 경사진다. 그로 인해 개구부의 구역에서 생기는 하우징 벽(5)의 벌어짐을 제한하기 위해, 경사진 단부 면(21)에는 접촉 구역의 외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토퍼 면(23, 24)이 마련되는데, 그 스토퍼 면(23, 24)은 강력한 인장력이 발생될 경우에 전방 하우징 벽(5)이 추가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관형 플러그 접속 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분리가 가능한 신속 장착형 커플링 장치{Detachable, quick-fitting pipe union for receiving a plug-in tubular part}
EP 0 605 801 A1로부터 지지체의 원호형 단부 면이 하우징의 축선에 수직하게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향하는 그러한 신속 장착형 커플링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지지체는 플러그 접속 부재에 인장력이 가해질 경우에 그러한 단부 면에 의해 절결부의 입구측 내면에 접하게 된다. 실제로 판명된 바와 같이, 그에 의해 생성되는 유지력은 연료 파이프라인용 커플링 장치의 안전성을 보장하기에는 더 이상 충분한 것이 되지 못한다. 그로 인해, 플러그 접속 부재에서 보다 더 높은 인장력이 발생되면 지지체가 조기에 측방으로 미끄러져서 커플링 장치가 분리된다.
그러한 커플링 장치에서 유지 스프링의 유지력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지지체가 큰 인장력에서도 측방향의 외측으로 미끄러질 수 없도록 하기 위해, DE 195 40 784 A1로부터 단부 면이 접촉 구역에서 외측을 향해 15°내지 40°만큼 삽입 방향 쪽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에 의해, 강력한 인장력이 발생될 경우에 단부 면과 하우징의 접촉 에지와의 사이에서 쐐기 작용이 이루어짐으로써 인장력이 강력하면 할수록 지지체가 더욱 강력하게 유지 리브에 맞대어 가압된다.
그러나, 그간에 밝혀진 바와 같이, 그러한 쐐기 작용으로 인해 하우징 벽의 변형도 동시에 발생되고, 특히 매우 큰 인장력이 발생될 경우에 접촉 에지가 지나치게 외측으로 가압되어 유지 요소의 지지체가 하우징 벽의 절결부로부터 이탈된 후에 하우징으로부터 뽑혀질 정도로 하우징 벽의 변형이 일어난다.
본 발명은 본 독립항 청구범위의 전제부에 따라 환형 유지 리브가 마련된 관형 플러그 접속 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분리가 가능한 신속 장착형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와 관련하여, 플러그 접속 부재는 예컨대 연료 파이프라인에 사용되는 견고한 금속 관의 단부일 수 있지만, 공지의 형식대로 호스 라인 또는 파이프라인에 접속될 수 있는 강성 플라스틱 또는 기타의 통상적인 사출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 중에서,
도 1은 플러그 접속 부재가 압입된 후에 부하를 받지 않는 상태에서의 조립된 신속 장착형 커플링 장치의 하우징의 길이방향 단면도이고,
도 2는 유지 스프링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른 동일한 유지 스프링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스토퍼 면의 "A"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5는 유지 스프링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과 유사하지만 인장력(F1)의 작용 하에 있는 조립된 신속 장착형 커플링 장치의 하우징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과 유사하지만 매우 강력한 인장력(F2)의 작용 하에 있는 도 6에 상응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6에서의 스토퍼의 상태를 나타내는 "B"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9는 도 7에서의 스토퍼의 상태를 나타내는 "C" 부분의 확대도이다.
그와 같이 매우 큰 인장력으로 인해 커플링 장치가 원하지 않게 분리될 가능성마저도 배제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경사진 단부 면에는 접촉 구역의 외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토퍼 면이 마련된다. 그러한 스토퍼 면은 원호형으로 단부 면에 형성될 수 있지만, 선택적으로 2개씩의 반경 방향의 스토퍼 면이 단부 면의 외측 코너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 면에 의해, 인장력이 매우 클 경우에 경사진 단부 면을 기점으로 하여 외측으로 작용하는 힘 성분이 단지 하우징 벽을 반경 방향의 스토퍼 면에 접촉할 때까지만 벌어지게 하고, 인장력도 단지 커플링 장치의 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만 작용하는데 지나지 않게 된다. 그에 의해, 하우징 벽의 추가적인 변형이 저지되어 지지체가 더 이상 절결부로부터 이탈될 수 없게 된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신속 장착형 커플링 장치는 수납 하우징(1)과 경질 탄성 플라스틱제의 유지 스프링(2)으로 이루어진다. 그러한 신속 장착형 커플링 장치는 환형 유지 리브(4)가 마련된 관형 플러그 접속 부재(3)를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한 플러그 접속 부재(3)는 강성 재료로 이루어진 파이프 관의 단부는 물론 공지의 형식대로 연질 재료의 파이프 관의 단부에 접속될 수 있는 강성의 중간 부재일 수도 있다.
도 1에 따르면, 전술된 바와 동일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수납 하우징(1)은 다단계로 줄어드는 플러그 접속 부재(3)용 수납 공간(6), 수납 공간(6)의 단부에 있는 스토퍼(8) 및 축방향 연장선을 따라 도시를 생략한 액체용 접속 파이프라인에 관련하여 접속되는 원통형 접속 보조관(7)으로 이루어진다. 수납 공간(6)은 그 내경이 플러그 접속 부재(3)의 외경과 일치하는 구역(6')에 의해 시작된다. 그 구역(6')에 연이어 2개의 밀봉 링(9), 중간 링(10) 및 이격 링(20)의 수납을 위해 직경이 확장된 구역(6")이 마련되는데, 그러한 링(9, 10, 20)의 내경도 역시 플러그 접속 부재(3)의 외경과 일치한다.
유지 스프링(2)은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면된 V형 스프링 브리지(14)를 경유하여 단부에서 서로 결합되는 2개의 원호형 지지체(13)로 이루어지는데, 그 결합 부위는 공지의 형식대로 하우징 벽(5)의 절결부(12)로부터 약간 돌출되는 사각형 가압 판(15)에 의해 차폐된다.
지지체(13)는 서로를 향한 그 내벽(16)에서 유지 리브(4)의 외경에 꼭 들어맞게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플러그 삽입 측에 있는 경사진 삽입 면(18) 및 반대측에서 대략 반경 방향으로 단절되어 플러그 접속 부재(3)를 압입시킨 상태에서 그 유지 리브(4)의 배후에 맞물리는 유지 면(19)이 마련된 2개의 방사상 내측을 향한 원호형 유지 에지(17)를 구비한다. 유지 면(19)은 외측을 향해 삽입 방향의 반대쪽으로 약간 경사져서 유지 에지(17)가 최대한으로 유지 리브(4)의 밑면에 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체(13)는 삽입 방향의 반대쪽으로 절결부(12)의 내측 에지(22)에 의해 유지되는 원호형 단부 면(21)을 구비한다. 그러한 단부 면(21)은 접촉 구역에서 외측을 향해 15°내지 40°, 바람직하게는 25°의 각도(α)만큼 삽입 방향 쪽으로 수직 면에 대해 경사진다. 그에 의해, 플러그 접속 부재(3)에서 인장력(F1)이 발생할 경우에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부 면(21)이 내측 에지(22)에 의해 "Z"의 힘의 방향으로 내측으로 가압되어 유지 스프링(2)이 그 유지 에지(17)에 의해 힘 성분(Z1)에 상응하게 더욱 고정적으로 유지 리브(4)에 지지되는 쐐기 작용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그와 동시에 하우징 벽(5)이 힘 성분(Z1)의 외향 반작용력으로 인해 외측으로 벌어진다. "F2"의 매우 강력한 인장력(F2)이 발생할 경우에 유지 스프링(2)의 지지체(13)가 절결부(6)로부터 이탈되어 플러그 접속 부재(3)와 함께 하우징(1)으로부터 뽑혀질 수 있을 정도로 내측 에지(22)가 외측으로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경사진 단부 면(21)에는 접촉 구역의 외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토퍼 면(23)이 마련된다.
그러한 스토퍼 면(23)은 힘 성분(Z1)에 기인하여 외측으로 작용하는 반작용력이 단지 내측 에지(22)가 반경 방향의 스토퍼 면(23)에 도달될 때까지만 하우징 벽(5)을 벌어지게 하도록 한다. 내측 에지(22)는 그와 같이 반경 방향의 스토퍼 면(23)에 도달될 때로부터 인장력(F2)에 상응하는 축선에 평행한 힘 성분(Z2)으로 반경 방향의 스토퍼 면(23)에 맞대어 가압되고, 그에 의해 하우징 벽(5)이 더 이상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게 된다(도 7 및 도 9를 참조).
반경 방향의 스토퍼 면(23)은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부 면(21)의 전 길이에 걸쳐 원호형으로 단부 면(21)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경 방향의 스토퍼 면(23)은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부 면(21)의 외측 코너부에서만 형성될 수도 있는데, 그것은 하우징 벽(5)에 있는 절결부(6)가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지나치게 깊이 형성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3)

  1. 환형 유지 리브(4)가 마련된 관형 플러그 접속 부재(3)를 수납하기 위한 분리가 가능한 신속 장착형 커플링 장치로서, 플러그 접속 부재(3)의 삽입을 위한 중심 수납 공간(6)이 마련된 원통형 수납 하우징(1)과, 플러그 접속 부재(3)의 압입 후에 유지 리브(4)의 배후에 맞물리기 위한 탄성 복원이 가능한 내측을 향한 원호형 유지 에지(17)가 마련된 경질 탄성 플라스틱제의 별개의 유지 스프링(2)으로 이루어지고, 유지 에지(17)는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체(13)에 형성되며, 그 지지체(13)는 내장된 상태에서 유지 스프링(12)을 축방향으로 수납 하우징(1) 속에 고정시키도록 하우징 벽(5)의 해당 절결부(12) 속에 집어넣어져서 그 곳에서 역시 원호형인 그 단부 면(21)으로써 삽입 방향의 반대쪽으로 절결부(12)의 내측 에지(22)에 의해 유지되고, 단부 면(21)은 접촉 구역에서 외측을 향해 15°내지 40°의 각도(α)만큼 삽입 방향 쪽으로 수직 면에 대해 경사지는 분리가 가능한 신속 장착형 커플링 장치에 있어서,
    경사진 단부 면(21)에는 접촉 구역의 외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토퍼 면(23, 24)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가능한 신속 장착형 커플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반경 방향의 스토퍼 면(23)은 원호형으로 단부 면(21)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가능한 신속 장착형 커플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2개씩 반경 방향의 스토퍼 면(24)은 단부 면(21)의 외측 코너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가능한 신속 장착형 커플링 장치.
KR10-1999-7010183A 1997-06-30 1998-06-09 관형 플러그 접속 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분리가 가능한신속 장착형 커플링 장치 KR1005288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27518A DE19727518A1 (de) 1997-06-30 1997-06-30 Lösbare Schnellkupplung zur Aufnahme eines rohrförmigen Einsteckteils
DE19727518.4 1997-06-30
PCT/EP1998/003469 WO1999001690A1 (de) 1997-06-30 1998-06-09 Lösbare schnellkupplung zur aufnahme eines rohrförmigen einstecktei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2234A true KR20010012234A (ko) 2001-02-15
KR100528877B1 KR100528877B1 (ko) 2005-11-16

Family

ID=7833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183A KR100528877B1 (ko) 1997-06-30 1998-06-09 관형 플러그 접속 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분리가 가능한신속 장착형 커플링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991889B1 (ko)
JP (1) JP3207443B2 (ko)
KR (1) KR100528877B1 (ko)
AT (1) ATE237775T1 (ko)
BR (1) BR9810951A (ko)
DE (2) DE19727518A1 (ko)
ES (1) ES2196581T3 (ko)
PT (1) PT991889E (ko)
WO (1) WO19990016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912B1 (ko) * 2015-06-25 2016-11-09 고득출 세탁기의 급수호스 연결용 커플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48502C1 (de) * 2000-09-29 2002-04-04 Raymond A & Cie Steckverbindung mit Auslaufsperre
US6991270B2 (en) 2000-12-27 2006-01-31 Toyoda Gosei, Co., Ltd. Hose coupling assembly
DE10304074B3 (de) 2003-01-31 2004-02-05 A. Raymond & Cie Lösbare Steckverbindung für Hochdruckleitungen
DE102004004364B3 (de) 2004-01-29 2005-01-27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zum Verbinden einer Fluidleitung mit einem Rohr
JP5474382B2 (ja) * 2009-03-11 2014-04-1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管継手
DE102009043088B3 (de) * 2009-09-25 2011-03-31 A. Raymond Et Cie Einfügekontrolleinheit zur Kontrolle des Steckzustandes eines Einsteckteiles in einem Aufnahmeteil sowie Anordnung mit einer derartigen Einfügekontrolleinheit und einem Aufnahmeteil
DE102010035853A1 (de) * 2010-08-30 2012-03-0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bindungsvorrichtung für die lösbare Aufnahme eines rohrförmigen Einsteckteils mit einem umlaufenden Haltewulst
FR3004780B1 (fr) * 2013-04-17 2015-05-01 Raymond A & Cie Verrou pour raccordement tubulaire et raccord tubulaire obtenu
JP6401934B2 (ja) * 2014-05-27 2018-10-10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コネクタ
JP6576792B2 (ja) * 2015-11-04 2019-09-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のロック構造
CN109404647A (zh) * 2017-08-17 2019-03-01 A.雷蒙德公司 可拆卸的快速连接装置
US11199281B2 (en) 2018-01-31 2021-12-14 A. Raymond Et Cie. Dual-latch quick connector
JP7124264B2 (ja) * 2018-05-21 2022-08-24 株式会社トップ メスコネクタ
KR102520517B1 (ko) 2021-06-10 2023-04-17 부국산업주식회사 모니터링 창이 형성된 퀵 커넥터
KR20220166653A (ko) 2021-06-10 2022-12-19 부국산업주식회사 기밀 면 접촉 확장형 퀵 커넥터
KR20220166654A (ko) 2021-06-10 2022-12-19 부국산업주식회사 회전 고정식 퀵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2924A (en) * 1994-06-20 1995-09-26 Bundy Corporation Manually operable release mechanism for quick connector
US5586792A (en) * 1995-02-21 1996-12-24 Bundy Corporation Quick connector with integral release mechanism
DE19540784A1 (de) * 1995-11-02 1997-05-07 Raymond A Gmbh & Co Kg Lösbare Steckverbindung zur Aufnahme eines rohrförmigen Einstecktei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912B1 (ko) * 2015-06-25 2016-11-09 고득출 세탁기의 급수호스 연결용 커플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96581T3 (es) 2003-12-16
KR100528877B1 (ko) 2005-11-16
EP0991889A1 (de) 2000-04-12
DE19727518A1 (de) 1999-01-07
WO1999001690A1 (de) 1999-01-14
BR9810951A (pt) 2000-09-26
DE59807977D1 (de) 2003-05-22
EP0991889B1 (de) 2003-04-16
ATE237775T1 (de) 2003-05-15
JP3207443B2 (ja) 2001-09-10
JP2000512368A (ja) 2000-09-19
PT991889E (pt) 2003-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8877B1 (ko) 관형 플러그 접속 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분리가 가능한신속 장착형 커플링 장치
KR100478306B1 (ko) 관형의플러그인부분을수용하는해체가능한플러그인결합부
KR100766325B1 (ko) 보호 덮개를 구비한 분리식 플러그-인 커넥터
KR100573900B1 (ko) 자동적인 조립 표시 장치가 마련된 분리가 가능한 신속커플링
KR100528871B1 (ko) 분리가 가능한 신속 동작형 커플링 장치
RU2080511C1 (ru) Уплотнение радиального сжатия для герметич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ы с вставляемым концом и трубы с раструбом
KR100558747B1 (ko) 금속 파이프용 분리가능 신속 커플링
ES2174511T3 (es) Acoplamiento rapido, desmontable, para conducciones de alta presion.
US20080217912A1 (en) Coupling
JPH06502709A (ja) 内側及び外側アームを備える抜け止めリング
US8011671B2 (en) Shaft seal having integrated removal feature
KR940006956Y1 (ko) 세경 배관 접속용 커넥터
US5127682A (en) Joint
KR101779086B1 (ko) 웨지 밀폐형 원터치 배관 커플러
JP4213748B1 (ja) 末端部材同士のシール結合用装置
US4978149A (en) Hose coupling
KR20050097955A (ko) 분리 가능한 고압 라인용 플러그인 커넥터
JPH062791A (ja) 離脱防止管継手
JP3492549B2 (ja) 配管用継手装置
JP3278563B2 (ja) 離脱防止管継手
KR200185380Y1 (ko) 상수도관 이탈방지용 압륜 고정받침쇠
RU2386073C2 (ru) Муфта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ной системы для текучей среды
KR102120723B1 (ko) 차량용 이종 재질 호스 연결소켓 조립구조
JPH06147374A (ja) 管継手
JP3154896B2 (ja) 離脱防止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