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1984A - 별도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부와 폰부로 구성된 복합휴대폰에서 듀얼 이어폰을 이용한 이중모드 동시 수행 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별도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부와 폰부로 구성된 복합휴대폰에서 듀얼 이어폰을 이용한 이중모드 동시 수행 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1984A
KR20010011984A KR1019990031617A KR19990031617A KR20010011984A KR 20010011984 A KR20010011984 A KR 20010011984A KR 1019990031617 A KR1019990031617 A KR 1019990031617A KR 19990031617 A KR19990031617 A KR 19990031617A KR 20010011984 A KR20010011984 A KR 20010011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ual
ear
phon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0345B1 (ko
Inventor
김순진
김정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31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0345B1/ko
Publication of KR20010011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3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by connection of exchangeable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과 텔레비젼(TV)의 복합기기와 같은 복합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듀얼 이어폰을 구비하는 복합 휴대폰, 예를 들어 TV폰에서 TV를 시청하던 중 착신 또는 발신이 요구되는 경우 TV를 계속 시청하면서 전화통화도 수행할 수 있는 별도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부와 폰부로 구성된 복합 휴대폰에서 듀얼 이어폰을 이용한 이중모드 동시 수행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듀얼 이어폰을 구비하며, 별도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부와 폰부의 복합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듀얼 이어폰에 구비되는 두 개의 이어-스피커 각각을 상기 기능부 및 폰부의 오디오 출력부와 개별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 시키는 모드선택 스위치를 구비하는 복합 휴대폰에서 듀얼 이어폰을 이용한 이중모드 동시 수행방법에 있어서, 상기 듀얼 이어폰이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기능부 모드나 폰부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만 수행중일 경우에는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를 제어하여 수행중인 모드의 오디오 출력부를 상기 듀얼 이어폰의 두 개의 이어-스피커 모두에 연결하여 오디오 패스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듀얼 이어폰이 접속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 수행중에 다른 하나의 모드가 시도되는 경우 상기 모드 선택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듀얼 이어폰의 두 개의 이어-스피커 중 하나를 상기 기능부의 오디오 출력부와 연결하고, 다른 하나를 상기 폰부의 오디오 출력부와 연결하여 상기 기능부와 폰부 각각의 오디오 패스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별도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부와 폰부로 구성된 복합 휴대폰에서 듀얼 이어폰을 이용한 이중모드 동시 수행 회로 및 방법{CIRCUIT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PERFORMING DUAL MODE USING A DUAL EARPHONE IN A COMPOSED POTABLE PHONE COMPRISING A FUNCTIONAL UNIT PROVIDING ANOTHER AUDIO SIGNAL AND A PHONE UNIT}
본 발명은 휴대폰과 텔레비젼(TV)의 복합기기와 같은 복합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듀얼 이어폰을 구비하는 복합 휴대폰, 예를 들어 TV폰에서 TV를 시청하던 중 착신 또는 발신이 요구되는 경우 TV를 계속 시청하면서 전화통화도 수행할 수 있는 별도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부와 폰부로 구성된 복합 휴대폰에서 듀얼 이어폰을 이용한 이중모드 동시 수행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오디오 신호를 별도로 제공하는 기능부와 전화기능을 담당하는 폰부의 복합 휴대폰, 예를 들어 TV를 구비하는 휴대폰, 라디오를 구비하는 휴대폰, 카세트플레이어를 구비하는 휴대폰, MP3을 구비하는 휴대폰 등의 경우 전화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동작중인 라디오, 카세트플레이어, MP3, TV의 구동을 차단하고 통화모드로 전환되도록 하고 있어, TV를 시청하면서 통화를 한다던가, 라디오를 들으면서 통화를 한다던가, 음악을 들으면서 통화를 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는 단말의 일방적인 강제 모드전환으로서, 두 가지 모드를 동시에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는 불만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폰과 별도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부, 예를 들어 TV, 라디오, MP3, 카세트플레이어의 복합기기인 복합휴대폰에 있어서 기능부에서 제공하는 오디오를 청취하면서 동시에 통화를 수행할 수 있고, 통화도중에 기능부의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는 별도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부와 폰부로 구성된 복합 휴대폰에서 듀얼 이어폰을 이용한 이중모드 동시 수행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듀얼 이어폰을 구비하는 복합휴대폰에서 기능부의 오디오 청취와 음성통화를 동시에 수행할 때 하나의 이어폰으로는 기능부의 오디오를 청취하고, 다른 하나의 이어폰으로 통화내용을 청취할 수 있는 별도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부와 폰부로 구성된 복합 휴대폰에서 듀얼 이어폰을 이용한 이중모드 동시 수행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듀얼 이어폰을 구비하며, 별도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부와 폰부의 복합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듀얼 이어폰에 구비되는 두 개의 이어-스피커 각각을 상기 기능부 및 폰부의 오디오 출력부와 개별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 시키는 모드선택 스위치를 구비하는 복합 휴대폰에서 듀얼 이어폰을 이용한 이중모드 동시 수행방법에 있어서, 상기 듀얼 이어폰이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기능부 모드나 폰부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만 수행중일 경우에는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를 제어하여 수행중인 모드의 오디오 출력부를 상기 듀얼 이어폰의 두 개의 이어-스피커 모두에 연결하여 오디오 패스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듀얼 이어폰이 접속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 수행중에 다른 하나의 모드가 시도되는 경우 상기 모드 선택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듀얼 이어폰의 두 개의 이어-스피커 중 하나를 상기 기능부의 오디오 출력부와 연결하고, 다른 하나를 상기 폰부의 오디오 출력부와 연결하여 상기 기능부와 폰부 각각의 오디오 패스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이어폰을 이용하여 TV 시청과 음성통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TV폰의 회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폰부와 TV부의 음성패스 연결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TV시청과 통화수행시의 복수의 상황에 대한 듀얼 이어폰 제어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이어폰을 이용하여 TV시청과 통화수행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TV와 휴대폰의 복합기기인 일명, TV폰의 회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TV폰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TV폰은 폰부(Phone Part)(100)와 TV부(Television Part)(200)와 LCD부(Liquid Crystal Display: 액정표시장치부)(3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폰부(100)는 내부에 RF부(Radio Frequency)(110), 제어부(일 예로, MSM: Mobile Station Modem)(120), 코덱부(Coder-Decoder)(130), 내부 마이크(14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RF부(110)는 고주파 처리부와 중간주파수 처리부 및 기저대역 처리부의 포괄적 구성부를 의미하며, 무선통신 대역 주파수를 1차적으로 처리하고, 이를 다시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낮추는 중간주파수 처리와, 이를 다시 상기 제어부(120)에서 처리 가능한 주파수 대역으로 낮추어서 비트열로 만든다. 또한, 상기 RF부(11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신부와 송신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상기 RF부(110)의 수신부는 잡음의 증폭을 최대한 억제하고 원하는 신호를 증폭하며, 중간주파수를 거쳐서 디지털 신호를 생성시키며, 이 디지털 신호는 상기 제어부(120)에서 분석되고 처리된다. 또한 상기 RF부(110)의 송신부는 상기 제어부(120)에서 생성된 신호를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시켜 증폭시키며, 최종적으로 도시하지 않은 듀플렉서를 거쳐 안테나로 방사된다.
상기 제어부(120)는 휴대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IS-95-A에 정의된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구성부로서, 본 발명에 따라 듀얼 이어폰을 선택하는 이어-잭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코덱부(130)는 디지털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이어-잭 회로부(220)로 송출하거나, 상기 이어-잭 회로부(220)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코덱부(130)는 상기 폰부의 오디오 출력부가 된다.
상기 내부 마이크(140)는 상기 폰부(10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120)의 이어-잭 회로 스위칭에 의거하여 외부 음성을 상기 코덱부(130)로 인가한다.
상기 TV부(200)는 내부에 TV 디코더(210)와 이어잭-(Ear-Jack) 회로부(220)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TV 디코더(210)는 상기 TV부의 오디오 출력부가 된다.
상기 이어-잭 회로부(220)는 내부에 듀얼 이어폰과 접속되는 이어-잭 회로를 구비하며, 이러한 이어-잭 회로부는 도 2에 확장되어 다시 한 번 도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의 편의상 상기 이어-잭 회로부(220)를 모드선택 스위치인 T1 및 T2 스위치까지 확장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T1 스위치는 상기 듀얼 이어폰의 제1 이어-스피커와 연결되는 스위치이고, 상기 T2 스위치는 상기 듀얼 이어폰의 제2 이어-스피커와 연결되는 스위치이다.
먼저, 상기 이어-잭 회로의 연결관계를 살펴보면;
상기 TV 디코더(210)에서 출력한 오디오 신호는 상기 듀얼 이어폰의 두 개의 이어-스피커에 각각 입력되도록 상기 T1 스위치의 단자 'B'와 T2 스위치의 단자 'b'에 각각 입력되고, 상기 코덱부(130)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는 상기 듀얼 이어폰의 두 개의 이어-스피커에 각각 입력되도록 상기 T1 스위치의 단자 'C'와 T2 스위치의 단자 'c'에 각각 입력된다.
상기 T1 스위치는 상기 제어부(120)의 T1 스위치 제어신호에 의거 단자 'A'에서 단자 'B' 또는 단자 'C'를 선택적으로 스위칭 한다. 상기 단자 'A'에서 단자 'B'로의 스위칭은 상기 제1 이어-스피커를 상기 TV부(200)로 연결함을 의미하며, 상기 단자 'A'에서 단자 'C'로의 스위칭은 상기 제1 이어 스피커를 상기 폰부(100)로 연결함을 의미한다. 상기 T1 스위치의 단자 'A'는 이어-잭 회로부(220)의 S1 스위치 단자 'E'에 연결되고, 상기 단자 'E'는 제1 이어-스피커로 연결되는 단자 'D', 그리고 내부 스피커(310)에 연결되는 단자 'F'를 상기 제어부(120)의 S1 스위치 제어신호에 의거 선택적으로 스위칭 한다.
또한, 상기 T2 스위치는 상기 제어부(120)의 T2 스위치 제어신호에 의거 단자 'a'에서 단자 'b' 또는 단자 'c'를 선택적으로 스위칭 한다. 상기 단자 'a'에서 단자 'b'로의 스위칭은 상기 제2 이어-스피커를 상기 TV부(200)로 연결함을 의미하며, 상기 단자 'a'에서 단자 'c'로의 스위칭은 상기 제2 이어-스피커를 상기 폰부(100)로 연결함을 의미한다. 상기 T2 스위치의 단자 'a'는 이어-잭 회로부(220)의 S2 스위치 단자 'e'에 연결되고, 상기 단자 'e'는 제2 이어-스피커로 연결되는 단자 'd', 그리고 내부 스피커(310)에 연결되는 단자 'f'를 상기 제어부(120)의 S2 제어신호에 의거 선택적으로 스위칭 한다.
여기에서 상기 S1 스위치는 상기 제1 이어-스피커의 접속 스위치이며, S2 스위치는 상기 제2 이어-스피커의 접속 스위치이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T1, T2, S1, S2 스위치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각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이어-잭 회로부(220)는 듀얼 이어폰의 이어-마이크와 연결되는 MS 스위치의 단자 'y'와 상기 내부 마이크(140)와 연결되는 MS 스위치의 단자 'z', 그리고 상기 단자 'y' 및 단자 'z'를 상기 제어부(120)의 MS 스위치 제어신호에 의거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단자 'x'가 상기 코덱부(130)의 마이크단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이어-잭 회로부(220)는 외부에 TV부(200) 및 폰부(100)의 오디오 신호를 입력단자로 하는 각각의 스위치 T1, T2를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120)의 T1, T2 스위치 제어신호에 의거 듀얼 이어폰의 2개의 이어-스피커 각각과 연결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이어-잭 회로부(220)는 내부에 듀얼 이어폰과 접속하는 S1, S2 스위치 및 MS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MS 스위치는 상기 이어-마이크 및 내부 마이크(140)의 단자를 상기 코덱부(130)의 마이크단에 스위칭 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폰과 TV의 오디오 패스(PATH)를 구성하여 두고, 스위치를 장치하여 여러 경우에 따라 상기 오디오 패스를 연결한다.
이하에 상기 확장된 이어-잭 회로부(220)의 개별 동작을 상세히 도 2를 통해 설명한다.
먼저, 듀얼 이어폰이 이어-잭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를 잭 스위치 오프(off) 상태라 명명한다.)에서 TV 오디오 청취만 할 때의 오디오 패스 연결관계 및 스위칭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T1 및 T2 스위치는 상기 제어부(120)의 T1 및 T2 스위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단자 'B-A', 단자 'b-a' 연결상태가 되고, 상기 S1과 S2 스위치는 단자 'E-F', 단자'e-f' 연결상태가 되어 내부 스피커(310)를 통해 상기 TV의 오디오를 청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듀얼 이어폰이 상기 이어-잭에 미접속임을 감지하여 상기 연결관계가 되도록 S1 및 S2 스위치 제어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두 번째로, 상기 듀얼 이어폰이 이어-잭에 접속된 상태(이를 잭 스위치 온(on) 상태라 명명한다.)에서 TV 오디오 청취만 할 때의 오디오 패스 연결관계 및 스위칭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T1 및 T2 스위치는 상기 제어부(120)의 T1 및 T2 스위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단자 'B-A', 단자 'b-a' 연결상태가 되고, 상기 S1과 S2 스위치는 제1, 제2 이어-스피커와 각각 연결되는 단자 'E-D', 단자'e-d' 연결상태가 되어 상기 제1, 제2 이어-스피커를 통해 상기 TV의 오디오를 청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듀얼 이어폰이 상기 이어-잭에 접속상태임을 감지하여 상기 연결관계가 되도록 S1 및 S2 스위치 제어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스테레오로 TV 오디오를 청취 가능하다.
세 번째로, 상기 잭 스위치 온(on) 상태에서 복합휴대폰의 초기상태 및 TV 오프 상태에서 음성통화만 할 때의 오디오 패스 연결관계 및 스위칭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T1 및 T2 스위치는 상기 제어부(120)의 T1 및 T2 스위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단자 'C-A', 단자 'c-a' 연결상태가 되고, 상기 S1과 S2 스위치는 제1, 제2 이어-스피커와 각각 연결되는 단자 'E-D', 단자'e-d' 연결상태가 되어 상기 제1, 제2 이어-스피커를 통해 상기 음성을 청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듀얼 이어폰이 상기 이어-잭에 접속상태임을 감지하여 상기 연결관계가 되도록 S1 및 S2 스위치 제어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네 번째로, 상기 잭 스위치 온(on) 상태에서 음성통화중 TV를 온 할 경우나 TV 시청중 음성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오디오 패스 연결관계 및 스위칭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T1 및 T2 스위치는 상기 제어부(120)의 T1 및 T2 스위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두 개의 이어-스피커 중 어느 하나는 TV부에 연결되도록 스위칭 시키고, 다른 하나는 폰부에 연결되도록 스위칭 시켜 하나의 이어-스피커로는 TV 오디오를 청취하고, 다른 하나의 이어-스피커로는 통화음성을 청취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T1과 T2 스위치의 단자 연결상태는 T1 스위치가 단자 'B-A'일 때 상기 T2 스위치는 단자 'c-a' 연결상태가 되어 상기 제1 이어-스피커를 통해서는 TV 오디오를 청취하고 상기 제2 이어-스피커를 통해서는 통화음성을 청취할 수 있으며, 상기 T1 스위치가 단자 'C-A'가 될 때 상기 T2 스위치는 단자 ''b-a' 연결상태가 되어 상기 제1 이어-스피커를 통해서는 통화음성을 청취하고 상기 제2 이어-스피커를 통해서는 TV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잭 스위치 오프(off) 상태에서 통화음성만 청취할 때의 오디오 패스 연결관계 및 스위칭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T1 및 T2 스위치는 상기 제어부(120)의 T1 및 T2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단자 'C-A', 단자 'c-a' 연결상태가 되고, S1과 S2 스위치는 단자 'E-F', 단자'e-f' 연결상태가 되어 상기 외부 스피커(310)를 통해 상기 통화음성을 청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듀얼 이어폰이 상기 이어-잭에 미접속임을 감지하여 상기 연결관계가 되도록 S1 및 S2 스위치 제어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에서 잭 스위치 오프 상태에서는 TV 오디오만 청취 가능할 수도, 통화음성만 청취 가능할 수도 있으나, 휴대폰 이용의 편의상 잭 스위치 오프 상태에서는 통화용도로만 사용하여 통화음성만 내부 스피커(310)를 통해 청취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120)가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제어부(120)의 제어동작은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미리 프로그램 되어 있다.
상술한 듀얼 이어폰을 이용한 TV 복합휴대폰의 동작과정을 도 3의 흐름도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TV시청과 통화수행시의 복수의 상황에 대한 듀얼 이어폰 제어흐름도로서,
40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20)는 복합휴대폰의 전원이 온 되면 4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잭 스위치가 '온' 상태에 있는가를 검사한다. 만약, 상기 잭 스위치가 '온' 상태이면 407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잭 스위치 '오프' 상태이면 4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T1 스위치와 T2 스위치가 모두 폰을 선택하도록 T1 및 T2 스위치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이어-잭 회로를 연결한다. 이때에는 상기 내부 스피커(310)와 내부 마이크(140)를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40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TV의 온 상태인 TV 시청중인가를 검사하여 상기 TV 온 상태이면 411단계로 진행하고, TV 오프 상태이면 4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T1 스위치와 T2 스위치가 모두 폰을 선택하도록 T1 및 T2 스위치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이어-잭 회로를 연결한다. 이때에는 상기 듀얼 이어폰을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4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20)는 통화 시도가 있는가를 검사하여 통화 시도가 있으면 4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T1 스위치가 TV를 선택하고, 상기 T2 스위치가 폰을 선택하도록 T1 및 T2 스위치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이어-잭 회로를 연결한다. 상기의 경우에는 상기 제1 이어-스피커를 통해서는 TV 오디오를 청취하면서 상기 제2 이어-스피커를 통해서는 통화음성을 청취할 수 있다. 상기 411단계에서 상기 T1 스위치와 T2 스위치의 선택부를 반대의 경우로 연결하여도 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제1 이어-스피커를 통해서는 통화음성을 청취하면서 상기 제2 이어-스피커를 통해서는 TV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다.
상기 411단계에서 통화시도가 없음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20)는 413단계로 진행하여 T1 스위치와 T2 스위치 모두 TV를 선택하도록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이어-잭 회로를 연결한다. 이때에는 상기 제1 이어-스피커와 제2 이어-스피커를 통해 TV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상기 제1 이어-스피커와 제2 이어-스피커를 통해 스테레오로 상기 TV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 설명에서는 내부 마이크 및 이어-마이크의 동작은 자세히 언급하지 않고 있으나, 이는 통상적인 경우로 듀얼 이어폰이 이어-잭에 미접속 상태에서는 내부 마이크를 사용하고, 상기 듀얼 이어폰이 접속 상태에서는 이어-마이크를 사용한다. 이러한 연결제어도 역시 상기 제어부(120)의 MS 스위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같은 듀얼 이어폰을 구비하는 복합 휴대폰에서 이어-잭 회로를 제어하여 듀얼 이어폰을 제어함으로써 음성통화 청취와 TV 청취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복합 휴대폰 중에서 TV와 휴대폰의 복합기기에 관해서만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복합 휴대폰 형태인 라디오를 구비하는 휴대폰, 카세트플레이어를 구비하는 휴대폰, MP3을 구비하는 휴대폰 등 별도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부를 구비하는 복합휴대폰의 경우에도 동일한 이어-잭 회로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궁극적으로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부와 휴대폰의 복합기기 형태인 TV를 구비하는 휴대폰, 라디오를 구비하는 휴대폰, 카세트플레이어를 구비하는 휴대폰, MP3을 구비하는 휴대폰 등의 복합 휴대폰에 있어서, 듀얼 이어폰을 이용하여 휴대폰 기능과 복합기기의 타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TV를 보다가, 또는 라디오를 듣다가, 또는 음악을 듣다가 전화가 오더라도 해당 기능을 중단하지 않고 통화를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별도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부와 통화음성을 제공하는 폰부로 구성된 복합 휴대폰에서 두 개의 이어-스피커를 갖는 듀얼 이어폰을 이용하여 기능부의 오디오 청취와 통화음성 청취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이중모드 동시 수행 회로에 있어서,
    구동중인 수행모드에 따라 상기 듀얼 이어폰이 갖는 두 개의 이어-스피커 각각을 상기 기능부 또는 폰부의 오디오 출력부에 연결되도록 각각의 모드선택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듀얼 이어폰의 접속여부에 따라 상기 기능부와 폰부의 오디오 출력부를 상기 이어-스피커 또는 외부 스피커에 스위칭 시키도록 제어하는 각각의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모드선택 스위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듀얼 이어폰에 구비되는 두 개의 이어-스피커 각각을 상기 기능부 또는 폰부의 오디오 출력부와 연결하도록 선택 스위칭 시켜 오디오 패스를 연결하는 모드선택 스위치와,
    상기 듀얼 이어폰의 접속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거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를 상기 두 개의 이어-스피커와 연결되도록 스위칭 시키고, 상기 듀얼 이어폰의 미접속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거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를 외부 스피커와 연결되도록 스위칭 시키는 이어-잭 회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별도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부와 폰부로 구성된 복합 휴대폰에서 듀얼 이어폰을 이용한 이중모드 동시 수행 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는;
    상기 듀얼 이어폰의 접속 상태에 따라 일단이 제1 이어-스피커나 외부 스피커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기능부나 폰부의 오디오 출력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기능부나 상기 폰부를 선택 스위칭 시키는 제1모드선택 스위치와,
    상기 듀얼 이어폰의 이어-잭 접속상태에 따라 일단이 제2 이어-스피커나 외부 스피커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기능부와 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기능부와 폰부를 선택 스위칭 시키는 제2모드선택 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별도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부와 폰부로 구성된 복합 휴대폰에서 듀얼 이어폰을 이용한 이중모드 동시 수행 회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잭 회로부는;
    상기 듀얼 이어폰이 이어-잭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모드선택 스위치를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거 상기 제1 이어-스피커와 연결되도록 스위칭 시키고, 상기 듀얼 이어폰이 상기 이어-잭에 미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모드선택 스위치를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거 외부 스피커와 연결되도록 스위칭 시키는 제1잭 스위치와,
    상기 듀얼 이어폰이 이어-잭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2모드선택 스위치를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거 상기 제2 이어-스피커와 연결되도록 스위칭 시키고, 상기 듀얼 이어폰이 상기 이어-잭에 미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2모드선택 스위치를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거 외부 스피커와 연결되도록 스위칭 시키는 제2잭 스위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별도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부와 폰부로 구성된 복합 휴대폰에서 듀얼 이어폰을 이용한 이중모드 동시 수행 회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잭 회로부는;
    외부 음성 입력시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듀얼 이어폰의 접속상태에서는 이어-마이크를 선택하고, 상기 듀얼 이어폰의 미접속 상태에서는 외부 마이크 단자를 선택하는 마이크 스위치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별도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부와 폰부로 구성된 복합 휴대폰에서 듀얼 이어폰을 이용한 이중모드 동시 수행 회로.
  5. 듀얼 이어폰을 구비하며, 별도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부와 폰부의 복합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듀얼 이어폰에 구비되는 두 개의 이어-스피커 각각을 상기 기능부 및 폰부의 오디오 출력부와 개별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 시키는 모드선택 스위치를 구비하는 복합 휴대폰에서 듀얼 이어폰을 이용한 이중모드 동시 수행방법에 있어서,
    상기 듀얼 이어폰이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기능부 모드나 폰부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만 수행중일 경우에는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를 제어하여 수행중인 모드의 오디오 출력부를 상기 듀얼 이어폰의 두 개의 이어-스피커 모두에 연결하여 오디오 패스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듀얼 이어폰이 접속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 수행중에 다른 하나의 모드가 시도되는 경우 상기 모드 선택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듀얼 이어폰의 두 개의 이어-스피커 중 하나를 상기 기능부의 오디오 출력부와 연결하고, 다른 하나를 상기 폰부의 오디오 출력부와 연결하여 상기 기능부와 폰부 각각의 오디오 패스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별도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부와 폰부로 구성된 복합 휴대폰에서 듀얼 이어폰을 이용한 이중모드 동시 수행 방법.
KR1019990031617A 1999-07-31 1999-07-31 별도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부와 폰부로 구성된 복합휴대폰에서 듀얼 이어폰을 이용한 이중모드 동시 수행 회로 및 방법 KR100310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617A KR100310345B1 (ko) 1999-07-31 1999-07-31 별도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부와 폰부로 구성된 복합휴대폰에서 듀얼 이어폰을 이용한 이중모드 동시 수행 회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617A KR100310345B1 (ko) 1999-07-31 1999-07-31 별도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부와 폰부로 구성된 복합휴대폰에서 듀얼 이어폰을 이용한 이중모드 동시 수행 회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984A true KR20010011984A (ko) 2001-02-15
KR100310345B1 KR100310345B1 (ko) 2001-11-01

Family

ID=19605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617A KR100310345B1 (ko) 1999-07-31 1999-07-31 별도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부와 폰부로 구성된 복합휴대폰에서 듀얼 이어폰을 이용한 이중모드 동시 수행 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03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909A (ko) * 2002-09-26 2004-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악 청취와 전화 통화를 같이 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606724B1 (ko) * 2004-08-20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의 오디오 출력 장치
KR100757210B1 (ko) 2006-02-20 2007-09-10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 오디오 패스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는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589B1 (ko) 2004-06-14 2011-10-2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라디오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2289474B1 (ko) 2015-02-27 2021-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를 출력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909A (ko) * 2002-09-26 2004-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악 청취와 전화 통화를 같이 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606724B1 (ko) * 2004-08-20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의 오디오 출력 장치
KR100757210B1 (ko) 2006-02-20 2007-09-10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 오디오 패스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는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0345B1 (ko) 200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1056B1 (ko) 자동구성다중모드토크스위치를갖는통신장치및그동작방법
GB2347589A (en) Handling incoming calls on a portable TV phone
KR100469919B1 (ko)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 및 사운드 신호 제어 장치
JP2000036875A (ja) テレビ電話機能付携帯電話機
JP3159321B2 (ja) 携帯電話機
KR100310345B1 (ko) 별도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부와 폰부로 구성된 복합휴대폰에서 듀얼 이어폰을 이용한 이중모드 동시 수행 회로 및 방법
KR100188873B1 (ko) 핸드폰의 라디오기능 부가방법 및 장치
US20030076952A1 (en) Earphon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eiving telephone calls
JP2000106593A (ja) ステレオ兼用携帯電話装置
US20050130683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e
KR100330850B1 (ko) 티브이시청중에 폴더를 닫을 시 티브 음성신호를 청취하는티브이폰 및 그 방법
JPH0697876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1007365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4202883B2 (ja)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の音量制御方法
JP2001196997A (ja) 携帯電話機
KR101075589B1 (ko) 라디오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330851B1 (ko) 티브이시청중에 통화하는 티브이폰 및 그 방법
KR20040026909A (ko) 음악 청취와 전화 통화를 같이 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00040558A (ko) 라디오 수신기를 내장한 휴대폰의 라디오 방송 수신 방법
JPH09247249A (ja) 携帯電話機
KR20010059486A (ko) 착신 차단방법
KR200165358Y1 (ko) 통화 음질 향상 키폰 라인 및 국선 라인 겸용 무선전화기의고정장치
KR19990058049A (ko) 휴대폰에서 라디오 수신장치 및 방법
JP2001102950A (ja) 無線装置
KR20050060735A (ko) 에프엠 라디오 출력을 선택할 수 있는 이어마이크 셋이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