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1964A - 미파쇄 코크스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미파쇄 코크스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1964A
KR20010011964A KR1019990031597A KR19990031597A KR20010011964A KR 20010011964 A KR20010011964 A KR 20010011964A KR 1019990031597 A KR1019990031597 A KR 1019990031597A KR 19990031597 A KR19990031597 A KR 19990031597A KR 20010011964 A KR20010011964 A KR 20010011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ke
belt conveyor
crushed
coke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박동희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90031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1964A/ko
Publication of KR20010011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96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결광 제조용 연료인 코크스가 스크린을 통하여 파쇄되지 못하고 괴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조기에 검출하여 상기 코크스가 소결용 원료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미파쇄 코크스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괴코크스가 1, 2차 선별용 스크린을 통해 사분되고, 파쇄된 분코크스가 벨트 콘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벨트 콘베이어(207)의 상부를 가로 질러 고정설치되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력발생부를 통해 얻어진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의 회전력을 통해 회전하면서 미파쇄된 괴코크스(205)를 걸러내는 괴코크스제거부와, 상기 괴코크스제거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벨트 콘베이어(207)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파쇄 코크스 검출 장치{APPARATUS FOR DETECTION OF UN-CRASHED COKE}
본 발명은 미파쇄 코크스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결광 제조용 연료인 코크스가 스크린을 통하여 파쇄되지 못하고 괴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조기에 검출하여 상기 코크스가 소결용 원료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미파쇄 코크스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결광은 입도 10 ㎜ 이하의 각종 분철광석을 부원료(석회석, 사문암, 규사)와 혼합하여 연료(분코크스, 무연탄)의 연소열을 통해 용융 결합시켜서 제조하게 되며, 상기 소결광의 성상(性狀)은 소결시에 소결층내 온도곡선(Heat pattern)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상기 온도곡선(Heat pattern)을 좌우하는 주요인으로는 소결시 열원으로 작용되는 분코크스를 들 수 있으며, 상기 분코크스의 입도는 현재 -5∼0.25 ㎜로 정립하여 소결용 연료로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코크스 파쇄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종래 소결광 제조 원료 장입 과정에서 미파쇄 코크스가 혼입되어 베드에 편석되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개략도로서, 소결광 제조 연료로 사용되는 분코크스의 정립은 고로공장이나 코크스 공장에서 발생된 입도 30 ㎜ 이하의 괴코크스(205)를 1차 선별용 스크린(102)으로 사분하되, 사상 입도는 드럼 내부에 다수개의 미도시된 환봉을 내장시킨 선파쇄기(Rod mill)(104)에 장입하여 회전시킨 후, 2차 선별용 스크린(103)으로 사분하여 소결 원료빈(Ore bin)(105)에 정립탄만 입조하여 소결용 원료와 적정량 배합시켜 사용하는 작업을 반복하고 있다.
이때, 종래와 같은 코크스 파쇄 공정에서 상기 1, 2차 선별용 스크린(102,103)에 내장된 미도시된 고무 매트의 마모나 파손으로 인해 파쇄되지 못한 30 ㎜ 입도의 괴코크스(205)가 소결 원료빈(105)에 입조된 후 소결 제조과정중에 첨가될 경우에는
첫째, 상기 괴코크스(205)가 장입시 소결기 대차(204) 하방으로 집중 분포되어 유효 화상거리(100m)내에서 완전 연소되지 못하므로 대차(204) 반전시 화상격자(Great bar)(206)에 융착된 상태로서 미배출되어 상기 화상격자(206)부의 융착광을 제거시켜야 하는 위험작업이 수반되고,
둘째, 상기 대차(204)에서 미도시된 냉각기로 배출된 괴소결광(Sinter cake) 중에서 미연소된 적열광이 상온으로 냉각되지 못함에 따라 벨트 콘베이어가 소손되어 이에 따른 화재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살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셋째, 상기와 같은 살수 작업에 따른 생산공정의 정지에 의해 생산성 저하 및 업무의 과부하가 발생되는 한편,
넷째, 상시 작업자가 선별된 코크스 입도를 주기적으로 감시함에 따른 작업 인력의 소요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01은 괴코크스 저장빈, 201은 배합원료 저장 호퍼, 202는 드럼형 절출기, 203은 경사판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미파쇄된 코크스 입자의 감시를 위한 별도의 인력이나 살수작업등을 생략함으로써 원가절감과 함께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파쇄 코크스 검출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코크스 파쇄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종래 소결광 제조 원료 장입 과정에서 미파쇄 코크스가 혼입되어 베드에 편석되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파쇄 코크스 검출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도 4a는 미파쇄 코크스 검출장치의 초기 상태도,
도 4b는 미파쇄 코크스를 걷어 올리는 상태도,
도 4c는 검출봉에 걸린 미파쇄 코크스가 감지센서에 감지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 : 크리너 브러쉬 303 : 제 1회전축
305 : 제 2회전축 306 : 괴코크스제거바
307,308 : 체인휠 310 : 검출바
311 : 터치바 312 : 감지센서
313 : 터치봉 314 : 체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괴코크스가 1, 2차 선별용 스크린을 통해 사분되고, 파쇄된 분코크스가 벨트 콘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벨트 콘베이어의 상부를 가로 질러 고정설치되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력발생부를 통해 얻어진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의 회전력을 통해 회전하면서 미파쇄된 괴코크스를 걸러내는 괴코크스제거부와, 상기 괴코크스제거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벨트 콘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미파쇄 코크스 검출 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동력발생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된 제 1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회전축에는 원통형의 크리너 브러쉬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크리너 브러쉬의 외면에는 다수개의 브러쉬가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1쌍의 체인 휠과, 상기 체인휠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괴코크스제거부는 제 2회전축과, 상기 제 2회전축에 설치된 괴코크스제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제어부는 다수개의 터치봉이 설치된 검출바와, 상기 검출바에 부착된 터치바와, 상기 터치바와 대향되게 설치된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벨트 콘베이어의 전원을 제어하는 PL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파쇄 코크스 검출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이에 따른 코크스 검출장치는 크게 구분하여 벨트 콘베이어의 상부를 가로 질러 고정설치되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력발생부를 통해 얻어진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의 회전력을 통해 회전하면서 미파쇄된 괴코크스를 걸러내는 괴코크스제거부와, 상기 괴코크스제거부의 작동에 의해 벨트 콘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동력발생부는 벨트 콘베이어(207)를 가로 질러 라인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프레임(208)의 좌우 양측부에 제 1회전축(303)이 상기 프레임(208)의 측면에 고정된 베어링(302a,302b)을 통해 체인휠(307)의 일측면에 도시 않된 평키이 결합되고, 상기 체인휠(307)의 타측면에는 구동모터(309)의 회전축이 커플링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 1회전축(303)의 대략 중심부에는 원통형의 크리너 브러쉬(301)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크리너 브러쉬(301)의 외면에는 다수개의 브러쉬(301-1)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 1회전축(303)에 연결되어 있는 일측 체인휠(307)이 구동모터(309)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그 회전력을 체인(314)을 통해 후술하는 제 2회전축(305)에 평키이로 고정연결되어 있는 타측 체인휠(308)에 전달한다.
상기 괴코크스제거부는 제 2회전축(305)이 상기 프레임(208)의 측면에 고정된 베어링(304a,304b)을 통해 상기 체인휠(308)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회전축(305)의 양측부에는 좌우 양단이 대칭 형상으로 절곡된 괴코크스제거바(306)의 일단부가 용접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괴코크스제거바(306)는 서로 약 25∼30 ㎜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는 감지센서(312)가 상기 프레임(208)의 일측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감지센서(312)와 일정 간격을 두고 검출바(310)가 상기 검출바(310)를 관통하는 지지 파이프(315)에 의해 라인 바닥면과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 설치되며, 검출바(310)의 상기 감지센서(312)와 대향되는 부위에는 터치바(311)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검출바(310)의 일측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터치봉(313)이 고정 설치되는 바, 상기 터치봉(313)은 상기 괴코크스제거바(306)의 사이사이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지지 파이프(315)의 양단은 도시되지 않은 구조물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312)는 PLC(Programmable Logic Computer;제어용 컴퓨터)(316)와 연결되고, 상기 PLC(316)는 상기 벨트 콘베이어(207)의 전원과 연결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크스 파쇄 공정에서 1, 2차 선별용 스크린(102,103)을 통해 코크스가 적정한 크기로 파쇄되어 벨트 콘베이어(207)를 타고 이동하게 되면, 도 3 및 도 4a,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립의 분체가 도 3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후속 공정으로 이동하며, 이때 상기 구동모터(309)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 1, 2회전축(303,305)이 벨트 콘베이어(207)의 이송 역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2회전축(305)에 연결된 괴코크스제거바(306)는 제 2회전축(305)과 함께 360°회전하면서 소립의 분체를 파헤치게 된다.
한편, 상기 1, 2차 선별용 스크린(102,103)의 고무 매트의 훼·망실등으로 인해 코크스가 충분히 파쇄되지 않고 벨트 콘베이어(207)를 타고 괴상인 상태로 이송하게 되면, 상기 괴코크스(205)는 상기 괴코크스제거바(306)에 의해 걸려서 상부로 부상하게 되며, 괴코크스(205)가 상기 괴코크스제거바(306)의 틈사이에 끼어서 회전하다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봉(313)을 밀어서 걷어 올림에 따라 상기 검출바(310)가 지지 파이프(315)의 외면을 타고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렇게 검출바(310)가 회동하면 상기 검출바(310)에 부착되어 있는 터치바(311)가 감지센서(312)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감지센서(312)의 신호를 받은 PLC(316)가 벨트 콘베이어(207)의 전원을 OFF 시키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괴코크스제거바(306)는 파쇄된 미립 분체와 접촉하면서 미립 분체의 수분에 의한 부착현상으로 그 간격이 협소해져서 감지센서(312)의 오동작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회전축(303)과 함께 회전하는 크리너 브러쉬(301)를 통해 괴코크스제거바(306)를 소제하여 상기 괴코크스제거바(306)가 항상 청결하게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1, 2차 선별용 스크링에서 미파쇄된 상태로 벨트 콘베이어를 타고 이동하는 괴코크스를 조기에 검출하여 소결용 원료에 혼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융착광 제거와 같은 위험 작업이나 벨트 콘베이어의 소손에 따른 화재 방지용 살수작업이 회피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미살수 작업에 따라 생산성 향상과 함께 업무의 과부하가 해소되고, 상시 작업자가 선별된 코크스 입도를 주기적으로 감시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불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괴코크스가 1, 2차 선별용 스크린을 통해 사분되고, 파쇄된 분코크스가 벨트 콘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벨트 콘베이어(207)의 상부를 가로 질러 고정설치되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력발생부를 통해 얻어진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의 회전력을 통해 회전하면서 미파쇄된 괴코크스(205)를 걸러내는 괴코크스제거부와,
    상기 괴코크스제거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벨트 콘베이어(207)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파쇄 코크스 검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는 구동모터(309)와, 상기 구동모터(309)에 연결된 제 1회전축(3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파쇄 코크스 검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회전축(303)에는 원통형의 크리너 브러쉬(301)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크리너 브러쉬(301)의 외면에는 다수개의 브러쉬(301-1)가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파쇄 코크스 검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1쌍의 체인 휠(307,308)과, 상기 체인휠(307,308)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체인(3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파쇄 코크스 검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괴코크스제거부는 제 2회전축(305)과, 상기 제 2회전축(305)에 설치된 괴코크스제거바(3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파쇄 코크스 검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다수개의 터치봉(313)이 설치된 검출바(310)와, 상기 검출바(310)에 부착된 터치바(311)와, 상기 터치바(311)와 대향되게 설치된 감지센서(312)와, 상기 감지센서(312)의 신호에 의해 상기 벨트 콘베이어(207)의 전원을 제어하는 PLC(3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파쇄 코크스 검출 장치.
KR1019990031597A 1999-07-31 1999-07-31 미파쇄 코크스 검출 장치 KR200100119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597A KR20010011964A (ko) 1999-07-31 1999-07-31 미파쇄 코크스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597A KR20010011964A (ko) 1999-07-31 1999-07-31 미파쇄 코크스 검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964A true KR20010011964A (ko) 2001-02-15

Family

ID=19605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597A KR20010011964A (ko) 1999-07-31 1999-07-31 미파쇄 코크스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196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249A (ko) * 2002-04-03 2003-10-10 주식회사 포스코 신터 스크린 괴광 검출 파쇄장치
KR100775307B1 (ko) * 2001-11-05 2007-11-08 주식회사 포스코 리크레이머 장비의 동결광 처리장치
KR100941483B1 (ko) * 2003-05-02 2010-02-10 주식회사 포스코 생석회 소성로의 괴광 파쇄장치
KR101224015B1 (ko) * 2011-05-27 2013-01-22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탄 파쇄장치 및 리크레이머 장치
KR101328269B1 (ko) * 2011-11-30 2013-11-14 주식회사 포스코 스크린의 이상상태 검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307B1 (ko) * 2001-11-05 2007-11-08 주식회사 포스코 리크레이머 장비의 동결광 처리장치
KR20030079249A (ko) * 2002-04-03 2003-10-10 주식회사 포스코 신터 스크린 괴광 검출 파쇄장치
KR100941483B1 (ko) * 2003-05-02 2010-02-10 주식회사 포스코 생석회 소성로의 괴광 파쇄장치
KR101224015B1 (ko) * 2011-05-27 2013-01-22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탄 파쇄장치 및 리크레이머 장치
KR101328269B1 (ko) * 2011-11-30 2013-11-14 주식회사 포스코 스크린의 이상상태 검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2935B2 (ja) 炭素繊維を含む廃プラスチックの処理方法
CN103350017A (zh) 机制天然砂级配调整系统及天然砂的制作方法
CN110152855B (zh) 一种高炉矿渣粉加工工艺
CN115055270A (zh) 一种氧化铝微粉生产用自动筛分系统
CN108339655B (zh) 一种中速磨煤机旋转喷嘴结构
KR20010011964A (ko) 미파쇄 코크스 검출 장치
CN211329564U (zh) 一种化工原料粉碎装置
US4388876A (en) Ash removal system
WO2015009005A1 (ko) 성형탄 제조 장치
CN111520735A (zh) 逐级减量制煤系统
CN215983887U (zh) 一种用于清除炉底结料层的装置
KR20010029437A (ko) 환원철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109590068A (zh) 一种矿山开采用高效防尘式粉碎装置
CA2392407A1 (en) Moving-hearth heating furnace and method for making reduced metal agglomerates
CN211677916U (zh) 环保型矿石粉碎除杂机
CN217857345U (zh) 旋转分离机、磨煤机及磨煤工艺系统
CN212348896U (zh) 一种火力发电厂用自动下料型磨煤机
CN219400375U (zh) 一种矿渣磨铺料装置
CN216716757U (zh) 一种新型栅板式物料冷却机
CN214765832U (zh) 一种建筑垃圾粉碎装置
CN214391129U (zh) 一种用于矿渣粉生产的分级筛分装置
CN212040947U (zh) 一种辊式破碎机传动机构
JP3637230B2 (ja) 熱分解ドラム設備のメンテナンス方法及びメンテナンス用装置
CN220048477U (zh) 一种用于矿山高镁废石破碎机的筛分下料装置
CN220144032U (zh) 一种焦化灰筛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