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1220A - 인삼엽을 주원료로 하는 인삼녹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삼엽을 주원료로 하는 인삼녹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1220A
KR20010011220A KR1019990030474A KR19990030474A KR20010011220A KR 20010011220 A KR20010011220 A KR 20010011220A KR 1019990030474 A KR1019990030474 A KR 1019990030474A KR 19990030474 A KR19990030474 A KR 19990030474A KR 20010011220 A KR20010011220 A KR 20010011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leaves
green tea
powder
lico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1750B1 (ko
Inventor
김오수
Original Assignee
김석순
배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순, 배순자 filed Critical 김석순
Priority to KR1019990030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1750B1/ko
Publication of KR20010011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5Conduits for heating by means of liquids, e.g. used as frame members or for soil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공정을 거쳐 불순물을 제거한 인삼잎을 초산함량 10%의 식초를 1~2% 첨가시킨 88~95%의 수중에 1,2분간 침지시킨 후, 표면에 침착된 펙틴성분을 세척 제거하고, 수분함량 6~9%로 음건시킨 후 분말화한 인삼잎 분말 2.0~2.2중량부에 갈근 분말 0.6~0.7중량부, 감초 0.2~0.4중량부를 혼합하여 용기에 충진시킨 후 110~120℃에서 20~40분간 살균처리하고 급냉시켜 주는 인삼엽을 주원료로 하는 인삼녹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잎은 차나무 잎보다 저가로 구득할 수 있으며, SOD, 엽록소 등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이를 원료로하여 녹차를 제조하게 되면 인삼 특유의 향미를 내면서 차나무 녹차보다도 유효성분을 다량 함유한 녹차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삼엽을 주원료로 하는 인삼녹차의 제조방법{A Preparing Method for Ginseng Green Tea from Ginseng Leafs}
본 발명은 인삼엽(人蔘葉)을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한약재(韓藥材)로 사용되는 갈근(葛根)과 감초(甘草)를 첨가하여서 되는 녹차(綠茶)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는 차나무(茶樹)의 잎(葉)을 원료로 하여 제조되며 차나무의 잎을 발효시켜서 제조되는 것을 홍차(紅茶)라 하고 발효시키지 않고 그대로 증기로 쪄서 산화효소를 파괴시킨후 비벼서 말려 제조되는 것을 녹차(綠茶)라 하는데 녹차에는 차나무잎의 엽록소가 거의 남아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차나무 잎 대신에 인삼잎(人蔘葉)을 원료로 하는 녹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라센(Panacene), 사포닌(Saponin), 파나퀼론(Panaquilon), 파낙신(Panaxin), 비타민 A, B, C 및 당류와 콜린(Coline)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인삼은 예로부터 인체의 신진대사(新陳代謝)를 촉진시키고 강장작용(强壯作用)을 하는 보약(補藥)으로 애용되어 왔으며 한방(韓方)에 따르면 신경을 안정시켜 주고 스트레스성 자극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주며 혈당을 강하시켜 주고 면역기능을 강화시켜 주는 약리 효과가 우수한 한약재로서 널리 알려져 있어, 건강에 균형을 잃기가 쉬운 여름철의 보신 및 보양식품인 삼계탕이나 기호 식품인 인삼차의 원료로 이용되고 있다.
인삼차는 인삼이나 미삼(尾蔘)의 액을 추출하여 분말로 만든 것이다.
인삼 수확시 안삼옆은 용도가 없어 거의 폐기 처리되고 있으나 인삼옆에도 인삼의 유효성분이 미량이지만 거의 모두 포함되어 있어, 한방에서는 항이뇨작용, 식이성 고혈당에 대한 혈당강하작용, 저혈당에 대한 혈당 상승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삼잎 중에는 수퍼옥시드디스무타제(Super oxide dismutase : 이하 SOD라 한다)가 함유되어 있으며 한국산 인삼잎에는 인삼잎 g당 약 6unit가 함유되어 있다.
이 SOD는 초산화물 불균화(超酸化物 不均化) 효소로서 독성으로 부터 생물을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는 인삼 수확시 거의 버리다 시피하는 인삼잎에도 인삼의 유효성분이 미량이지만 모두 함유되어 있고, 인삼 특유의 향미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을 뿐만아니라 녹차가 구비하여야 하는 엽록소(Chlorophyl)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녹차의 원료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삼 수확시 거의 버리다 싶이하는 인삼잎을 주원료로 하고 인삼 특유의 향미를 갖는 인삼녹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녹차는 인삼잎, 갈근 및 감초를 원료로 하여 구성되는데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인삼잎의 처리공정〉
인삼잎→세척→제독 및 불순물제거→증열(蒸熱)처리→세척→음건(陰乾)→분말화
〈갈근 및 감초의 처리공정〉
감초·갈근→탈피→세척→불순물제거→열처리→세척→음건→분말화
상기 공정을 거쳐 제조된 인삼잎, 갈근 및 감초 분말을
인삼잎 2.0~2.2 중량부
갈근 0.6~0.7 중량부
감초 0.2~0.4 중량부
범위로 혼합하여 통상의 엽차와 같이 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 공정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인삼잎 처리공정〉
○ 세척공정 : 인삼잎을 녹색잎만 가려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여 원료로 사용한다.
○ 제독 및 불순물 제거 : 인삼경작은 매년 3~4회식 4~6년간을 비료나 농약을 사용하여 재배하므로 인삼잎에는 농약과 비료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이들을 제거시켜줄 필요가 있다.
초산함량 10% 정도의 식초를 1~2% 첨가시킨 물에 인삼잎을 투입하여 20~30분 정도 침지시켜주면 초산의 역활로 인삼잎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농약이나 비료성분을 쉽게 중화 제거시켜 줄수 있다.
○ 증열처리 : 본 발명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공정이다.
상기의 공정을 거친 인삼잎을 88~95℃로 수중에서 가열되었을 때 식염수를 2~3% 투입 가열하여서 된 열탕에 1~2분간 동안 침지시킨 후 건저낸다. 이때 열탕의 온도가 100℃를 초과하게 되면 엽록소는 물론 인삼잎중의 유효성분이 파괴되므로 95℃ 이상을 초과하여서는 안된다. 이러한 증열처리 공정을 거치는 이유는 인삼잎 중의 산화효소를 정지시켜 녹색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서 이때 약간의 식염을 함유시켜 주게되면 녹색 고정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 세척 : 인삼잎은 섬유소로 구성되어 있어 이 세포벽 사이는 펙틴(Pectin-콜로이드성 다당류의 일종)으로 침착되어 있는데 상기 증열공정에서 점액성(粘液性)의 이 펙틴성분이 표면으로 침출되어 표면에 분포되게 되는데 가공이 끝남과 동시에 깨끗이 세척하여야 한다.
이 펙틴성분을 제거시켜 주지 않고 인삼엽에 점주성 물질이 잔류되어 있게 되면 장기 보관이 어렵게 될뿐 아니라 장기 보관시 산폐되어 악취가 나게되고 또한 녹차로서 담백한 맛을 나타낼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지나야만 인삼잎의 본래의 상태로 환원하게 된다.
○ 음건 : 이상의 열처리 공정이 끝나면 바로 음건(陰乾) 공정을 필요로 한다. 만약 양건(陽乾)하게 되면 엽록소가 탈색될 뿐아니라 유효성분이 파괴되는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식품으로서나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
건조상태는 수분함량 6%~9% 정도가 좋다.
○ 분말화 : 상기의 건조공정을 거친 인삼잎은 6~9%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를 제분기에서 분말화 한다.
〈갈근 및 감초 처리공정〉
탈피(脫皮)하는 공정을 제외하고는 인삼잎 처리공정과 동일하다. 시판되고 있는 건조갈근 또는 건조 감조를 제분기에서 분말화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인삼잎, 갈근 및 감초분말을
인삼잎 2.0~2.2 중량부
갈근 0.6~0.7 중량부
감초 0.2~0.4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용기에 충진하고 탈기시킨 후 용기를 밀봉한다.
이 제품을 110~120℃에서 20~40분간 살균처리 한다. 살균처리 후 급냉시켜 주면 장기 보관이 가능한 제품으로 완성된다.
갈근은 단맛(甘味)을 나게하며 해열(解熱), 지사(止瀉) 효과가 있는 한약재이며 감초 또한 단맛을 나게하며 해독, 항염증 효과가 있는 한약재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갈근과 감초를 첨가하는 이유는 인삼엽 만으로는 쓴맛이 높아 녹차로서의 향미를 충분히 나타나게 할 수 없기 때문이며 인삼엽에 적당량의 갈근과 감초를 첨가하여 주므로서 이들이 함유하고 있는 유효성분을 녹차에 가미시켜 주면서 인삼 특유의 향미를 갖게하여 녹차의 미감(味感)을 개선시켜 줄수 있기 때문이다.
인삼잎은 차나무 잎보다 저가로 구득할 수 있으며, SOD, 엽록소 등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이를 원료로하여 녹차를 제조하게 되면 인삼 특유의 향미를 내면서 차나무 녹차보다도 유효성분을 다량 함유한 녹차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녹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세척공정을 거쳐 불순물을 제거한 인삼잎을 초산함량 10%의 식초를 1~2% 첨가시킨 88~95%의 수중에 1,2분간 침지시킨 후, 표면에 침착된 펙틴성분을 세척 제거하고, 수분함량 6~9%로 음건시킨 후 분말화한 인삼잎 분말 2.0~2.2중량부에 갈근 분말 0.6~0.7중량부, 감초 0.2~0.4중량부를 혼합하여 용기에 충진시킨 후 110~120℃에서 20~40분간 살균처리하고 급냉시켜 주는 인삼엽을 주성분으로 하는 인삼녹차의 제조방법.
KR1019990030474A 1999-07-26 1999-07-26 인삼엽을 주원료로 하는 인삼녹차의 제조방법 KR100351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474A KR100351750B1 (ko) 1999-07-26 1999-07-26 인삼엽을 주원료로 하는 인삼녹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474A KR100351750B1 (ko) 1999-07-26 1999-07-26 인삼엽을 주원료로 하는 인삼녹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220A true KR20010011220A (ko) 2001-02-15
KR100351750B1 KR100351750B1 (ko) 2002-09-11

Family

ID=19604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474A KR100351750B1 (ko) 1999-07-26 1999-07-26 인삼엽을 주원료로 하는 인삼녹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17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442B1 (ko) * 2004-05-20 2005-10-24 정태용 차 분말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차 분말
KR100831930B1 (ko) * 2006-05-26 2008-05-23 정태용 향 덧입힘 분말의 추출물로부터 향 덧입힘 분말의 농축물 및 증류물의 제조방법 및 그 향 덧입힘 분말의 농축물 및 증류물
KR100915249B1 (ko) * 2007-08-13 2009-09-03 김형래 향미가 개선된 티백형 옥수수 수염차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762B1 (ko) 2011-12-01 2013-05-07 이은경 산삼녹차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442B1 (ko) * 2004-05-20 2005-10-24 정태용 차 분말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차 분말
KR100831930B1 (ko) * 2006-05-26 2008-05-23 정태용 향 덧입힘 분말의 추출물로부터 향 덧입힘 분말의 농축물 및 증류물의 제조방법 및 그 향 덧입힘 분말의 농축물 및 증류물
KR100915249B1 (ko) * 2007-08-13 2009-09-03 김형래 향미가 개선된 티백형 옥수수 수염차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1750B1 (ko) 2002-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7270B1 (ko) 발효숙성 흑마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숙성 흑마늘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0528147B1 (ko) 어성초와 삼백초를 주성분으로 한 추출물과 이를 응용한 환 및 발효주 제조방법
CN106954851A (zh) —种三叶青食品
KR100351750B1 (ko) 인삼엽을 주원료로 하는 인삼녹차의 제조방법
KR101988295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0768471B1 (ko) 솔방울과 솔순을 이용한 음료용 추출액의 제조 방법
KR101223746B1 (ko) 뽕나무의 잎, 뿌리 껍질 및 열매를 이용한 혼합 차
CN103271355B (zh) 含活性成分人参健康食品及其生产方法
KR101982129B1 (ko)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01174A (ko) 선인장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053407A (zh) 一种火龙果皮甜茶的制备方法
KR0146722B1 (ko) 지골피 발효주의 제조방법
WO2019039973A1 (ru) Лекарственный препарат для наруж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KR101418338B1 (ko) 곰보배추를 이용한 환의 제조 방법
CN105012727B (zh) 一种全天然男性性促进剂及其生产工艺
WO2019031995A1 (ru) Косметический и/или оздоровительный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й препарат
KR102627124B1 (ko) 산양삼을 이용한 젤리스틱의 제조방법
CN103271349B (zh) 含活性成分人参片及其生产方法
JP4500805B2 (ja) ウコギ科低木の果実を原料とする発酵酒、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64877A (ko) 다이어트 매실정과의 제조방법
KR20120071876A (ko) 장어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CN107384688A (zh) 胡枝子红三叶养生酒的酿造方法
CN112219926B (zh) 一种桦树茸明日叶茶及其制备方法
KR20230103001A (ko) 특유의 냄새와 자극성을 없애고, 맛의 효능을 높인, 천연산야초발효통흑마늘과 그 제조방법
CN105962216A (zh) 一种葫芦茶防暑清热酸菜丝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