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1194A - 전전자 교환기의 원격 시스템에서 대용량 내부호 구현방법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기의 원격 시스템에서 대용량 내부호 구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1194A
KR20010011194A KR1019990030440A KR19990030440A KR20010011194A KR 20010011194 A KR20010011194 A KR 20010011194A KR 1019990030440 A KR1019990030440 A KR 1019990030440A KR 19990030440 A KR19990030440 A KR 19990030440A KR 20010011194 A KR20010011194 A KR 20010011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a
call
data
capacity
remot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4821B1 (ko
Inventor
송춘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30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4821B1/ko
Priority to US09/625,943 priority patent/US7002954B1/en
Publication of KR20010011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8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42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 H04Q3/54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58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 H04Q3/60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for connecting to satellites or concentrators which connect one or more exchange lines with a group of local lines
    • H04Q3/605Arrangements in the satellite or concentr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17Cranckback in routing, trombone connection, loopback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83Hierarchy of switches, main and subexchange, e.g. satellite exchan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의 원격 시스템(Remote System)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전자 교환기의 원격 시스템에서 내부호 처리시 Intra Junctor의 용량에 제한을 받지 않고 대용량으로 내부호를 처리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원격 시스템에서 대용량 내부호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타임스위치 블록내에 대용량 내부호 처리시에 스위칭된 펄스부호변조 데이터를 인트라 방향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음성메모리와 제어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펄스부호변조 데이터를 호스트 시스템방향으로 송출하거나 인트라 방향으로 루핑시킬 수 있도록 호 패스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원격 시스템에서 대용량 내부호 구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성메모리에 순서대로 라이트된 상기 펄스부호변조 데이터를 상기 인트라 방향으로 스위칭 하기 위해 상기 제어메모리의 데이터 영역에 대용량 내부호 처리에 따른 인트라 호방향을 지정하는 데이터를 라이트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메모리에 라이트된 호방향 지정 데이터가 상기 대용량 내부호 처리에 따른 인트라 호방향일 경우 상기 타임스위치 블록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펄스부호변조 데이터를 상기 인트라 호방향으로 스위칭 시키도록 전 채널을 인트라 루핑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의 원격 시스템에서 대용량 내부호 구현방법{METHOD FOR PROCESSING INTRA CALL OF GREAT CAPACITY IN REMOTE SYSTEM OF FULL ELECTRONIC TELEPHONE EXCHANGE}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의 원격 시스템(Remote System)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전자 교환기의 원격 시스템에서 내부호 처리시 Intra Junctor의 용량에 제한을 받지 않고 대용량으로 내부호를 처리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원격 시스템에서 대용량 내부호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전자 교환기 원격 시스템에서는 내부호 처리시 Non-Blocking 방식이 채용되어 내부호 처리시 타임스위치의 Intra Junctor의 용량에 따라 내부호 처리용량이 제한되었다. 기존의 TDX-10 및 TDX-10A 개량형 시스템의 경우 상기 Intra Junctor의 용량이 1K Time Slot 미만으로 제공됨에 따라 상기 Non-Blocking 방식의 원격 시스템의 내부호 처리시에도 용량이 1K Time Slot 미만으로 제한되었다. 따라서, 원격 시스템에서 대용량의 호처리시에는 트래픽 제한 및 Intra Junctor의 용량에 제한을 받아 Non-Blocking 방식시 대용량 호처리는 불가능하였다. 기존의 전전자 교환기에서는 상기 Intra Junctor의 용량을 호스트 시스템과의 호환성 때문에 대용량으로 구성할 수 없었으며, 대용량 가입자의 호 처리시에는 집선기능을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했다.
상기와 같이 종래 전전자 교환기의 원격 시스템에서 내부호 처리시 Intra Junctor의 용량에 따라 자국호 용량이 제한되어 있어 4K Time Slot 이상의 대용량 원격 시스템의 내부호 구현시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호스트 링크 경로로 사용하던 대용량을 원격 시스템에서 모두 내부호 처리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원격 시스템에서 대용량 내부호 구현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전자 교환기의 원격 시스템에서 내부호 처리시 Intra Junctor용 Time Slot과 호스트 링크 경로로 사용하던 4K Time Slot을 모두 내부호 처리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원격 시스템에서 대용량 내부호 구현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타임스위치 블록내에 대용량 내부호 처리시에 스위칭된 펄스부호변조 데이터를 인트라 방향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음성메모리와 제어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펄스부호변조 데이터를 호스트 시스템방향으로 송출하거나 인트라 방향으로 루핑시킬 수 있도록 호 패스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원격 시스템에서 대용량 내부호 구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성메모리에 순서대로 라이트된 상기 펄스부호변조 데이터를 상기 인트라 방향으로 스위칭 하기 위해 상기 제어메모리의 데이터 영역에 대용량 내부호 처리에 따른 인트라 호방향을 지정하는 데이터를 라이트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메모리에 라이트된 호방향 지정 데이터가 상기 대용량 내부호 처리에 따른 인트라 호방향일 경우 상기 타임스위치 블록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펄스부호변조 데이터를 상기 인트라 호방향으로 스위칭 시키도록 전 채널을 인트라 루핑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전자 교환기 원격 시스템의 타임스위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임스위치 제어 유지보수 블록(TSCMA)의 블록구성도
도 3a, 3b는 제어메모리의 라이트 포맷 일 예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시스템의 대용량 내부호 처리 구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전자 교환기 원격 시스템의 타임스위치(TSL: Time Switch & Link)의 내부구성도이다. 상기 도 1에서 SMDXA 보드(100)는 Subhighway Multiplexer & Demultiplexer 보드로서, Subhighway(SHW 0~63)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PCM 데이터를 TSCMA 보드(200)로 송신하고, 상기 TSCMA 보드(200)을 통해 수신되는 PCM 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Subhighway(SHW 0~63)를 통해 송출한다.
상기 TSCMA(Time Switch Control Maintenance)(200) 보드는 각각의 LTRIA 보드(300)(최대 4매)에서 클럭을 받으며, RASM(Remote Access Switching Module) 내에 실장될 때를 위해서 이중화된 RNSE(Remote Network Synchroization)로부터 2쌍의 신호를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레벨로 수신한다. 상기 RASM 내의 망동기 A Side에서 1쌍, B Side에서 1쌍이 3*3 클럭 케이블로 TSBPA(Time Switch Back Panel) 내의 보조 커넥터를 통해서 들어온다. 4중화된 링크 클럭과 2중화된 망동기 클럭은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선택된 기준클럭을 TSL 블록 동기 클럭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SMDXA 보드(100)과 LTRIA 보드(300)으로 송출한다.
LTRIA(Local Optic Transfer & Reciever Interface) 보드(300)는 기준 클럭 수신 및 동기 클럭 재생을 담당하며, TSL 내부 동기 클럭 선택에 필요한 FP2, CP2 신호를 각각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레벨로, Valid 신호는 TTL 레벨로 상기 TSCMA 보드(200)로 송신한다.
TDCMA(Telephony Device Control Master)(400)는 하위 프로세서로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블록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임스위치 제어 유지보수 블록(TSCMA)의 블록구성도로서,
SMDXA Rx 정합부(201)는 상기 도 1의 SMDXA 보드(100)로부터 수신되는 PCM(Pulse Code Moduration) 데이터를 정합하는 블록으로서 SMDXA 보드당 2K Time Slot을 처리하며, 최대 4매 8K Time Slot까지 수신하여 처리한다. 상기 PCM 데이터 신호선은 LVDS 레벨로 수신한다.
클럭 수신/분배부(203)는 상기 도 1의 LTRIA 보드(300)는 상기 TSCMA 보드(200)로 입력된 상기 FP2, CP2 신호를 수신하여 이중화된 보드 각각에서 동일하게 선택된 동기 펄스 및 클럭을 이용하여 보드 내의 필요한 동기 클럭을 분배한다.
RS-485(205)는 상기 TDCMA 보드(4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을 정합하여 DC-BUS I/F(209)를 통해 인터페이싱한다.
SMDXA Tx 정합부(207)는 TSCMA 보드(200) 내에서 스위칭된 상기 PCM 데이터를 도 1의 SMDXA 보드(100)로 송출한다. SMDXA 보드당 2K Time Slot을 처리하며, 최대 4매 8K Time Slot까지 송신 처리한다. 상기 PCM 데이터 신호선은 상기 LVDS 레벨로 송신한다.
Tx 제어메모리 정합부(211)는 상기 SMDXA 보드(100)로부터 입력된 2K Time Slot 의 16.384Mbps 음성 데이터를 최대 8K Time Slot까지 Inter(S-Switch 또는 호스트 시스템) 및 Intra 방향으로 스위칭하기 위하여 음성메모리와 제어메모리로 구성되어 있다. 스위칭된 PCM 데이터는 Inter 방향(S-Switch)으로 송출하거나, 루핑(Looping)시켜 Rx 제어메모리 정합부(213)로 송출할 수가 있다. 또한, Intra(부가서비스장치) 방향의 2K Time Slot PCM 데이터는 메모리 모듈 외부에서 역다중화(demultiplexing)되어 상기 2K 중 Even 1K는 intra looping을 위하여 역다중화되며, Odd 1K는 부가서비스 쪽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역다중화 된다.
Rx 제어메모리 정합부(213)는 LTRIA 보드(300)로부터 입력된 2K Time Slot PCM 데이터 및 Inter Path로 형성된 2K Time Slot PCM 데이터를 스위칭시킨다. 상기 LTRIA 보드(300)는 최대 4K Time Slot까지 수용가능하며, 스위칭된 PCM 데이터는 상기 SMDXA 보드(100)로 LVDS 레벨로 최대 8K Time Slot까지 송출 가능하다.
Time Slot 재배치부(215)는 상기 Intra 스위칭된 PCM 데이터의 Time Slot을 재배치한다.
Sel(호 패스 제어부)(219)은 호스트 시스템(HOST System)으로의 looping 처리부로서, 호스트 시스템시 Inter Call 서비스는 상기 도 1의 LTRIA 보드(300)를 통한 호 패스가 필요없다. 따라서, S/W 제어에 의하여 전채널 루핑(looping)을 시켜 호 패스로 사용 가능하다. 최대 4K Time Slot을 사용 가능하다.
LTRIA Tx 정합부(221)는 상기 TSCMA 보드(200)내에서 스위칭된 PCM 데이터를 도 1의 LTRIA 보드(300)로 송출하며, 상기 LTRIA 보드당 2K Time Slot을 처리하며 최대 2매 4K Time Slot까지 송신 처리한다. 상기 PCM 데이터는 LVDS 레벨로 송신한다.
부가서비스 정합부(227)는 녹음안내장치, 회의통화 및 DTMF, R2신호를 처리하는 정합부로서 기준 클럭(MCLK, MFS)을 상기 TSCMA 보드(200)에서 송출한다.
LTRIA Rx 정합부(231)는 상기 LTRIA 보드(300)로부터 수신되는 PCM 데이터를 정합하는 블록으로서 상기 LTRIA 보드당 2K Time Slot까지 수신하여 처리한다. 상기 PCM 데이터는 LVDS 레벨로 수신한다.
도 3a, 3b는 제어메모리의 라이트 포맷 일 예도이다.
상기 TSL 블럭으로부터 입력되는 PCM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제어메모리에 하위 프로세서(PP)가 데이터를 라이트(WRITE)하여야 한다. 음성메모리에 차례로 라이트(Sequence Write)된 데이터를 원하는 방향으로 스위칭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메모리에 도 3과 같이 데이터를 라이트한다. 대용량 내부호 처리시는 Inter 방향의 제어메모리 데이터 영역에 Bit15(LS)에 "0"으로 세팅하면 Inter Call이 Rx 방향 음성메모리에 라이트되어 S-Switch 방향의 Inter Call이 되지 않고 Intra Call이 된다. 따라서, Intra Call 2K, 4K영역을 스위칭할 때 데이터 영역 Bit15를 이용하여 4K Inter Call을 Intra Call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 3에서 CM은 제어메모리이고, SM은 음성메모리를 지칭한다.
상기 도 3에서 제어메모리 데이터 영역은 출력용 데이터 영역(도 3a)과 입력용 데이터 영역(도 3b)로 구분되며, 상기 제어메모리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 라이트시 상기 데이터 입/출력 각각에 대한 메모리 선정과 어드레스를 선정하는 데이터 가 라이트되며, 입/출력용 메모리 종류와, 입/출력용 타임 슬롯 용량과, 인트라 정터(Intra Junctor)로 입/출력되는 서브 하이웨이 번호와, 상기 인트라 정터로 입/출력되는 채널번호를 선정하는 데이터가 라이트 된다.
또한, 출력용 데이터 영역에는 E/O(Even/Odd)를 위한 데이터가 라이트되며, 상기 입력용 데이터 영역에는 Inter 및 Intra Call를 지정하는 데이터가 라이트 되며, 상기 TSCMA 보드(200)에 의해 컷-오프-컷-비트(Cut-off-Cut-bits)삽입 및 추출을 위한 데이터가 라이트 된다.
도 4는 본 발명을 간단하게 정리한 전전자 교환기에서 원격 시스템의 대용량 내부호 처리 구현도로서,
전전자 교환기의 원격 시스템(RASM)의 내부호가 대용량일 시 이를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도 3과 같이 제어메모리 데이터 영역에 대용량 내부호처리를 위한 Intra Call을 지정하는 데이터를 라이트하여 내부호를 루핑시키는 것이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전자 교환기의 타임스위치 블록내에 대용량 내부호 처리시에 스위칭된 펄스부호변조 데이터를 인트라 방향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음성메모리와 제어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펄스부호변조 데이터를 호스트 시스템방향으로 송출하거나 인트라 방향으로 루핑시킬 수 있도록 호 패스 제어부를 구비한 후, 상기 음성메모리에 순서대로 라이트된 상기 펄스부호변조 데이터를 상기 인트라 방향으로 스위칭 하기 위해 상기 제어메모리의 데이터 영역에 대용량 내부호 처리에 따른 인트라 호방향을 지정하는 데이터를 라이트하고, 상기 제어메모리에 라이트된 호방향 지정 데이터가 상기 대용량 내부호 처리에 따른 인트라 호방향일 경우 상기 타임스위치 블록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펄스부호변조 데이터를 상기 인트라 호방향으로 스위칭 시키도록 전 채널을 인트라 루핑시키므로써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의 원격 시스템이 대용량구조인 경우 내부호 처리시 별도의 보드 및 하드웨어 형상의 추가없이 호스트 링크 경로를 내부호 처리용으로 사용하므로써 Intra Junctor의 용량에 제한을 받지 않고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용이하게 내부호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타임스위치 블록내에 대용량 내부호 처리시에 스위칭된 펄스부호변조 데이터를 인트라 방향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음성메모리와 제어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펄스부호변조 데이터를 호스트 시스템방향으로 송출하거나 인트라 방향으로 루핑시킬 수 있도록 호 패스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원격 시스템에서 대용량 내부호 구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성메모리에 순서대로 라이트된 상기 펄스부호변조 데이터를 상기 인트라 방향으로 스위칭 하기 위해 상기 제어메모리의 데이터 영역에 대용량 내부호 처리에 따른 인트라 호방향을 지정하는 데이터를 라이트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메모리에 라이트된 호방향 지정 데이터가 상기 대용량 내부호 처리에 따른 인트라 호방향일 경우 상기 타임스위치 블록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펄스부호변조 데이터를 상기 인트라 호방향으로 스위칭 시키도록 전 채널을 인트라 루핑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원격 시스템에서 대용량 내부호 구현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메모리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 라이트시 상기 데이터 입/출력 각각에 대한 메모리 선정과 어드레스를 선정하는 데이터 라이트를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원격 시스템에서 대용량 내부호 구현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메모리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 라이트시 입/출력용 메모리 종류와, 입/출력용 타임 슬롯 용량과, 인트라 정터(Intra Junctor)로 입/출력되는 서브 하이웨이 번호와, 상기 인트라 정터로 입/출력되는 채널번호를 선정하는 데이터 라이트를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원격 시스템에서 대용량 내부호 구현방법.
KR1019990030440A 1999-07-26 1999-07-26 전전자 교환기의 원격 시스템에서 대용량 내부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334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440A KR100334821B1 (ko) 1999-07-26 1999-07-26 전전자 교환기의 원격 시스템에서 대용량 내부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US09/625,943 US7002954B1 (en) 1999-07-26 2000-07-26 Method for processing a large amount of intra-calls in a remote control system of a full electronic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440A KR100334821B1 (ko) 1999-07-26 1999-07-26 전전자 교환기의 원격 시스템에서 대용량 내부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194A true KR20010011194A (ko) 2001-02-15
KR100334821B1 KR100334821B1 (ko) 2002-05-02

Family

ID=19604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440A KR100334821B1 (ko) 1999-07-26 1999-07-26 전전자 교환기의 원격 시스템에서 대용량 내부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002954B1 (ko)
KR (1) KR10033482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1358A (en) * 1984-12-10 1986-11-04 Stromberg-Carlson Corporation Remote switch for telephony switching system
US5164940A (en) * 1991-05-31 1992-11-17 Mitel Corporation Modular communication system with allocatable bandwid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4821B1 (ko) 2002-05-02
US7002954B1 (en) 2006-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25602B1 (en) Control communication in a switching system having clustered remote switching modules
EP0125605B1 (en) Channel selection in a switching system having clustered remote switching modules
US47047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wideband communication facility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narrow bandwidth channels
US4797589A (en) Dynamically reconfigurable time-space-time digital switch and network
US4322843A (en) Control information communication arrangement for a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CA1237188A (en)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control arrangement and method
US4280217A (en)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control arrangement
US4558444A (en) Switching system having selectively interconnected remote switching modules
US4885738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wideband communication facility through a switched communications network having narrow bandwidth time division multiplexed channels
JPH0552118B2 (ko)
CA2187289C (en) Grooming device for streamlining telecommunication signals
US4296492A (en) Continuity verification arrangement
EP0125604B1 (en) Switching system having remote switching capability
US4580259A (en) Switchboard control system
CA1210841A (en) Time-space-time switching network using a closed-loop link
EP0796548B1 (en) Non-blocking switching network
NL192173C (nl) PCM-schakelstelsel.
KR100334821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원격 시스템에서 대용량 내부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920005064B1 (ko) 타임 스위치 장치
US4402077A (en) Dual rail time and control unit for a duplex T-S-T-digital switching system
GB2213024A (en) Data transmission system
US5029160A (en) Line concentration system
KR970004904B1 (ko) 멀티슬롯호의 호순서 보전기능을 갖는 대용량 시분할 스위치
KR0171760B1 (ko) 디지털 전전자교환기의 cdl과 ssw의 통합구조
KR950008214B1 (ko) 종합 정보 통신망에서의 유럽 방식(cept) 트렁크 인터페이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