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0804A - 오존에 의한 정화조의 오수 처리시설 - Google Patents

오존에 의한 정화조의 오수 처리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0804A
KR20010010804A KR1019990029885A KR19990029885A KR20010010804A KR 20010010804 A KR20010010804 A KR 20010010804A KR 1019990029885 A KR1019990029885 A KR 1019990029885A KR 19990029885 A KR19990029885 A KR 19990029885A KR 20010010804 A KR20010010804 A KR 20010010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sewage
septic tank
filt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영
Original Assignee
박선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복 filed Critical 박선복
Priority to KR1019990029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0804A/ko
Publication of KR20010010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80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4Diffusers or nozzles for ozon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오지의 마을이나 학교 등의 소형 정화조 및 가축 분뇨 정화조의 방류구에 장착하여 정화조에서 배출되는 오수의 각종 오염물질과 세균 및 냄새 등을 오존을 이용하여 처리하여 방류토록 하는 정화조의 오수 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 오지의 마을이나 수자원 보호 구역 내의 학교 등의 정화조에서 발생되는 오수나 가축 분뇨 정화조에서 발생되는 축산 폐수는 유량조절조, 폭기조, 침전조 등으로 구성되는 오수정화시설이나 소형의 합병 정화시설을 설치하여 처리하고 있으나, 처리방법이 복잡하여 운전, 보수, 점검 등의 관리가 용이치 않기 때문에 별도의 관리인이 필요하고, 동력비 등의 시설 가동비가 많이 소요되는 등 운영상의 많은 문제점으로 실제로 가동이 중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정화조 방류구에 수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5단계의 각각 다른 구조의 회전날개로 형성된 교반기를 동시에 회전토록 하여 오존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오존이 포함된 공기 방울의 크기를 최소로 분쇄시켜 오존과 오수의 접촉시간 및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도록 한 교반실과 오존과의 접촉 산화물을 여과필터에 흡착시켜 제거토록 한 여과실로 구성된 시설물을 장착함으로서 미량의 오존을 이용하여 대용량의 오수를 간단하게 처리토록 한 것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정화조의 오수 처리용.

Description

오존에 의한 정화조의 오수 처리시설{The equipment to treat the dirty water of the septic tank by ozone}
본 발명은 오지의 마을이나 학교 등의 소형 정화조 및 가축 분뇨 정화조의 방류구에 장착하여 정화조에서 배출되는 오수의 각종 오염물질과 세균 및 냄새 등을 오존을 이용하여 처리하여 방류토록 하는 정화조의 오수 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오지의 마을이나 수자원 보호 구역 내의 학교 등의 정화조나 가축 분뇨 정화조에서 발생되는 오수는 유량조절조, 폭기조, 침전조 등으로 구성되는 오수정화시설이나 소형의 합병 정화시설을 설치하여 처리하고 있으나, 처리방법이 복잡하여 운전, 보수, 점검 등의 관리가 용이치 않기 때문에 별도의 관리인이 필요하고, 동력비 등의 시설 가동비가 많이 소요되는 등 운영상의 많은 문제점으로 실제로 가동이 중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정화조 방류구에 수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5단계의 각각 다른 구조의 회전날개로 형성된 교반기를 동시에 회전토록 하여 오존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오존이 포함된 공기 방울의 크기를 최소로 분쇄시켜 오존과 오수의 접촉시간 및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도록 한 교반실과 오존과의 접촉 산화물을 여과필터에 흡착시켜 제거토록 한 여과실로 구성된 시설물을 장착함으로서 미량의 오존을 이용하여 대용량의 오수를 간단하게 처리토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 일례에 의한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치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교반기의 구조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정화조 오수 처리시설 2: 기존 정화조 방류구
10: 교반실 20: 여과실
30: 오존(O3) 발생기
31: 오존 주입관 32: 오존 산기관
40: 교반기
41, 41a, 41b, 41c, 41d: 회전날개 42: 회전축
50: 필터 60: 유입구
70: 연결관 60a: 배출구
80: 필터 청소홀 90: 잔류오존 배출구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되는 구조상의 기능이 동일할 경우에는 부호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존에 의한 정화조 오수의 처리시설(1)은 정화조 방류구(2)로부터 배출되어 유입구(60)로 유입된 오수를 외부의 오존 발생기(30)에 의하여 오존 주입관(31)을 통하여 인입된 오존이 포함된 공기를 상기 오존 주입관(31)에 연장 설치된 오존 산기관(32)에 의하여 살포토록 하여 회전축(42)을 중심으로 5단계의 각각 다른 구조의 회전날개(41)(41a)(41b)(41c)(41d)로 형성된 교반기(40)의 동시 회전에 의하여 오존이 포함된 공기 방울의 크기를 최소로 분쇄시켜 오존과 반응토록 하는 교반실(10)과, 상기 교반실(10)에서 반응된 오수가 연결관(70)을 통하여 이송되면서 각종 부유물질 및 산화물 등이 필터(50)에 흡착되어 제거된 후 배출구(60a)를 통하여 방류토록 되는 여과실(20)로 구성된다.
이때 교반실(10)과 여과실(20)은 탈착이 가능토록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교반실(10)의 하단부에는 정화조의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60)가 형성되고, 외부로부터는 오존 발생기(30)에서 발생되는 오존이 포함된 공기를 주입토록 하는 오존 주입관(31)을 교반실(10)의 저면부 까지 연장된 상태에서 단부에 오존 산기관(32)을 연결토록 하여 오존 산기관(32)을 통하여 오존이 포함된 공기 입자가 교반실(10)의 하부에서 상부로 살포토록 되어 있다.
교반기(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의 회전축(42)을 중심으로 형성된 5단계의 회전날개(41)(41a)(41b)(41c)(41d)를 갖도록 하고, 회전 시 오수를 상승시키면서 회전토록 하향지게 만곡된 구조의 회전날개(41)와 오수를 교반시키도록 「∼」형태의 물결모양 구조의 회전날개(41a)와 오수를 하강시키면서 체류시간이 증대토록 상향지게 만곡된 구조의 회전날개(41b)와 오수를 다시 교반시키도록 상기 회전날개(41a)와 동일한 구조의 회전날개(41c)와 오수를 상승시키면서 교반토록 하향지게 만곡된 구조의 회전날개(41d)가 상단에서부터 단계적으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토록 되어 있다.
또한 필터(50)가 내장되어 있는 여과실(20)의 상단부에는 필터(50)에 흡착된 부유물질과 산화물 등을 제거하여 재사용토록 하기 위하여 필터(50)를 꺼내어 청소토록 하기 위한 필터 청소홀(80)이 형성되고, 오수와의 반응 후 잔류되는 오존이 배출토록 하기 위한 잔류 오존 배출구(9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교반실(10)과 여과실(20)로 구성된 정화조 오수 처리시설(1)을 기존 정화조 방류구(2)에 장착 후 정화조의 오수를 유입시키면, 먼저 교반실(10)로 유입된 오수는 서로 다른 구조의 5단계로 형성된 교반기(40)의 회전날개(41,41a,41b,41c,41d)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오존 산기관(32)으로부터 교반실(10) 하부에서 상부로 살포되는 오존이 포함된 공기 방울의 크기를 최소로 분쇄시키면서 교반실(10) 내부의 충분한 난류(turbulence)를 형성시키기 때문에 유입된 오수와 오존과의 접촉시간 및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오수에 포함된 각종 유기물의 산화를 촉진시키게 될 뿐 아니라 미량의 오존으로 다량의 오존이 발생되는 효과로 대용량의 오수등의 처리가 가능하고, 또한 오존의 강한 살균력으로 인한 세균 및 미생물의 살균 및 악취를 제거토록 되는 것이다.
이후, 교반실(10)내에서 오수와 오존의 충분한 접촉 반응이 이루어진 오수는 여과실(20)내부에 장착된 필터(50)와 탈착이 가능토록 연결된 연결관(70)에 의하여 필터(50) 내부로 유입되면서 각종 부유물질 및 유기물 등의 산화물은 필터에 의하여 여과되어 흡착되고, 처리수만이 여과실(20)의 배출구(60a)를 통하여 방류토록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존이 포함된 공기 입자를 최소한의 크기로 분쇄시키면서 오수와 오존과의 반응시간과 난류의 형성이 충분하기 때문에 미량의 오존으로도 대용량의 오수를 처리할 수 있고, 또한 보수, 점검이 용이한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별도의 관리인이 필요치 않으며 동력의 소모가 적어 운영비가 저렴한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오존 산기관(32)에 의하여 살포토록 된 오존이 포함된 공기방울을 최소로 분쇄시키기 위한 회전날개(41,41a,41b,41c,41d)가 형성된 교반실(10)과, 상기 교반실(10)에서 반응된 오수가 연결관(60)을 통하여 이송되면서 각종 부유물질 및 산화물 등이 필터(50)에 흡착되어 제거된 후 배출구(60a)를 통하여 방류토록 되는 여과실(20)로 구성됨이 특징인 오존에 의한 정화조 오수의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교반기(5)는 수직의 회전축(42)을 중심으로 회전 시 오수를 상승시키면서 회전토록 하향지게 만곡된 구조의 회전날개(41)와 오수를 교반시키도록 「∼」형태의 물결모양 구조의 회전날개(41a)와 오수를 하강시키면서 체류시간이 증대토록 상향지게 만곡된 구조의 회전날개(41b)와 오수를 다시 교반시키도록 상기 회전날개(41a)와 동일한 구조의 회전날개(41c)와 오수를 상승시키면서 교반토록 하향지게 만곡된 구조의 회전날개(41d)가 상단에서부터 5단계로 형성된 구조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에 의한 정화조 오수의 처리장치.
KR1019990029885A 1999-07-23 1999-07-23 오존에 의한 정화조의 오수 처리시설 KR200100108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885A KR20010010804A (ko) 1999-07-23 1999-07-23 오존에 의한 정화조의 오수 처리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885A KR20010010804A (ko) 1999-07-23 1999-07-23 오존에 의한 정화조의 오수 처리시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731U Division KR200168657Y1 (ko) 1999-07-23 1999-07-23 오존에 의한 정화조의 오수 처리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804A true KR20010010804A (ko) 2001-02-15

Family

ID=19603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885A KR20010010804A (ko) 1999-07-23 1999-07-23 오존에 의한 정화조의 오수 처리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080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767B1 (ko) * 2000-06-14 2003-05-01 조현종 가축분뇨 및 폐수증발장치
KR100485007B1 (ko) * 2002-12-03 2005-04-22 주식회사 바맥스 이동형 혼합 교반기의 배기장치
KR100653223B1 (ko) 2005-01-27 2006-12-05 김문달 오존살균 정수 장치
KR100886465B1 (ko) * 2007-07-20 2009-03-04 조경복 오존 및 오존 수를 이용한 악취 제거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8434563A (zh) * 2018-04-26 2018-08-24 成都吱吖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医疗美容养生造水装置
KR20200046493A (ko) * 2018-10-24 2020-05-07 김홍근 수산용수 복합 처리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767B1 (ko) * 2000-06-14 2003-05-01 조현종 가축분뇨 및 폐수증발장치
KR100485007B1 (ko) * 2002-12-03 2005-04-22 주식회사 바맥스 이동형 혼합 교반기의 배기장치
KR100653223B1 (ko) 2005-01-27 2006-12-05 김문달 오존살균 정수 장치
KR100886465B1 (ko) * 2007-07-20 2009-03-04 조경복 오존 및 오존 수를 이용한 악취 제거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8434563A (zh) * 2018-04-26 2018-08-24 成都吱吖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医疗美容养生造水装置
KR20200046493A (ko) * 2018-10-24 2020-05-07 김홍근 수산용수 복합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5742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wastewater using ozone activated flotation
CN108640377A (zh) 一种污水安全高效环保治理设备
CN108911023A (zh) 一种循环式异相光催化氧化处理系统及处理方法
JP2010000498A (ja) スクリーン処理装置
KR102063343B1 (ko) 화학 응집 침전 여과장치
KR20010010804A (ko) 오존에 의한 정화조의 오수 처리시설
CN213446542U (zh) 一种印染废水微絮凝变孔隙直接过滤装置
CN209522730U (zh) 一种多级化污水处理设备
KR101225014B1 (ko) 축산용 폭기장치
KR102133411B1 (ko) 수산용수 복합 처리장치
CN208038266U (zh) 一种一体化医院污水处理装置
KR200168657Y1 (ko) 오존에 의한 정화조의 오수 처리시설
CN109502902A (zh) 一种多极化污水处理装置
CN213865671U (zh) 一种建筑工程废水处理装置
CN207986751U (zh) 一种循环式异相光催化氧化处理系统
CN211198960U (zh) 带紫外线消毒器及螺旋管的实验室废水处理设备
JP2004313847A (ja) 気液溶解装置、これを用いた水処理システム、及び水処理方法
CN209010335U (zh) 一种城市废水处理系统
JP2004351266A (ja) 汚水の処理システム
CN207483553U (zh) 循环处理的工业污水净化装置
CN208055124U (zh) 一种污水高效处理装置
CN207276382U (zh) 一种污水净化处理站
KR100274168B1 (ko) 합병처리 정화장치
CN212532655U (zh) 一种生活污水处理过滤装置
CN215208843U (zh) 一种血液科废水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