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9988A - 공사현장용 간이 지하수정화장치 - Google Patents

공사현장용 간이 지하수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9988A
KR20010009988A KR1019990028652A KR19990028652A KR20010009988A KR 20010009988 A KR20010009988 A KR 20010009988A KR 1019990028652 A KR1019990028652 A KR 1019990028652A KR 19990028652 A KR19990028652 A KR 19990028652A KR 20010009988 A KR20010009988 A KR 20010009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ation tank
water
groundwater
underground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8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2677B1 (ko
Inventor
손기상
Original Assignee
노영배
주식회사 새론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영배, 주식회사 새론시스템 filed Critical 노영배
Priority to KR1019990028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2677B1/ko
Publication of KR20010009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9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6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6Settling tank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and mainten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6Contaminated groundwater or leach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발명은 공사현장의 굴착위치에서 용출되는 지하수에 함유되어 있는 토사를 확실하게 걸러주어서, 공사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용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공사현장용 간이 지하수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의 기술구성상의 특징은; 공사현장의 굴착위치에 용출된 지하수를 양수하도록 배관되는 인입관로(11)를 가지며 내부에 유입되는 지하수를 침전처리하여 주는 침전조(10)와, 상기 침전조(10)의 유출측에 연결 배관되는 연결관로(21)를 가지며 침전처리된 지하수를 내부에 저장하여 주는 저장탱크(20)로 구성하고, 상기 침전조(10)는 그 내부에 인입관로(11)의 말단부로부터 길게 연장되어서 수개의 분출공(12a)들이 배열 형성되는 분출관(12)을 설치하며, 상기 침전조(10) 내부 일측의 상부로부터 하향 단차지는 복수의 걸름단층(13)들의 최하부에 집수홀(A)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사현장용 간이 지하수정화장치{An Water Tank for Recycling Water at Construction Sites}
본발명은 공사현장의 굴착위치에서 용출되는 지하수에 함유되어 있는 토사를 확실하게 걸러주어서, 공사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용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공사현장용 간이 지하수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사현장에서 각종의 구조물을 구축할 때에 지중 굴착작업을 수반하게 되는 바,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지중 굴착위치에는 많은 량의 지하수가 용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공사현장의 지중 굴착위치에서 용출되는 지하수는 공사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용수로 활용하기에 손색이 없는 수질을 유지하고 있으나, 지하수 활용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양수된 지하수를 하천이나 하수구에 그대로 방류시킴으로써, 지하수를 고갈시키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방류된 지하수가 하천의 하수와 섞이면서 하수처리량이 불필요하게 증가되어 하수처리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또한, 공사현장에서 활용가치가 높은 지하수는 그대로 방류시키는 한편 공사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용수는 값비싼 수돗물을 사용하게 되어 비경제적으로 구조물공사를 수행하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사현장의 굴착위치에 용출된 지하수에 함유되어 있는 토사를 확실하게 걸러 주어서, 공사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양질의 용수로 정화시켜주는 지하수정화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에 있다.
본발명은 굴착위치에서 양수되어서 다량의 토사를 함유하고 있는 지하수를 확실하게 걸러주도록 구성하여서, 공사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양질의 용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공사현장용 간이 지하수정화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발명 지하수정화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2는 본발명 지하수정화장치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일부절결 일측면도
도3는 본발명의 침전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4는 본발명 다른실시예의 침전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침전조 11: 인입관로 11a: 수중펌프
12: 분출관 12a: 분출공 13: 걸름단층
A: 집수홀 14: 토사청소구 14a: 덮개판
14b: 기밀패킹 15: 받침부재 16: 여과포
20: 저장탱크 21: 연결관로 21a: 여과망
22: 용수공급관 22a: 개폐밸브 23: 출입통로
23a: 덮개판 24: 드레인밸브 25: 받침부재
본발명의 공사현장용 간이 지하수정화장치는 도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사현장의 굴착위치에 용출된 지하수를 양수하도록 배관되는 인입관로(11)를 가지며 내부에 유입되는 지하수를 침전처리하여 주는 침전조(10)와, 상기 침전조(10)의 유출측에 연결 배관되는 연결관로(21)를 가지며 침전처리된 지하수를 내부에 저장하여 주는 저장탱크(20)로 구성하고, 상기 침전조(10)는 그 내부에 인입관로(11)의 말단부로부터 길게 연장되어서 수개의 분출공(12a)들이 배열 형성되는 분출관(12)을 설치하며, 상기 침전조(10) 내부 일측의 상부로부터 하향 단차지는 복수의 걸름단층(13)들의 최하부에 집수홀(A)이 형성되도록 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다시말해서, 본발명의 공사현장용 간이 지하수정화장치는 도2 및 도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인입관로(11)로부터 양수된 지하수를 침전조(10) 내의 분출관(12)으로 분출시켜서 걸름단층(13)들을 통하여 단계적으로 토사를 걸러주고, 침전처리된 순수한 지하수는 집수홀(A)에 집수되어서 연결관로(21)를 경유하여 저장탱크(20)에 저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굴착위치에서 양수된 지하수에 함유되어 있는 토사를 확실하게 걸러주어서, 공사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양질의 용수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은 첫째 공사현장에서 그대로 방류되는 지하수를 양질의 용수로 정화시켜서 활용가치가 높은 자원이 불필요하게 낭비됨을 방지하여 주며, 둘째 공사현장에서는 지하수를 정화시켜서 얻어진 저렴한 용수를 사용하게 되는 만큼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침전조(10)는 박스형상으로서 굴착위치로부터 연장되는 인입관로(11)가 연결 배관되도록 설치되며, 그 인입관로(11)를 통하여 양수되어 유입된 지하수를 침전처리하여 주도록 구성된다.
상기 침전조(10)는 그 내부에 인입관로(11)의 말단부로부터 길게 연장되어서 분출공(12a)들이 배열 형성되는 분출관(12)를 설치하고, 일측 상부로부터 하향 단차지는 복수의 걸름단층(13)들을 두고, 그 걸름단층(13)들의 최하부에 집수홀(A)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 침전조(10)는 굴착위치에서 인입관로(11)를 통하여 양수되어 다량의 토사를 함유하고 있는 지하수를 분출관(12)의 분출공(12a)들로서 걸름단층(13)을 향하여 분출시켜서, 지하수에 함유된 토사는 자중에 의하여 각각의 걸름단층(13)에 침전되도록 하고, 순수한 지하수만이 걸름단층(13)들 타고 흘러넘쳐서 집수홀(A)에 집수되기 때문에, 지하수에 함유되어 있는 토사를 확실하게 걸러 주게 되는 것이다.
본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걸름단층(13)들은 그 각각의 걸름단층들이 서로 만나는 모서리를 기준으로 내향 경사지게 형성하여서, 걸름단층(13)에 일단 침전된 토사가
지하수에 의하여 쓸려내리지 않도록 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침전조(10)는 그 내부의 걸름단층(13)들과 연계되는 어느 일면에 개폐가능하도록 덮개판(14a)이 착설된 토사청소구(14)를 설치하여서, 상기 걸름단층(13)에 침전되어 있는 토사를 손쉽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토사청소구(14)의 덮개판(14a)내측의 가장자리에 기밀패킹(14b)을 부설하여서 누수가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한다.
또, 상기 침전조(10)의 인입관로(11) 선단에는 굴착위치에 잠겨서 지하수를 강제로 양수할 수 있도록 수중펌프(11a)를 설치하여서 된다.
여기에서, 상기 침전조(10)는 그 하부 바닥을 받침부재(15)들로서 높게 떠받쳐 주어서, 상기 침전조(10) 내의 집수홀(A)에 집수된 순수한 지하수를 저장탱크(2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저장탱크(20)는 그 내부에 지하수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는 박스형상으로서 상기 침전조(10)의 유출측에 연이어지는 연결관로(21)를 가져서, 상기 침전조(10)로부터 침전처리된 순수한 지하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저장탱크(20)는 상기 침전조(10)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침전조(10)의 집수홀(A)로부터 연이어지는 연결관로(21)를 하향 경사지게 연결 배관하여서 상기 침전조(10)로부터 낙차에 의하여 순수한 지하수가 유입되도록 설치하여서 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로(21)의 선단부에는 여과망(21a)을 착설하여서, 상기 침전조(10)로부터 유입되는 지하수에 함유된 미세한 토사를 걸러주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20)의 일면에는 개폐밸브(22a)가 착설된 용수공급관(22)을 연결 배관하여서, 저장탱크(20)로부터 공사현장에서 필요한 용수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장탱크(20)으로부터 용수를 직접 인출하여서 사용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이 저장탱크(20)을 보조침전조로 하고 별도의 저수조를 통하여 용수를 인출하여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또, 상기 저장탱크(20)의 상부에 절첩식으로서 개폐가능하도록 덮개판(23a)이 덮여지는 출입통로(23)를 설치하고, 상기 저장탱크(20)의 바닥은 전방을 향하여 경사져서 물구배를 이루도록 하고 일정위치에 드레인밸브(24)를 설치하여서, 상기 저장탱크(20) 내에 침전된 미량의 토사를 손쉽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저장탱크(20)는 그 하부 바닥을 받침부재(25)들로 떠받쳐서 상기 침전조(10) 보다 낮은 높이로서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한다.
한편, 도4는 본발명 다른실시예의 침전조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침전조(10) 내부의 걸름단층(13)들의 형태가 그대로 들어나도록 덮어씌워지는 여과포(15)를 구비하여서, 상기 걸름단층(13)에 침전되는 토사가 여과포(16)에 침착되게 하여서 지하수를 더욱 확실하게 침전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발명은 굴착위치에서 양수되어 다량의 토사를 함유하고 있는 지하수를 확실하게 걸러 주어서, 공사현장에서 그대로 방류되는 지하수를 용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공사현장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용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서 공사비용을 절감시켜 주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공사현장의 굴착위치에 용출된 지하수를 양수하도록 배관되는 인입관로(11)를 가지며 내부에 유입되는 지하수를 침전처리하여 주는 침전조(10)와, 상기 침전조(10)의 유출측에 연결 배관되는 연결관로(21)를 가지며 침전처리된 지하수를 내부에 저장하여 주는 저장탱크(20)로 구성하고, 상기 침전조(10)는 그 내부에 인입관로(11)의 말단부로부터 길게 연장되어서 수개의 분출공(12a)들이 배열 형성되는 분출관(12)을 설치하며, 상기 침전조(10) 내부 일측의 상부로부터 하향 단차지는 복수의 걸름단층(13)들의 최하부에 집수홀(A)이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현장용 간이 지하수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단층(13)들은 그 각각의 걸름단층들이 서로 만나는 모서리를 기준으로 내향 경사지게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현장용 간이 지하수정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10)는 그 내부의 걸름단층(13)들과 연계되는 어느 일면에 개폐가능하도록 덮개판(14a)이 착설된 토사청소구(14)를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현장용 간이 지하수정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10) 내부의 걸름단층(13)들의 형태가 그대로 들어나도록 덮어씌워지는 여과포(15)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현장용 간이 지하수정화장치.
KR1019990028652A 1999-07-15 1999-07-15 공사현장용 간이 지하수정화장치 KR100312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652A KR100312677B1 (ko) 1999-07-15 1999-07-15 공사현장용 간이 지하수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652A KR100312677B1 (ko) 1999-07-15 1999-07-15 공사현장용 간이 지하수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988A true KR20010009988A (ko) 2001-02-05
KR100312677B1 KR100312677B1 (ko) 2001-11-03

Family

ID=19601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8652A KR100312677B1 (ko) 1999-07-15 1999-07-15 공사현장용 간이 지하수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26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0622A1 (ko) * 2015-07-13 2017-01-19 (주) 덕성기업사 무동력관내혼화장치, 상기 무동력관내혼화장치의 작동방법 및 수처리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0622A1 (ko) * 2015-07-13 2017-01-19 (주) 덕성기업사 무동력관내혼화장치, 상기 무동력관내혼화장치의 작동방법 및 수처리시스템
CN106659989A (zh) * 2015-07-13 2017-05-10 株式会社德盛企业社 无动力管内混合装置及其操作方法以及水处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2677B1 (ko) 200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653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286960B1 (ko) 침전 및 여과 일체형 우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저류 시스템
KR101242378B1 (ko) 부유체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545448B1 (ko) 초기우수의 수처리 시스템
KR20090087525A (ko) 오수정화용 여과시스템
KR20050003330A (ko) 초기 우수를 배제한 청정 우수 포집 장치
KR102488107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186604B1 (ko) 활성바이오 담체를 이용한 비점오염처리장치
KR100767754B1 (ko) 정화시설 내부 저장수를 이용하여 물청소하는 오염수다중정화시설 및 오염수 정화방법
KR102060940B1 (ko) 다단계 빗물 저장탱크를 이용한 빗물 저장 및 수질 처리 시스템
JP5500691B2 (ja) 廃水を収容および処理するシステムと方法
KR100994248B1 (ko) 수처리 시스템
KR200205193Y1 (ko) 상수도용간이여과장치
KR100927631B1 (ko) 생물막 여재를 이용한 비점 오염물 저감장치
KR102118557B1 (ko) 우수의 처리를 위한 여과 장치
CN107514045A (zh) 下凹式绿地
KR100312677B1 (ko) 공사현장용 간이 지하수정화장치
KR20090089542A (ko) 취수용 물탱크
JP4122492B2 (ja) 工場廃水処理装置
CN217555958U (zh) 一种水产养殖废水处理装置
JP4355773B2 (ja) 水槽装置
KR102046131B1 (ko) 초기우수 수질 처리 시스템
KR20230065482A (ko) 계단식 스크린을 구비한 비점오염저감시설
CN213192839U (zh) 一种山区溪流水杂质过滤池
KR102653647B1 (ko) 여과형 비점오염 저감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