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9398A - 냉장고의 증발 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증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9398A
KR20010009398A KR1019990027750A KR19990027750A KR20010009398A KR 20010009398 A KR20010009398 A KR 20010009398A KR 1019990027750 A KR1019990027750 A KR 1019990027750A KR 19990027750 A KR19990027750 A KR 19990027750A KR 20010009398 A KR20010009398 A KR 20010009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refrigerator
refrigerant
air
flow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욱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27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9398A/ko
Publication of KR20010009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939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25B39/022Evaporators with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spirally coi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을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하여 상기한 음식물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동실에 구비된 증발실에 설치되어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 상측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어 증발기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상기한 냉동실로 공급하는 횡형의 크로스 플로우 팬을 포함한 냉장고의 증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증발기의 하측에서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Cross flow fan)을 향해 상승되는 냉기가 증발기의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흐르게 되어 상기 증발기의 열전달 손실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증발기에 의한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증발 장치{Evaporation apparatus of refrigerator}
본 발명은 음식물을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하여 상기한 음식물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의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흐를 수 있도록 좌우로 길게 형성된 횡형의 크로스 플로우 팬(Cross flow fan)을 증발기의 상측에 설치한 냉장고의 증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냉동 시스템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증발 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증발실의 요부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냉장고의 냉동 시스템을 설명하면, 먼저, 압축기(1)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 고온고압의 증기상태로 변화된 후 응축 장치의 응축기(2)로 흡입되면, 상기 응축기(2)는 열을 방출하여 냉매를 상온고압의 액상태로 변화시킨다.
이후, 상기 응축기(2)에 의해 응축된 냉매는 모세관(4)을 지나면서 그중 일부가 감압됨으로써 액체와 기체가 혼합된 2상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모세관(4)을 통과하여 증발 장치의 증발기(11)로 흡입된 냉매는 완전히 기화되면서 주위의 열을 빼앗아 주변을 냉각시키게 되고, 이렇게 상기 증발기(11)에 의해서 냉각된 공기가 냉동실과 냉장실로 각각 제공된다.
상기에서, 응축 장치와 증발 장치는 상기 응축기(2)와 증발기(11)의 방열 작용과 흡열 작용을 돕기 위한 팬(3)(6)을 각각 포함하고 있다.
특히,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증발 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에 구비된 증발실에 설치되어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11)와, 상기 증발기(11)의 상측 중앙에 설치되어 증발기(11)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상기한 냉동실로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증발기(11)의 흡열 작용을 돕는 축류팬(13)과, 상기 증발기(11)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증발기(11)의 표면에 발생되는 결빙을 방지하는 제상선(15)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증발실에는 증발기(11)와 압축기 사이에 위치되도록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17)가 설치되고, 상기 어큐뮬레이터(17)는 액체 상태의 냉매와 기체 상태의 냉매를 분리하여 상기 압축기를 향해 기체 상태의 냉매만을 보내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증발실은 증발기(11) 및 축류팬(13)이 냉동실과 분리되도록 그 사이에 설치된 쉬라우드(Shroud)(19)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증발 장치에서는, 먼저, 증발실로 제공된 공기가 증발기(11)를 통과하면서 상기 증발기(11)의 내부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각된다. 이후, 상기 증발기(11)를 통해 냉각된 공기가 축류팬(13)의 회전력에 의하여 냉동실로 공급되어 상기한 냉동실에 보관된 음식물을 냉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증발기(11)를 통과하면서 기화한 냉매는 어큐뮬레이터(17)를 거쳐 압축기로 들어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증발 장치에서는, 상기 증발기(11)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냉장실로 공급하기 위한 팬이 축류팬(13)이고, 상기 축류팬(13)은 증발기(11)의 상측 중앙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팬 유동의 특성상 상기 증발기(11)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되는 공기가 증발기(11) 상단의 중앙으로 몰리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증발 장치는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11) 상단의 양측면에 증발기(11)를 통해 냉각된 냉기가 흐르지 않게 되는 데드존(Dead zone)이 형성되고, 상기한 데드존의 열전달량이 현저히 떨어지면서 상기 증발기(11)의 전체 열전달량에 많은 손실이 발생되어 증발기(11)에 의한 열교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증발기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냉동실로 공급하기 위한 팬에 상기 증발기의 상측에 좌우로 길게 설치된 횡형의 크로스 플로우 팬(Cross flow fan)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증발기의 하측에서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을 향해 상승되는 냉기가 증발기의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흐르게 되어 상기 증발기의 열전달 손실이 방지되도록 하는 냉장고의 증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냉동 시스템이 도시된 블록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증발 장치가 도시된 정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증발실의 요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증발 장치가 도시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증발실의 요부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증발기 53 : 크로스 플로우 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증발 장치의 특징은, 냉동실에 구비된 증발실에 설치되어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 상측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어 증발기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상기한 냉동실로 공급하는 횡형의 크로스 플로우 팬을 포함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한 크로스 플로우 팬에 의하여 증발기의 하측에서 크로스 플로우 팬을 향해 상승되는 냉기가 증발기의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흐르게 되므로 상기 증발기의 열전달 손실이 방지되어 증발기에 의한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증발 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증발실의 요부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증발 장치는 냉동실에 구비된 증발실에 설치되어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51)와, 상기 증발기(51)의 상측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어 증발기(51)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상기한 냉동실로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증발기(51)의 흡열 작용을 돕는 크로스 플로우 팬(53)과, 상기 증발기(51)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증발기(51)의 표면에 발생되는 결빙을 방지하는 제상선(55)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증발실에는 증발기(51)와 압축기 사이에 위치되도록 어큐뮬레이터(57)가 설치되고, 상기 어큐뮬레이터(57)는 액체 상태의 냉매와 기체 상태의 냉매를 분리하여 상기 압축기를 향해 기체 상태의 냉매만을 보내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증발실은 증발기(51) 및 크로스 플로우 팬(53)이 냉동실과 분리되도록 그 사이에 설치된 쉬라우드(59)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증발 장치에서는, 먼저, 증발실로 제공된 공기가 증발기(51)를 통과하면서 상기 증발기(51)의 내부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각된다.
이후, 상기 증발기(51)를 통해 냉각된 공기가 크로스 플로우 팬(53)의 회전력에 의하여 냉동실로 공급되어 상기한 냉동실에 보관된 음식물을 냉동시킨다. 이때,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53)은 증발기(51)의 하측에서 올라오는 공기의 방향을 전환시켜 유입 방향과 직교되는 전방으로 공급한다.
특히,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53)은 좌우로 길게 형성된 횡형이기 때문에 상기 증발기(51)의 하측에서 크로스 플로우 팬(53)을 향해 상승되는 공기가 증발기(51)의 전면에 걸쳐 평행하게 흐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51)의 어느 부분에도 냉기가 흐르지 않는 데드존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증발기(51)의 열전달 손실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냉동실로 냉기가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증발기(51)를 통과하면서 기화한 냉매는 어큐뮬레이터(57)를 거쳐 압축기로 들어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동작되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증발 장치는, 증발기(51)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냉장실로 공급하기 위한 팬에 횡형의 크로스 플로우 팬(53)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증발기(51)의 하측에서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53)을 향해 상승되는 냉기가 증발기(51)의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증발기(51)의 열전달 손실이 방지되어 증발기(51)에 의한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냉동실에 구비된 증발실에 설치되어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 상측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어 증발기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상기한 냉동실로 공급하는 횡형의 크로스 플로우 팬(Cross flow fan)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증발 장치.
KR1019990027750A 1999-07-09 1999-07-09 냉장고의 증발 장치 KR200100093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750A KR20010009398A (ko) 1999-07-09 1999-07-09 냉장고의 증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750A KR20010009398A (ko) 1999-07-09 1999-07-09 냉장고의 증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398A true KR20010009398A (ko) 2001-02-05

Family

ID=19600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750A KR20010009398A (ko) 1999-07-09 1999-07-09 냉장고의 증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939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3761Y1 (ko) * 1994-08-17 1998-04-13 윤종용 냉장고의 응축기 설치구조
KR19980054996U (ko) * 1996-12-31 1998-10-07 오상수 냉장고의 증발기유닛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3761Y1 (ko) * 1994-08-17 1998-04-13 윤종용 냉장고의 응축기 설치구조
KR19980054996U (ko) * 1996-12-31 1998-10-07 오상수 냉장고의 증발기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02651U (ja) 2個の蒸発器を備えた冷蔵庫の冷凍装置
EP2868997B1 (en) Refrigerator
KR0171745B1 (ko) 냉장고의 냉각용 냉매순환방법
JP2005106454A (ja) 冷蔵庫
JP2017161159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KR100549062B1 (ko) 냉장고
KR20100085239A (ko) 에어컨 겸용 냉장고
KR100845857B1 (ko) 냉동사이클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293700B1 (ko) 냉장고의냉동시스템및그제어방법
KR100377618B1 (ko)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냉장고
KR20010009398A (ko) 냉장고의 증발 장치
JP5068340B2 (ja) 冷凍冷蔵庫
JPH09138046A (ja) 冷却装置
JPH0996468A (ja) 冷却装置
KR20010017218A (ko) 냉장고의 증발 장치
CN218764115U (zh) 一种带有双制冷系统的制冰机
KR0156369B1 (ko) 냉장고의 냉기 순환장치
KR0126728Y1 (ko) 냉장고
KR19990024025U (ko) 냉장고
JPH0821664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970016440A (ko) 냉장고
KR200246414Y1 (ko) 냉동장치용 냉매 분배기
KR20010001467A (ko) 무착상 냉장고 시스템
KR20060108832A (ko) 냉장고, 냉장고의 냉동시스템 및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000014017U (ko) 냉각팬 풍량증대 구조의 냉장고 기계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