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5945A - 3중이펙트 흡수장치 및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3중이펙트 흡수장치 및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5945A
KR20010005945A KR1019997009022A KR19997009022A KR20010005945A KR 20010005945 A KR20010005945 A KR 20010005945A KR 1019997009022 A KR1019997009022 A KR 1019997009022A KR 19997009022 A KR19997009022 A KR 19997009022A KR 20010005945 A KR20010005945 A KR 20010005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generators
generator
stage generator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9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 사키시안
우에 록큰펠러
Original Assignee
우에 록큰 펠러
록키 리서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에 록큰 펠러, 록키 리서치 filed Critical 우에 록큰 펠러
Publication of KR20010005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594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25B15/02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out inert gas
    • F25B15/06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out inert gas the refrigerant being water vapour evaporated from a salt solution, e.g. lithium bro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04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 C09K5/047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absorpt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25B15/008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 multi-stage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3/00Boilers; Analysers; Rect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5/00Sorption refrigeration cycles or details thereof
    • F25B2315/003Hydrates for sorption cy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3중이펙트 흡수싸이클 장치의 제3 단계 발생기(G3)는 25 psig 이하의 증기압에서 동작시킬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한 방법으로 제3 단계 발생기(G3)의 흡수 유체에서 최소 66.5 중량%인 농도를 갖는 금속염을 사용하여 15 psig 이하의 증기압에서 동작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3중이펙트 흡수장치 및 작동방법{Improved Triple Effect Absorption Apparatus And Method}
미합중국 특허 제 5,335,515호와 제 5,390,509호에는 3중이펙트 흡수싸이클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장치 및 시스템은 수용성 흡수 유체를 각각 순차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동작하는 제1, 제2, 및 제3의 발전기로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흡수기를 갖고 있다. 상기 삼중 효과 장치는 순차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동작하며 발전기와 연결되어 있는 3개의 응축기들을 포함한다. 상기 응축기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어 응축된 냉매가 순차적으로 제3 응축기에서 제2 응축기로, 제2 응축기에서 제1 응축기로, 그리고 제1 응축기에서 하나 이상의 증발기로 이동한다. 응축기들에서 발생한 열은 하위 단계의 발생기를 구동시키는데 사용된다. 전체 시스템을 통하여 물과 같은 한가지 냉매만을 사용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공통의 매스 플로우(mass flow)를 사용하지 않는 열교환기를 이용한 열전달 방법을 사용하는 기존의 시스템보다 상당한 성능 개선을 얻을 수 있다.
상기 3중이펙트 장치만큼 우수한 장치로, 흡수 용액의 증기압이, 높은 온도에서 동작하는 제3 단계 발생기에서 일반적으로 25 psig이며, 통상 40∼ 80 psig 사이에서 동작하고, 일반적으로 약 60 psig의 값을 갖는 장치가 있다. 많은 지역의 현 보일러 법규에 의하면, 15 psig 이상의 압력에서 동작하는 흡수싸이클 장치를 갖는 보일러 또는 발생기는 동작중인 동안 내내 운영자에 의하여 감시되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상기 규정은 분명 경제적으로 불리한 내용이며, 운용에 있어 비용과 경비가 중요한 경우, 높은 발생기 압력 요건을 갖는 장치를 사용하는데 있어 장애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3중이펙트 흡수싸이클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낮은 압력하에서 동작하는 높은 온도를 갖는 제3 발전기를 이용한 3중이펙트 흡수싸이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 및 도2는 발명에 따라 사용되고 작동될 수 있는 3중이펙트 흡수싸이클 장치에 대한 개략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3중이펙트 흡수싸이클 장치 및 시스템의 상기한 단점을 제거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15 psig 이하의 감소된 압력하에서 동작하는 높은 온도의 제3 단계 발생기를 이용하여 3중이펙트 흡수싸이클 장치를 운용하는 방법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3중이펙트 장치는 미합중국 특허 제 5,335,515호, 제 5,390,509호 및 제 5,205,136호에 공개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한 미국특허의 내용을 참고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진한 농도의 금속 염을 제3 단계 발생기의 흡수 용액에 사용함으로써, 높은 온도를 갖는 제3 단계 발생기를 낮은 압력에서 동작시킬 수 있다. 제3 단계 발생기에서 사용되는 진한 용액을 위한 진한 농도를 얻기 위하여, 가장 높은 온도를 갖는 발생기로 비교적 낮은 수착 유체를 유입시키고 수증기를 탈착시켜서 기존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농도에 비하여 발생기에서 염의 농도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도1 및 도2에서 3중이펙트 흡수싸이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상기 도면은 미합중국 특허 제 5,390,509호에 개시된 도1 및 도2와 사실상 동일하다. 도시된 각각의 3중이펙트 흡수싸이클 장치는 하나의 흡수기와 증발기를 사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나의 흡수기의 사용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두개 내지 세개의 흡수기 및 두개 내지 세개의 증발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상기 미합중국 특허 제 5,335,515호 및 제 5,390,509호에서 공개된 모든 장치들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다. 만일 유체결정화(crystallization)의 제한으로 인하여 수용액의 순환에서의 동작 안정성이 위협받는다면, 다수개의 흡수기 및 증발기 단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비교적 단순한 설명을 위하여 하나의 증발기 및 흡수기를 갖는 시스템을 예시하였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발생기(G3)의 내부 흡수 유체 증기압을 법규에 의하여 운영자에 의한 감독이 필요한 압력보다 낮은 압력에서 상위 단계의 발생기(G3)를 동작시키는데 있다. 예를 들면, 해당 지역의 법규에서 발생기의 압력이 15 psig 이하이면 운영자의 감독을 요구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르면, 상위 단계의 발생기(G3)는 15 psig 이하에서 동작한다. 물론, 하위 단계의 발생기(G2, G1)는, 운영자의 감독이 요구되는 규정 압력 이하에서 동작한다. 흡수 유체의 염의 농도를 실질적으로 증가시켜서 제3 단계 발생기를 낮은 압력하에서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종래의 특허에서 기술된 종래의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상위 단계의 발생기(G3)에서 흡수 유체의 염의 농도는 물의 탈착을 이용하여 발생기에 공급되는 비교적 묽은 용액의 농도보다 약 4%∼6% 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앞서 설명한 특허들에 의한 종래의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상위 단계의 발생기(G3)에서 방출되는 흡수 유체의 염 농도는, 하위 단계의 발생기나 흡수기로부터 제공되어 발생기로 유입되는 흡수 유체의 염의 농도보다 약 4%∼6% 정도 높다. 본 발명에서, 제3 단계 발생기에서 사용되는 진한 용액을 위한 염의 농도는, 발생기가 25 psig 이하의 압력에서 동작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증가된다. 구체적인 염 농도의 증가량은 발생기에 유입되는 묽은 용액의 염의 농도로부터 약 10 ∼ 25 중량% 사이이며, 바람직한 값으로는 약 12 ∼ 20 중량% 사이 값이다. 이러한 염 농도의 증가는 발생기로 유입되는 흡수 유체의 비교적 적은 유량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발생기, 특히 상위 단계의 발생기(G3) 내부의 온도는 상기 특허에서 기술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반적으로 제3 단계 발생기의 동작온도는 약 380°F에서 약 500°F 사이의 값을 갖는데, 최적의 동작 온도는 약 400°F에서 약 450°F사이의 값이다. 제3 단계 발생기(G3)는 경제적인 이유로 직접 점화하여 가열된다. 가열방식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버너와 점화 공기 예열 장치를 사용한다. 그러나, 적절하다면, 위상 변화 또는 펌프식 유체순환장치를 이용하여 높은 온도의 발생기(G3)를 간접 가열 할 수 있다. 높은 온도의 발생기를 가열하는데 필요한 양 이하의 잔여 에너지와 상당한 양의 열은, 하나 혹은 두개의 하위 단계의 발생기에 전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3 단계 발생기가 직접 점화되는 경우, 연소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뜨거운 가스는 하나 이상의 하위 단계 발생기를 가열하기 위하여 전달 될 수 있다.
상기 미합중국 특허 제 5,335,515호 및 제 5,309,509호에서 자세히 기술되어 있으며 상기 특허의 공개 내용이 참고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을 뿐 아니라, 도1 및 도2에 도시되어 있듯이, 세개의 발생기와 하나 이상의 흡수기 사이에서 수용성 흡수 유체를 전달하는 유체 회로는 직렬 유체유동, 병렬 유체유동, 그리고 역방향 유체유동의 형태 뿐만아니라 이들 형태 중 2개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 이상의 흡수기는 적절한 열적 균형을 위하여 동일한 유량으로 동일한 유체를 하나 이상의 발생기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다른 흡수기에서 다른 발생기로의 유량은 같거나 또는 균등하지 않으며, 유체의 결합을 위한 접합부를 사용하는 경우, 특정 발생기로의 특정 유량은 원하는 대로 조절되고 선택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유량을 낮추어 흡수 유체내의 염의 농도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3 단계 발생기(G3)로의 유량을 계측, 제어,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도1에 도시된 유체분리접합부(13, 15)는 높은 온도의 발생기(G3)로 뿐만아니라, 하위 단계 발생기(G2, G1)로의 유량을 선택할 수 있는 계측 밸브를 갖거나, 적절한 파이프 크기의 제한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도2에 도시된 접합부(27, 28, 26, 29)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발생기(G3)로의 흡수 유체의 적절한 유량을 선택하기 위한 계측 밸브를 갖거나 적절한 크기의 제한을 갖는 파이프를 구비하고 있다.
도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3중이펙트 흡수싸이클 장치는 병렬 유동순환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흡수기 및/또는 증발기의 갯수는 도1에 도시된 도시된 1개 흡수기 시스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다시 한번 밝힌다. 상기 병렬 유동구조는 명세서에 포함된 상기 종래의 미국 특허에서 자세히 설명된 대로, 직렬 및/또는 역방향 유동전달 유체루프와 결합될 수 있다. 제3 단계 발생기로의 유량[1개 흡수기 시스템에서 흡수기에서 발생기(G3)로의 양, 또는 3개 흡수기 시스템의 경우 흡수기(A3)에서 발생기(G3)로의 양, 2개 흡수기 시스템의 경우 흡수기(A2)에서 발생기(G3)로의 양]은 전체 시스템의 묽은 용액 유량의 약 20%(질량 또는 부피)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단계 발생기로의 묽은 용액의 유량이 시스템의 전체 묽은 용액 유량의 약 15% 이하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흡수 유체를 구성하는 용액은 알카리금속 할로겐화물, 알카리토금속 할로겐화물, 전이 금속 할로겐화물, 또는 알카리금속 수산화물을 갖는 금속 염의 수용액이다. 할로겐화 물질로는 브롬과 염소, 그리고 금속은 리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브롬화리튬, 염화리튬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에 적합한 염이며, 브롬화리튬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할로겐화 리튬 염은 본 발명에 따라 최상위 발생기(G3)에서 요구되는 낮은 증기압을 갖기 위하여, 최소한 66.5 중량%의 농도로 농축된다. 제3 단계 발생기에서 진한 할로겐화 리튬 용액의 농도는 약 67 ∼ 76 중량%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다른 할로겐화 금속도 동일한 증기압 억제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되는 특정 염 또는 염들의 혼합물의 특정 농도는 요구되는 낮은 압력에서 제3 단계 발생기의 배출구에서의 농도를 측정하여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염으로, 알카리금속 수산화물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생각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세슘, 수산화루비듐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상위 단계의 발생기에서 낮은 용액 증기압을 얻기 위한 수산화물의 진한 용액 농도는 약 70 ∼ 88 중량% 사이의 값을 갖는다. 그러나, 요구되는 낮은 압력하에서 제3 단계 발생기의 동작을 위하여, 얼마든지 특정 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할로겐화 금속염이 사용되는 경우, 부식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해 액체의 pH조절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수산화리튬 또는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알카리금속 수산화물과 같은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의 온도때문에 상위 단계의 발생기에서 부식방지제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몰리브덴산염, 규산염, 붕산염, 질산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부식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식방지제의 사용은 본 기술의 당업자들 사이에 널리 알려져 있다. 할로겐화 리튬의 수용성 흡수 유채를 사용하는 경우, 결정 방지 첨가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로 에탄올아민과 에틸렌디아민을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의 사용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
도1에 도시된 3중이펙트 흡수싸이클 장치의 실시예는 브롬화리튬 수용액을 흡수 유체로 하여 동작한다. 제3 단계의 발생기(G3)로 유입되는 묽은 흡수 용액의 온도는 312.0°F이고 브롬화리튬의 농도는 54.38 중량% 이다. 발생기(G3)에서 방출되는 용액은 온도 426.4°F, 브롬화리튬 농도 71.75 중량%를 갖는다. 동작중 발생기(G3)의 최고 압력은 11.73 psig이다. 상기 시스템에서, 발생기(G2)에서 방출되는 브롬화리튬의 농도는 57.35 중량%이며, 발생기(G1)에서 방출되는 브롬화리튬의 농도는 57.19 중량%이다.
도2의 역방향 유동순환장치를 동작시키는 경우, 발생기(G3)로 유입되는 수용성 흡수 용액의 브롬화리튬의 농도는 58.37 중량%이며, 냉매 흡착 후, 발생기로부터 방출되는 용액의 브롬화리튬의 농도는 70.93 중량% 이다. 발생기(G3)로 유입되는 묽은 용액의 동작온도는 352.7°F이며, 발생기로부터 방출되는 농축된 용액의 온도는 424.5°F이다. 3중이펙트 순환 동작중, 상위 단계의 발생기(G3)에서 흡수 용액 증기압의 최대값은 13.60 psig이다. 발생기(G2)로 유입되는 용액의 브롬화리튬 농도는 56.27 중량%이며, 방출되는 경우 농도는 56.27 중량% 이다.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3중이펙트 흡수싸이클 장치에서 상위 단계의 발생기(G3)를 압력 25 psig 이하에서, 바람직하게는 20 psig 이하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psig 이하에서 동작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소정의 법정 요건을 초과하는 발생기 압력하에서 발생기를 동작시킬때, 법규에 따라 관리인 및 감시인을 두지 아니 하여도 된다.

Claims (32)

  1. 하나 이상의 흡수기와, 하나 이상의 증발기와, 제1, 제2, 및 제3의 응축기와, 제1, 제2, 및 제3 단계의 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및 제3 단계의 발생기는 각각 알카리금속 할로겐화물, 알카리토금속 할로겐화물, 전이 금속 할로겐화물, 또는 알카리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금속염의 수용액을 포함하는 흡수 용액을 각각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3 단계 발생기는, 상기 수용액의 상기 금속 염의 농도가 동작중 증기압이 25 psig 이하의 값을 갖기에 충분할 만큼 진한 용액을 포함하며;
    제1, 제2, 제3의 응축기는 순차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동작하고, 각각 상기 제1, 제2, 제3의 발생기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이펙트 흡수싸이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 염이 할로겐화 리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 염이 브롬화리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이 리튬의 할로겐화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이 브롬화리튬과 염화리튬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발생기 내의 상기 할로겐화 리튬을 갖는 상기 진한 용액의 농도가 최소한 66.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발생기 내의 상기 할로겐화 리튬의 상기 진한 용액의 농도가 약 67 ∼ 76 중량%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수 유체에서 금속염의 상기 농도가 상기 제3 발생기의 동작 중 증기압이 15 psig 이하로 되기에 충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이 수산화 알카리금속 또는 수산화 알카리금속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세슘, 수산화루비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발생기에서 상기 금속 염의 상기 진한 용액의 농도가 약 70 ∼ 88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병렬적인 흐름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상기 흡수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수용성 흡수 유체를 다수개의 상기 발생기로 전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체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발생기로의 유체유동이 상기 세개의 발생기로 유입되는 수용성 흡수 유체 총량의 2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발생기로의 유체유동이 상기 세개의 발생기로 유입되는 수용성 흡수 유체 총량의 1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유체 루프가, 상기 발생기들 중 하나로부터 하나 이상의 다른 상기 발생기로 수용성 흡수 유체의 제1 부분을 전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체 분리 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흡수기로부터 병렬적인 흐름을 이용하여 상기 수용성 흡수 유체를 다수개의 상기 발생기로 전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체 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흡수기로부터 병렬적인 흐름을 이용하여 상기 수용성 흡수 유체를 다수개의 상기 발생기로 전달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유체 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유체 분리 접합부로부터의 수용성 흡수 유체 방출량의 제1 및 제2 부분이 균등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흡수기로부터 직렬적인 흐름을 사용하여 상기 수용성 흡수 유체를 다수개의 상기 발생기로 전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체 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유체루프는, 상기 발생기들 중 하나로부터 하나 이상의 다른 상기 발생기로 수용성 흡수 유체의 제1 부분을 전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체 분리 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청구항 12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흡수기로부터 직렬적인 흐름을 사용하여 상기 수용성 흡수 유체를 다수개의 상기 발생기로 전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체 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유체 루프는, 상기 발생기들 중 하나로부터 수용성 흡수 유체의 제1 부분을 하나 이상의 다른 상기 발생기로 전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체 분리 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발생기가 직접 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발생기가 점화 공기 예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청구항 23에 있어서, 제3 단계 발생기에서 발생한 연소 가스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하위 단계의 발생기를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발생기의 상기 수용액이 할로겐화 금속을 포함하며, pH 조절을 위한 첨가제로서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발생기에서 상기 수용액이 몰리브덴산염, 규산염, 붕산염, 질산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포함하는 부식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발생기의 수용액이 할로겐화 리튬을 포함하며, 에탄올아민 또는 에틸렌디아민을 포함하는 결정 방지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순차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동작하고, 각각 알카리금속 할로겐화물, 알카리토금속 할로겐화물, 전이 금속 할로겐화물, 또는 알카리금속 수산화물을 갖는 수용액을 포함하는 흡수 유체를 포함하는 제1, 제2, 및 제3 발생기를 구비한 3중이펙트 흡수싸이클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으로서;
    제3 단계 발생기를 25 psig 이하의 증기압에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이펙트 흡수싸이클 장치의 작동 방법.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금속 염이 할로겐화 리튬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 발생기에서 상기 할로겐화 리튬의 농도가 최소한 66.5 중량%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발생기에서 상기 리튬의 할로겐화물의 농도가 약 67 ∼ 76 중량% 사이의 값으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청구항 29에 있어서, 제3 단계 발생기가 하나 이상의 알카리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 발생기에서의 농도를 약 70 ∼ 88 중량% 사이의 값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7009022A 1997-04-03 1998-03-25 3중이펙트 흡수장치 및 작동방법 KR200100059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826,549 1997-04-03
US08/826,549 US5746059A (en) 1997-04-03 1997-04-03 Triple effect absorption apparatus and method
PCT/US1998/005973 WO1998044303A1 (en) 1997-04-03 1998-03-25 Improved triple effect absorption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5945A true KR20010005945A (ko) 2001-01-15

Family

ID=25246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9022A KR20010005945A (ko) 1997-04-03 1998-03-25 3중이펙트 흡수장치 및 작동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746059A (ko)
EP (1) EP1029209A4 (ko)
JP (1) JP3440310B2 (ko)
KR (1) KR20010005945A (ko)
CN (1) CN1134629C (ko)
AU (1) AU6586798A (ko)
CA (1) CA2285575A1 (ko)
HK (1) HK1028444A1 (ko)
WO (1) WO19980443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7025B1 (en) * 1998-11-17 2001-01-23 University Of Utah Absorption heat pumps having improved efficiency using a crystallization-inhibiting additive
BRPI0409648A (pt) * 2003-04-22 2006-10-31 Vanderbilt Co R T compostos de tungstato e molibdato de amÈnio orgánico e processo para preparação dos mesmos
CA2741538A1 (en) * 2008-11-07 2010-05-1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bsorption cycle utilizing ionic compounds and/or non-ionic absorbents as working fluids
CN103673374A (zh) * 2013-11-22 2014-03-26 清华大学 一种适用于吸收式蓄能循环的工质对
KR102292398B1 (ko) * 2020-01-15 2021-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동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19666B1 (ko) * 1970-09-25 1972-06-05
JPS59189265A (ja) * 1983-04-13 1984-10-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三重効用吸収式冷凍機
EP0613544B1 (en) * 1991-11-27 2000-01-19 Rocky Research Improved triple effect absorption cycle apparatus
US5390509A (en) * 1991-11-27 1995-02-21 Rocky Research Triple effect absorption cycle apparatus
US5205136A (en) * 1992-03-11 1993-04-27 Martin Marietta Energy Systems, Inc. Triple-effect absorption refrigeration system with double-condenser coupling
US5584193A (en) * 1994-04-26 1996-12-17 York International Corporation Absorpt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85575A1 (en) 1998-10-08
CN1134629C (zh) 2004-01-14
CN1259197A (zh) 2000-07-05
JP3440310B2 (ja) 2003-08-25
EP1029209A1 (en) 2000-08-23
HK1028444A1 (en) 2001-02-16
AU6586798A (en) 1998-10-22
US5746059A (en) 1998-05-05
JP2002501601A (ja) 2002-01-15
WO1998044303A1 (en) 1998-10-08
EP1029209A4 (en) 200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40475B2 (ja) 改良された三重の効果を有する吸収サイクル装置
JP3369568B2 (ja) 改良した三重効果吸収サイクル装置
US4085595A (en) Double effect absorption refrigerating system
KR20010005945A (ko) 3중이펙트 흡수장치 및 작동방법
US3410104A (en) Absorption refrigerating systems
US6550272B2 (en) Absorption chiller/absorption chiller-heater having safety device
JP4031377B2 (ja) 吸収式冷温水機
KR20180051566A (ko) 흡수식 냉동기
US6393863B1 (en) Absorption chiller/absorption chiller-heater having safety device
JP2002130859A (ja) 吸収冷凍機
US2513148A (en) Intermittent absorption refrigeration
JP2012007784A (ja) 吸収冷温水機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JPH0942800A (ja) 吸収式冷凍機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JP3585890B2 (ja) 三重効用吸収冷温水機の暖房運転制御方法
JPH0623627B2 (ja) 吸収冷凍機の冷水流量調節装置
KR100473566B1 (ko) 연소영역 슬림형 흡수식 고온재생기
JP2002147886A (ja) 吸収冷凍機
JP2005300069A (ja) 吸収冷凍機
JP2795109B2 (ja) 吸収式冷凍機
JP2001012831A (ja) 安全装置を備えた吸収冷凍機・冷温水機
JPS60256763A (ja) 直焚吸収式冷温水機
JP3030235B2 (ja) 吸収式冷凍機及びその起動時の運転方法
JP2003287315A (ja) 吸収式冷凍機
JPS5831264A (ja) 吸収ヒ−トポンプ
JPH058442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