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5839A - 색채 변화 칼라렌즈용 패턴 - Google Patents

색채 변화 칼라렌즈용 패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5839A
KR20010005839A KR1019997008913A KR19997008913A KR20010005839A KR 20010005839 A KR20010005839 A KR 20010005839A KR 1019997008913 A KR1019997008913 A KR 1019997008913A KR 19997008913 A KR19997008913 A KR 19997008913A KR 20010005839 A KR20010005839 A KR 20010005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contact lens
region
elements
colo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8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8184B1 (ko
Inventor
제라도제이. 오캄포
배리엘. 아트킨스
Original Assignee
스타이너 토마스 에프.
웨슬리 제슨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525412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0583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스타이너 토마스 에프., 웨슬리 제슨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스타이너 토마스 에프.
Publication of KR20010005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5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1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6Contact lenses having an iris patter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불투명하지 않은 동공부분(12)을 둘러싸는 색채요소들을 가진 홍채패턴(10)이 색채를 변화시키는 콘택트렌즈들에 구성된다. 상기 패턴은 내부영역(14), 중간영역(16) 및 외부영역(18)의 원형을 이루는 세가지 영역들로 구성된다. 보통의 관찰자들에 의해 관찰될 때 착용자의 눈색채를 향상시키거나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인 색채요소들의 집단이 각각의 내부영역 및 외부영역에 구성된다. 중간영역내에서 면적의 약 5-30%를 덮는 색채요소들의 집단이 중간영역에 구성되고 약 25-72%의 면적을 가진다. 중간영역내부의 색채요소들이 사실상 횡방향을 향하는 매크로줄무늬자국들의 배열을 형성하고, 상기 줄들은 색채요소들을 가진 부분들과 색채요소들을 가지지 않은 부분들사이에서 교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색채 변화 칼라렌즈용 패턴{IMPROVED PATTERN FOR COLOR MODIFYING CONTACT LENS}
착용자눈의 색채를 향상시키거나 변화시킬 수 있는 콘텍트렌즈를 제공하는 초기 시도들은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었다. 홍채에 대해 투명한 색조를 제공하는 렌즈는 어두운 눈 색채를 밝은 색채로 변화시킬 수 없고 냉담해 보이는 외관을 제공했다. 홍채에 대해 계속적인 불투명한 패턴(pattern)을 제공하는 렌즈들은 부자연스러워 보였다. 홍채에 관한 사진학적 또는 미술적 재생에 기초하고 불투명한 패턴을 제공하는 렌즈는 제조비용이 많이 들었다. 렌즈를 투과하는 산소량이 상기 렌즈들에서 감소된다.
Knapp씨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4,582,402 호에 설명된 칼라콘택트렌즈에 의해 상업적 성공이 이루어졌다. 홍채에 색채를 형성하는 콘택트렌즈의 영역에 대하여, 불투명한 잉크도트(ink dot)의 간헐적인 패턴(pattern)을 프린팅(printing)하여 상기 렌즈가 구성되었다. 도트의 간헐적인 패턴이 홍채를 충분히 덮지못하더라도, 연속적인 색채의 외관을 제공하는 마스킹효과(masking effect)가 보통의 관찰자에 의해 관찰되도록, 상기 패턴은 충분한 도트밀도를 제공한다. 따라서 갈색으로부터 푸른색과 같이 착용자의 눈색채를 효과적으로 그리고 사실상 변화시키며 충분하고 연속적인 외관이 상기 간헐적인 도트패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동시에, 간헐적인 패턴에 의해 도트들사이의 틈을 통해 산소가 투과될 수 있다. 상기 콘택트렌즈가 콘택트렌즈시장의 상당한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Knapp식 렌즈의 성공에 대해 개선된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어 왔다. Janke씨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5,414,477 호에 따르면, 더욱 자연스런 외관을 제공하기 위해, 색채와 관련한 두 개의 먼 명암들의 두 부분들 내부에 간헐적인 잉크패턴(ink pattern)이 부착된다. 색채에 관해 두 개의 명암들을 추가하기 위해 색채들을 두 번 부착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결과 렌즈제조비용이 증가되고, 렌즈제조공정에서 불량렌즈갯수가 증가한다.
또한 세 개의 동심부분들로 구성된 패턴(pattern)이 Janke씨의 특허에 청구되고, 상기 특허에 의하면, 제 2 부분이 불투명하지 않은 반면에,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은 불투명한 색채를 가진다. 그러나 상기 렌즈들은 소비자의 호응을 얻지 못했다.
Rawlings씨와 동료들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5,120,121 호에 따르면, 동공부분의 주변부로부터 홍채부분의 주변부까지 방사구조를 이루는 묶음구조의 교차선들이 설명된다. Ciba-Geigy씨의 유럽특허공개 제 0 472 496 A2 호에 도시된 두 번째 도면에 따르면, 홍채내부에서 파악되는 선들을 모방하려는 선들의 패턴이 콘택트렌즈에 구성된다.
상기 노력에도 불구하고, 홍채내부에 본래 형성된 깊이 및 텍스쳐(texture)를 제공하는 동시에 눈색채를 향상 또는 변화시키고 저비용의 칼라렌즈가 콘택트렌즈산업에서 계속적으로 연구되었다.
본 발명은 매우 자연스런 외관을 제공하면서 착용자의 눈의 색채를 향상시키거나 변화시킬 수 있는 칼라 콘택트렌즈(colored contact lens)에 관련된다.
도 1 은 콘택트렌즈의 선호되는 홍채패턴(iris pattern)로서 콘택트렌즈위에서 색채요소들이 없는 중심영역이 동공부분에 의해 형성되고, 콘택트렌즈가 공막부분을 가진다면, 홍채패턴의 주변부가 공막부분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 는 홍채패턴의 세 영역들을 선으로 도시하고, 세 개의 영역들사이에서 톱니형상의 두 개의 경계부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3 든 불규칙 패턴의 홍채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
* 부호설명
10 .... 패턴 14 ... 내부영역
16 ... 중간영역 18 ... 외측영역
22 ... 색채요소 28 ... 경계부
콘택트렌즈가 감지된 눈외관에 대해 깊이 및 텍스쳐(texture)를 추가하는 동시에, 착용자의 눈색채를 향상시키거나 변화시키는 콘택트렌즈가 발명가들에 의해 발명되었다. 동시에 상기 콘택트렌즈는 칼라콘택트렌즈를 생산하는 비용보다 상당히 더 많은 비용을 요구하지 않는다.
놀랍게도 불투명하지 않은 동공부분을 둘러싸는 색채요소의 홍채패턴(iris pattern)을 제공하여 상기 렌즈가 구성되고, 상기 패턴은 세 개의 원형영역들로 구성된다. 내부영역, 중간영역, 및 외부영역으로 구성된다. 보통의 관찰자에 의해 관찰될 때, 착용자의 눈색채를 향상시키거나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인 색채요소들의 집단이 각각의 내부영역 및 외부영역에 구성된다. 중간영역은 홍채패턴의 약 25-72%의 면적을 가지고 약 47%의 면적이 선호된다. 또한 중간영역면적의 약 5-30%를 포함하고 약 10-20%를 포함하는 것이 선호되는 색채요소들의 집단으로 중간영역이 구성된다. 색채요소들을 가진 줄들 및 색채요소들을 가지지 않은 줄들사이에서 교대로 구성되고 반경방향을 향하는 매크로줄무늬자국들을 배열에 의해 중간영역내부의 색채요소들이 형성되나. 매크로줄무늬자국들은 불규칙적 배열을 형성하는 것이 선호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일부용어들이 특정용어를 지칭하더라도, 상기 용어들은 또한 복수 의미를 총칭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색채가 특정요소를 나타내더라도, 일부 색채들은 서로다른 색채요소들로 구성된다.
또한, "눈색채(eye color)"는 홍채의 색채를 나타낸다. 또한 "보통의 관찰자"는 본 발명의 렌즈를 착용한 사람으로부터 약 5피트(feet)거리에 서서 정상의 20/20시력을 가진 사람을 나타낸다. 또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구성에 관한 백분율은 중량백분율에 기초한다. 그러나 영역내의 색채요소의 조밀도에 관하여, 공지된 기준에 대해 조정된 BAUSCH & LOMB OMNICON 5000TM과 같은 종래기술의 이미지분석장치(image analyzer)에 의해 측정됨에 따라 색채요소들에 의해 덮혀지는 영역내부의 총면적이 백분율에 의해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자의 선천적인 눈색채를 향상시키거나 변화시키기 n이해 콘택트렌즈를 가지고 색채요소들의 패턴(pattern)을 이용한다. 동시에, 보통의 관찰자에 의해 감지될 때, 홍채에 텍스쳐(texture) 및 깊이를 더해서 더욱 자연스런 외관이 상기 패턴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칼라콘택트렌즈는 색채요소들의 홍채패턴 및 불투명하지 않은 동공부분을 가진다. 홍채패턴영역이 약 25-72%사이에 구성되는 원형의 중간영역이 상기 패턴에 의해 구성된다. 중간영역은 상기 패턴의 약 30-60%가 선호되고 약 47%가 더욱 선호된다. 또한 중간영역은 또한 약 5-30%의 중간영역, 약 10-20%가 선호되고 약 15%가 가장 선호되는 중간영역을 덮는 색채요소들의 집단에 의해 중간영역이 구성된다. 중간영역내부의 색채요소들이 반경방향의 거대-줄들의 배열을 형성하고, 상기 거대줄들은 색채요소들을 가진부분들 및 색채요소들을 가지지 않은 부분들사이에서 교대로 구성된다.
반경방향의 거대줄들로 구성된 중간영역을 가지는 홍채패턴이 종래기술에 공지되어, 중간영역내에서 홍채패턴색채의 마스킹효과(masking effect)가 선천적인 홍채색채에 의해 극복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적인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선척적인 홍채색채가 홍채패턴색채와 결합한다. 또한 상기 색채원들은 서로다른 깊이에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결합에 의해 깊이 및 텍스쳐에 향상되거나 변화된 외관을 제공한다.
패턴은 또한 내부영역 및 외부영역으로 구성되고, 각각은 착용자의 눈색채를 향상시키거나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인 색채요소들의 집단을 가진다. 각 영역중 약 35-85%가 상기 집단에 포함된다. 내부 및 외부영역내의 색채요소들은 각 영역의 전체면적중 약 40-50%를 차지하는 것이 더욱 선호된다. 홍채의 패턴을 모방하도록 색채요소들의 밀도가 변화한다.
본 발명을 따르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콘택트렌즈에 이용되는 선호되는 패턴(10)의 평면도가 도 1 에 도시된다. 색채요소가 없고 패턴의 구성부분이 아닌 패턴의 내부분이 동공부분(12)으로 구성된다. 패턴(10)은 동공부분(12)을 둘러싸고, 동심을 이루고 원형을 이루는 세 개의 영역들로 구성된다. 동공부분(12)의 주변위에 내부영역(14)이 위치한다. 내부영역(14)의 외측주변부상에 중간영역(16)이 위치한다. 마지막으로, 중간영역(16)의 외측주변부위에 외측영역(18)이 위치한다.
패턴(10)은 또한 색채요소(20)들의 집단으로 구성된다. 도 1을 참고할 때, 색채요소들은 다수의 서로다른 형상을 가지고 의사-임의 순서로 배열된다. 색채요소들중 일부분이 그리드(grid)패턴으로 원형 도트(dot)들로 구성되는 반면에, 다른 부분들은 불규칙적 형태의 임의구성의 조각으로 구성된다. 일부경우에 있어서, 색채요소들이 크기가 더 큰 색채요소들로 덩어리를 형성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더라도, 색채요소들은 원형, 육각형 또는 정사각형과 같은 구체적으로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규칙적인 그리드 패턴으로 배열된다.
색채요소들이 집단을 구성하는 영역에서, 그리고 각각의 요소에 의해 덮혀지는 영역이 원형으로 근사화되어 측정될 때, 평균하여 색채요소들은 약 0.1mm의 직경을 가진다. 또한 평균하여 색채요소들의 중심사이의 거리는 약 0.13mm의 길이로 떨어져 위치하는 것이 선호된다. 그러나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홍채패턴을 모방하기 위해 색채요소들의 밀도가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직경은 밀도가 더 큰 영역에서 증가하고 밀도가 더 작은 영역에서 감소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색채요소들사이의 거리는 밀도가 더 높은 영역에서 증가하고 밀도가 더 작은 영역에서 감소한다. 가장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색채요소들의 일부분에 관한 크기 및 이격거리는 크기가 더 큰 단일요소를 형성할 정도로 크며, 근접해 있다.
색채요소들을 가진 영역들 및 사실상 색채요소들을 가지지 않는 영역들사이에서 매크로줄무늬자국들이 교대로 구성되고, 반경방향의 상기 줄들을 형성하는 색채요소들의 집단밀도가 도 1 의 중간영역(16)에 도시된다. 영역의 배열은 휠(wheel)의 스포크(spoke)와 같이 규칙적이다. 그러나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색채요소(24)들을 가진 매크로줄무늬자국들 및 색채요소(22)들을 가지지 않는 매크로줄무늬자국들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의사-임의배열을 이루는 매크로줄무늬자국들에 의해 색채요소들이 구성된다.
매크로줄무늬자국들의 애스펙트 비(espect ration)가 약 1 내지 7 사이에서 변화한다. 그러나 도 1을 참고하면, 비선형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매크로줄무늬자국들중 일부가 겹쳐질 수 있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불투명하지 않은 매크로줄무늬자국들은 사실상 곡선구조의 단부들을 가진 원통들이며, 상기 단부들은 약 1 내지 3 개의 색채요소들에 해당하는 폭과 1 내지 7개의 색채요소들에 해당하는 길이사이에서 변화한다. 선호되는 원통은 평균적으로 약 1.5색채요소들의 폭 및 3.5색채요소들의 길이를 가진다.
가장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패턴(10)내부의 각각의 색채요소는 동일한 색채를 가진다. 그결과 색채요소들을 다중으로 부착해야하는 필요성이 감소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서로다른 색채들을 가진 색채요소들을 가지는 패턴들이 고정된다.
도 1 에 있어서, 내부영역(14)의 내측주변부에 위치한 색채요소들중 약 두 개의 열들이 영역(14)의 다른 부분들보다 덜 조밀하게 모여있다.
따라서 상기 경우에 있어서, 패턴(10)은 4개의 동심영역들로 구성된다.
첫 번째 2개의 열들이 분리된 영역 또는 내측영역의 일부분인가에 상관없이,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내측영역 및 외측영역사이의 원형의 중간영역으로 패턴이 구성된다.
동심을 이루고 원형을 이루는 세 개의 영역들을 가진 패턴(10)이 도 2에 그래프로 도시된다. 보통의 눈은 약 2mm 내지 2.5mm의 평균동공반경(r1)을 가진다. 또한 홍채의 내측주변부가 상기 반경에 의해 형성된다. 평균적인 홍채의 외측주변부는 약 5mm 내지 7mm의 반경(r2)을 가진다. 따라서, 콘택트렌즈위에서, 반면에, 반경(r2)는 약 5.2 내지 6.8mm의 크기, 약 5.75mm가 선호되는 크기를 가진다. 도 2를 참고할 때, 경계부(26, 28)들이 불규칙한 패턴으로 울퉁불퉁하게 구성된다. 그러나, 각각의 경계부(26, 28)들은 매끄러운 원형의 곡선을 형성하거나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반복되는 톱니모양으로 구성된다.
도 1 에 있어서, 영역(16)내에서 영역(14, 18)들이 겹쳐져 보인다. 이것은 중간영역(16)내부의 색채요소들에 의해 경계부(26, 28)들사이에 위치하는 매크로줄무늬자국들이 사실상 반경방향으로 배열되기 때문이다.
도 2 의 경계부(26)에 의해 영역(16)의 내측주변부 및 영역(14)의 외측주변부가 형성된다. 중간영역(16)의 내측반경(r3)에 의해 경계부(26)가 형성된다. 경계부(26)가 사실상 원형곡선으로 형성될 때, 내측반경(r3)은 약 3.3-3.7mm사이의 값, 약 3.5mm의 값이 선호된다. 경계부(26)가 톱니모양의 전이부를 형성할 때, 내측반경(r3)이 약 3.3-3.7mm의 값, 약 3.5mm의 값이 선호되는 평균값을 가지고, 경계부의 정상부 및 하부에서 약 ±0.2mm의 값이 선호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2 의 경계부(28)는 영역(16)의 외측주변부 및 영역(18)의 내측주변부를 형성한다. 중간영역(16)의 외측반경(r4)에 의해 경계부(28)가 형성된다. 사실상 원형곡선으로서 외측반경(r4)이 약 4.8-5.2mm사이의 값, 약 5.0mm의 선호되는 값을 가진다. 도 1에서 톱니모양의 패턴에서, 외측반경(r4)는 약 4.8-4.6mm 사이의 값, 약 5.0mm의 선호되는 값을 평균값으로 가지며, 경계부(28)의 정상부 및 하부에서 약 ±0.2mm의 값이 선호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홍채패턴의 선택적 실시예가 도 3에서 평면도로서 제공되고, 경계부들, 색채요소들 및 매크로줄무늬자국들은 사실상 규칙적인 패턴을 형성한다. 내측영역, 중간영역 및 외측영역들사이의 경계부들이 사실상 매끄럽고 원형으로 형성되고, 매크로줄무늬자국들은 규칙적인 반경방향의 배열을 형성한다.
사용되는 콘택트렌즈, 색채 또는 콘택트렌즈내에 색채들이 형성되거나 렌즈위에 색채들이 부착되는 것에 상관없이, 본 발명은 색채패턴에 관련된다. 색채요소들의 제법 및 제조와 같은 세부사항들, 콘택트렌즈의 제조 및 생산, 및 콘택트렌즈에 색채요소들을 구성하는 방법이 콘택트렌즈산업의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다.
Knapp씨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4,582,402 호 및 Jahnke씨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5,414,477 호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선호되는 색채요소들은 점(dot)들이다. 그러나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점들이 불투명할 필요는 없다. 어두운 눈을 위해, 점들은 불투명한 것이 선호된다. 밝은 눈을 위하여, 불투명하거나 불투명하지 않을 수도 있다. 가장 선호되는 잉크페이스트(ink paste)의 제법이 하기와 같다.
성분 색채녹색 청색 아쿠아(Aqua) 보라색
Ethyl Lactate 31.35% 22.50% 22.50% 22.50%
Polymer Soln. 65.33% 76.00% 76.01% 76.00%
PCN Blue --- 1.50% 0.29% ---
PCN Green 0.90% --- 1.20% ---
Carbazole Violet --- --- --- 1.50%
Hydrophobic FeO 2.42% --- --- ---
Total 100.00% 100.00% 100.00% 100.00%
선호되는 잉크페이스트를 생산하기 위해, 구성성분들이 그라인딩매체(grinding media)내부에서 혼합된다. 651그람(gram sample) 및 3000그람샘플에 대하여, 각각 850그람 및 4298그람의 그라인딩매체가 이용된다. 약 50,000CPS의 목표점도를 가진 녹색의 색채를 제외하면, 각각의 제법에 대하여, 폴리머용액의 목표점도는 약 35,000CPS이다.
(눈으로부터 떨어진)전면 또는 (눈과 접촉하는)후면위에서 상기 패턴이 여러 가지 콘택트렌즈에 부착되거나 콘택트렌즈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선호되는 렌즈에 있어서, 패턴이 전면에 부착된다. 하드 콘택트렌즈(hard contact lens)위에서, 사실상 콘택트렌즈의 변부에 패턴의 외측주변부가 구성된다. 소프트(soft)콘택트렌즈위에서, 패턴의 외측주변부가 불투명하지 않은 공막부분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Loshaek씨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4,405,773 호 및 제 4,668,240 호에 선호되는 콘택트렌즈가 설명된다. 진보성을 가진 패턴을 이용한 선호되는 렌즈들은 사실상 깨끗하고 색채가 없다. 그러나 보통의 관찰자에게 관찰될 때 색채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외관이 색조(tint)에 의해 사실상 변화되지 않는다면, 약간의 색조를 가진 렌즈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한다.
색채패턴을 가지는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이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다. Knapp씨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4,582,402 호 및 Jahnke씨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5,414,477 호에 본 발명의 패턴을 가진 콘택트렌즈의 선호되는 제조방법이 설명된다. Wichterle씨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3,679,504 호, Su 및 동료들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5,018,849 호, Evans 와 동료들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5,302,978 호, Rawlings씨 및 동료들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5,120,121 호, Rawlings씨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5,166,122 호, 유럽특허출원 제 0 472 496 A2 호에 칼라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실례들이 설명된다.
주요 그룹 결과
주요 그룹에 대한 시험에서, 본 발명의 렌즈들이 다른 칼라렌즈들에 비하여 적어도 필적하며 일반적으로 선호하고 있음이 소비자들로부터 발견되었다.
청색렌즈
J K CT I
선호도 2.9 2.1 2.0 3.0
자연스러운 패턴 2.9 2.3 2.0 2.9
가장양호한 패턴 3.1 2.0 2.1 2.8
녹색렌즈
J K CT I
선호도 2.8 2.3 2.4 2.5
자연스러운 패턴 2.6 2.4 2.4 2.6
가장양호한 패턴 2.6 2.1 2.6 2.6
(가장 선호되는 것을 4라 할 때) 렌즈들에 1 내지 4의 스케일도 등급이 매겨진다. 시험된 렌즈들이 다음과 같다.
J : 미국특허 제 5,414,477 호를 따르고 두 개의 서로다른 색채를 가진 Jahnke씨의 렌즈
K : 미국특허 제 4,582,402 호를 따르고 약간 더 높은 점 밀도 및 어두운 홍채주변부에 의해 변형되는 Knapp씨의 렌즈.
CT : 홍채에 대한 연속투명점(continuous Transparent dot)
I : 도 1 에 도시된 본 발명의 패턴.
청색렌즈는, Jahnke씨의 렌즈에 대해 본 발명의 진보적인 렌즈에 대해 경미한 선호도를 보인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투명점에 대해 진보적인 렌즈 및 약간 수정된 Knapp씨의 렌즈를 훨씬더 선호한다. 다른 카테고리에 있어서, 본 발명의 렌즈는 Janke씨의 렌즈에 비해 약간 덜 선호하거나 필적하지만, 다른 렌즈와 비하면 훨씬더 선호된다.
녹색렌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렌즈는 Jahnke씨의 렌즈보다 약간 덜 선호되고, 다른 두 개의 렌즈보다 약간 더 선호된다. 가장 자연스럽고 양호한 패턴에 있어서, 본 발명의 녹색렌즈가 다른 렌즈들에 비하여 더욱 선호되거나 필적하게 선호된다.
Jahnke씨의 렌즈는 양호한 기능을 가지더라도, 생산하기에 더욱 어려운 패턴을 가진다. Jahnke씨의 렌즈가 가지는 주요단점을 보면, 렌즈에 한번이상의 색채부착작업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렌즈에 따르면, 예를들어 선천적인 눈색채에 대해 보조색채를 부가하거나 음영을 주는 것에 의해서, 눈의 선천적인 색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장 양호하게 수행된다. 또한 녹색으로부터 청색 또는 청색으로부터 녹색으로 변하는 것과 같이 색채의 덜 극적인 변화에도 유용하다. 브라운(brown)으로부터 청색 또는 청색으로부터 브라운으로 변화하는 것과 같은 눈색채의 실제변화가 필요할 때, 렌즈들이 덜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내더라도, 상기 변화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해당한다.
상기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오직 설명을 위한 것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보다는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해진다. 청구항들의 범위 및 사상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화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한다.

Claims (33)

  1. (a) 내부영역,
    (b) 홍채패턴의 전체면적중 약 25-72%사이에서 구성되는 중간영역이 구성되며, 중간영역이 중간영역의 약 5-30%를 덮는 색채요소들의 집단을 가지고, 색채요소들을 가진 매크로줄무늬자국들 및 색채요소들을 가지지 않는 매크로줄무늬자국들사이에서 교대로 구성되고 반경방향을 향하는 매크로줄무늬자국들의 배열을 형성하며,
    (c) 외부영역으로 패턴이 구성되고,
    착용자의 눈색채를 향상시키거나 변화시키는데 유효한 색채요소들의 집단이 각각의 내부영역 및 외부영역에 의해 제공되고 불투명하지 않은 동공부분 및 색채요소들의 홍채패턴을 가진 칼라콘택트렌즈.
  2. 제 1 항에 있어서, 배열이 불규칙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3. 제 1 항에 있어서, 배열이 규칙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4. 제 1 항에 있어서, 홍채패턴의 면적중 약 30-60%에 의해 중간영역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5. 제 1 항에 있어서, 홍채피턴의 면적중 약 47%에 의해 중간영역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6. 제 1 항에 있어서, 중간영역내부에서 색채요소들에 의해 덮히는 면적이 중간영역중 약 10-20%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7. 제 1 항에 있어서, 중간영역내부에서 색채요소들에 의해 덮히는 면적이 중간영역중 약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8.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영역 및 중간영역사이의 경계부와 외부영역 및 중간영역사이의 경계부들이 각각 매끄럽고 원형을 이루는 곡선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9. 제 1 항에 있어서, 톱니모양의 경계부가 내부영역 및 중간영역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10. 제 1 항에 있어서, 톱니모양의 경계부가 중간영역 및 외부영역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11.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영역 및 중간영역사이에 톱니모양의 제 1 경계부가 형성되고, 중간영역 및 외부영역사이에 톱니모양의 제 2 경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12. 제 11 항에 있어서, 톱니모양의 경계부들이 불규칙적인 톱니모양의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13. 제 11 항에 있어서, 톱니모양의 경계부들이 반복되는 톱니모양의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14. 제 11 항에 있어서, 약 4.8-5.2mm 사이의 외부반경 및 약 3.3-3.7mm 사이의 평균내부반경에 의해 중간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15. 제 11 항에 있어서, 약 3.5mm의 평균내부반경 및 약 5.0mm의 외부반경에 의해 중간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16. 제 1 항에 있어서, 렌즈들의 전면표면에 색채요소들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17.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영역 및 외부영역들내부의 색채요소들이 그리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18. 제 1 항에 있어서, 원형의 점들, 육각형의 점들 및 정사각형의 점들을 구성된 그룹들로부터 색채요소들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19. 제 1 항에 있어서, 색채요소들이 형상 및 크기가 변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20.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색채요소는 동일한 색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21. 제 1 항에 있어서, 색체요소들은 서로 다른 두 개이상의 색채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22. 제 1 항에 있어서, 색채요소들이 불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23. 제 1 항에 있어서, 색채요소들이 불투명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24. 제 21 항에 있어서, 한 개이상의 색채요소가 불투명하고, 또다른 색채요소는 불투명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25. 제 1 항에 있어서, 홍채를 모방하기 위해, 내부영역에 형성된 색채요소들의 밀도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26. 제 1 항에 있어서, 홍채를 모방하기 위해, 외부영역에 형성된 색채요소들의 밀도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27. 제 1 항에 있어서, 홍채를 모방하기 위해, 내부영역 및 외부영역들에 형성된 색채요소들의 밀도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28.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영역의 색채요소들에 의해 덮혀지는 면적이 약 35-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29.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영역의 색채요소들에 의해 덮혀지는 면적이 약 35-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30.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영역 및 외부영역의 색채요소들에 의해 덮혀지는 면적이 약 35-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31.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영역의 색채요소들에 의해 덮혀지는 면적이 약 4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32.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영역의 색채요소들에 의해 덮혀지는 면적이 약 4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33.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영역 및 외부영역의 색채요소들에 의해 덮혀지는 면적이 4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렌즈.
KR1019997008913A 1997-03-31 1998-03-30 색채 변화 칼라렌즈용 패턴 KR100348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829,302 1997-03-31
US08/829,302 US5936705A (en) 1997-03-31 1997-03-31 Pattern for color modifying contact lens
US8/829,302 1997-03-31
PCT/US1998/006257 WO1998044381A1 (en) 1997-03-31 1998-03-30 Improved pattern for color modifying contact l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5839A true KR20010005839A (ko) 2001-01-15
KR100348184B1 KR100348184B1 (ko) 2002-08-09

Family

ID=25254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8913A KR100348184B1 (ko) 1997-03-31 1998-03-30 색채 변화 칼라렌즈용 패턴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936705A (ko)
EP (1) EP0972224A1 (ko)
JP (1) JP2002512704A (ko)
KR (1) KR100348184B1 (ko)
CN (1) CN1145059C (ko)
AR (1) AR012205A1 (ko)
BR (1) BR9807907A (ko)
CA (1) CA2201431A1 (ko)
CO (1) CO4950601A1 (ko)
ID (1) ID24698A (ko)
RU (1) RU2178904C2 (ko)
TW (1) TW407738U (ko)
WO (1) WO19980443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54311A1 (en) * 2014-12-01 2016-06-02 Tokyo Electron Limited Developing metho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develop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S532490A3 (en) * 1989-11-01 1992-10-14 Schering Corp Colored contact lens having a very natural appearance
US20030030773A1 (en) * 1998-03-12 2003-02-13 Ocampo Gerardo J. Colored contact lens with a more natural appearance
CN1158558C (zh) * 1998-03-12 2004-07-21 诺瓦提斯公司 具有更自然外观的有色接触透镜
EP0982617A1 (en) * 1998-08-28 2000-03-01 INNOVA, Inc Colored contact lens with a natural appearance
US6030078A (en) * 1998-09-04 2000-02-29 Wesley Jessen Corporation Colored contact lenses that change the appearance of the iris to olive green
US6488375B2 (en) 1999-10-28 2002-12-03 Ocular Sciences, Inc. Tinted contact len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7267846B2 (en) 1999-11-01 2007-09-11 Praful Doshi Tinted lens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CA2388655C (en) 1999-11-01 2010-12-14 Praful Doshi Tinted lens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7048375B2 (en) * 1999-11-01 2006-05-23 Praful Doshi Tinted lens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6880932B2 (en) * 1999-11-01 2005-04-19 Praful Doshi Tinted lens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6827440B2 (en) 2000-01-03 2004-12-07 Wesley Jessen Company Colored contact lens with a more natural appearance
AU2754701A (en) * 2000-01-03 2001-07-16 Novartis Ag Colored contact lens with a more natural appearance
US6634747B1 (en) 2000-06-07 2003-10-21 Novartis Ag Sample indicator lens
AR029671A1 (es) * 2000-06-12 2003-07-10 Novartis Ag Lente de contacto de color con aspecto mas natural y metodo para fabricarla
US6767097B2 (en) 2001-03-29 2004-07-27 Daniel G. Streibig Colored contact len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811805B2 (en) * 2001-05-30 2004-11-02 Novatis Ag Method for applying a coating
US6655804B2 (en) * 2001-06-29 2003-12-02 Daniel G. Streibig Colored contact len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733126B2 (en) 2001-06-29 2004-05-11 Daniel G. Streibig Colored contact len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30117576A1 (en) * 2001-12-05 2003-06-26 Ocular Sciences, Inc. Colored contact lenses
US20030165015A1 (en) * 2001-12-05 2003-09-04 Ocular Sciences, Inc. Coated contact lense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7368072B2 (en) * 2001-12-10 2008-05-06 Ppg Industries Ohio, Inc. Photochromic contact lens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US7001542B2 (en) * 2002-05-31 2006-02-21 Mi Gwang Contact Lens Co., Ltd. Colored contact le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30227596A1 (en) * 2002-06-07 2003-12-11 Clark Douglas G. Tinted contact lenses
US20050001978A1 (en) * 2003-07-01 2005-01-06 Ocampo Gerardo J. Colored contact lenses that enhance cosmetic appearance of light-eyed people
EP1644770A1 (en) * 2003-07-01 2006-04-12 Novartis AG Colored contact lenses that enhance cosmetic appearance of light-eyed people
US7278736B2 (en) * 2004-02-25 2007-10-09 Novartis Ag Contact lenses imparting a vivacious appearance to the eye
EP1732750B1 (en) * 2004-03-24 2008-05-21 Novartis AG Method for producing contact lenses
US8147728B2 (en) 2004-04-01 2012-04-03 Novartis Ag Pad transfer printing of silicone hydrogel lenses using colored ink
CA2561788C (en) * 2004-04-21 2013-05-21 Novartis Ag Curable colored inks for making colored silicone hydrogel lenses
US7641336B2 (en) * 2004-05-12 2010-01-05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Tinted contact lenses with combined limbal ring and iris patterns
US20050265937A1 (en) * 2004-06-01 2005-12-01 Alan Glazier Systems and methods for changing eye color appearance
ATE441125T1 (de) * 2004-07-28 2009-09-15 Novartis Ag Tinten auf wasserbasis für hydrogellinsen
US20060050232A1 (en) * 2004-08-19 2006-03-09 Jerry Dukes Tinted contact lenses with gradient ring patterns
US7246903B2 (en) * 2004-08-19 2007-07-24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Tinted contact lenses with combined limbal ring and iris patterns
US20060050231A1 (en) * 2004-08-19 2006-03-09 Bowers Jack W Tinted contact lenses with cell patterns
AR052008A1 (es) * 2004-09-01 2007-02-28 Novartis Ag Metodo para hacer lentes de contacto de hidrogel de silicon a color
US20060065138A1 (en) * 2004-09-30 2006-03-30 Tucker Robert C Pad printing method for making colored contact lenses
US7255438B2 (en) * 2004-09-30 2007-08-14 Novartis Ag Pad transfer printing method for making colored contact lenses
US20070058131A1 (en) * 2005-09-15 2007-03-15 Bowers Jack W Tinted contact lenses with three-dimensional iris patterns
TWI526730B (zh) * 2009-09-23 2016-03-21 諾華公司 基於不規則影像之經著色之隱形眼鏡
EP2598935A1 (en) 2010-07-29 2013-06-05 Novartis AG Colored contact lens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EP2652544B1 (en) 2010-12-14 2020-08-19 Alcon Inc. Colored contact lens
US8632182B2 (en) 2011-05-05 2014-01-2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Interface using eye tracking contact lenses
US9104042B2 (en) * 2011-11-02 2015-08-1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Oriented contact lens with brightly colored sclera
JP2013130658A (ja) * 2011-12-20 2013-07-04 Menicon Co Ltd 色付コンタクトレンズ
JP2013130716A (ja) * 2011-12-21 2013-07-04 Menicon Co Ltd 色付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12743B1 (ko) 2012-02-20 2016-04-15 가부시키가이샤 메니콘네쿠토 착색 콘택트렌즈
CN103926710B (zh) * 2013-01-15 2015-11-04 九扬贸易有限公司 利用色像差来控制近视并兼具美容的隐形眼镜
US9715129B2 (en) * 2015-04-15 2017-07-25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ontact lens with multi-layered pattern
CN105467616A (zh) * 2016-02-16 2016-04-06 侯绪华 美瞳隐形眼镜
US10156736B2 (en) 2017-04-13 2018-12-18 Novartis Ag Colored contact lens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D829795S1 (en) 2017-04-13 2018-10-02 Novartis Ag Contact lens
USD829254S1 (en) 2017-04-13 2018-09-25 Novartis Ag Contact Lens
USD824443S1 (en) 2017-04-13 2018-07-31 Novartis Ag Contact lens
USD869534S1 (en) 2017-04-13 2019-12-10 Novartis Ag Contact lens
USD829255S1 (en) 2017-04-13 2018-09-25 Novartis Ag Contact lens
USD824981S1 (en) 2017-04-13 2018-08-07 Novartis Ag Contact lens
USD829253S1 (en) 2017-04-13 2018-09-25 Novartis Ag Contact lens
USD824444S1 (en) 2017-04-13 2018-07-31 Novartis Ag Contact lens
USD899480S1 (en) * 2019-03-21 2020-10-20 Dae gon Kim Contact lens
USD899478S1 (en) * 2019-03-21 2020-10-20 Dae gon Kim Contact lens
USD899479S1 (en) * 2019-03-21 2020-10-20 Dae gon Kim Contact lens
JP1725301S (ja) * 2021-02-19 2022-09-21 コンタクトレンズ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2718A (en) * 1970-10-23 1973-01-23 J Legrand Corneal contact lens
US4582402A (en) * 1984-04-16 1986-04-15 Schering Corporation Color-imparting contact lenses
US5116112A (en) * 1988-07-21 1992-05-26 Allergan, Inc. Colored len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120121A (en) * 1988-07-21 1992-06-09 Allergan, Inc. Colored lens
US5018849A (en) * 1988-11-16 1991-05-28 Ciba-Geigy Corporation Colored contact le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S532490A3 (en) * 1989-11-01 1992-10-14 Schering Corp Colored contact lens having a very natural appearance
EP0472496A3 (en) * 1990-08-20 1992-12-02 Ciba-Geigy Ag Method of producing a contact lens and contact lens produced thereby
US5160463A (en) * 1990-10-30 1992-11-03 Pilkington Visioncar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tact lens
KR950006089B1 (ko) * 1992-06-09 1995-06-08 삼성전관주식회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오드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54311A1 (en) * 2014-12-01 2016-06-02 Tokyo Electron Limited Developing metho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develop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72224A4 (en) 2000-01-19
US5936705A (en) 1999-08-10
TW407738U (en) 2000-10-01
JP2002512704A (ja) 2002-04-23
AR012205A1 (es) 2000-09-27
RU2178904C2 (ru) 2002-01-27
CN1251662A (zh) 2000-04-26
AU6788898A (en) 1998-10-22
ID24698A (id) 2000-08-03
CO4950601A1 (es) 2000-09-01
AU725881B2 (en) 2000-10-26
WO1998044381A1 (en) 1998-10-08
BR9807907A (pt) 2000-02-22
EP0972224A1 (en) 2000-01-19
KR100348184B1 (ko) 2002-08-09
CN1145059C (zh) 2004-04-07
CA2201431A1 (en) 1998-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8184B1 (ko) 색채 변화 칼라렌즈용 패턴
US6132043A (en) Colored contact lenses that enhance cosmetic appearance of dark-eyed people
US6030078A (en) Colored contact lenses that change the appearance of the iris to olive green
US20120169993A1 (en) Colored Contact Lenses With a More Natural Appearance
US20030156249A1 (en) Colored contact lens having very natural appearance
AU755565B2 (en) Colored contact lenses with a more natural appearance
US20050001978A1 (en) Colored contact lenses that enhance cosmetic appearance of light-eyed people
AU725881C (en) Improved pattern for color modifying contact lens
MXPA99008962A (en) Improved pattern for color modifying contact lens
EP1644770A1 (en) Colored contact lenses that enhance cosmetic appearance of light-eyed people
KR20040087297A (ko) 콘택트렌즈
MXPA00008890A (en) Colored contactlenses with a more natural appear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