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4832A - 음성인식을 이용한 기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음성인식을 이용한 기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4832A
KR20010004832A KR1019990025569A KR19990025569A KR20010004832A KR 20010004832 A KR20010004832 A KR 20010004832A KR 1019990025569 A KR1019990025569 A KR 1019990025569A KR 19990025569 A KR19990025569 A KR 19990025569A KR 20010004832 A KR20010004832 A KR 20010004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control command
input
recognition
voice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5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25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4832A/ko
Publication of KR20010004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483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TV와 같은 음원에 해당하는 스피커 출력음이 있는 기기에 음성인식을 위해 음성입력 장치가 탑재되어 있는 환경에서 음원의 간섭없이 사용자의 음성입력을 받아 드릴 수 있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발명에 따른 음성인식기기 제어장치는 음성인식에 의한 기기 제어를 수행하는 음성인식 기기 제어장치에 있어서,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음성입력부와, 상기 음성입력부의 음성 제어명령과 기기 본체의 음원으로 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비교하여 음성 제어명령의 입력이 있는지를 감지하는 음성 입력 감지부와, 상기 음성입력 감지부의 판단결과 현재 음성 제어명령의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기 본체의 음성출력을 차단하는 입력 차단부와, 상기 음성 입력부로 입력되는 음성 제어명령을 인가 받아 음성 제어명령에 해당하는 음성인식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엔진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음성 제어 명령이 기기본체의 오디오 신호에 의하여 간섭을 일으켜 발생하는 음성 오인식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주변 잡음에 의하여 사용자의 음성 제어명령이 간섭을 받아 생기는 음성인식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인식을 이용한 기기 제어장치{A control Apparatus For Voice Recognition}
본체에 스피커와 같은 음원이 부착되어 있는 장치에서 음성인식에 의하여 장치를 제어하는 경우 음원에서 발생되는 오디오의 간섭없이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음성인식 장치에 정확히 입력시키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성인식에 의한 기기 제어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음성인식 제어 장치는 도면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음성인식용 마이크(1)에 사용자가 명령을 부가하면 음성증폭/디지탈 변환부(2)는 음성인식용 마이크(1)의 입력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디지탈 변환한다. 디지탈 벼환된 음성 신호를 음성인식 엔진(9)에서 프로세싱하여 음성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시스템 제어부(4)로 출력한다.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음성인식 결과에 따른 제어명령에 따라 채널, 볼륨등의 시스템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도면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음성인식 마이크(1)에 입력시 시스템은 동작중에 있으므로 시스템의 스피커(13)를 통하여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사용자의 음성 제어 명령이 상기 스피커(13)의 오디오 출력과 간섭을 일으켜 음성 입력 마이크(1)에 입력되는 신호에는 스피커(13)의 출력신호가 혼합되게 된다.
따라서, 음성인식 엔진(9)에서 음성 인식 프로세싱을 수행하면 기기본체의 음우너에서 발생되는 오디오 신호가 음성 제어명령에 혼합되어 인식결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음성 오인식의 가능성이 대단히 커지게 되고 음성 제어에 의하누 기기 동작 제어에 커다란 장애가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본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스피커 출력음과 사용자의 음성 제어명령이 혼합되어 음성인식 엔진으로 유입되어 음성 인식률이 현저히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음성인식 기기의 음성 제어명령 입력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2는 본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음성 인식기기 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3은 도2에 도시된 음성입력 감지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음성입력 장치 9 : 음성인식엔진
11:음성입력 감지부 12 : 입력 차단부
13 : 스피커 14 : 음성증폭부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의 음성인식 제어장치는 음성인식에 의한 기기 제어를 수행하는 음성인식 기기 제어장치에 있어서,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음성입력부와, 상기 음성입력부의 음성 제어명령과 기기 본체의 음원으로 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비교하여 음성 제어명령의 입력이 있는지를 감지하는 음성 입력 감지부와, 상기 음성입력 감지부의 판단 결과 현재 음성 제어명령의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기 본체의 음성출력을 차단하는 입력 차단부와, 상기 음성 입력부로 입력되는 음성 제어명령을 인가 받아 음성 제어명령에 해당하는 음성인식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엔진을 포한하여 사용자의 음성 제어 명령이 기기본체의 오디오 신호에 의하여 간섭을 일으켜 발생하는 음성 오인식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하 도면 제2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 하기로 한다.
음성 입력장치로 유입되는 신호의 구성 성분은 도면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피커(13)의 출력음과 사용자의 음성 제어명령이며, 이 신호를 검출하면 현재 음성 제어명령이 입력되고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음성입력 장치(1)에 유입된 스피커(13)출력음과 사용자의 음성 제어명령의 혼합신호는 음성입력 감지부(11)로 인가 된다. 또한, 시스템의 음성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음성증폭부(14)의 출력신호를 음성입력 감지부(11)로 입력된다.
음성입력 감지부(11)는 입력된 두 신호를 비교하여 두 신호의 차이가 없으면, 사용자의 음성 제어명령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음성증폭부(14)의 동작을 제어하지 않고 시스템이 동작되는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한다. 즉, 사용자 음성 제어 명령의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스피커(13) 출력음은 위와 같이 음성입력장치(1)로 유입되고, 이 신호는 다시 음성입력 감지부로 전달된다. 이 경우 스피커 출력음과 음성입력 감지부로 입력되는 신호가 동일한 파장의 신호이므로 음성 입력 감지부(11)는 입력된 두 개의 신호를 비교하고 동일신호임을 판별할 수 있으며, 동일 신호 형태는 결국 사용자의 음성 제어명령이 없음을 의미하므로 시스템이 정상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위에서 음성 입력 감지부는 입력된 두 신호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으면 음성 제어명령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입력 차단부(12)를 구동하여 음성증폭부(14)의 증폭 동작을 제한하도록 하여 스피커(13)의 출력을 제한 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스피커(13)의 출력 신호는 음성 입력장치로 사용자의 음성 제어명령과 함게 입력 된다. 음성 입력감지부(11)입력된 두개의 파형을 비교하여 상이한 신호임을 판별 할 수 있으며, 이로 부터 현재 사용자의 음성 제어 명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음성 입력 감지부는 도면 제3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차동 입력 OP 앰프도 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소자로 대체 될 수 도 있다.
사용자 음성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의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위에서 본바와 같은 방법으로 현재 사용자가 TV의 볼륨, 채널등을 변경 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음성 입력부에 발음한 경우 음성 입력부를 통한 음성신호는 디지탈 변환부에 의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어 음성인시엔진에서 이미 일잔적으로 알려져 있는 음성 인식 알고리즘에 의한 음성인식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인식하고 이 신호를 시스템 제어부에 인가하면 시스템 제어부는 해당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시스템의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본원은 음성인식에 의한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에서 음성 제어명령의 입력을 정확히 하므로서 음성인식률을 높일 수 있으며, 기기의 오동작 등의 방지할 수 있는 효과 가 있다.
특히, 향후 모든 기기는 음성인식에 의한 기기조작이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본원과 같은 방법에 의한 음성인식기를 이용한 제어에는 반드시 필요한 기술로 평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3)

  1. 음성인식에 의한 기기 제어를 수행하는 음성인식 기기 제어장치에 있어서,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음성입력부와, 상기 음성입력부의 음성 제어명령과 기기 본체의 음원으로 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비교하여 음성 제어명령의 입력이 있는지를 감지하는 음성 입력 감지부와, 상기 음성입력 감지부의 판단 결과 현재 음성 제어명령의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기 본체의 음성출력을 차단하는 입력 차단부와, 상기 음성 입력부로 입력되는 음성 제어명령을 인가 받아 음성 제어명령에 해당하는 음성인식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엔진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음성 제어 명령이 기기본체의 오디오 신호에 의하여 간섭을 일으켜 발생하는 음성 오인식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입력 감지부는 OP 앰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제어명령은 시스템의 볼륨,채널 조정등의 제[어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제어장치.
KR1019990025569A 1999-06-30 1999-06-30 음성인식을 이용한 기기 제어장치 KR200100048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569A KR20010004832A (ko) 1999-06-30 1999-06-30 음성인식을 이용한 기기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569A KR20010004832A (ko) 1999-06-30 1999-06-30 음성인식을 이용한 기기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4832A true KR20010004832A (ko) 2001-01-15

Family

ID=19597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5569A KR20010004832A (ko) 1999-06-30 1999-06-30 음성인식을 이용한 기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483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75722A1 (en) * 2001-02-20 2002-09-26 Sungwoo Techno Inc. A voice command identifier for a voice recognition system
KR20040048435A (ko) * 2002-12-03 2004-06-10 조미화 음성 제어 텔레비젼 수상기 및 음성 제어 방법
KR100552468B1 (ko) * 2001-07-19 200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인식에 따른 오동작을 방지 및 음성인식율을 향상 할수 있는 전자기기 및 방법
CN107564519A (zh) * 2013-01-07 2018-01-09 三星电子株式会社 交互服务器及其控制方法和交互系统
KR101959903B1 (ko) * 2017-10-26 2019-03-19 주식회사 마이티웍스 스마트 오디오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75722A1 (en) * 2001-02-20 2002-09-26 Sungwoo Techno Inc. A voice command identifier for a voice recognition system
KR100552468B1 (ko) * 2001-07-19 200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인식에 따른 오동작을 방지 및 음성인식율을 향상 할수 있는 전자기기 및 방법
KR20040048435A (ko) * 2002-12-03 2004-06-10 조미화 음성 제어 텔레비젼 수상기 및 음성 제어 방법
CN107564519A (zh) * 2013-01-07 2018-01-09 三星电子株式会社 交互服务器及其控制方法和交互系统
US10891968B2 (en) 2013-01-07 2021-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active server, control method thereof, and interactive system
US11854570B2 (en) 2013-01-07 2023-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providing response to voice input, and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of
KR101959903B1 (ko) * 2017-10-26 2019-03-19 주식회사 마이티웍스 스마트 오디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67860A3 (en) Method and device for voice-operated remote control with interference compensation of appliances
JPS58190994A (ja) 車両用音声認識装置
US20070037536A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mute function on telephone
EP0717547B1 (en) Automatically variable circuit of sound level of received voice signal in telephone
US4589136A (en) Circuit for suppressing amplitude peaks caused by stop consonants in an electroacoustic transmission system
KR20010004832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기기 제어장치
JPS632500A (ja) 収音装置
ATE380450T1 (de) Spracherkennungs- und diskriminationsvorrichtung und verfahren
JP2000039900A (ja) 自己診断機能付き音声対話装置
JPH11308062A (ja) 音声出力装置の音量自動調整装置
KR0138148B1 (ko) 음성신호 검출구간 설정회로
JP3017127B2 (ja) 音声認識応答装置
KR20040088245A (ko) 차량 오디오의 음량 조절 장치
JPH02176796A (ja) 音声認識装置
JPH0462598A (ja) 音声認識装置における音声レベル表示方式
KR19990055650A (ko) 카오디오의 볼륨레벨을 뮤트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2146600A (ja) 音声認識装置
KR950001069B1 (ko) 음성신호처리장치
JPH04340598A (ja) 音声認識装置
JPH04301697A (ja) 音声認識装置
JPS6367199B2 (ko)
JPH05289690A (ja) 音声認識制御装置
JPH01236000A (ja) 音声認識装置
JPS61180296A (ja) 音声認識装置
JPH0485600A (ja) 音声認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