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3724A -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폐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폐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3724A
KR20010003724A KR1019990024128A KR19990024128A KR20010003724A KR 20010003724 A KR20010003724 A KR 20010003724A KR 1019990024128 A KR1019990024128 A KR 1019990024128A KR 19990024128 A KR19990024128 A KR 19990024128A KR 20010003724 A KR20010003724 A KR 20010003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redder dust
cement
waste
dust
kil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4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0570B1 (ko
Inventor
신백철
Original Assignee
김여수
주식회사 경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여수, 주식회사 경한 filed Critical 김여수
Priority to KR1019990024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570B1/ko
Publication of KR20010003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57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폐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를 적절히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시멘트 킬른에 시멘트 원료와 연료를 장입하여 시멘트 클링커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폐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를 상기 시멘트 원료에 연료중량에 대하여 10중량% 이하 첨가하는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폐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 처리방법을 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폐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의 처리방법{A METHOD FOR TREATING WASTE SHREDDER DUST IN A PROCESS FOR MANUFACTURING CEMENT}
본 발명은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폐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대수는 계속 증가되고 있고, 이에 따라 폐자동차 발생량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폐자동차와 같은 폐기물 처리에 대한 대응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자동차는 충돌 안정성 향상을 위한 고장력 강등 특수재료와 연료소비 절감을 위한 알루미늄, 플라스틱 재료등 경량 재료의 사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자동차의 재료구성비율을 살펴보면, 자동차 제조업체 및 모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거의 유사한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준중형차를 기준으로 보면, 자원 리사이클링(Recycling)이 쉬운 철계 금속재료가 약 60% 정도, 비철금속 재료가 약 10% 정도이며, 리사이클링이 어려운 플라스틱(plastics), 고무(rubber), 유리 등 기타 재료가 각각 약 10% 정도, 약 6% 정도, 약 3%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통상, 사용이 완료된 폐 자동차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처리되고 있다.
즉, 폐 자동차는 처리장으로 넘겨져서 범퍼등의 부품과 해체작업시 위험성이 있는 연료, 오일류, 타이어, 배터리 등을 우선적으로 분리/회수한다.
주로 금속재료로 구성된 엔진, 변속기는 분해로 또는 수작업으로 분해하여 철, 비철금속으로 분리/회수하여 재활용하고 플라스틱, 시트 등 유기화합물의 내/외장 부품은 차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대형 압축기로 압축하여 파쇄기(shredder)를 통하여 고철 회수공정에서 파쇄한다.
이때, 철질원료는 자력선별기로 선별 회수하고, 고가의 비철재료는 비철 선별기 및 수작업으로 분리/회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폐차처리시 회수된 일부 부품과 금속 재료는 분리/회수하고 나머지 차량 중량의 약 25%를 차지하는 고무, 유리 및 플라스틱 재료는 대부분 폐기물로 발생하고 있다.
이때, 폐 자동차 파쇄 폐기물(shredder dust; 이하, "슈레더 더스트" 라 칭함)은 차체 파쇄과정에서 남아 있는 액상류에 의해 오염된다.
상기와 같이 폐 자동차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슈레더 더스트(최종 파쇄 폐기물)는 대부분 매립처리 되고 있으며, 열분해 또는 소각처리방법이 일부 시도되었으나, 슈레더 더스트를 열분해 방법에 의해 처리하는 경우에는 시설투자 및 설비 운영에 대한 경제성 문제가 있고, 소각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불완전 연소로 유해물질이 발생되어 대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슈레더 더스트의 매립방법은 국토가 좁은 나라에서는 대규모 매립장의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경제적 가치확보를 위해 가능한 한 파쇄 이전공정에서 부품을 회수하여 재사용(resue)하거나, 재료를 재활용(material recycling)하는 방법과 에너지로 재활용하여 유해배가스를 완전 무해화하고 에너지로 재활용하는 환경친화적인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환경 친화적인 방법중의 하나로서 시멘트 킬른을 이용한 폐기물 소각처리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시멘트 킬른을 이용한 폐기물의 소각처리는 이미 구미에서 20여년 전부터 시행되어 왔으며, 일본의 경우도 10여년 전부터 시작하여 현재 대부분의 시멘트 킬른을 폐기물 소각시설로 인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시멘트 킬른을 이용한 폐기물의 처리는 처리의 효용성 및 환경 안정성 측면에서 국제적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는 기술이다.
특히, 시멘트 킬른을 이용한 폐기물의 처리에 관한 안정성을 미국 EPA 가 고시한 바 있으며, 또한 여러 테스트 결과에 의해 입증된 바 있다.
시멘트 제조 분야에서 시멘트 킬른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폐기물로는 제철공장 슬래그, 발전소의 플라이 에쉬 등의 산업폐기물을 들수 있다.
더우기, 일부 선진국에서는 정유공장의 폐유, 폐유기용제, 폐합성수지, 프레온 가스등의 유해물질 뿐만 아니라 하수 오니, 도시 쓰레기 등의 생활 폐기물도 시멘트 공장에서 처리하고 있다.
상기한 폐기물들을 시멘트 킬른에서 처리하는 경우 폐기물중 유기물질을 완전 분해하고 유해물질을 고정화시키는데, 이러한 시멘트 공정 특성상 시멘트 산업에서의 페기물 처리 및 재활용은 폐기물을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처리하려는 사회적 요구와 원가절감을 위한 시멘트 업계의 필요성에 의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계속 증가추세에 있는 폐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를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처리하는 기술은 아직 제안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슈레더 더스트를 재활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 및 실험을 행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폐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를 처리하므로써, 보다 환경친화적으로 폐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를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멘트 클링커 제조시 첨가되는 연료의 대체 효과도 가져올 수 있는 폐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의 처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시멘트 킬른에 시멘트 원료와 연료를 장입하여 시멘트 클링커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폐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를 상기 시멘트 원료에 연료중량에 대하여 10중량% 이하 첨가하는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폐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통상, 시멘트의 원료는 석회석, 점토, 철광석, 규성등이며, 이들 원료를 잘 배합하여 밀에서 미세하게 분쇄한 후에 킬른내에서 1,450℃ 로 처리하는데, 원료중의 석회석 성분이 실리카, 알루미나, 철성분과 결합하여 클링커 광물을 생성하며 이 광물들이 물과 반응하면 단단하게 굳는 성질을 갖는다.
통상, 시멘트 킬른 내부의 최고 화염온도는 2,000℃ 정도이며, 1,000℃ 이상에서의 가스체류시간은 약 5초 이상이므로, 시멘트 킬른은 폐기물을 완전무해화 처리하는데 적합한 설비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시멘트 제조공정 및 시멘트 클링커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슈레더 더스트를 기술적으로 처리한다면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슈레더 더스트를 보조연료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유해성분은 시멘트 소성공정중 광물내에 고용화시켜 슈레더 더스트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이에 대하여 연구 및 실험을 행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이른 것입니다.
본 발명에 따라 슈레더 더스트를 시멘트 공정에서 처리하기 위해서는 시멘트 제조공정 및 시멘트 클링커 품질에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의 물리적, 화학적, 열적 특성들에 대하여 연구 및 실험을 행하였다.
우선, 슈레더 더스트 발생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압축된 폐자동차가 트럭에 적재되어 폐자동차 처리장에 입하되면, 폐자동차는 폐차파쇄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다.
투입된 폐자동차는 벨트 콘베이어를 통해 파쇄기로 투입되어 파쇄된 후, 1차적으로 미세하고 가벼운 고무, 플라스틱류 물질은 사이클론을 통해 분리(프러프 라인; Fluff line)되고, 파쇄물중의 철질원료는 자력선별기를 통해 분리(페로우스 라인; Ferrous line)되며, 나머지 비철원료와 사이클론에서 분리되지 못한 조대한 물질들은 별도로 분리(난-페로우스 라인; Non Ferrous line)되어 야적된다.
상기 프러프 라인 및 난-페로우스 라인에서 발생된 더스트가 폐 자동차의 수레더 더스트가 된다.
폐자동차 슈레더 더스트의 물리적, 화학적, 열적특성들에 대한 실험 및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물리적 조성비율
상기 프러프 라인 및 난-페로우스 라인에서 채취한 여러 시료에 대하여 물리적 조성비율을 측정한 결과, 그 주요 구성성분들은 스폰지, 플라스틱, 고무, 헝겊, 전선, 나무+종이, 더스트의 7종류로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슈레더 더스트의 대표적인 일례는 플라스틱 류: 32-36%, 스폰지류: 19-22%, 헝겊류:9-12%, 철류:5-7%, 고무류: 2-8%, 종이류: 1-2%, 및 더스트: 22-23%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프러프 라인에서 발생된 슈레더 더스트의 일례의 입도별 비율을 조사한 결과, 16mm이상: 56-62%, 16-4.75mm: 12-18%, 4.75-2.8mm: 5-8%, 2.8mm 이하: 14-19% 이었다.
2) 발열량 및 원소분석
프러프라인에서 채취한 슈레더 더스트 시료를 물리적 조성별, 입도별로 Leco 사의 AC-300단열 발열량 분석기를 이용하여 발열량을 측정한 결과, 슈레더 더스트중의 미세한 더스트류를 제외하고는 모두 4,000kcal/kg 이상으로 열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플라스틱류, 고무류 및 헝겊류는 6,500kcal/kg 수준인 유연탄의 발열량과 거의 동등한 수준의 매우 높은 발열량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입도별 발열량에 있어서는 특히, 16-4.75mm 의 입도를 갖는 경우에는 6,500kcal/kg 정도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2.8mm 이하인 경우에는 2,000kcal/kg 정도로 나타났다.
3) 이론연소 공기량 및 연소가스량 계산
슈레더 더스트는 유연탄이나 폐 타이어에 대비하여 이론연소공기량이 적고, 단위 발열량당 이론연소 가스량도 유연탄이나 폐 타이어 연소시와 동등수준을 나타내었다.
4) Cl 함량 분석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를 구성하는 주요성분들중 플라스틱류와 나무/종이류중의 Cl 함량은 1,000ppm 이하로 비교적 적으나, 고무류와 전선 철류중의 Cl 함량은 10,000ppm 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한편, 폐 타이어 및 유연탄중의 Cl 함량은 각각 450-950ppm 및 60-250ppm 정도이다.
그리고, 입도구간별 차이에 따른 Cl 함량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5) 연소성 측정
DT-TGA 를 이용하여 연소성을 측정하였다.
그 실험조건은 승온속도 10℃/min, 공기분위기, α-알루미나를 표준물질로 하여 입수시료의 반응개시온도, 최대 발열피크 및 반응종료온도를 측정하였다.
연소성을 측정한 결과, 슈레더 더스트의 반응개시온도, 최대 발열피크 온도, 반응종료온도는 폐 타이어와 유연탄에 대비하여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반응특성이 양호함을 나타낸다.
특히, 입도가 4.75-2.8mm 인 경우가 슈레더 더스트의 반응개시온도, 최대 발열피크 온도, 및 반응종료온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6) 회(Ash) 분석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회분은 클링커 소성과정중 원료 물질과 반응하여 일부분이 되므로 회분은 원료와 같은 역할을 하고 상당량의 회분은 킬른내에서 반응중인 원료와 클링커 표면에 침적반응할 수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때, 회분 특성은 클링커링 반응 및 품질에 영향을 준다.
슈레더 더스트는 유연탄과 폐타이어에 대비하여 회 함량이 비교적 많으며, 특히 미세한 더스트와 2.8mm 이하의 미세한(fine) 시료중의 회 함량이 많게 나타났다.
상기 회는 SiO2, Al2O3, Fe2O3, CaO 및 MgO 를 주로 함유하고, Na2O, K2O 도 적은량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상기 회 성분중, Fe2O3함량이 많으며, 미세한 더스트중에서 시멘트 공정과 품질에 악영향을 주는 Na2O 함량이 많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자동차 파쇄과정중 유리가 파쇄되어 분쇄된 것이 함입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7) 중금속 및 미량성분
ICP 와 AA 를 이용하여 중금속과 미량성분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유연탄 대비 슈레더 더스트중 Cu 와 Zn 함량이 매우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중금속 및 미량성분중의 일부는 시멘트 제조공정내에서 휘발되며 품질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슈레더 더스트를 시멘트 공정에 본격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슈레더 더스트 애쉬중 중금속과 미량성분의 영향파악과 더불어 필요시 중금속의 사전분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8) 회융점
고온현미경을 이용하여 600℃이상에서 5℃/min 의 승온속도로 슈레더 더스트 에쉬의 회융점을 측정한 결과, 슈레더 더스트 에쉬의 회융점이 폐타이어 에쉬와 유사하며, 유연탄 에쉬보다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슈레더 더스트를 시멘트 공정에 적용시 에쉬와 기존 R/Mix 와의 융점 차이에 의해 클링커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 킬른 공정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슈레더 더스트내의 Cl, 알칼리 성분의 함량, 슈레더 더스트의 투입량, 슈레더 더스트의 연소성 등을 들 수 있고, 시멘트 클링커 품질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슈레더 더스트내의 Cl, 알칼리 성분의 함량, 및 슈레더 더스트의 소성조건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슈레더 더스트의 반응 개시온도, 최대발열피크온도, 반응\종료온도는 폐타이어 및 유연탄에 비하여 비교적 낮으므로, 슈레더 더스트를 킬른에서 처리시 연소성에 있어서는 특별히 문제가 되는 일은 없을 것 같다.
그러나, 슈레더 더스트내의 Cl, 알칼리 성분의 함량은 다음과 같이 슐더 더스트를 킬른에서 처리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로터리 시멘 킬른에서 폐기물이 연소되는 동안 Cl, Na, K, S 및 일부 중금속 화합물들은 킬른내의 고온 분위기하에서 휘발하는데, 그 휘발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시멘트 원료, 연료 및 폐기물로 부터 공급되어진 순환물질들은 킬른내의 고온부에서 휘발한 후 개스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여 킬른 입구와 예열실의 저온부위에서 응축한다.
응축된 순화물질들은 예열실을 통해 킬른에 유입되는 원료에 섞여서 킬른의 고온부로 재유입되거나 일부 축적되고 휘발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하나의 순환현상을 일으키고, 이러한 순환현상은 시멘트 공정 및 생산 클링커 품질에 악영향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중금속 및 Cl, 알칼리 등과 같은 시멘트 수하특성을 저해하는 물질들이 폐기물중에 가능한 한 적게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를 구성하는 주요성분들중 플라스틱류와 나무/종이류의 Cl 함량은 1000ppm 이하로 비교적 적으나, 고무류와 전선철류중의 Cl 함량은 10,000ppm 이상으로 매우 높은 바, 킬른로에서 슈레더 더스트를 처리하기 전에 고무류와 전선철류등의 함량비율을 낮추는 등 Cl 함량을 낮출 수 있는 슈레더 더스트의 예비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킬른 입구 부위로 슈레더 더스트가 적정량 이상 투입될 경우, 킬른 후단부위 온도 상승 및 CO 발생등으로 킬른의 운전성을 저해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슈레더 더스트의 첨가량을 시멘트 원료와 함께 투입되는 연료의 중량에 대하여 10%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7중량% 로 제한하는 것이다.
상기 슈레더 더스트의 첨가량이 많은 경우에는 Cl 및 알칼리 성분들의 양이 많아지게 되어 킬른에서의 시멘트 클링크 제조시 제조공정 및 시멘트 클링커의 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상기 슈레더 더스트의 첨가량은 연료의 중량에 대하여 10%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슈레더 더스트를 처리하는 경우, Cl 및 알칼리 성분들의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킬른로의 가스를 일정한 비율로 바이패스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바이패스비율은 5% 이하이다.
상기 슈레더 더스트중의 Cl 함량이 2400-7200ppm 이고, 슈레더 더스트의 첨가량이 연료의 중량에 대하여 3-7중량% 인 경우에는 바이패스비율은 1-3%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는 슈레더 더스트로는 플라스틱류: 32-36%, 스폰지류: 19-22%, 헝겊류: 9-12%, 철류: 5-7%, 고무류: 2-8%, 종이류: 1-2% 및 더스트: 22-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같이, 슈레더 더스트 에쉬의 회융점이 폐타이어 에쉬와 유사하며, 유연탄 에쉬보다 낮게 나타나는 바, 슈레더 더스트를 시멘트 공정에 적용시 에쉬와 기존 R/Mix 와의 융점 차이에 의해 클링커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에 보다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는 슈레더 더스트로는 상기와 같이 조성되고, 그 입도가 2.8mm 이상인 슈레더 더스트를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하기표 1과 같은 물리적 조성비를 갖고 하기표 2와 같은 입도분포를 갖는 슈레더 더스트를 연료중량에 대하여 5중량% 을 시멘트 클링커 제조시 하기표 3과 같은 킬른에 장입하여 처리하고, 슈레더 더스트 사용에 따른 클링커중 순환물질 및 중금속 함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표 4에 나타내었다.
하기표 1에 나타나 있는 슈레더 더스트중의 Cl 함량은 7,888ppm 정도이다.
구분 프러프 라인(fluff line)(미세분) 난 페로우스 라인(non ferrous line)(조대분)
플라스틱 스폰지류 헝겊류 전선,철 고무류 나무종이 더스트 고무류 플라스틱 전선,철
1차입수 36 22 9 7 2 1 23 43 36 21
2차입수 32 19 12 5 8 2 22 - - -
평균 34.0 20.5 10.5 6.0 5.0 1.5 22.5 43.0 36.0 21.0
구분 16mm 이상 16-4.75mm 4.75-2.8mm 2.8mm 이하
1차 입수 68 12 5 15
2차 입수 56 18 7 19
3차 입수 62 16 8 14
평균 62 15.3 6.7 16
구분 킬른타입 클링커 생산량(Ton/D) 유연탄 사용량(Ton/Y) 연료대체율(%)
1번 킬른 NMFC 7,600 260,040 4.1
6번 킬른 P-AS 5,200 171,600 6.1
7번 킬른 P-AT 4,500 150,151 7.0
4번 킬른 SP 2,000 74,250 14.2
5번 킬른 NMFC 42,000 149,160 7.1
(슈레더 더스트 사용에 따른 클링커중 순환물질 및 중금속 함량)
순환물질(%) 중금속(ppm)
K2O Na2O Cl Cr Zn Cu
설비 1 현조건 0.58 0.19 131 410 189 195
1번 킬른 0.58 0.21 217 398 592 923
6번 킬른 0.59 0.22 260 391 793 1285
7번 킬른 0.59 0.23 279 389 878 1439
설비 2 현조건 1.40 0.20 78 180 141 120
4번 킬른 1.45 0.38 372 146 1534 2,619
5번 킬른 1.42 0.29 227 166 844 1,379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같이, 슈레더 더스트 사용에 따라 클링커중의 K2O Na2O 등 알칼리 성분의 함량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으나, Cl 성분의 함량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슈레더 더스트를 사용하지 않은 배합원료중의 Cl 함량이 100-200ppm 수준인데 반해 슈레더 더스트중의 Cl 함량이 7,800ppm 수준으로 Cl 이 과다하게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며, 이와 아울러 Zn, Cu 성분의 함량도 증가됨을 알 수 있다.
한편, 하기표 5의 조건 및 하기표 6의 바이패스 조건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슈레더 더스트를 처리하고, 바이패스 율에 따른 순환물질의 거동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표 6에 나타내었다.
6번 킬른 5번 킬른
킬른 입구 클링커 K-1단 클링커
현조건 10,885 102 3,427 95
슈레더 더스트 사용 19,169 176 7,697 209
바이-패스율(By-pass)(%) 1 11,259 105 5,903 161
2 7,957 76 4,779 131
3 6,144 60 4,010 111
4 4,999 49 3,450 96
5 4,209 42 3,024 84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같이, 바이-패스시 킬른별 순환물질 거동을 예측한 결과, 슈레더 더스트 처리량이 연간 24,900 톤일때, 6번 킬른의 경우, 킬른 입구에서의 농도가 슈레더 더스트를 사용하지 않는 현재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2% 정도의 바이-패스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폐기물인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를 제조공정 및 클링커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적절히 처리할 수 있으므로, 환경친화적으로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멘트 클링커 제조시에 열원으로 연료의 대체효과도 가져올 수 있는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의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9)

  1. 시멘트 킬른에 시멘트 원료와 연료를 함께 장입하여 시멘트 클링커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폐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를 상기 시멘트 원료에 연료중량에 대하여 10중량% 이하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폐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폐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의 첨가량이 연료중량에 대하여 3-7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폐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 처리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킬른의 가스를 일정한 비율로 바이패스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폐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 처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바이패스율이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폐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 처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슈레더 더스트중의 Cl 함량이 2400-7200ppm 이고, 슈레더 더스트의 첨가량이 연료의 중량에 대하여 3-7중량% 이고, 바이패스율이 1-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폐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 처리방법
  6. 제1항, 제2항,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슈레더 더스트가 플라스틱 류: 32-36%, 스폰지류: 19-22%, 헝겊류: 9-12%, 철류: 5-7%, 고무류: 2-8%, 종이류: 1-2%, 및 더스트: 22-2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폐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 처리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슈레더 더스트의 입도가 16mm 이상: 56-62%, 16-4.75mm: 12-18%, 4.75-2.8mm: 2-5%, 2.8mm 이하: 14-19%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폐자동차 슈레더 더스트 처리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슈레더 더스트가 플라스틱 류: 32-36%, 스폰지류: 19-22%, 헝겊류: 9-12%, 철류: 5-7%, 고무류: 2-8%, 종이류: 1-2%, 및 더스트: 22-2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폐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 처리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슈레더 더스트의 입도가 16mm 이상: 56-62%, 16-4.75mm: 12-18%, 4.75-2.8mm: 5-8%, 2.8mm 이하: 14-19%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폐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 처리방법
KR1019990024128A 1999-06-25 1999-06-25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폐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의 처리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320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128A KR100320570B1 (ko) 1999-06-25 1999-06-25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폐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의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128A KR100320570B1 (ko) 1999-06-25 1999-06-25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폐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의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724A true KR20010003724A (ko) 2001-01-15
KR100320570B1 KR100320570B1 (ko) 2002-01-12

Family

ID=19595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4128A Expired - Lifetime KR100320570B1 (ko) 1999-06-25 1999-06-25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폐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05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015B1 (ko) 2008-08-13 2011-09-21 한국세라믹기술원 가연성 폐자동차 잔재물의 시멘트 연료화 적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7739A (ja) * 1995-08-04 1997-02-18 Kobe Steel Ltd シュレッダダストの処理方法
JPH0986977A (ja) * 1995-09-20 1997-03-31 Denki Kagaku Kogyo Kk セメントクリンカー原料、それを用いたセ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122617A (ja) * 1995-11-07 1997-05-13 Denki Kagaku Kogyo Kk 大型産業廃棄物のシュレッダーダストの処理方法
JP2928862B2 (ja) * 1996-03-26 1999-08-03 石坂産業株式会社 固形燃料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0570B1 (ko) 200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urreddine Recycling of auto shredder residue
US5198190A (en) Method of recycling hazardous waste
Lanoir et al.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utomotive shredder residues
KR100731401B1 (ko) 유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리
JP2003039056A (ja) 金属精錬プロセスを利用した廃棄物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SU721009A3 (ru) Способ доменной плавки
AU688957B2 (en) Converting paper mill sludge or the like
JPS63310691A (ja) 汚染された鉱物物質を処理する方法
CA2558480A1 (en) Method of processing multicomponent, composite and combined materials and use of so separated components
JPH11193911A (ja) ごみの熱処理からのスラグおよび/または灰の再処理方法
KR100320570B1 (ko)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폐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의 처리방법
JPH09235559A (ja) 直立炉中で残留物および廃棄物を物質的およびエネルギー的に利用する方法
KR20060104255A (ko) 폐타이어를 열원 및 환원제로 이용하는 선철제조방법 및 장치
JP5055852B2 (ja) 鉄資源の回収方法
KR19990037009A (ko) 소각로에서의 폐기물 소각 및 폐기물 소각으로부터의 슬래그 처리 방법
CN113755191B (zh) 一种含生活垃圾焚烧灰渣的焦炭及其制备方法
Choudhury et al. Ascertaining and Optimizing the Water Footprint and Sludge Management Practice in Steel Industries Water 2023, 15, 2177
KR100307184B1 (ko) 폐자동차 파쇄물의 연료화 방법
DE19742214A1 (de) Verfahren zur Verwertung von Altautos
JP5018754B2 (ja) セメント製造工程を用いたシュレッダーダストの処理方法
Cossu et al. Italian experience on automotive shredder residue: characterization and management
KR100391269B1 (ko) 산업폐수를 이용한 시멘트의 제조방법
JP5191752B2 (ja) 廃自動車シュレッダーダストの塩素低減方法及び廃自動車シュレッダーダストの使用方法
JPH11189818A (ja) シュレッダーダストの処理方法
KR20090030922A (ko) 산업폐기물의 재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1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1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1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6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6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91225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