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7184B1 - 폐자동차 파쇄물의 연료화 방법 - Google Patents

폐자동차 파쇄물의 연료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7184B1
KR100307184B1 KR1019990004178A KR19990004178A KR100307184B1 KR 100307184 B1 KR100307184 B1 KR 100307184B1 KR 1019990004178 A KR1019990004178 A KR 1019990004178A KR 19990004178 A KR19990004178 A KR 19990004178A KR 100307184 B1 KR100307184 B1 KR 100307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erials
fuel
crushed
combustible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870A (ko
Inventor
이봉한
김수룡
김희찬
권우택
류한응
이호형
Original Assignee
명호근
쌍용양회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호근, 쌍용양회공업(주) filed Critical 명호근
Priority to KR1019990004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7184B1/ko
Publication of KR19990037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7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71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8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industrial residues and 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70/00Specifically adapted fue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28Cutting, disintegrating, shredding or gri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30Pressing, compressing or compac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자동차 파쇄물의 연료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폐자동차 파쇄물 중에서 철질금속물, 비철금속물, 및 Na2O 또는 Cl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파쇄물을 순차적으로 제거하여 파쇄물이 60 내지 100 중량%의 가연성 물질을 함유하도록 한 후, 이 파쇄물을 크기가 50cm 이하가 되도록 압축 또는 절단하여 시멘트 공장, 제철 공장, 폐열 보일러 등 각종 산업체에 연료로 사용함으로써 연료비를 절감하고 폐자동차 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폐자동차 파쇄물의 연료화 방법{Method for converting fragments of waste car into fuel}
본 발명은 폐자동차 파쇄물의 연료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폐자동차 파쇄물 중에서 플라스틱, 고무, 스폰지, 종이 및 비닐류 등의 가연성 물질을 선별하고 적절한 크기로 압축 또는 절단하여 연료로 이용함으로써 연료비를 절감하고 폐자동차 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폐자동차 파쇄물 중에서 철질금속물만을 회수하고 남은 플라스틱, 고무, 스폰지 및 비닐류 등의 가연성 물질을 대부분 매립 또는 소각처리하였다.
도 3은 종래의 폐자동차 파쇄물의 처리공정도로서, 크게 폐자동차 압축물 투입구(11), 파쇄기(13), 풍력 분급기(15) 및 자력 선별기(16) 등으로 구성된다. 도 3에 따르면, 투입구(11)에 투입된 폐자동차 압축물을 벨트 콘베이어(belt conveyor) 등의 이송 설비(12)를 통해 파쇄기(13)로 운반하여 파쇄한다. 이어, 파쇄물을 사이클론 등의 풍력 분급기(15)를 통과시켜 미세하고 가벼운 고무, 플라스틱류 등의 물질(37)을 1차적으로 분리하고, 나머지 조대한 파쇄물 중에서 철질금속물(17)을 자력 선별기(16)를 통해 분리한다. 이때, 자력 선별기(16)와 풍력 분급기(15)에서 분리되지 못한 조대한 물질(38)은 별도로 야적한다.
이렇게 별도로 분리된 조대한 가연성 물질(37)과 미세하고 가벼운 고무, 플라스틱류의 파쇄물(38)은 성분이 불균일하고 발열량이 낮으며, 자동차 부품중 일부 난연성 물질이 혼재되어 있어 소각효율이 낮고, 소각시 환경에 유해한 Na2O, Cl 및 중금속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대부분 매립처리되고 있으며, 이렇게 매립되어지는 폐자동차 파쇄물은 매립지의 안정화를 위협할 뿐만 아니라 중금속 용출 등에 의한 극심한 환경오염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현재 폐기되고 있는 폐자동차 파쇄물의 주성분이 발열량이 높은 가연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고, 소각시 환경에 유해한 성분들이 미세한 파쇄물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에 착안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폐자동차 파쇄물 중에서 가연성 물질을 선별하고 이를 적절한 크기로 압축 또는 절단함으로써 각종 산업체에 연료로 이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산업체의 연료비를 절감하고 폐자동차 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폐자동차 파쇄물의 연료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폐자동차 파쇄물로부터 가연성 물질을 선별한 후 압축 또는 절단하는 공정을 도식화한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처리된 폐자동차 파쇄물을 연료로서 시멘트 제조공정에 적용하는 공정을 도식화한 도이며,
도 3은 종래의 폐자동차 파쇄물의 처리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폐자동차 압축물 투입구12,14,18,22,32 : 이송 설비
13 : 파쇄기15 : 풍력 분급기
16 : 자력 선별기17 : 철질금속물
19,23 : 비철금속 선별기20 : 비철금속물
21 : 조대 가연성 물질24 : 미세 가연성 물질
25 : 스크린26 : 압축기
27 : 절단기28 : 공장
29 : 매립장30 : 처리된 파쇄물
31 : 투입 호퍼33 : 예열실
34 : 연료 투입구35 : 회전로
36 : 킬른 투입구37 : 미세 물질(비철금속 포함)
38 : 조대 물질(비철금속 포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폐자동차 파쇄물 중에서 철질금속물, 비철금속물, 및 Na2O 또는 Cl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파쇄물을 순차적으로 제거하여 파쇄물이 60 내지 100 중량%의 가연성 물질을 함유하도록 한 후, 파쇄물을 크기가 50cm 이하가 되도록 압축 또는 절단하여 연료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폐자동차 파쇄물의 연료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폐자동차 파쇄물로부터 가연성 물질을 선별한 후 적절한 크기로 압축 또는 절단하여, 폐자동차 파쇄물로 하여금 각종 산업체에 연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발열량 및 연소특성을 갖게 하는 공정을 도식화한 도로서, 그 공정을 상세히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투입구(11)에 투입된 폐자동차 압축물을 파쇄기(13)로 운반하여 파쇄하고, 이 파쇄물을 풍력 분급기(15)를 통과시켜 비교적 가벼운 가연성 물질을 분리한 후, 자력 선별기(16)에 의해 조대한 파쇄물 중에서 철질금속물(17)을 분리한다. 이어, 철질금속이 제거된 조대한 파쇄물 및 가벼운 가연성 물질을 비철금속 선별기(각각 19 및 23)를 통과시켜 각각의 파쇄물로부터 납, 아연 및 구리 등과 같은 비철금속물(20)을 분리한다. 이때, 원심력을 이용하여 무거운 비철금속을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당해 분야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 철질금속물 및 비철금속물이 제거되고 미세 가연성 물질이 주성분인파쇄물(24) 중에 소각시 환경에 유해한 Na2O 또는 Cl 등을 주성분으로 포함하고 기계적 충격에 의해 미세하게 파쇄되는 특성을 가진, 미세한 파쇄물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음에 기인하여, 상기 미세 가연성 물질(24)을 0.2 내지 15cm2의 메쉬 크기를 갖는 스크린(25)에 통과시켜 통과되는 미세한 파쇄물을 제거한다.
이어, 스크린(25)을 통과하지 못하고 회수된 미세 가연성 물질과, 철질금속 및 비철금속이 제거된 조대 가연성 물질(21)을 압축기(26)로 이송하여 압축하고/하거나 절단기(27)로 이송하여 절단함으로써 50cm 이하의 크기를 갖게 한다. 상기 압축 또는 절단은 파쇄물의 운반, 저장, 투입 및 연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며, 50c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파쇄물의 운반, 저장 및 투입 등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연소 특성의 저하로 불완전 연소되기 쉬워 이차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26) 또는 절단기(27)에 수집되는 총 파쇄물 중에서 플라스틱, 고무, 스폰지, 종이 및 비닐류 등의 가연성 물질이 차지하는 함량을 60 내지 10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은 단순 압축하거나 열을 가하여 압축할 수 있으며, 파쇄물의 연소특성 및 적용처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상기한 풍력 분급기(15), 자력 선별기(16), 비철금속 선별기(19 및 23), 스크린(25), 압축기(26) 및 절단기(26)와 같은 주요 설비는 폐자동차 파쇄물을 열원으로 사용하는 목적 및 현장여건, 경제성을 고려하여 설비 배열 및 종류를 적절히 조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비가연성 물질과 가연성 물질의 분리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풍력 분급기(15), 비철금속 선별기(19 및 23) 및 스크린(25)과 같은장치를 중복하여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성형된 폐자동차 파쇄물 중 유해물질의 함량을 낮추고 가연성 물질의 함량을 조절하기 위해 플라스틱, 고무, 스폰지, 비닐 및 종이류와 같은 가연성 물질을 스크린(25) 공정 후에 별도로 첨가할 수 있다. 이때, 별도로 투입되는 가연성 물질의 양은 총 가연성 물질의 양에 대해 4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40 중량% 이상일 경우에는 공정이 복잡해지고 가연성 물질간의 균일 혼합이 어려워 연료로의 사용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처리된 폐자동차 파쇄물을 시멘트 공장, 제철 공장, 폐열 보일러 등 각종 산업체(28)로 이송하여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처리된 폐자동차 파쇄물을 연료로서 시멘트 제조공정에 적용하는 공정을 도식화한 도로서, 처리된 파쇄물(30)을 투입 호퍼(31)에 저장하였다가 필요시에 이송하여 예열실(33)에 설치된 연료 투입구(34)를 통해 투입함으로써 시멘트 제조공정 중 특히 바람직하게는 킬른에서의 소성 공정의 열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처리된 폐자동차 파쇄물을 통상적인 연료 물질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총 연료 물질에 대해 파쇄물을 3 내지 30 중량%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각종 산업체의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온에서 폐자동차 파쇄물 중의 유기물질이 분해되고 일부 중금속 성분이 원료 내에 고용, 안정화되어 폐자동차 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도 1에 나타낸 공정에 적용하여 폐자동차 파쇄물의 성분을 선별하고 50cm 이하로 절단하였다.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자동차 파쇄물 중의 가연성 물질의 함량을 조절하면서, 연료화를 위해 처리된 폐자동차 파쇄물의 발열량 및 주요 화학성분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가연성 물질(중량%) 발열량 (kcal/kg) 주요 화학성분(%)
SiO2 Al2O3 Fe2O3 CaO MgO Na2O K2O Cu Zn Cl 연소시 손실량(Ig.loss)
실시예 1 60 3,900 12.9 2.8 10.9 6.0 1.8 3.3 0.6 3.1 1.8 1.4 65.0
실시예 2 80 5,200 6.4 1.4 6.1 3.4 1.0 1.7 0.5 1.7 1.0 1.0 75.0
실시예 3 100 6,500 1.3 0.2 1.1 0.7 0.2 0.5 0.2 0.3 0.2 0.4 95.0
비교예 1 50 3,250 14.0 3.4 13.4 7.4 2.0 6.2 0.7 3.7 2.1 2.5 45.0
상기 표 1로부터, 파쇄물 중 가연성 물질의 함량이 60 중량% 이하인 경우(비교예 1)에는 발열량이 낮으며 소각시 환경에 유해한 Na2O, Cl, 및 Zn, Cr 등의 중금속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연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내지 6 및 비교예 2
도 1에 나타낸 공정을 통해, 80 중량%의 가연성 물질을 함유하고 평균크기가 30 cm이 되도록 압축 및 절단된 폐자동차 파쇄물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연탄과 함께 시멘트 킬른에 연료로서 투입하였다. 폐자동차 파쇄물 및 유연탄의 사용량, 및 혼합 사용할 때의 유연탄 절감량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폐자동차 파쇄물 사용량 (ton/day) 유연탄 사용량 (ton/day) 총 연료물질 중 파쇄물의 함량비 (중량%) 유연탄 절감량(ton/day)
실시예 4 24 370 6.1 10
실시예 5 48 362 13.3 18
실시예 6 72 356 16.8 24
비교예 2 0 380 - -
상기 표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폐자동차 파쇄물을 적정 범위내에서 유연탄과 혼합하여 시멘트 제조공정 중 킬른에서의 소성 공정에 연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유연탄을 절감하면서 원하는 발열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폐자동차 파쇄물의 연료화 방법에 의하면, 적절히 선별되고 압축 또는 절단된 파쇄물을 각종 산업체에 연료로 이용함으로써 연료비를 절감하고 폐자동차 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Claims (3)

  1. 폐자동차 파쇄물을 풍력선별, 자력선별, 비철금속 선별 및 미세파쇄 분별을 순차적으로 거치게 하여 파쇄물 중의 철질금속물, 비철금속물 및 Na2O 또는 Cl 함유 물질을 제거하여 파쇄물이 60 내지 100 중량%의 가연성 물질을 함유하도록 한 후, 파쇄물을 크기가 50cm 이하가 되도록 압축 또는 절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멘트 제조 공정 중 킬른에서의 소성 공정에서 연료로 사용하기 위한 폐자동차 파쇄물의 연료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총 가연성 물질에 대해 40 중량% 이하로 별도의 가연성 물질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가연성 물질이 플라스틱, 고무, 스폰지, 종이 또는 비닐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0004178A 1999-02-08 1999-02-08 폐자동차 파쇄물의 연료화 방법 KR100307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178A KR100307184B1 (ko) 1999-02-08 1999-02-08 폐자동차 파쇄물의 연료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178A KR100307184B1 (ko) 1999-02-08 1999-02-08 폐자동차 파쇄물의 연료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870A KR19990037870A (ko) 1999-05-25
KR100307184B1 true KR100307184B1 (ko) 2001-09-24

Family

ID=37530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178A KR100307184B1 (ko) 1999-02-08 1999-02-08 폐자동차 파쇄물의 연료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71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949A (ko) * 2003-04-14 2004-10-20 박경득 차량의 부산물을 이용한 고형화 연료 제조방법
KR101045221B1 (ko) 2009-09-08 2011-06-30 서흥인테크(주) 가연성 폐기물의 고형 연료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132B1 (ko) * 2002-04-25 2004-11-08 강원도 생활폐기물을 이용한 시멘트 소성로용 연료의 제조방법 및이에 의해 생산되는 시멘트 소성로용 연료
KR101066015B1 (ko) * 2008-08-13 2011-09-21 한국세라믹기술원 가연성 폐자동차 잔재물의 시멘트 연료화 적용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949A (ko) * 2003-04-14 2004-10-20 박경득 차량의 부산물을 이용한 고형화 연료 제조방법
KR101045221B1 (ko) 2009-09-08 2011-06-30 서흥인테크(주) 가연성 폐기물의 고형 연료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870A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9969A (en) Process for forming aggregate; and product
US20230149987A1 (en) Shredder dust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for same
US4804147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ggregate from ash residue
DE19911010A1 (de) Anlage und Verfahren für die Verwendung von Shredderabfällen o. dgl. Verbundstoffen sowie Verwendung einer Rotorprallmühle
JPH0144113B2 (ko)
JP2010194860A (ja) 廃プラスチックを含む混合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US4265636A (en) Use of formaldehyde as a chemical embrittling agent for waste
KR100383036B1 (ko) 쓰레기 처리시스템에 의해 선별된 쓰레기의 이용방법과 가연성 물질을 이용한 대체연료 제조방법
KR100307184B1 (ko) 폐자동차 파쇄물의 연료화 방법
KR100998793B1 (ko) 생활폐기물 및 매립폐기물의 혼합 고형연료 제조방법
US4298350A (en) Method of embrittling waste
JPH10501569A (ja) 廃棄物から固体燃料を製造する方法
JP2010214677A (ja) 廃プラスチックを含む混合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DE4442631C2 (de) Verfahren und Anlage zur Aufbereitung der in Shredderanlagen anfallenden Leichtfraktion
JP2000189833A (ja) 廃車切断物の軽量成分の処理方法
KR102249009B1 (ko) 가연성 혼합폐기물과 생활폐기물 및 사업장폐기물 연료화 방법
CA2616077A1 (en) Waste disposal method and device
Deditz et al. Concepts for processing solid recovered fuels of different waste origins for waste-to-energy plants
DE19632731C2 (de) Verfahren zur thermischen Behandlung oder Verwertung organische Bestandteile enthaltender Abfallstoffe
CN212633804U (zh) 一种垃圾焚烧炉渣资源化处理系统
EP1053058B1 (de) Verfahren zur thermischen behandlung von abfällen
Gill et al. recycling
KR100444361B1 (ko) 정전 분리법을 이용한 폐자동차 파쇄 잔류물로부터 염소성분의 분리 방법
DE1014229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Restabfall aus Hausmüll und hausmüllähnlichen Abfällen
KR20030030800A (ko)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대체연료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