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3648A - 무선 단말기의 화상 통신용 충전기 - Google Patents

무선 단말기의 화상 통신용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3648A
KR20010003648A KR1019990024013A KR19990024013A KR20010003648A KR 20010003648 A KR20010003648 A KR 20010003648A KR 1019990024013 A KR1019990024013 A KR 1019990024013A KR 19990024013 A KR19990024013 A KR 19990024013A KR 20010003648 A KR20010003648 A KR 20010003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charger
mounting groove
hous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4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8161B1 (ko
Inventor
조경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24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161B1/ko
Publication of KR20010003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1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된 화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근거리 통신수단을 구비한 무선 단말기와, 상기 무선 단말기가 거치되는 충전기에 있어서, 평면 모양의 전면부를 가진 하우징과; 상기 전면부에는 무선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한 거치홈과; 상기 거치홈의 대향된 양측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하여 충전기에 거치되는 무선 단말기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거치홈의 상단에는 하우징 정면에 위치한 사용자의 화상을 감지하는 화상 입력부 및; 상기 화상 입력부에 입력된 화상 정보를 무선 단말기로 송신하는 근거리 통신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단말기의 화상 통신용 충전기{CHARGER FOR IMAGE COMMUNICATION IN CORDLESS TELEPHONE}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의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를 거치하여 무선 단말기의 충전 및 화상 통신을 가능케 하는 무선 단말기의 화상 통신용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무선 단말기 등 이동 통신 기기의 발달은 원격지에 위치한 통화자 상호간의 음성 및 문자 정보 교환 뿐만 아니라, 통화자의 화상 정보까지도 교환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화상 정보의 교환은 무선 단말기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대형화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가능한 것이며, 그에 따라 무선 단말기에 필수적인 충전기를 화상 통신에 활용하고자 하는 기술 개발이 행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단말기의 충전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을 보조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의 화상 통신용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신된 화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근거리 통신수단을 구비한 무선 단말기와, 상기 무선 단말기가 거치되는 충전기에 있어서, 평면 모양의 전면부를 가진 하우징과; 상기 전면부에는 무선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한 거치홈과; 상기 거치홈의 대향된 양측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하여 충전기에 거치되는 무선 단말기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거치홈의 상단에는 하우징 정면에 위치한 사용자의 화상을 감지하는 화상 입력부 및; 상기 화상 입력부에 입력된 화상 정보를 무선 단말기로 송신하는 근거리 통신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용 충전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용 충전기에 무선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충전기 110 : 하우징
120 : 거치홈 130 : 가이드 돌기
140 : 미러 150 : 화상 입력부
200 : 무선 단말기 210 : 본체
220 : 폴더 222 : 가이드 홈
224 : 디스플레이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수신된 화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근거리 통신수단을 구비한 무선 단말기와, 상기 무선 단말기가 거치되는 화상 통신용 충전기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용 충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용 충전기에 무선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충전기(100)는 하우징(110), 거치홈(120), 가이드 돌기(130) 및 화상 입력부(카메라 렌즈를 제외한 나머지 요소는 미도시)로 구성되고, 실시예에 따라 미러(140) 및 상태 표시부(160)를 구비한다. 상기 충전기(100) 내부에는 충전 회로, 화상 입력 회로, 상태 표시부를 구동하기 위한 램프 구동 회로 및 근거리 통신 회로를 포함한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평면 모양의 전면부(110a)와, 상기 전면부를 둘러싸므로써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부를 지지하는 후면부(11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부(110a)의 모양은 응용예에 따라 여러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도 1에는 네 변이 부드러운 곡면을 이룬 사각형 모양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전면부(110a)는 무선 단말기가 충전기에 거치되었을 때, 사용자가 무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관찰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상단이 후방으로 젖혀진 형태를 가진다. 상기 전면부(110a)의 하단 양쪽에는 각각 다수개의 충전기 스피커홀(112)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후면부(110b)는 측면에서 보아 하단이 길고 상단이 짧은 사다리꼴 형태를 가짐으로써, 하우징(110)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상기 거치홈(120)은 전면부(110a) 중앙에 형성한다. 상기 거치홈(120)은 무선 단말기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진 구간을 구비하며, 도시된 실시예에는 상단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하단은 개구된 포탄 모양의 거치홈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거치홈(120)은 바닥이 편평한 상단부(120a)와, 상기 상단부에서 단차져 바닥이 아아치형을 이루는 하단부(120b)로 나뉘어진다.
상기 거치홈(120)의 상단부(120a)에는 충전기 내부의 충전 회로와 연결된 충전 단자(122)가 돌출 설치되며, 상기 충전 단자는 충전기에 무선 단말기가 거치되었을 때 무선 단말기의 배면에 설치된 충전 단자와 접속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라 상기 상단부(120a)의 A 부분에는 무선 단말기와의 데이터 교환 등을 위한 인터페이스부(ex. 커넥터 혹은 커넥터홀)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130)는 거치홈(120)의 대향된 양측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하며, 충전기(100)의 거치홈(120)에 거치되는 무선 단말기의 폴더 양측면(가이드 홈이 형성됨)을 지지함으로써 무선 단말기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상기 가이드 돌기(130)는 중앙이 볼록한 봉우리 모양을 가진다.
상기 화상 입력부는 거치홈 상단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화상을 입력받는 카메라 렌즈(150)와, 상기 카메라 렌즈를 통해 입력된 화상 신호를 촬상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촬상관과, 상기 촬상관에서 촬상된 신호를 샘플링 및 이득제어한 후 디지털신호로 변환출력하는 ADC(Analog-to-Digital Converter)와,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를 인코딩처리하여 출력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화상 입력부는 상기 DSP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DCT 변환, 양자화, VLC(Variable Length Code)처리하여 압축하는 데이터 압축부와, 상기 데이터 압축부에서 압축된 데이터를 전송전까지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다. 상기 화상 입력부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상기 화상 입력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압축 데이터는 충전기 내부의 근거리 통신 회로를 통해 거치된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로 송신되고, 데이터를 수신받은 무선 단말기는 다시 상대방 무선 단말기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기 충전기의 화상 입력부로부터 무선 단말기로의 데이터 전송은 커넥터(도 1의 A 부분에 설치)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근거리 통신 회로로서는 이미 공지된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및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미러(140)는 하우징(110)의 전면부(110a)에 부착하는 판 모양의 반사체이다. 상기 미러(140)는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일부러 거울이 있는 곳으로 이동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무선 단말기 및 충전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을 개시하기 전에 자신의 용모를 단정히 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상기 상태 표시부(160)는 무선 단말기의 충전 정도를 표시하는 충전 표시 램프(162)와, 메시지 혹은 화상 정보의 수신 여부를 표시하는 수신 표시 램프(162)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무선 단말기(200)는 크게 본체(210)와 폴더(22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10)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다이얼 신호 혹은 기능선택신호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키버튼(214)과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로폰(216)을 가진다. 상기 본체(210)는 상측단에 힌지 모듈을 내장한 힌지부(212)를 구비한다.
상기 폴더(220)는 접철 가능하도록 본체(210)의 힌지부(212)에 결합되며, 양측면에 가이드 홈(222)을 가진다. 상기 가이드 홈(222)의 하단(222a)은 경사진 형태로 개구되고, 상기 가이드 홈(222)의 상단(222b)은 단차진 형태로 막힌다. 이와 같은 가이드 홈(222)의 형상은 무선 단말기(200)가 충전기(100)의 거치홈(120)에 거치될 때, 상기 거치홈(120)의 가이드 돌기(130)가 가이드 홈(222)에 삽입되어 무선 단말기(2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폴더(220)의 전면에는 안테나(228)를 통해 수신된 통화 상대방의 화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224)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폴더(220)는 안테나(228)를 통해 수신된 통화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가지며, 상기 폴더(220)의 전면 상단에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이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스피커홀(22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폴더(220)의 배면에는 무선 단말기의 내부 충전 회로와 연결된 충전 단자(미도시)를 설치한다.
도 2 및 도 3에는 폴더형(Folder Type) 무선 단말기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라서는 바형(Bar Type) 또는 플립형(Flip Type) 무선 단말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바형 또는 플립형 무선 단말기의 본체 양측면에도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무선 단말기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홈을 형성함으로써, 무선 단말기를 충전기의 거치홈에 거치시켰을 때 거치홈의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무선 단말기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화상 통신용 충전기(100)에 무선 단말기(200)를 거치하는 과정과, 상기 충전기(100)에 무선 단말기(200)가 거치된 후 화상 통신이 진행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충전기(100)에 무선 단말기(200)를 거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무선 단말기(200)를 하우징(110)의 거치홈(120) 상측에 위치시킨다. 이어, 상기 폴더(220)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222)에 거치홈(120)의 가이드 돌기(130)가 각각 삽입되도록, 상기 무선 단말기(200)를 하향으로 밀어 내린다.
그러면, 상기 거치홈(120)의 가이드 돌기(130)가 폴더(220)의 가이드 홈(222) 상단(222b)에 걸리면서, 상기 무선 단말기(200)는 도 3에 도시된 형태로 하우징(110)의 거치홈(120) 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무선 단말기(200)의 폴더(220) 배면에 설치된 충전 단자(미도시)와 충전기(100)의 거치홈(120)에 돌출되어 있는 충전 단자(122)가 상호 접속됨으로써, 충전기(100)로부터 무선 단말기(200)로 충전 전압이 공급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 통신용 충전기(100)에 무선 단말기(200)를 거치한 상태에서 원거리에 위치한 무선 단말기 사용자(이하, `통화 상대방`이라 함)와 화상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충전기(100)에 거치된 무선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4)를 통해 통화 상대방의 화상을 볼 수 있고, 충전기(100)의 거치홈(120)에 설치된 카메라 렌즈(150)를 통해 본인의 화상을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의 음성은 무선 단말기(200)의 마이크로폰(216)을 통해 통화 상대방에게 전달되고, 통화 상대방의 음성은 무선 단말기(200)의 단말기 스피커홀(226) 및 충전기(100)의 충전기 스피커홀(112)을 통해 전해 듣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화상 통신용 충전기는 충전이라는 기본 기능 이외에도 화상의 입력 및 전송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무선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편리하게 원격지의 통화 상대방과 화상 통신을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수신된 화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근거리 통신수단을 구비한 무선 단말기와, 상기 무선 단말기가 거치되는 충전기에 있어서,
    평면 모양의 전면부를 가진 하우징과;
    상기 전면부에는 무선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한 거치홈과;
    상기 거치홈의 대향된 양측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하여 충전기에 거치되는 무선 단말기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거치홈의 상단에는 하우징 정면에 위치한 사용자의 화상을 감지하는 화상 입력부 및;
    상기 화상 입력부에 입력된 화상 정보를 무선 단말기로 송신하는 근거리 통신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화상 통신용 충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 일측에는 미러를 부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화상 통신용 충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 내부에는 스피커를 장착하고, 상기 전면부 타측에는 다수개의 스피커홀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화상 통신용 충전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입력부는 거치홈 상측에 부착된 카메라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화상 통신용 충전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 일측에는 충전표시램프 및 수신표시램프를 추가로 더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화상 통신용 충전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홈에는 하우징 내부의 충전 회로에 연결되어 외부로 둘출된 다수개의 충전 단자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화상 통신용 충전기.
KR1019990024013A 1999-06-24 1999-06-24 무선 단말기의 화상 통신용 충전기 KR100678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013A KR100678161B1 (ko) 1999-06-24 1999-06-24 무선 단말기의 화상 통신용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013A KR100678161B1 (ko) 1999-06-24 1999-06-24 무선 단말기의 화상 통신용 충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648A true KR20010003648A (ko) 2001-01-15
KR100678161B1 KR100678161B1 (ko) 2007-02-01

Family

ID=19595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4013A KR100678161B1 (ko) 1999-06-24 1999-06-24 무선 단말기의 화상 통신용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1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550A (ko) * 2001-11-30 2003-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통화장치
KR100387066B1 (ko) * 2001-06-09 2003-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화상전화기와 그를 위한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KR20040005427A (ko) * 2002-07-10 2004-01-16 주식회사 프리눅스 무선단말기의 무선데이터 통신 및 인터넷 접속용 충전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187Y1 (ko) * 1997-06-30 2000-12-01 강병호 노트북 컴퓨터의 화상통화용 카메라 결합구조물
JP3493290B2 (ja) * 1997-10-29 2004-02-0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形情報通信用の端末における電源制御装置
KR19980019066U (ko) * 1998-03-05 1998-07-06 김학선 이동통신전화기용 증폭장치.
KR100329219B1 (ko) * 1998-11-06 2002-10-19 (주) 상일정보통신 탁상용핸드폰충전기의핸드프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066B1 (ko) * 2001-06-09 2003-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화상전화기와 그를 위한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KR20030044550A (ko) * 2001-11-30 2003-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통화장치
KR20040005427A (ko) * 2002-07-10 2004-01-16 주식회사 프리눅스 무선단말기의 무선데이터 통신 및 인터넷 접속용 충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8161B1 (ko) 200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6026B2 (en)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camera assembly with two cameras
EP2066126A2 (en)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camera assembly with two cameras
KR100703317B1 (ko)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US7085596B2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4191820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
KR100663470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KR100800767B1 (ko) 착탈식 보조 하우징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락킹장치
KR100461769B1 (ko) 외장형 카메라 렌즈 모듈이 장착된 스타일러스 및 이를채용한 무선 단말기
KR100575746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
KR100312546B1 (ko) 외면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덮개가 슬라이딩개폐되는 폴더형휴대폰
KR100678161B1 (ko) 무선 단말기의 화상 통신용 충전기
KR100548623B1 (ko) 초점거리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
JP2000106594A (ja) 携帯型電話装置
JPH03263957A (ja) 携帯電話機
KR10069832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JP3500563B2 (ja) 情報通信機用アダプタの電源警告表示装置
KR20000017832U (ko) 휴대폰용 초소형 라디오
KR20060126172A (ko) 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용 스피커
JPH11136655A (ja) 送受話具を有する携帯型情報通信機用アダプタ
KR100663471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KR100513066B1 (ko) 초점거리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
KR100417827B1 (ko) 카메라 착탈식 휴대용 영상전화기
KR20030061980A (ko) 디지털 카메라
JP3640049B2 (ja) 携帯型情報通信機のアダプタ
KR10068952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