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2309A - 김치 저장고 - Google Patents

김치 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2309A
KR20010002309A KR1019990022057A KR19990022057A KR20010002309A KR 20010002309 A KR20010002309 A KR 20010002309A KR 1019990022057 A KR1019990022057 A KR 1019990022057A KR 19990022057 A KR19990022057 A KR 19990022057A KR 20010002309 A KR20010002309 A KR 20010002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oil
kimchi
inner cylinder
main body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이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호 filed Critical 이승호
Priority to KR1019990022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2309A/ko
Publication of KR20010002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30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 저장고에 관한 것으로, 팽창밸브(20)를 통과한 가장 차가운 냉매가 본체(11)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본체(11) 내의 열순환이 원활해지도록, 냉각사이클의 냉각코일(22)이 내통(12) 상단에서 하단 방향을 향하도록 내통(12) 외주에 감겨지고, 상기 냉각코일(22)의 상단에 팽창밸브(20)가 연결되며, 냉각코일(22)의 하단에 압축기(18)가 연결되는 김치 저장고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팽창밸브(20)를 통과한 냉매가 증발기(21)의 냉각코일(22)을 통과하면서 본체(11) 상부로부터 열을 흡수하면서 본체(11)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본체(11) 상부의 온도가 하부의 온도보다 더 낮지만 밀도가 낮은 상부의 냉기가 자연 대류 현상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므로 본체(11) 내부의 기온이 거의 같게 되므로 내부에 보관된 김치의 맛을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김치 저장고{a kimchi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은 김치 저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장된 김치를 시원하고 신선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김치 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김치의 맛은 담그는 사람의 솜씨가 가장 크게 작용하지만 잘 담근 김치를 어떻게 숙성시키고 어떻게 보관하느냐에 따라 그 맛이 변할 수도, 그대로 유지될 수도 있다.
따라서 잘 담근 김치를 올바로 숙성시키고 보관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데, 종래레는 이러한 김치를 김치통에 담아서 냉장고에 보관하는 정도가 고작이므로 적정한 온도에서 맛있게 숙성 및 보관시키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김치 저장고(공고번호 97-9911호)를 개발하였는바, 이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김치 저장고는 하부에 설치되는 기계실(5)과, 기계실(5) 상부에 김치 등의 음식물을 저장하는 본체(1)와, 열교환을 통해 저장실(3) 내부의 음식물을 저온으로 유지시키는 증발기(7)와, 저장실(3) 내부를 개폐하는 커버(4)와, 커버(4)의 저면과 본체(1)의 내벽에 설치되는 단열재(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저장고는 냉각사이클에 의해 저온상태를 유지한 냉매가 증발기(7)를 통과하면서 저장실(3)에 저장된 김치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김치를 시원한 상태에서 보관하게 된다.
여기서, 종래 김치 저장고는 증발기가 상하로 반복 절곡된 상태에서 본체(1) 네 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증발기(7)의 일단으로부터 유입되어 타단으로 배출되는 냉매는 긴 길이의 증발기(7)를 거치면서 저장실(3) 내의 김치로부터 열을 흡수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냉매가 긴 길이의 증발기(7)를 통과하는 동안 외부의 열을 흡수하게 되므로 증발기(7)로 유입되기 직전의 냉매와 증발기를 통과한 냉매가 대략 10-12℃의 온도차를 가지므로 저장실 일측의 김치는 적절하게 숙성,또는 보관되는 반면 다른 쪽의 김치는 부분적 온도 편차가 생겨 적정온도로 보관되지 못하여 저장실 내부의 김치 전체를 적절히 보관하지 못하였다.
또한 커버(4)를 자주 개폐하여 외부의 공기와 쉽게 접하는 저장실 상부의 김치는 비교적 뜨뜻하고, 저장실 하부의 김치는 증발기에 의해 시원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냉기는 하측으로, 열기는 상측으로 이동하는 성질에 의해 종래 김치 저장고는 저장실(3) 상부와 하부의 열교환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구조이므로 단기적으로는 잘모르나 장기간 보관시 김치의 저장상태를 보면 하부의 김치는 정상인데 비해 상부의 김치는 지나치게 시어서 먹지못할 정도로 맛이 변질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내부 전체를 확실하게 냉각시키도록 한 김치 저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김치 저장고는, 내통과 외통으로 이루어져 이들 사이에 단열재가 충진되는 본체와, 본체 상부에 결합되어 이를 개폐하는 커버와,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각사이클을 이루고, 증발기의 냉각코일이 내통에 밀착구비되는 냉각수단으로 이루어진 김치 저장고에 있어서, 팽창밸브를 통과한 가장 차가운 냉매가 본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본체 내의 열순환이 원활해지도록, 냉각사이클의 냉각코일이 내통 상단에서 하단 방향을 향하도록 내통 외주에 감겨지고, 냉각코일의 상단에 팽창밸브가 연결되며, 냉각코일의 하단에 압축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팽창밸브를 통과한 냉매가 증발기의 냉각코일을 통과하면서 본체 상부로부터 열을 흡수하면서 본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본체 상부의 온도가 하부의 온도보다 더 낮지만 밀도가 낮은 상부의 냉기가 자연 대류 현상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므로 본체 내부의 기온이 거의 같게 되므로 내부에 보관된 김치의 맛을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김치 저장고의 한 실시예를 보이는 전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 저장고를 보이는 부분 절개 사시도
도3은 도2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 김치 저장고의 냉각사이클을 보이는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본체 12 ; 내통
13 ; 저장실 14 ; 외통
16 ; 커버 17 ; 기계실
18 ; 압축기 19 ; 응축기
20 ; 팽창밸브 21 ; 증발기
22 ; 냉각코일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2 및 도3에서, 본 발명 김치 저장고는, 본체(11)와 커버(16), 냉각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체(11)는 저장실(13)을 가지는 내통(12)과 외통(14)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사이에는 증발기(21)의 냉각코일(22)과 응축기(19)의 발열코일(23)이 위치되는바, 증발기(21)이 냉각코일(22)이 내통(12) 외주면에 밀착되고 이 냉각코일(22)에 비닐(24)이 덮혀지며, 외통(14)의 내주면에는 응축기(19)의 발열코일(23)이 밀착되고 이 발열코일(23)에 비닐(25)이 덮혀진다.
그리고 이들 사이의 공간에 단열재(15)가 충진되며, 이에 따라 냉각코일(22) 및 발열코일(23)이 각각 내통(12)과 외통(14)에 밀착지지된다.
한편 본체(11) 상부에는 커버(16)가 구비되어 이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으며, 본체(11) 하부에는 기계실(17)이 설치되어 이에 냉각코일(22)과 발열코일(23)에 연결되는 냉각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공지의 냉각시스템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상태의 고압의 냉매를 압축하여 액상의 저압 냉매로 변환시키는 압축기(18)가 구비되고, 이 압축기(18)에는 응축기(condenser; 19)가 연결되어 압축기(18)를 통과한 냉매의 열을 외통(14)을 통해 외부로 발산시키게 되며, 이 응축기(19)를 통과하면서 열이 발산된 냉매는 팽창밸브(20), 혹은 모세관(Capillary Tube)을 지나면서 저온, 저압이 된다.
팽창밸브(20)를 통과한 냉매는 증발기(evaporator; 21)에서 기화되어 외부의 열을 흡수하게 되며, 증발기(21)를 통과한 냉매는 다시 압축기(18)로 유입된다.
이러한 냉각사이클 중, 증발기(21)의 냉각코일(22)을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내통(12) 외주면에 밀착설치하여서 저장실(13) 내부를 냉각시키게 되는바, 팽창밸브(20)를 통과한 가장 차가운 냉매가 내통(12)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내통(12) 내의 열순환이 원활해지도록, 증발기(21)의 냉각코일(22)이 내통(12) 상단에서 하단 방향을 향하도록 내통(12) 외주에 감겨지고, 냉각코일(22)의 상단에 팽창밸브(20)가, 냉각코일(22)의 하단에 압축기(18)가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김치 저장고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냉각사이클이 가동되어 저온의 냉매가 증발기(21)의 냉각코일(22)로 유입되어 이를 통과하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게 된다.
이때 냉각코일(22)이 내통(12)의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가도록 순차적으로 감긴 상태이므로 냉매가 냉각코일(22)을 따라 하측으로 내려갈수록 더 많은 열을 흡수하게 되기 때문에 냉각코일(22) 상부의 냉매의 온도가 냉각코일(22) 하부의 냉매 온도보다 더 낮다.
본 출원인이 실험한 결과, 냉매가 유입되는 냉각코일(22) 상부보다 냉각코일(22) 하부의 온도가 10-12℃정도 더 높다.
일반적으로 밀도가 높은 찬 공기는 자연 대류에 의해 하강하게 되기 때문에 낮은 기온의 내통(12) 상부의 공기는 하측으로 이동되고 비교적 높은 내통(12) 하부의 공기는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내통(12) 내의 공기 순환이 원활해진다.
따라서 증발기(21)의 냉각코일(22)을 지나는 냉매의 온도가 내통(12)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르지만 내통(12)내의 공기 순환이 원활하여 내통(12) 내부의 온도를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김치 저장고는, 본체(11)의 내통(12) 상부측으로 갈수록 더 냉각되도록 냉각코일(22)을 내통(12)에 감아서, 내통(12) 내부의 찬공기와 더운공기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므로, 내통(12) 내부를 동일하게 냉각시켜서 이에 저장된 김치 전체를 일정한 온도로 숙성시켜서 장기간 보관,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 저장고에 의하면, 팽창밸브(20)를 통과한 냉매가 증발기(21)의 냉각코일(22)을 통과하면서 본체(11) 상부로부터 열을 흡수하면서 본체(11)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본체(11) 상부의 온도가 하부의 온도보다 더 낮지만 밀도가 낮은 상부의 냉기가 자연 대류 현상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므로 본체(11) 내부의 기온이 거의 같게 되므로 내부에 보관된 김치의 맛을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내통과 외통으로 이루어져 이들 사이에 단열재가 충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부에 결합되어 이를 개폐하는 커버와,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각사이클을 이루고, 증발기의 냉각코일이 내통에 밀착구비되는 냉각수단으로 이루어진 김치 저장고에 있어서,
    팽창밸브(20)를 통과한 가장 차가운 냉매가 본체(11)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본체(11) 내의 열순환이 원활해지도록, 냉각사이클의 냉각코일(22)이 내통(12) 상단에서 하단 방향을 향하도록 내통(12) 외주에 감겨지고, 상기 냉각코일(22)의 상단에 팽창밸브(20)가 연결되며, 냉각코일(22)의 하단에 압축기(18)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저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12) 일면에, 상기 냉각코일(22) 덮어 이를 내통(12)에 밀착지지하는 비닐(2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저장고.
KR1019990022057A 1999-06-14 1999-06-14 김치 저장고 KR200100023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057A KR20010002309A (ko) 1999-06-14 1999-06-14 김치 저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057A KR20010002309A (ko) 1999-06-14 1999-06-14 김치 저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309A true KR20010002309A (ko) 2001-01-15

Family

ID=19592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057A KR20010002309A (ko) 1999-06-14 1999-06-14 김치 저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23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249B1 (ko) * 2006-10-11 2007-12-1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저장고의 전면 개폐식 증발기 조립방법
KR101286565B1 (ko) * 2011-12-27 2013-07-2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발효식품용 냉장컨테이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249B1 (ko) * 2006-10-11 2007-12-1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저장고의 전면 개폐식 증발기 조립방법
KR101286565B1 (ko) * 2011-12-27 2013-07-2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발효식품용 냉장컨테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02309A (ko) 김치 저장고
KR100406040B1 (ko) 김치저장고의 저장실내 상하 온도편차 보상구조
KR100285044B1 (ko) 김치 저장고용 도어
JP2008020165A (ja) 冷却庫
KR20050060619A (ko) 열선과 일체화된 냉각기
KR100424106B1 (ko) 김치저장고 저장실의 온도보상 구조
KR100666683B1 (ko) 김치냉장고의 냉기보존장치
KR100583403B1 (ko) 김치저장고의 저장실내 열손실 보상구조
US2441889A (en) Method and refrigerating apparatus for the cold storage of goods
KR100389400B1 (ko) 직냉식 냉장고의 증발기 및 히터배치구조
KR100325379B1 (ko) 김치 냉장고
KR100436936B1 (ko) 이중 도어 구조를 갖는 김치냉장고
JP2005127660A (ja) 冷蔵庫
KR100513990B1 (ko) 냉장고의 제상장치와 제어방법
JP2000105056A (ja) 冷却貯蔵庫
KR100254397B1 (ko) 식품저장고
KR100376787B1 (ko) 김치저장고의 결로방지 구조
KR100345088B1 (ko) 김치냉장고용 케이싱
KR200184636Y1 (ko) 김치 냉장고의 증발기 코일 조립구조
KR100576252B1 (ko) 축열식 김치저장고
US2048892A (en) Refrigerator
KR200332580Y1 (ko) 2중구조 증발관
KR101158012B1 (ko) 해동용 냉장고
KR100550269B1 (ko) 업소용 테이블식 김치 냉장고의 구조
JPS611732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