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2044A - 톱밥을 이용한 퇴비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톱밥을 이용한 퇴비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2044A
KR20010002044A KR1019990021630A KR19990021630A KR20010002044A KR 20010002044 A KR20010002044 A KR 20010002044A KR 1019990021630 A KR1019990021630 A KR 1019990021630A KR 19990021630 A KR19990021630 A KR 19990021630A KR 20010002044 A KR20010002044 A KR 20010002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dust
compost
water
manufacturing
saw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3457B1 (ko
Inventor
김상채
서성규
Original Assignee
김상채
형기우
주식회사 동양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채, 형기우, 주식회사 동양화학 filed Critical 김상채
Priority to KR1019990021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3457B1/ko
Publication of KR20010002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4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질률이 높아 퇴비의 원재료로 사용하기 곤란한 톱밥을 액체 또는 개스상태의 암모니아로 처리하여 탄질률을 현저히 낮추어 퇴비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톱밥을 퇴비의 원재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로인해 종래 소량 사용되던 톱밥을 다량 소비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결과적으로 목재를 보호할수 있도록 하였고, 이로인해 자연보호 및 원목의 수입을 줄여 국가 경제에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톱밥을 이용한 퇴비제조방법{A manufacturing Method of barnyard manure using sawdust}
본 발명은 톱밥을 이용한 퇴비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C/N비(탄소질소비율, 탄질률)를 낮춘 톱밥을 원재료로 하는 퇴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 연간 소비되는 목재는 연간 약 2천만m3로서 국민 1인당 약 0.5m3를 소비하고 있으며, 게다가 소비량의 약 2/3는 해외로 부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재를 가공하는 공정에서 다량의 폐목재가 발생하며, 그 주된 것으로는 기계톱에 의해 발생하는 톱밥으로 이들 톱밥은 과거에는 대부분 소각처리하였지만 지금은 다양한 방법으로 재활용하므로써 자연보호 및 자국의 경제적 이득을 도모하려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으며, 특히 톱밥은 축산농가의 바닥깔개용으로 사용되어 우분, 돈분, 계분등의 생분(生糞)을 퇴비화하는데 사용되기도 하나, 이는 축분(畜糞)의 퇴비화효과를 높이기 위해 수분을 조절하는 용도나 통기성을 좋게 하기 위한 퇴비촉진제로만 소량 사용되는 것일 뿐, 퇴비의 직접적인 원재료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즉 톱밥을 퇴비화하기 위한 촉진제로 사용하는 방법등은 Biosource Technology( 55, 201-206, 1996, 또는 68, 43-49, 1998)등을 통해 널리 알려져 있고, 보편화되어 있으나, 이처럼 톱밥을 유기질퇴비의 촉진제로만 사용하는 것은 소량의 톱밥만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는 다량 폐기 처분되고있는 톱밥의 재활용측면에서는 매우 낭비적인 요소에 불과한 것이다.
그러므로 보다 많은 톱밥을 소비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목재의 소요량을 줄이고, 톱밥의 고부가가치적인 재활용을 위해서는 톱밥을 퇴비의 부재료가 아닌 원재료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이 절실하게 요구된다고 할 것이나, 지금까지는 톱밥의 높은 C/N비(약 80-300정도, 목재의 종류에 따라서는 1000 이상) 때문에 톱밥을 퇴비의 원재료로 할 경우 미생물의 성장이 곤란해 쉽게 퇴비화할 수 없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톱밥을 퇴비화하는데 있어서 톱밥의 퇴비화는 온도, 수분함유율, pH, C/N비(탄질률)등의 영향을 받으며, 특히 C/N비(탄질률)에 의해 퇴비화의 정도 및 속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탄질률이 높은 톱밥을 액체 또는 개스상태의 암모니아로 처리하여 탄질률을 현저히 낮추어 퇴비의 원재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와같은 톱밥을 원재료로 하는 퇴비에 패각을 첨가하고, 토양미생물을 접종하여 톱밥의 퇴비화를 효과적으로 촉진시키고 양질의 퇴비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톱밥을 수거하는 단계와, 상기 톱밥을 60-80℃의 온도를 유지하는 반응기에 투입하여 암모니아개스(GAS) 또는 암모니아수(水)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톱밥에 물을 분사시켜 수분 함유율을 50-70%으로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반응기를 밀봉하여 0.5-3개월 동안 방치하는 단계에 의해 C/N비를 현저히 낮춘 톱밥을 회수하고, 상기 톱밥에 미생물을 첨가하여 1-4개월정도 부숙시키는 단계에 의해 퇴비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톱밥의 C/N비는 퇴비화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미생물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C/N비, 약 30정도의 C/N비를 얻기위해서는 여러가지 조건을 만족하여야 하며, 특히 반응기 내의 온도 및 가열시간, 암모니아개스 또는 암모니아수의 공급량, 물의 공급량, 암모니아 처리후 반응기 내에선의 톱밥방치기간등이 조절이 매우 중요하였다.
따라서 여러번의 실험결과 반응기 내의 온도는 60-80℃가 적당하였으며, 이는 60℃이하의 온도에서는 암모니아와 톱밥의 효과적인 흡착반응이 곤란하고, 80℃이상의 온도에서는 반응기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연료소비량이 많아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기 때문이다.
또한 반응기 내에서의 암모니아개스의 공급시간은 2-4시간이 적당하였으며, 이는 2시간 미만의 경우는 암모니아개스의 흡착율이 너무 낮고, 4시간 이상의 경우는 흡착율이 포화상태가 되어 무의미한 결과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 미생물의 발육을 촉진하기 위해 톱밥에 공급하는 물의 양은 톱밥의 수분함유율이 미생물의 발육에 가장 적당한 50-70%의 수분함유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톱밥을 암모니아 처리후에는 반응기 내에 0.5-3개월 동안 방치하여 톱밥이 분해되도록 하였다.
이처럼 반응기내에서 톱밥에 공급되는 암모니아개스 또는 암모니아수(NH3)는 암모니아의 질소가 톱밥에 흡수되어 톱밥내의 질소성분이 높아지므로 C/N비는 낮아지게 되고, C 와 N을 영양분으로 사용하는 미생물들은 성장을 촉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다음 상기와 같은 단계에 의해 얻어진 톱밥에 다음 표 1에 도시한 바와같은 토양미생물을 투입하여 퇴비화 시켰다.
표 1. 토양미생물 배양액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해 C/N비가 현저히 낮아진 톱밥은 쉬 분해되어 미생물의 발육이 촉진되면서 부숙기간(1-4개월)이 단축되어 퇴비화 되었으며, 또한 패각(貝殼)분말을 첨가한 톱밥은 퇴비화의 진행이 더욱 빨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탄산칼슘이 미생물의 성장에 필요한 무기성분(영양분)이 되어 미생물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C/N비가 낮아진 톱밥과 종래 톱밥의 퇴비화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톱밥자체의 색인 나무색을 퇴비화가 전혀 진행되지 않은 상태, 즉 0%로 하고, 진갈색을 완전히 퇴비화가 진행된 상태, 즉 100%로 할 때 동일한 시간동안 종래의 톱밥은 약 25%정도 퇴비화가 진행된 색상인 밤색에서 더 이상 진전되지않고 오히려 부패되는 반면, 본발명에 의해 처리된 톱밥은 거의 갈색(75%정도의 퇴비화)과 진갈색으로 색상이 모두 변색되었으며, 또 완전히 발효되어 냄새가 전혀 나지않아 퇴비화가 완벽하게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2㎏의 톱밥을 수거하여 60-80℃의 온도를 유지하는 반응기에 투입하고 0.5-2L/min 유량의 암모니아개스를 2-4시간동안 공급하면서 물을 분사시켜 톱밥의 수분 함유율을 50- 70%가 되도록 조절한 다음, 상기 반응기를 밀봉하여 0.5-3개월후 C/N비를 30-40정도로 낮춘 톱밥을 회수하였다.
실시예 2
2kg의 톱밥을 수거하여 60-80℃의 온도를 유지하는 반응기에 투입하고 암모니아수를 1-2.25kg를 공급하면서 물을 분사시켜 톱밥의 수분 함유율을 50- 70%가 되도록 조절한 다음, 상기 반응기를 밀봉하여 0.5-3개월 동안 방치후 C/N비를 30-40정도로 낮춘 톱밥을 회수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또는 2와 같이 처리한 톱밥을 20℃에서 5일동안 배양한 토양미생물 0.01-1g을 접종하여 시간에 따른 퇴비의 색상의 변화와 톱밥의 분해정도에 따른 퇴비화의 진행정도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서 미생물을 접종한 톱밥에 패각분말 10-300g을 첨가하여 시간에 따른 퇴비의 색상의 변화와 톱밥의 분해정도에 따른 퇴비화의 진행정도를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C/N비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결과 본 발명에 의해 처리되어 C/N비가 낮아진 톱밥은 퇴비화기간이 1-4개월로 비교적 빠른 기간내에 부숙되어 퇴비가 되었으며, 시각적과 후각적으로 살펴본 결과도 갈색(75%정도의 퇴비화)과 진갈색(100%의 퇴비화)으로 변색되었고, 부패된 냄새가 전혀 나지않아 퇴비화가 거의 완벽하게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본발명에 의해 톱밥을 원재료로 하는 매우 우수한 품질의 퇴비를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종래 대개 폐기처분되거나, 유기질퇴비의 촉진제로만 사용되던 폐톱밥을 퇴비의 원재료로 사용하므로써 다량 소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고 부가가치를 가지는 재활용자원으로 활용하므로써 자연보호 및 원목의 수입을 줄여 국가 경제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톱밥을 수거하는 단계와, 상기 톱밥을 60-80℃의 온도를 유지하는 반응기에 투입하여 암모니아개스 또는 암모니아수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톱밥에 물을 분사시켜 수분함유율을 50-70%으로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반응기를 밀봉하여 0.5-3개월 동안 방치하는 단계와, 상기 톱밥에 토양미생물을 첨가하여 1-4개월정도 부숙시키는 단계에 의해 퇴비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톱밥을 이용한 퇴비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톱밥에 토양미생물과 함께 패각분말을 첨가하여 퇴비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톱밥을 이용한 퇴비제조방법.
KR1019990021630A 1999-06-07 1999-06-07 톱밥을 이용한 퇴비제조방법 KR100313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630A KR100313457B1 (ko) 1999-06-07 1999-06-07 톱밥을 이용한 퇴비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630A KR100313457B1 (ko) 1999-06-07 1999-06-07 톱밥을 이용한 퇴비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044A true KR20010002044A (ko) 2001-01-05
KR100313457B1 KR100313457B1 (ko) 2001-11-09

Family

ID=19591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630A KR100313457B1 (ko) 1999-06-07 1999-06-07 톱밥을 이용한 퇴비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34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828A (ko) * 2001-05-29 2002-12-05 윤영수 폐목을 이용한 시설하우스용 톱밥퇴비 제조방법.
KR20150137845A (ko) * 2014-05-30 2015-12-09 주식회사화신 차량용 안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340B1 (ko) * 2002-05-07 2004-03-06 주식회사 그린환경 폐목재와 재활용 모래를 이용한 상토의 제조방법.
KR100981418B1 (ko) 2008-04-24 2010-09-16 정혜만 패각류가 포함된 우드펠렛과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우드펠렛을 연소하여 생성된 소성 패화석을 이용하여 제조한 이온화칼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05295A (en) * 1980-12-22 1982-06-30 Hitachi Kiden Kogyo Ltd Aerobic fermentation of sewage sludge or the like
JPS60227640A (ja) * 1984-04-27 1985-11-12 Meiji Seika Kaisha Ltd 酵素加水分解作用を受け易い植物質材の製法
KR880002779A (ko) * 1986-08-25 1988-05-11 박천수 분뇨를 이용한 알칼리성 발효분말 농비 제조방법
JPH02149487A (ja) * 1988-11-29 1990-06-08 Kaneko Agricult Mach Co Ltd オガクズを主体としたキノコ培養残渣を用いた促成堆肥の製造方法
JP2729510B2 (ja) * 1989-05-08 1998-03-18 静岡県 農業用、林業用、家庭園芸用又は環境保全用資材
JPH0782068A (ja) * 1993-09-09 1995-03-28 Tatsuichi Miyazaki 有機廃棄物等を発酵させた発酵物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828A (ko) * 2001-05-29 2002-12-05 윤영수 폐목을 이용한 시설하우스용 톱밥퇴비 제조방법.
KR20150137845A (ko) * 2014-05-30 2015-12-09 주식회사화신 차량용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3457B1 (ko) 200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73795B (zh) 利用堆肥复合菌剂进行污泥好氧堆肥的方法
EP1551781B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processing organic material
CN104446683A (zh) 一种城市生活污泥综合处理工艺
CN106278632A (zh) 一种复合微生物肥
CN108623344A (zh) 一种有机肥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3115404A (en) Inoculation with microorganisms and culture cultivation media
CN111011160A (zh) 一种园林绿化苗木种植用营养土
CN112759436A (zh) 生物质结合分子膜静态堆肥处理粪污生产有机肥的方法
DE3171471D1 (en) Compost made of organic residues, process for making it and apparatus for putting the process into operation
CN111574254A (zh) 一种利用酱香型白酒酒糟发酵有机肥的生产工艺
CN107032855A (zh) 利用畜禽粪便发酵沼渣制备有机肥的方法
CN113045364B (zh) 一种园林废物的预处理及堆肥方法
KR100313457B1 (ko) 톱밥을 이용한 퇴비제조방법
KR100753628B1 (ko) 유기성 슬러지 퇴비화 방법
CN105237051A (zh) 一种以甜菜粕作为调理剂利用污泥堆肥制备有机肥的方法
CN101016216A (zh) 一种利用竹醋酸对畜禽养殖废弃物高效堆肥的方法
CN108795806A (zh) 一种抑制氨气排放的高效堆肥复合菌种的制备方法及使用方法
KR960701594A (ko) 사료를 사일로내에 신선하게 저장하는 방법(method of ensilage of fodder)
JPH0559079B2 (ko)
CN107684821A (zh) 用于VOCs及恶臭气体治理的生物过滤填料及制备方法
CN113200788A (zh) 一种提高厨余垃圾堆肥产品品质的方法
RU2290390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мпостов из органических отходов
KR100200031B1 (ko)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발효제와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축산폐수의 퇴비화 방법
JP2001122684A (ja) 貝殻の農業用土壌カルシウム補給資材への資源化処理方法
CN112851442A (zh) 一种利用白酒固废制备的紫色土壤改良剂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