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1972U - 천정형 에어컨의 응축수 받이 분리구조 - Google Patents

천정형 에어컨의 응축수 받이 분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1972U
KR20010001972U KR2019990012492U KR19990012492U KR20010001972U KR 20010001972 U KR20010001972 U KR 20010001972U KR 2019990012492 U KR2019990012492 U KR 2019990012492U KR 19990012492 U KR19990012492 U KR 19990012492U KR 20010001972 U KR20010001972 U KR 200100019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condensate
condensate receiver
ceil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4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61019Y1 (ko
Inventor
서정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900124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019Y1/ko
Publication of KR200100019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9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0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0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형 에어컨의 응축수 받이 분리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열교환기의 하측에 응축수 받이가 분리가능케 결합된 천정형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받이의 내부바닥 중간부에 형성된 돌출부(75)와,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 형성된 체결구멍(73)과, 상기 응축수 받이의 외부하측에서 상기 체결구멍을 통하여 삽입체결된 체결부재(69)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응축수 받이를 분리하기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정형 에어컨의 응축수 받이 분리구조{detaching structure of tray drain of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천정형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정형 에어컨의 응축수 받이 분리구조에 관한 것이다.
천정형 에어컨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판(S)의 내부에 설치되며, 설치봉(1)에 의해 케이싱(3)이 천정벽(W)에 현가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3)의 내부 일측에는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시키는 블로아(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싱(3)의 내부 타측에는 상기 블로아(5)에서 토출된 공기가 열교환되도록 열교환기(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열교환기(7)의 공기 출구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닥트에 연결되는 공기유출구(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열교환기(7)의 하측에는 응축수를 받도록 응축수 받이(11)가 설치되어 있다.
도2에는 종래 응축수 받이 분리구조가 적용된 천정형 에어컨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21)의 좌,우측판(21a)(21b)의 앞측 내부에는 브라켓(22)이 부착되고, 상기 브라켓(22)에는 열교환기(23)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열교환기(23)의 하측에는 응축수 받이(27)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응축수 받이(27)의 양측에는 수직플랜지(29)(29')를 가진 브라켓이 상측으로 돌출결합되어 있고, 상기 수직플랜지(29)(29')의 중간부에는 관통구멍(29a)(29'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싱의 좌우측판(21a)(21b)의 하부에는 상기 관통구멍(29a)(29'a)에 정렬하는 나사구멍(21c)(21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플랜지(29)(29')는 상기 케이싱의 좌, 우측판(21a)(21b)의 하부 측면에 밀착하여, 체결부재(31)가 상기 관통구멍(29a)(29'a) 및 나사구멍(21c)(21d)을 통해 체결되어 응축수 받이(27)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천정형 에어컨은 천정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으므로,수리등을 하기 위해 응축수 받이를 분리해 내고자 하면, 에어컨이 설치된 하측의 천정판을 들어 내고, 응축수 받이(29)를 고정하고 있는 체결부재(31)를 풀어 응축수 받이를 하측으로 내리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천정형 에어컨의 응축수 받이 분리구조에 의하면, 체결부재(31)를 응축수 받이(21)의 측면에서 풀어내어야 하므로, 수평방향으로 공구를 이동하고 사람의 손이 들어가야 하는 공간을 감안하면, 응축수 받이의 길이(L1)보다 훨씬 긴 길이(L1')로 천정판을 제거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응축수 받이(21)의 측방향을 육안으로 관찰하기가 불가능하므로 체결부재(31)를 풀어 내기가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공구를 사용하기도 불편하여 응축수 받이의 분리작업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천정판을 최소한으로 작은 면적으로 제거하고, 응추수 받이의 분리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천정형 에어컨의 응축수 받이 분리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는 일반적인 천정형 에어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2는 종래 응축수 받이 분리구조가 적용된 천정형 에어컨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응축수 받이 분리구조가 적용된 천정형 에어컨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4는 도3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응축수 받이 분리구조에서 도3의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6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천정형 에어컨의 응축수 받이 분리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 케이싱 49 : 열교환기
51 : 하부판 53 : 응축수 받이
69 : 체결부재 71 : 나사구멍
73 : 체결구멍 75 : 돌출부
77 : 패킹부재
본 고안에 의한 천정형 에어컨의 응축수 받이 분리구조는, 응축수 받이가 열교환기의 하측에 분리가능케 결합된 천정형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받이의 내부바닥 중간부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 형성된 체결구멍과, 상기 응축수 받이의 외부하측에서 상기 체결구멍을 통하여 삽입체결된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교환기의 하측에는 하부판이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의 상면이 상기 하부판의 하측외면에 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판의 하측외면과 상기 돌출부의 상면 사이에는 누수를 방지하도록 패킹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킹부재는 가스켓부재등이 사용된다.
상기 돌출부는 엠보스부나 돌기부등으로 다양하게 이루어 질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높이(H)는 응축수 받이의 깊이(D)보다 크거나 같게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41)의 공기 유출구(43)측 내부에는 양측면에 브라켓(45)(47)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45)(47)에는 열교환기(49)가 삽입체결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기(49)의 하측에는 상기 하부판(51)이 상기 브라켓(45)(47)의 하단에 체결되어 있고, 상기 하부판(51)의 하측에는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받아 배수하도록 응축수 받이(5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41)의 상판 가장자리에는 도시하지 않은 설치봉이 걸리도록 다수의 걸이구멍(55)이 형성되어 있고, 케이싱(41)의 일측판에는 상기 열교환기(49)의 냉매출입관(57)이 삽입되도록 구멍(5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기(49)의 냉매출입관 타측에는 열교환기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판(63)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하부판(51)은 그 가장자리에 체결구멍(65)이 형성되어, 체결부재(67)에 의해 상기 브라켓(45)(47)의 하부에 연장형성된 플랜지(45a:도시안됨)(47a)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하부판(51)의 중간에는 상기 응축수받이(53)가 체결부재(69)에 의해 고정되도록 다수의 나사구멍(7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응축수 받이(53)는 그 내부에 응축수가 모이는 공간부가 형성된 사각통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내부 바닥에는 그 중간에 체결구멍(73)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75)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구멍(73)을 통하여 상기 응축수 받이의 하측에서 상기 체결부재(69)가 삽입되어 상기 하부판(51)의 나사구멍(71)에 체결된다.
상기 돌출부(75)가 도4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75)는 프레스가공에 의해 엠보스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의 높이(H)는 응축수 받이의 깊이(D)보다 크거나 같게 되어 있다. 따라서, 패킹부재 없이 돌출부를 고정하더라도 응축수 받이의 깊이에 응축수가 완전히 차기 전에는 응축수가 체결구멍을 통하여 흘러 나오지 않는다.
상기 돌출부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출성형에 의해 돌출부(75')가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도 있다.
상기 하부판(51)의 하측외면과 상기 응축수 받이(53)의 돌출부(75)의 상면 사이에는 누수를 방지하도록 패킹부재(77)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패킹부재(77)는 가스켓부재등이 사용되고, 그 중간부에는 상기 체결부재(69)가 통과하도록 구멍(79)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천정형 에어컨에서, 수리나 청소등을 하기위해 응축수 받이를 분리해 내고자 하면, 응축수 받이(53) 하측의 천정판을 들어내고, 체결부재(69)를 하측에서 풀면, 응축수 받이(53)를 간단히 하측으로 분리해 낼 수 있다. 이때, 공구를 천정형 에어컨의 측면으로 집어 넣을 필요가 없으므로, 응축수 받이의 길이(L2) 만큼만 천정판을 들어 내어도 응축수 받이의 분리작업이 가능하게 되고, 체결부재가 외부에서 보이게 되므로 체결부재를 푸는 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열교환기(49)의 하측에 하부판(51)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판(51)의 하부에 응축수 받이(53)가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41')의 하측단이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79)를 구비하고, 상기 절곡부(79)의 상측에 열교환기(49')가 밀착결합되며, 상기 절곡부(79)의 저면에 응축수 받이(53")의 돌출부(75")가 패킹부재(77)를 사이에 두고 밀착되어 결합되어 있을 수 도 있다.
이러한 구조는 별도로 하부판(51)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부품수가 절감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구조로 변형실시할 수 잇다.
본 고안에 의한 천정형 에어컨의 응축수 받이 분리구조에 의하면, 응축수 받이의 수리나 청소시, 천정판을 최소한으로 작은 면적으로 제거하고, 응축수 받이의 분리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3)

  1. 열교환기의 하측에 응축수 받이가 분리가능케 결합된 천정형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받이의 내부바닥 중간부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 형성된 체결구멍과,
    상기 응축수 받이의 외부하측에서 상기 체결구멍을 통하여 삽입체결된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의 응축수 받이 분리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하측에는 하부판이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의 상면이 상기 하부판의 하측외면에 밀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의 응축수 받이 분리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의 하측외면과 상기 돌출부의 상면 사이에는 누수를 방지하도록 패킹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의 응축수 받이 분리구조.
KR2019990012492U 1999-06-30 1999-06-30 응축수 받이를 갖춘 천정형 에어컨 KR2002610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492U KR200261019Y1 (ko) 1999-06-30 1999-06-30 응축수 받이를 갖춘 천정형 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492U KR200261019Y1 (ko) 1999-06-30 1999-06-30 응축수 받이를 갖춘 천정형 에어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972U true KR20010001972U (ko) 2001-01-26
KR200261019Y1 KR200261019Y1 (ko) 2002-01-19

Family

ID=54765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492U KR200261019Y1 (ko) 1999-06-30 1999-06-30 응축수 받이를 갖춘 천정형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01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019Y1 (ko) 200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00232B1 (en) Heat exchanging ventilator
KR20050018481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356247B1 (ko) 공기 조화기용 응축물 배수구
KR20010001972U (ko) 천정형 에어컨의 응축수 받이 분리구조
JP2007132641A (ja) ドレンパン
CN111480037A (zh) 用于建筑物的通风设备
JPH05296496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H0728498Y2 (ja) 空気調和機
JP2006214685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20020096313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지지구조
KR200221820Y1 (ko) 공기조화기
JPS624812Y2 (ko)
CN219409328U (zh) 一种冷凝水蒸发盒
JPH0712818Y2 (ja) 空調機の排水構造
JP2599636Y2 (ja) 天吊形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構造
JPH033861Y2 (ko)
JPH0628516U (ja) 空気調和機
KR200228665Y1 (ko) 공기조화기용실내기
JP4431250B2 (ja) 空調機のドレン排水装置
KR20030038949A (ko) 공기 조화기의 흡입그릴 장착구조
WO2019142462A1 (ja) 天井埋込み型空気調和機
JPS6120427Y2 (ko)
JPS6241134Y2 (ko)
KR20020043856A (ko) 천정 카세트형 공기 조화기의 필터 고정구조
JPS5934821Y2 (ja) 換気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