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1440A - 모니터의 부품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부품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1440A
KR20010001440A KR1019990020661A KR19990020661A KR20010001440A KR 20010001440 A KR20010001440 A KR 20010001440A KR 1019990020661 A KR1019990020661 A KR 1019990020661A KR 19990020661 A KR19990020661 A KR 19990020661A KR 20010001440 A KR20010001440 A KR 20010001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cd module
bent
coupling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0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기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20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1440A/ko
Publication of KR20010001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44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의 부품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모니터를 구성할 때 터치 스크린을 옵션으로 적용하지 않을 경우 터치 스크린의 두께를 보상하는 펨너트가 프레임에 일체로 체결됨으로써 펨너트의 단가가 고가일 뿐만 아니라 펨너트를 체결하는 가공비가 많이 소요되며, 또한 프레임에 일체로 체결되는 펨너트의 불량이 발생하게 될 경우 프레임에서 펨너트의 분해가 되지 않아 펨너트가 체결된 프레임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손실이 크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는 바,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옵션으로 적용하거나 적용하지 않을 경우 구성 부품을 호환성있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터치 스크린을 적용하지 않을 경우 터치 스크린의 두께 만큼 보상하는 조절부재의 분해 및 조립을 간단하게 함으로써 조립 생산성을 높이고 또한 상기 조절부재의 가공비를 줄여 제작 원가를 줄임과 아울러 상기 조절부재의 불량 발생시 조절부재만 교체 가능하도록 하여 부품의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니터의 부품 조립구조{STRUCTURE FOR ENEGING PARTS OF MONITOR}
본 발명은 모니터의 부품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성 부품 조립의 호환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부품의 분해 및 조립을 간단하게 하고 또한 제작 단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모니터의 부품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모니터의 일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는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고정 결합되는 엘시디 모듈(20)과 상기 엘시디 모듈(20)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캐비넷(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에 터치 스크린(40)이 적용될 경우 엘시디 모듈(20)의 전면과 캐비넷(30)사이에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모니터는 터치 스크린(40)을 추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모니터를 구성하거나 또는 터치 스크린(40)을 옵션으로 추가하여 모니터를 구성할 경우 그 구성 부품의 가공성 및 조립 생산성을 고려하여 구성 부품의 호환성 및 동일성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니터에 터치 스크린(40)을 옵션으로 추가하여 구성할 경우 그 구성 부품의 종래 조립 구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프레임(10)은 사각 형태로 형성된 프레임 몸체부(11)의 각 모서리부분에 기역자 형상으로 돌출된 결합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2)에 나사공(1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엘시디 모듈(20)의 각 모서리부분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사각 형태의 홈(21)이 형성되고 그 홈(21)의 저면에 상기 프레임(10)의 나사공(13)과 상응하는 관통공(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과 엘시디 모듈(20)의 결합은 프레임(10)의 각 결합부 나사공(13)에 엘시디 모듈(20)의 관통공(22)을 일치시키고 그 일치된 관통공(22)과 나사공(13)에 체결나사(50)를 각각 체결하여 프레임(10)에 엘시디 모듈(20)을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엘시디 모듈에 터치 스크린(40)을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40)이 상기 캐비넷(3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엘시디 모듈(20)이 결합된 프레임(10)이 캐비넷(30)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터치 스크린(40)은 엘시디 모듈(20)의 전면에 위치함과 아울러 캐비넷(3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모니터에 터치 스크린(40)을 옵션으로 추가하지 않고 모니터를 구성할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스크린(40)의 두께만큼 엘시디 모듈(20)이 캐비넷(30)측으로 이동해야 하므로 터치 스크린(40)의 두께에 상응하는 높이를 갖는 펨너트(PEMNUT)(51)가 엘시디 모듈(20)이 결합되는 프레임(10)의 결합부(12)에 각각 일체로 체결 고정된다. 즉, 일정 외경과 높이를 갖는 환봉 형태로 형성되며 그내부에 나사공(51a)이 관통 형성된 펨너트(51)가 프레임(10)의 결합부(12)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펨너트(51)의 나사공(51a)과 엘시디 모듈(20)의 관통공(22)이 일치된 상태에서 엘시디 모듈(20)의 관통공(22)과 펨너트 나사공(51a)에 체결나사(50)를 체결하여 엘시디 모듈(20)을 프레임(10)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엘시디 모듈(20)이 결합된 프레임(10)을 캐비넷(30)에 고정 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모니터 부품 조립구조는 터치 스크린(40)을 옵션으로 적용하지 않을 경우 프레임(10)에 일체로 체결되는 펨너트(51)의 단가가 고가일 뿐만 아니라 펨너트(51)를 체결하는 가공비가 많이 소요된다. 또한 프레임(10)에 일체로 체결되는 펨너트(51)의 불량이 발생하게 될 경우 프레임(10)에서 펨너트(51)의 분해가 안되기 때문에 펨너트(51)가 체결된 프레임(10)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손실이 크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 부품 조립의 호환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부품의 분해 및 조립을 간단하게 하고 또한 제작 단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모니터의 부품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모니터 부품 조립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모니터 부품 조립구조에서 터치 스크린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모니터 부품 조립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모니터 부품 조립구조에서 조절부재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모니터 부품 조립구조에서 주요부분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터치 스크린 60 ; 프레임
61 ; 프레임 몸체부 62 ; 프레임 절곡부
63 ; 프레임 제1 결합부 64 ; 프레임 제2 결합부
65 ; 착탈구 70 ; 엘시디 모듈
71 ; 엘시디 모듈 결합부 80 ; 조절부재
90 ; 캐비넷 100 ; 체결부재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정의 면적과 두께로 형성된 몸체부의 각 변에 절곡 연장되어 절곡부가 각각 형성되고 서로 대변되는 상기 절곡부의 양단부가 소정의 면적으로 각각 절곡되어 제1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부의 측부에 위치하는 절곡부에 제2 결합부가 각각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제1 결합부와 상응하는 체결부가 각각 형성된 엘시디 모듈과, 상기 엘시디 모듈에 터치 스크린이 부착되는 여부에 따라 엘시디 모듈이 결합되는 상기 프레임의 제1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조절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제2 결합부에 의해 프레임이 결합되는 캐비넷과, 상기 프레임의 제1 결합부와 엘시디 모듈의 체결부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제2 결합부와 캐비넷을 각각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부품 조립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모니터 부품 조립구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는 상기 모니터 부품 조립구조의 일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니터 부품 조립구조는 먼저, 그 베이스를 이루는 프레임(60)은 소정의 면적과 두께로 형성된 몸체부(61)의 각 변에 절곡 연장되어 절곡부(62)가 각각 형성되고 서로 대변되는 상기 절곡부(62)의 양단부가 소정의 면적으로 각각 절곡되어 제1 결합부(63)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부(63)의 측부에 위치하는 절곡부(62)에 제2 결합부(64)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6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그 사각 형태 몸체부(61)의 각 4변에 소정의 폭으로 절곡 연장된 절곡부(6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4개의 절곡부(62) 중 서로 대변되는 두 개의 절곡부(62) 양단부에 소정의 폭으로 몸체부(61)의 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절곡되며 그 절곡된 절곡면(63a)에 나사공(63b)이 형성되어 제1 결합부(6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결합부(63)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두 개의 절곡부(62)에 제2 결합부(64)가 각각 형성되며 그 제2 결합부(64)는 제1 결합부(63)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결합부(64)는 절곡부(62)의 일부분이 절곡부(62)면에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절곡면(64a)이 형성되고 절곡면(64a)에 나사공(64b)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결합부(64)가 형성된 측부에 관통된 착탈구(65)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60)에 고정 결합되는 엘시디 모듈(70)에 상기 제1 결합부(63)와 상응하는 체결부(71)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71)는 사각 형태의 홈(71a)이 형성되고 그 홈(71a)의 저면에 관통된 나사공(71b)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부재(80)는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81)의 일측에 몸체(81)면과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끼움편(82)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끼움편(82)의 하면에 상기 착탈구(65)에 착탈가능하도록 걸림돌기(83)가 형성되고 몸체(81)의 타측에 상기 제1 결합부(63)를 이루는 나사공(63b)의 직경보다 크게 개구홈(84)이 형성된다. 상기 조절부재(80)의 일측 길이는 착탈구(65)가 형성된 절곡부(62)의 하면(f)과 제1 결합부(63)가 형성됨에 의해 형성되는 절곡부(62)의 단턱(d)사이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재(80)의 두께는 터치 스크린(40)의 두께와 상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81)와 끼움편(82)사이의 간격은 절곡부(62)의 두께와 상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조절부재(80)는 몰드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넷(90)은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조립시 엘시디 모듈(70)의 화면이 노출되도록 관통구(91)가 형성되며 그 내측에 프레임(60)의 제2 결합부(64)가 체결부재(100)에 의해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100)는 나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모니터 부품 조립구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터치 스크린(40)을 옵션으로 적용하여 모니터를 구성할 경우 프레임(60)의 제1 결합부(63)에 엘시디 모듈(70)의 체결부(71)를 일치시키고 그 일치된 제1 결합부(63)의 나사공(63b)과 체결부(71)의 나사공(71b)에 체결부재(100)를 체결하여 프레임(60)에 엘시디 모듈(70)을 고정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엘시디 모듈(70)에 터치 스크린(40)을 부착하며 이어 상기 엘시디 모듈(70)이 결합된 프레임(60)의 제2 결합부(64)를 캐비넷(90)에 체결부재(100)에 의해 체결하여 엘시디 모듈(70)이 결합된 프레임(60)을 캐비넷(90)에 고정 결합하게 된다. 이때 터치 스크린(40)은 엘시디 모듈(70)과 캐비넷(90)의 내측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40)을 옵션으로 적용하지 않은 상태로 모니터를 구성할 경우 상기 프레임(60)의 제1 결합부(63)에 조절부재(80)를 장착하게 되며 상기 조절부재(8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몸체(81)가 제1 결합부(63)의 측부에 형성된 단턱(d)과 상기 착탈구(65)가 형성된 절곡부(62)의 하면(f)사이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절곡부(62)가 몸체(81)와 끼움편(82)사이에 끼워지도록 하면서 걸림돌기(83)가 착탈구(65)에 끼워짐에 의해 제1 결합부(63)에 포개져 고정된다.
이때 조절부재(80)의 개구홈(84)과 제1 결합부(63)의 나사공(63b)이 연통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재(80)가 안착된 프레임(60)의 제1 결합부(63)에 엘시디 모듈(70)의 체결부(71)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엘시디 모듈(70)의 나사공(71b) 및 조절부재(80)의 개구홈(84) 그리고 제1 결합부(63)의 나사공(63b)을 관통시키면서 체결부재(100)를 체결하여 엘시디 모듈(70)을 프레임(60)에 고정 결합하게 된다. 상기 엘시디 모듈(70)이 결합된 프레임(60)의 제2 결합부(64)를 캐비넷(90)에 체결부재(100)에 의해 체결하여 엘시디 모듈(70)이 결합된 프레임(60)을 캐비넷(90)에 고정 결합하게 된다. 이때 조절부재(80)가 엘시디 모듈(70)과 프레임(60)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조절부재(80)가 터치 스크린(40)의 폭을 보상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재(80)는 분리시 조절부재(80)의 걸림돌기(83)를 착탈구(65)에서 이탈시킴에 의해 분리하게 된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40)의 옵션 적용 여부에 따라 조절부재(80)를 착탈시키면서 각 부품을 조립하게 되므로 각 부품의 호환성있는 조립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그 조립 공정이 간단하게 된다. 또한 프레임(60)에 장착되는 조절부재(80)의 불량이 발견될 경우 그 조절부재(80)만 교체가 가능하게 되어 종래와 같이 프레임(60)까지 교체하지 않게 되므로 부품의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재(80)는 몰딩으로 제작하게 되므로 종래 펨너트(51)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제작 원가가 절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및 분해가 수월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모니터의 부품 조립구조는 터치 스크린을 옵션으로 적용하거나 적용하지 않을 경우 각 부품을 호환성있게 조립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터치 스크린을 적용하지 않을 경우 터치 스크린의 두께 만큼 보상하는 조절부재의 분해 및 조립이 간단하게 됨으로써 조립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조절부재의 불량 발생시 조절부재만 교체 가능하게 되어 부품의 손실을 줄이게 되며 또한 조절부재의 가공비를 줄여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소정의 면적과 두께로 형성된 몸체부의 각 변에 절곡 연장되어 절곡부가 각각 형성되고 서로 대변되는 상기 절곡부의 양단부가 소정의 면적으로 각각 절곡되어 제1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부의 측부에 위치하는 절곡부에 제2 결합부가 각각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제1 결합부와 상응하는 체결부가 각각 형성된 엘시디 모듈과, 상기 엘시디 모듈에 터치 스크린이 부착되는 여부에 따라 엘시디 모듈이 결합되는 상기 프레임의 제1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조절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제2 결합부에 의해 프레임이 결합되는 캐비넷과, 상기 프레임의 제1 결합부와 엘시디 모듈의 체결부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제2 결합부와 캐비넷을 각각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부품 조립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가 형성된 절곡부의 일측에 착탈구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재의 일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조절부재가 절곡부에 끼워짐과 아울러 걸림돌기가 상기 착탈구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부품 조립구조.
KR1019990020661A 1999-06-04 1999-06-04 모니터의 부품 조립구조 KR200100014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661A KR20010001440A (ko) 1999-06-04 1999-06-04 모니터의 부품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661A KR20010001440A (ko) 1999-06-04 1999-06-04 모니터의 부품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440A true KR20010001440A (ko) 2001-01-05

Family

ID=19590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0661A KR20010001440A (ko) 1999-06-04 1999-06-04 모니터의 부품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14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95132A (ko) 디스플레이장치
US9338901B2 (en) Sliding electronic apparatus
CN209965719U (zh) 一种一体化钢架办公屏风桌
KR20010001440A (ko) 모니터의 부품 조립구조
EP1990815B1 (en) Display device
KR100484140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 고정장치
KR20180099314A (ko) 조립식 가구용 프레임 연결장치
US8760590B2 (en) Attachment structure for control key unit
KR102603682B1 (ko) 파티션 어셈블리
KR20040081080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846615B2 (ja) アングル棚
JPH09232776A (ja) ケースとラックとの組立て構造
KR200179745Y1 (ko) 일체형 케이스
KR200183341Y1 (ko) 프레임 연결용 치구
CN218103813U (zh) 一种面板和机箱
JP7395943B2 (ja) シェルフ
EP2157787B1 (en) Control key unit for television receiver
JP2000120627A (ja) フレーム連結構造
KR200205023Y1 (ko) 계측기용 케이스 조립체
KR200420674Y1 (ko) 조립식 앵글 흔들림 방지구 보강구조
KR200402768Y1 (ko) 창틀용 연결구
US20070109728A1 (en) Electronic device with fixing devices
KR20180112407A (ko) 가구 조립장치
KR0114103Y1 (ko) 모니터의 메인회로기판 고정장치
JPH02140994A (ja) シェルフ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