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974U - 플립형 핸드폰의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플립형 핸드폰의 힌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00974U KR20010000974U KR2019990011211U KR19990011211U KR20010000974U KR 20010000974 U KR20010000974 U KR 20010000974U KR 2019990011211 U KR2019990011211 U KR 2019990011211U KR 19990011211 U KR19990011211 U KR 19990011211U KR 20010000974 U KR20010000974 U KR 20010000974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ip
- push rod
- front cover
- slot
- protruding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3739 neck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립형 핸드폰에 있어서, 프런트 커버의 하단 양쪽에 형성한 슬롯 내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한 샤프트와; 상기 슬롯의 상측에는 양측면에 가이드홀을 형성한 로드 하우징과; 상기 로드 하우징 내에는 양측단이 상기 가이드홀에 슬라이드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슬롯에 돌출하도록 설치된 푸시 로드와; 상기 로드 하우징 내에서 푸시 로드의 타단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과; 플립 일측 양단에 돌출 형성한 플립 넥에는 각각 상기 프런트 커버의 샤프트가 삽입되는 샤프트홀을 구비하며 외주면이 상기 푸시 로드에 의해 가압되는 원형부와, 상기 원형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한 돌출부와, 상기 원형부 외주면의 상호 대향된 위치에는 상기 돌출부와 직각을 이루도록 걸림돌기와 걸림홈을 형성한 캠 힌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플립형 핸드폰의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푸시 로드와 캠 힌지의 상대 운동에 의해 플립의 개폐 각도가 조절되는 플립형 핸드폰의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핸드폰은 그 외형에 따라 플립형, 바형 및 폴더형 등으로 나뉘어진다. 이중, 상기 플립형 핸드폰은 본체의 프런트 커버 하단에 개폐 가능한 플립을 설치하는 형태로서, 본체를 소형으로 유지하면서도 키 버튼의 보호는 물론 스피커와 마이크로폰과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널리 애용되고 있다.
종래의 플립형 핸드폰은 플립의 개폐 수단으로서 별도의 힌지 모듈을 삽입하여 사용해왔다. 상기 힌지 모듈은 힌지 하우징 내에 장착된 힌지 샤프트, 힌지 캠, 스프링 및 힌지 캡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힌지 모듈은 스프링을 제외한 각각의 구성 부품들을 별도로 사출 성형해야 함에 따라 생산 과정이 복잡하고, 생산된 부품들을 조립하는데에도 많은 작업 공정이 소요되어 제품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생산 및 조립 과정을 단순히 할 수 있으면서도 플립의 개폐 각도 조절은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플립형 핸드폰의 힌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플립형 핸드폰에 있어서, 프런트 커버의 하단 양쪽에 형성한 슬롯 내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한 샤프트와; 상기 슬롯의 상측에는 양측면에 가이드홀을 형성한 로드 하우징과; 상기 로드 하우징 내에는 양측단이 상기 가이드홀에 슬라이드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슬롯에 돌출하도록 설치된 푸시 로드와; 상기 로드 하우징 내에서 푸시 로드의 타단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과; 플립 일측 양단에 돌출 형성한 플립 넥에는 각각 상기 프런트 커버의 샤프트가 삽입되는 샤프트홀을 구비하며 외주면이 상기 푸시 로드에 의해 가압되는 원형부와, 상기 원형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한 돌출부와, 상기 원형부 외주면의 상호 대향된 위치에는 상기 돌출부와 직각을 이루도록 걸림돌기와 걸림홈을 형성한 캠 힌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의 프런트 커버와 플립을 나타낸 평면도,
도 2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 커버를 나타낸 배면도,
도 2b는 도 2a의 이점 쇄선 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2c는 도 2a의 A-A`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프런트 커버와 플립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및 확대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의 개폐 과정을 나타낸 작동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런트 커버 20 : 플립
30 : 캠 힌지 40 : 로드 하우징
44 : 푸시 로드 46 : 스프링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의 프런트 커버와 플립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 커버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이점 쇄선 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고, 도 2c는 도 2a의 A-A`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프런트 커버와 플립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및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프런트 커버(10)는 하단 양쪽에 슬롯(12)을 형성하고, 상기 슬롯(12)의 내측면에는 각각 단면이 원형인 샤프트(14)를 돌출 형성한다. 상기 샤프트(14)는 플립(20)의 회전 중심 역할을 한다.
상기 슬롯(12)의 상측에는 양측면에 가이드홀(42)을 구비한 로드 하우징(40)을 형성한다. 상기 로드 하우징(40)은 상호 수직으로 이어진 네 개의 판으로 이루어지고, 후술할 푸시 로드를 내부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방이 개구된다.
상기 로드 하우징(40) 내에는 푸시 로드(44)를 설치한다, 상기 푸시 로드(44)는 양측단이 상기 가이드홀(42)에 삽입되고, 일단은 상기 슬롯(12)에 돌출한다. 따라서, 상기 푸시 로드(44)는 로드 하우징(40)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상기 푸시 로드(44)의 단부는 일정 반경을 가진 곡형을 이루어 후술할 캠 힌지와의 마찰을 최소화한다. 또한, 상기 로드 하우징(40) 내에는 푸시 로드(44)의 타단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46)을 삽입한다.
상기 프런트 커버(10)의 샤프트(14) 및 로드 하우징(40)은 프런트 커버(10)의 사출 성형시 프런트 커버(10)와 일체로 성형하고, 상기 푸시 로드(44) 및 스프링(46)은 별도 생산후 해당 위치에 삽입한다.
한편,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플립(20)은 일측 양단에 플립 넥(22)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플립 넥(22) 내부에는 각각 캠 힌지(30)를 형성한다. 상기 플립 넥(22)은 프런트 커버(10)에 형성한 슬롯(12)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캠 힌지(30)는 내측면에 프런트 커버(10)의 샤프트(14)가 삽입되는 샤프트홀(도 3의 24)을 구비하며 외주면이 상기 푸시 로드(44)에 의해 가압되는 원형부(32)와, 상기 원형부(32)의 외주면에는 볼록한 곡면 모양으로 돌출 형성한 돌출부(34)와, 상기 원형부(32) 외주면의 상호 대향된 위치에는 걸림돌기(36)와 걸림홈(38)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걸림돌기(36)와 걸림홈(38)은 각각 푸시 로드(44)의 단부와 동일한 반경(±α 허용)으로 돌출 혹은 함몰하며, 상기 돌출부(34)로부터 각각 90도되는 위치에 형성한다. 상기 플립(20)의 캠 힌지(30)는 플립(20)의 사출 성형시 플립(20)과 일체로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플립(20)은 프런트 커버(10)의 슬롯(12)에 형성한 샤프트(14)에 캠 힌지(30)의 샤프트홀(24)을 끼움으로써 프런트 커버(10)에 장착된다. 상기 프런트 커버(10)의 푸시 로드(44)는 타단이 스프링(46)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있으므로, 플립(20)의 개폐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상기 플립(20)의 캠 힌지(30) 외주면을 가압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의 개폐 과정을 나타낸 작동도로서, 플립의 개폐 각도에 따라 변화되는 캠 힌지와 푸시 로드의 상대 운동을 나타내고 있다. 플립이 열리는 과정은 도 4에서 도 9의 순서로 진행되고, 플립이 닫히는 과정은 도 9에서 도 4의 순서로 진행한다. 물론, 상기 플립의 개폐 과정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인위적인 힘이 가해져야 한다.
도 4는 프런트 커버(10)에 플립(20)이 닫혀 있는 상태이다. 이때, 푸시 로드(44)의 단부는 캠 힌지(30)의 걸림홈(38)에 삽입된 채 스프링(46)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있으므로, 상기 플립(20)은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상기 플립(20)을 열고자 힘을 가하지 않는 한 그대로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도 5는 플립(20)이 프런트 커버(10)와 50도 정도의 예각을 이룬 채 열려 있는 상태이다. 이때, 푸시 로드(44)의 단부는 캠 힌지(30)의 걸림홈(38)로부터 빠져 나와 걸림홈(38)과 돌출부(34) 사이의 캠 힌지(30) 외주면 중앙에 위치한다.
도 6은 플립(20)이 프런트 커버(10)와 70도 정도의 예각을 이룬 채 열려 있는 상태이다. 이때, 푸시 로드(44)의 단부는 캠 힌지(30)의 돌출부(34) 상측면에 위치한다.
도 7은 플립(20)이 프런트 커버(10)와 직각을 이룬 상태이다. 이때, 푸시 로드(44)의 단부는 돌출부(34)의 상측면을 타고 올라 돌출부(34)의 정점에 위치한다.
도 8은 플립(20)이 프런트 커버(10)와 110도 정도의 둔각을 이룬 채 열려 있는 상태이다. 이때, 푸시 로드(44)의 단부는 돌출부(34)의 정점을 지나 돌출부(34)의 하측면에 위치한다.
도 9는 플립(20)이 프런트 커버(10)로부터 최대한 열린 상태이다. 이때, 푸시 로드(44)의 단부는 돌출부(34)의 하측면을 지나 돌출부(34)와 걸림돌기(36) 사이의 캠 힌지(30) 외주면 중앙에 위치한다. 상기 플립(20)은 캠 힌지(30)의 돌출부(34)가 푸시 로드(44)의 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사용자가 플립(20)을 닫기 위해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그대로 열려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핸드폰의 힌지 장치는 푸시 로드와 스프링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을 모두 프런트 커버나 플립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생산 및 조립 과정을 단순화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플립형 핸드폰에 있어서,프런트 커버의 하단 양쪽에 형성한 슬롯 내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한 샤프트와;상기 슬롯의 상측에는 양측면에 가이드홀을 형성한 로드 하우징과;상기 로드 하우징 내에는 양측단이 상기 가이드홀에 슬라이드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슬롯에 돌출하도록 설치된 푸시 로드와;상기 로드 하우징 내에서 푸시 로드의 타단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과;플립 일측 양단에 돌출 형성한 플립 넥에는 각각 상기 프런트 커버의 샤프트가 삽입되는 샤프트홀을 구비하며 외주면이 상기 푸시 로드에 의해 가압되는 원형부와, 상기 원형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한 돌출부와, 상기 원형부 외주면의 상호 대향된 위치에는 상기 돌출부와 직각을 이루도록 걸림돌기와 걸림홈을 형성한 캠 힌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형 핸드폰의 힌지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11211U KR20010000974U (ko) | 1999-06-23 | 1999-06-23 | 플립형 핸드폰의 힌지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11211U KR20010000974U (ko) | 1999-06-23 | 1999-06-23 | 플립형 핸드폰의 힌지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00974U true KR20010000974U (ko) | 2001-01-15 |
Family
ID=54764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11211U KR20010000974U (ko) | 1999-06-23 | 1999-06-23 | 플립형 핸드폰의 힌지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0000974U (ko) |
-
1999
- 1999-06-23 KR KR2019990011211U patent/KR20010000974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141099Y1 (ko) | 휴대용 전화기의 버튼커버 개페장치 | |
CA2187050C (en) | Door mechanism for cellular transciever | |
US6330331B1 (en) | Portable telephone | |
US6158085A (en) | Closing device for original cover | |
KR19990026978U (ko) | 통신단말기용 커버의 개폐각도 조절장치 | |
US6119019A (en) | Flip cover assembly incorporating a cam member | |
JP3161698B2 (ja) | 容 器 | |
KR20010000974U (ko) | 플립형 핸드폰의 힌지 장치 | |
US20080098574A1 (en) | Cord Lock | |
KR100374969B1 (ko) | 휴대폰 힌지장치 | |
KR100476994B1 (ko) | 힌지장치 | |
KR100519527B1 (ko) | 용기용 캡 | |
KR20000021477U (ko) | 핸드폰의 플립 개폐 장치 | |
KR970006643Y1 (ko) | 콤팩트 케이스의 뚜껑개폐장치 | |
KR200206095Y1 (ko) | 화장품 용기의 힌지구조 | |
KR100242428B1 (ko) | 플립형 휴대폰 | |
KR200156533Y1 (ko) | 휴대폰의 플립힌지장치 | |
KR200153579Y1 (ko) | 리모콘 결합구조 | |
JP2598264Y2 (ja) | プリンタ装置 | |
KR200235589Y1 (ko) | 냉장고도어구조 | |
KR0134157Y1 (ko) | 브이씨알의 도어 개폐장치 | |
KR200181623Y1 (ko) | 플립형 휴대용 전화기 | |
KR200174155Y1 (ko) | 휴대폰의 플립 결합구조 | |
KR970005940Y1 (ko) | 냉장고도어의 자동 닫힘장치 | |
KR200264913Y1 (ko) | 계량기함 전면커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