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623Y1 - 플립형 휴대용 전화기 - Google Patents

플립형 휴대용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623Y1
KR200181623Y1 KR2019990027339U KR19990027339U KR200181623Y1 KR 200181623 Y1 KR200181623 Y1 KR 200181623Y1 KR 2019990027339 U KR2019990027339 U KR 2019990027339U KR 19990027339 U KR19990027339 U KR 19990027339U KR 200181623 Y1 KR200181623 Y1 KR 2001816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p
portable telephone
rotation
protrusion
type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3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73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6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6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6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립형 휴대용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 휴대용 전화기는 전화기 본체와, 상기 본체에 측방향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플립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플립에는 상기 본체에 클로즈될 때 클로즈 인식을 위한 플립 돌기와, 오픈될 때 최대각 유지를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측방향 회전시 이탈 방지 및 회전을 유연하게 하기 위한 스냅 돌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측방향 회전하는 플립을 구비한 휴대용 전화기는 플립 오픈 공간을 절약함은 물론 힌지의 수를 줄여 구조를 단순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플립형 휴대용 전화기{Flip type mobile station}
본 고안은 플립(flip)형 휴대용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측방향 회전 플립을 구비한 휴대용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화기는 플립이 없는 바(bar)형, 플립이 아래로 열리는 전면향 플립형, 플립이 위로 열리는 플립업형, 폴더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a와 도 1b는 상기 전면향 플립형 휴대용 전화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20)이 본체(10)의 정면 하단에 두개의 힌지(15a,15b)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플립(20)에는 오픈(open), 클로즈(close)를 인식하기 위한 플립 돌기(23)가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플립 손잡이(21)가 설치되어 있어 이 손잡이(21)를 잡고 전면으로 힘을 가하면 힌지(15a,15b)의 회전으로 상기 플립(20)이 열리게 된다. 그리고, 전화기 본체(10)의 프런트에는 마이크 홀(hole)(13)이 형성되어 플립을 열지 않고도 통화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플립형 휴대용 전화기는 전면으로 개폐되기 때문에 개폐할 때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며, 본체에 플립을 연결하기 위하여 두개의 힌지를 사용하므로 구성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플립 개폐의 공간을 줄이면서도 본체와 플립의 연결이 단순화 된 플립형 휴대용 전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는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의 정면도,
도 1b는 도 1a에서 플립이 오픈된 휴대용 전화기의 측면도,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플립형 휴대용 전화기의 정면도,
도 2b는 도 2a의 플립형 휴대용 전화기의 우측면도,
도 2c는 도 2a의 플립형 휴대용 전화기의 좌측면도,
도 3a는 도 2a의 플립형 휴대용 전화기의 사용 상태도,
도 3b는 도 2a에서 플립이 오픈된 휴대용 전화기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휴대용 전화기 본체 115...힌지
117...가이드 홈 120...플립
123...플립 돌기 125...스토퍼
127...스냅 돌기 129...마이크 홈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플립형 휴대용 전화기는 전화기 본체와, 상기 본체에 측방향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플립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플립에는 오픈될 때 최대각을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와 측방향 회전시 이탈 방지 및 회전을 유연하게 하기 위한 스냅 돌기 및 플립을 오픈 또는 클로즈할 때 편리하도록 손잡이 홈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측방향 회전하는 플립을 구비한 휴대용 전화기는 플립 오픈 공간을 절약함은 물론 힌지의 수를 줄여 구조를 단순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측방향 회전 플립을 구비한 플립형 휴대용 전화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플립형 휴대용 전화기는 전화기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에 측방향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플립(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플립(120)이 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오픈, 클로즈될 수 있도록 하단 가운데에 하나의 힌지(115)를 이용하여 본체(110)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플립(120)에는 상기 본체(110)가 클로즈될 때 클로즈가 끝나는 지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회전 방향에 따라 왼편 또는 오른편 측면에 플립 돌기(123)가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즉 플립(120)이 열리거나 닫히는 지점에서 이 플립 돌기(123)가 전화기 본체(110)에 접촉 또는 분리되어 플립(120)의 오픈 또는 클로즈를 인식하게 된다. 상기 플립 돌기(123)는 필요에 따라 생략하여, 양방향으로 회전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립(120)이 오픈될 때 최대각 유지를 위하여 스토퍼(stopper)(125)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플립(120)의 정면에는 플립 오픈과 클로즈를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손잡이 홈(12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플립(120)의 내면에는 측방향 회전시 이탈을 방지하고, 플립의 회전을 유연하게 하기 위한 스냅(snap) 돌기(127)가 구비될 수 있는데, 따라서 상기 본체 정면에는 상기 스냅 돌기의 회전을 가이드(guide) 하기 위한 가이드 홈(117)이 형성된다.
플립(120)이 닫힌 상태에서도 통화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마이크(mike) 홀(113)이 외부로 통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하여 플립(120)에 힌지(115)를 중심으로 형성된 반원 원주 모양의 마이크 홈(129)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 때 이 마이크 홈(129)의 위치를 본체(110)의 마이크 홀(113)과 일치하도록 배치하여 플립(120)이 닫혀 있거나 열려 있을 때 항상 마이크 홀(113)이 오픈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측방향 회전 플립을 구비한 휴대용 전화기에서 플립(120)을 열게 되면 플립 돌기(123)가 전화기 본체(110)의 측면에서 떨어지면서 플립 오픈을 인식하게 되며, 상기 플립(120)의 회전과 함께 상기 스냅 돌기(127)가 가이드 홈(117)을 따라 회전하게 되며, 동시에 마이크 홀(113)과 통하는 플립(120)의 마이크 홈(129)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또한, 플립(120)을 닫게 되면, 스냅 돌기(127)와 마이크 홈(129)이 함께 회전하며, 플립 돌기(123)가 전화기 측면에 붙으면서 플립 클로즈를 인식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플립형 휴대용 전화기는 전면향으로 오픈되는 플립 대신에 측방향으로 오픈되는 플립을 구비하여 플립 오픈시의 공간을 줄이고, 플립과 본체의 연결을 하나의 힌지로 단순화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전화기 본체와, 상기 본체에 측방향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플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형 휴대용 전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은 오픈될 때 최대각 유지를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형 휴대용 전화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은 측방향 회전시 이탈 방지 및 회전을 유연하게 하기 위한 스냅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형 휴대용 전화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에는 플립을 오픈 또는 클로즈할 때 편리하도록 손잡이 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형 휴대용 전화기.
KR2019990027339U 1999-12-07 1999-12-07 플립형 휴대용 전화기 KR2001816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339U KR200181623Y1 (ko) 1999-12-07 1999-12-07 플립형 휴대용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339U KR200181623Y1 (ko) 1999-12-07 1999-12-07 플립형 휴대용 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1623Y1 true KR200181623Y1 (ko) 2000-05-15

Family

ID=19600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339U KR200181623Y1 (ko) 1999-12-07 1999-12-07 플립형 휴대용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6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9847B1 (ko) 접는 전화기용 힌지장치
KR950014618B1 (ko) 절첩식 무선 전화기용 힌지 장치
KR20050020567A (ko) 소형정보단말용 슬라이드 힌지
KR20030081725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20050041646A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KR20050122551A (ko)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 커버 개폐장치
KR19990026978U (ko) 통신단말기용 커버의 개폐각도 조절장치
KR200211457Y1 (ko) 플립형 휴대전화기
KR200181623Y1 (ko) 플립형 휴대용 전화기
KR100681373B1 (ko) 휴대용단말기의 회동개폐장치
KR20010037142A (ko) 폴더형 휴대폰의 커버 개폐 장치
KR100268239B1 (ko) 플립 업 타입 또는 폴더 타입의 휴대용 전화단말기에서 플립이나 폴더를 열지않고 통화 가능한장치
KR100610373B1 (ko) 양 방향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198287Y1 (ko) 휴대 정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커버
KR200374468Y1 (ko) 휴대용단말기의 회동개폐장치
KR200221349Y1 (ko) 플립 업 타입 휴대폰의 플립 커버 멈춤 장치
KR100242428B1 (ko) 플립형 휴대폰
KR200184078Y1 (ko) 휴대폰의 힌지 장치
KR200317846Y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폴더 개폐 가이드 장치
KR100540240B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위블힌지장치
KR20060033298A (ko) 스윙 폴더형 휴대폰의 회전 힌지
KR20010037149A (ko) 솔레노이드를 이용하는 폴더형 휴대폰의 커버 열림 장치
KR100233170B1 (ko) 플립형 휴대폰의 플립커버 개폐장치
KR100608746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0320885Y1 (ko) 휴대폰의 플립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