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1477U - 핸드폰의 플립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핸드폰의 플립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1477U
KR20000021477U KR2019990009283U KR19990009283U KR20000021477U KR 20000021477 U KR20000021477 U KR 20000021477U KR 2019990009283 U KR2019990009283 U KR 2019990009283U KR 19990009283 U KR19990009283 U KR 19990009283U KR 20000021477 U KR20000021477 U KR 200000214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p
mobile phone
hinge
ope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92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종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900092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1477U/ko
Publication of KR200000214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477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립형 핸드폰에 있어서, 중앙이 절곡된 좁은 판 모양으로, 플립의 하단부와 핸드폰 하우징의 하단부에 각각 양단이 고정된 좌우측의 탄성 리브와; 상기 플립과 핸드폰 하우징의 내측 양쪽에 각각 삽입 설치되어 플립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힌지 핀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핸드폰의 플립 개폐 장치{OPEN AND CLOSE DEVICE OF FLIP FOR HAND PHONE}
본 고안은 핸드폰의 플립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의 힌지 모듈 대신 탄성 리브 및 힌지 핀을 이용하여 플립의 개폐를 가이드할 수 있는 핸드폰의 플립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플립형 핸드폰에 있어서 핸드폰 하우징과 플립간의 결합은 별도의 힌지 모듈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 모듈은 힌지 하우징, 힌지 샤프트, 힌지 캠, 힌지 스프링 및 하우징 캡 등 다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플립과 핸드폰 하우징의 단부 양쪽에 각각 1개씩 총 2개를 설치한다. 상기 힌지 모듈은 플립의 개폐 뿐만 아니라, 플립의 열림 각도를 제한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힌지 모듈을 사용하는 플립형 핸드폰은 힌지 모듈의 구성부품을 생산하기 위한 금형 제작에 많은 시간이 소비될 뿐만 아니라, 생산된 힌지 모듈이 에러없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안정화시키는데에도 상당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라이프 사이클이 짧은 핸드폰 개발에 있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와 같은 힌지 모듈의 경우, 플립을 자주 개폐하다보면 충격이나 자체 피로에 의해 힌지 하우징 및 내부 부품이 파손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복잡한 힌지 모듈없이도 플립의 개폐 가이드가 가능한 핸드폰의 플립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플립형 핸드폰에 있어서, 중앙이 절곡된 좁은 판 모양으로, 플립의 하단부와 핸드폰 하우징의 하단부에 각각 양단이 고정된 좌우측의 탄성 리브와; 상기 플립과 핸드폰 하우징의 내측 양쪽에 각각 삽입 설치되어 플립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힌지 핀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립 개폐 장치를 구비한 핸드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과 핸드폰 하우징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핸드폰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핸드폰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핸드폰 하우징 20 : 플립
30 : 탄성 리브 40 : 힌지 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립 개폐 장치를 구비한 핸드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과 핸드폰 하우징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핸드폰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핸드폰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플립 개폐 장치는 탄성 리브(30)와 힌지 핀(40)을 구비한다.
상기 탄성 리브(30)는 상부(32)와 하부(34)로 나뉘어져 중앙이 절곡된 판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32)는 양단이 수직선상에 놓인 평면 형태인데 반해, 상기 하부(34)는 안쪽으로 휘어진 곡면 형태이다. 따라서, 상기 하부(34)는 플립(20)을 열었을 때 모양이 변형됨으로써 내부에 복원력을 가지고 있게 되는데, 이러한 복원력은 플립(20)을 닫을 때 플립(20)의 회전력으로 전환된다.
응용예에 따라서는 상기 탄성 리브(30)의 형성으로 인해 핸드폰의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핸드폰 하우징(10) 및 플립(20)의 하단부에 각각 탄성 리브(30)가 안착될 수 있는 리브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플립(20)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 리브(30)가 리브 홈 내에 들어가 있게 되므로 핸드폰의 외관 손상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힌지 핀(40)은 핸드폰 하우징(10)과 플립(20)을 연결시킴과 동시에 플립(20)의 회전축으로서 작용한다. 상기 힌지핀(40)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핸드폰 하우징(10)의 하단 내측에는 양쪽에 각각 홈 형태의 힌지 하우징(12)을 형성하고, 상기 플립(20)의 상단 내측에는 양쪽에 각각 힌지 홀더(24)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한 상기 힌지 홀더(24)에 힌지 핀(40)을 장착한 다음, 상기 힌지 홀더(24)와 힌지 핀(40)을 핸드폰 하우징(10)에 형성한 힌지 하우징(12)에 각각 결합시킨다.
한편,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플립 개폐 장치를 구비한 핸드폰의 플립 개폐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핸드폰 사용자가 통화를 하기 위해 닫혀 있던 플립(20)을 열게 되면, 상기 플립(20)은 하단 내측의 힌지 핀(4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즉, 사용자가 플립(20)을 당기는 힘이, 플립(20)의 자중 및 탄성 리브(30)들의 상부(32)가 플립(20)을 닫힌 상태로 유지하려는 힘을 합친 것보다 더 클 경우 상기 플립(20)은 외측으로 열리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 리브(30)들은 플립(20)이 소정 각도 이상으로 열리지 않도록 플립(20)을 지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한 각도는 탄성 리브(30)의 상부(32) 및 하부(34) 길이와 재질 고유의 탄성력에 의해 결정된다. (참고로 통상적인 핸드폰의 경우, 플립의 열림 제한 각도를 140도 안팎에서 세팅시킨다.)
반면, 열려 있는 플립(20)을 닫기 위해 사용자가 플립(20)의 외측에 힘을 가하면, 상기 플립(20)은 사용자의 힘과 동시에 탄성 리브(30)의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일정 각도 회전후 더이상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의 플립 개폐 장치는 탄성 리브와 힌지 핀만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생산 및 조립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손상 위험이 적어 핸드폰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플립형 핸드폰에 있어서,
    중앙이 절곡된 좁은 판 모양으로, 플립의 하단부와 핸드폰 하우징의 하단부에 각각 양단이 고정된 좌우측의 탄성 리브와;
    상기 플립과 핸드폰 하우징의 내측 양쪽에 각각 삽입 설치되어 플립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힌지 핀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플립 개폐 장치.
KR2019990009283U 1999-05-28 1999-05-28 핸드폰의 플립 개폐 장치 KR200000214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283U KR20000021477U (ko) 1999-05-28 1999-05-28 핸드폰의 플립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283U KR20000021477U (ko) 1999-05-28 1999-05-28 핸드폰의 플립 개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477U true KR20000021477U (ko) 2000-12-26

Family

ID=54763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283U KR20000021477U (ko) 1999-05-28 1999-05-28 핸드폰의 플립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147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0356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US6963766B2 (en) Hinge module for portable radio terminal
KR20000021477U (ko) 핸드폰의 플립 개폐 장치
CN212572628U (zh) 翻盖装置
KR200267096Y1 (ko) 휴대폰용 힌지장치
KR20000004376U (ko) 플립형 휴대폰의 힌지장치
KR100233170B1 (ko) 플립형 휴대폰의 플립커버 개폐장치
KR200374143Y1 (ko) 힌지어셈블리
KR100247023B1 (ko) 플립형휴대용단말기의 힌지장치
KR19980014749U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플립커버 개폐장치
KR200214951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분리형 힌지암
KR100313143B1 (ko) 플립형 휴대폰의 힌지장치
KR20010000974U (ko) 플립형 핸드폰의 힌지 장치
KR200221349Y1 (ko) 플립 업 타입 휴대폰의 플립 커버 멈춤 장치
KR200308186Y1 (ko) 휴대용단말기의플립장치
KR200263862Y1 (ko) 보조 표시장치를 갖는 휴대폰
KR100242428B1 (ko) 플립형 휴대폰
KR10067806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 장치
KR200348925Y1 (ko) 플립업타입휴대폰의힌지장치
KR200156533Y1 (ko) 휴대폰의 플립힌지장치
KR200181623Y1 (ko) 플립형 휴대용 전화기
KR200317846Y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폴더 개폐 가이드 장치
KR100483720B1 (ko) 휴대폰 개폐장치
KR20020020528A (ko) 핸드폰의 커버 개폐장치
KR200258180Y1 (ko) 거울 내장형 폴더 핸드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