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180Y1 - 거울 내장형 폴더 핸드폰 - Google Patents

거울 내장형 폴더 핸드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180Y1
KR200258180Y1 KR2020010029578U KR20010029578U KR200258180Y1 KR 200258180 Y1 KR200258180 Y1 KR 200258180Y1 KR 2020010029578 U KR2020010029578 U KR 2020010029578U KR 20010029578 U KR20010029578 U KR 20010029578U KR 200258180 Y1 KR200258180 Y1 KR 2002581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inner groove
cover plate
plate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안태
Original Assignee
김안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안태 filed Critical 김안태
Priority to KR2020010029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1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1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180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폰의 내측으로 거울이 삽입되어 있는 폴더형 핸드폰에 관한 것으로서, 화면부가 구비되어 있는 상부판과 번호판부가 구비되어 있는 하부판으로 구성되어 힌지에 의해 상호 절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통상의 폴더형 핸드폰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의 상면에는 상부가 개방된 내측홈이 함몰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홈의 하단에는 거울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거울의 상측인 상기 내측홈의 상단에는 상기 거울을 보호할수 있도록 덮개판이 구비됨으로서, 상기 거울을 외부와 차단하여 보호하여 상기 거울에 긁힘이나 외부로의 손상을 방지하여 거울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Description

거울 내장형 폴더 핸드폰{A folder cellular phone with mirror}
본 고안은 핸드폰의 내측으로 거울이 삽입되어 있는 폴더형 핸드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더형 핸드폰의 상부판 내측에 거울이 장착되고 상기 거울의 상측으로 덮개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라 함은, 일상 생활에서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통화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를 말하며, 거울은 대부분의 여성들이 미용을 위해 필수적으로 휴대하고 다니는 것이다.
그러나, 핸드폰과 거울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의 다양한 휴대품을 휴대하고 다는데 있어서, 많은 번거러움이 있었다.
따라서, 핸드폰에 거울을 함께 부착함으로서, 두가지의 필수 휴대품을 일체화하여 보다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닐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에는, 핸드폰에 거울을 직접 부착하여 사용해 왔는데, 일반적으로 번호판부에 커버가 구비되어 있는 플립형 핸드폰의 경우에는 상기 플립의 내측에 거울을 부착하여 상기 플립으로 거울을 보호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플립을 개방하면 거울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지만, 플립을 개방하여 사용함으로서, 불필요한 전력을 소모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화면부가 구비되어 있는 상부판과 번호판부가 구비되어 있는 하부판으로 이루어지며 힌지에 의해 상호 절첩되는 폴더형 핸드폰의 경우에는 거울을 외측에 부착하여 사용해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거울을 폴더형 핸드폰의 외측에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서, 외측으로 직접 돌출되어 있는 거울이 긁히거나 찍힘으로 인해 쉽게 손상되어 상기 거울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 거울의 하측면에 접착되어 있는 접착물질은 장기간 사용시에 외부온도나 습도 등에 의해 접착력을 상실하여 거울이 핸드폰에서 이탈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거울이 외측으로 부착되어 있는 휴대폰을 사용함으로서, 부주의에 의해 거울이 상기 핸드폰에서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폴더형 핸드폰의 내측에 거울이 삽입될 수 있는 내측홈을 형성하고 그 내측홈에 거울을 삽입 장착하며 상기 거울의 상측으로 덮개판을 장착하여 상기 거울을 외부와 차단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거울을 상기 핸드폰 상부판의 내측에 삽입 고정하고 다시 덮개판에 의해 상측을 고정함으로서 상기 상부판의 내측에 밀착고정시키는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화면부가 구비되어 있는 상부판과 번호판부가 구비되어 있는 하부판으로 구성되어 힌지에 의해 상호 절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통상의 폴더형 핸드폰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의 상면에는 상부가개방된 내측홈이 함몰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홈의 하단에는 거울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거울의 상측인 상기 내측홈의 상단에는 상기 거울을 보호할수 있도록 덮개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측홈의 일측면에는 상기 덮개판이 돌출 개폐될 수 있도록 개방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판의 내부에는 상기 내측홈의 일측으로 상기 덮개판이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판이 권취되는 롤러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덮개판에는 상기 롤러에 회전되면서 개폐되기에 용이하도록 일정간격으로 상,하측 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인 거울 내장형 폴더 핸드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B-B선에 따른 요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판
11 : 내측홈
12 : 개방홀
13 : 롤러
2 : 하부판
3 : 거울
4 : 덮개판
41 : 손잡이
42 : 상,하측 홈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거울 내장형 폴더 핸드폰의 사시도로서, 핸드폰의 상부판(1) 상측으로 내측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홈(11)에는 거울(3;도 2참조)과 덮개판(4)이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거울(3;도 2참조)을 상기 핸드폰에 삽입 장착하고 손잡이(41)가 구비되어 있는 상기 덮개판(4)으로 상기 거울(3도 2참조)을 보호하여 휴대시에 상기 거울(3;도2 참조)이 외부로 표출되지 않게 함으로서 상기 거울(3;도2 참조)에 긁힘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로서, 상기 핸드폰에 삽입되어 있는 거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거울(3)의 상측으로 장착되어 있는 상기 덮개판(4)을 상기 개방홀(12)을 통하여 개방하면 상기 거울(3)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핸드폰에서 거울(3)의 사용이 불필요할 시에는 상기 덮개판(4)을 다시 상기 개방홀(12)의 내측으로 삽입하면 되는 것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로서, 상기 핸드폰에 거울(3)과 덮개판(4)이 삽입 장착되는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핸드폰의 상부판(1) 상단에는 상측으로 개방되며 하측으로 상기 거울(3)이 부착되는 내측홈(11;도 4참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홈(11;도 4참조)의 일측면으로는 상기 덮개판(4)이 돌출되어 개폐될 수 있도록 개방홀(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거울(3)은 개방홀(12)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판(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내측홈(11;도 4참조)의 하측에 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판(4)은 상기 거울(3)이 상기 개방홀(12)로 삽입되어 상기 내측홈(11;도 4참조)의 하측에 장착 고정된 후에 다시 상기 개방홀(12)로 삽입되어 장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핸드폰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상기 거울의 크기를 상기 덮개판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하고 상기 개방홀의 홀 크기도 상기 거울과 덮개판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홈은 상기 거울을 밀착고정시킬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바람직하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요부 단면도로서, 상기 상부판의 내측으로 구성되어 있는 내측홈과 개방홀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상부판(1)의 하측에는 상기 거울(3)이 장착될 수 있도록 내측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홈(11)에 장착된 거울(3)의 상단면과 상측에서 접해지는 개방홀(12)이 일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홀을 통과하여 상기 거울(3)의 상측으로 접해지는 덮개판(4)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덮개판(4)의 상측에는 상기 덮개판(4)을 일측으로 이동한 후 상기 거울(3)이 외측으로 표출될 수 있도록 상기 내측홈(11)의 상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핸드폰의 내측에 장착되어 있는 거울(3)의 상측에는 롤러(13;도 6참조)에 의해 회전 개폐되는 덮개판(4)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덮개판(4)은 일정 간격을 두고 상측과 하측으로 상,하부 홈(4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며,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5의 B-B선에 따른 요부단면도로서, 상기 덮개판(4)의 일측에는 축에 의해 회전되는 롤러(13)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롤러(13)에는 덮개판(4)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판(4)의 상측과 하측으로 상기 덮개판(4)이 상기 롤러(13)에 회전되면서 개폐되기에 용이 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상,하측홈(42)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폴더형 핸드폰의 내측에 거울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하고 그 홈의 내측으로 거울을 삽입 장착하며 상기 거울의 상측으로 덮개판을 장착하여 상기 거울을 외부와 차단하여 보호함으로서, 상기 거울에 긁힘이나 외부로의 손상을 방지하여 거울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거울을 상기 핸드폰의 상부판 내측에 삽입 고정하고 다시 덮개판에 의해 상측을 고정하여 상기 상부판의 내측에 거울이 밀착 고정됨으로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거울이 쉽게 파손되지 않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Claims (4)

  1. 화면부가 구비되어 있는 상부판(1)과 번호판부가 구비되어 있는 하부판(2)으로 구성되어 힌지에 의해 상호 절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통상의 폴더형 핸드폰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1)의 상면에는 상부가 개방된 내측홈(11)이 함몰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홈(11)의 하면에는 거울(3)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거울(3)의 상측인 상기 내측홈(11)의 상측에는 상기 거울(3)을 보호할수 있도록 개폐되는 덮개판(4)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내장형 폴더 핸드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홈(11)의 일측면에는 상기 덮개판(4)이 삽입되어 돌출 개방될 수 있도록 개방홀(1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내장형 폴더 핸드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1)의 내부에는 상기 내측홈(11)의 일측으로 상기 덮개판(4)이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판(4)이 권취되는 롤러(13)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내장형 폴더 핸드폰.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4)에는 상기 롤러(13)에 회전되면서 개폐되기에 용이하도록 일정간격으로 상,하측 홈(4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내장형 폴더 핸드폰.
KR2020010029578U 2001-09-25 2001-09-25 거울 내장형 폴더 핸드폰 KR2002581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578U KR200258180Y1 (ko) 2001-09-25 2001-09-25 거울 내장형 폴더 핸드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578U KR200258180Y1 (ko) 2001-09-25 2001-09-25 거울 내장형 폴더 핸드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180Y1 true KR200258180Y1 (ko) 2001-12-29

Family

ID=73109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578U KR200258180Y1 (ko) 2001-09-25 2001-09-25 거울 내장형 폴더 핸드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1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1964Y1 (ko) 덮개 일부가 슬라이딩 개폐되는 휴대폰 단말기용보호케이스
US7532915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ree modes of operation
KR200258180Y1 (ko) 거울 내장형 폴더 핸드폰
US20050020327A1 (en) Speaker-up type portable terminal
JP3570960B2 (ja) 折り畳み型携帯通信機
KR101793374B1 (ko)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용 케이스
KR200276837Y1 (ko) 폴더형 휴대전화기
KR200160679Y1 (ko) 휴대폰의 휴대커버장치
KR200259001Y1 (ko) 휴대폰의 포토 플립커버
KR20030021003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엘씨디 모듈 보호장치
KR200208916Y1 (ko) 폴더형 핸드폰 케이스
KR200172531Y1 (ko) 이중 플립형 화상통신 단말기
KR200301235Y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밧데리
KR200194788Y1 (ko) 거울이 부착된 휴대폰
KR200214718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데코레이션 캡
KR200292183Y1 (ko) 거울이 부설된 휴대폰
KR200187548Y1 (ko) 폴더의 댐핑장치
KR200362335Y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10426Y1 (ko) 휴대용 전화기 케이스
KR200183196Y1 (ko) 휴대용 전화기 어셈블리
KR200180371Y1 (ko) 휴대전화의 플립
KR200184078Y1 (ko) 휴대폰의 힌지 장치
KR10081036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커버 플레이트
KR200339118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더 개폐 감지 장치
KR200161507Y1 (ko) 거울이 부착된 핸드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