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096Y1 - 휴대폰용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096Y1
KR200267096Y1 KR2020010039614U KR20010039614U KR200267096Y1 KR 200267096 Y1 KR200267096 Y1 KR 200267096Y1 KR 2020010039614 U KR2020010039614 U KR 2020010039614U KR 20010039614 U KR20010039614 U KR 20010039614U KR 200267096 Y1 KR200267096 Y1 KR 2002670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hinge
fixed
cover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6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춘근
남평우
Original Assignee
(주) 프렉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프렉코 filed Critical (주) 프렉코
Priority to KR20200100396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0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0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096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본체 및 커버 힌지부의 상호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 휴대폰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고정캠의 돌기부 및 샤프트상에 삽입되어 상기 돌기부와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동되는 회전캠은 힌지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휴대폰 커버의 힌지부에 삽입·고정되며, 상기 고정캠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편은 상기 힌지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어 휴대폰 본체의 힌지부에 삽입·고정됨으로써 휴대폰의 커버를 일정 각도로 개폐 가능하게 하는 통상적인 휴대폰용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캠의 고정편이 상기 힌지하우징 내부로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휴대폰 본체 및 커버의 힌지부에 결합시 내부 스프링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휴대폰 본체의 힌지부에 탄력적으로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힌지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폰용 힌지장치 {HINGE APPARATUS FOR MOBILE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 본체 및 커버 힌지부의 상호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 휴대폰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힌지장치는 심플하면서도 고장이 적을 뿐 아니라 각도 조절이 용이하여 개폐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형태 및 모양을 달리하여 여러 분야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부분은 커버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힌지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힌지장치는 주로 편측 록힌지, 양측 록힌지 등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휴대폰용 힌지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캠(1)의 돌기부(2) 및 샤프트(4)상에 삽입되어 상기 돌기부(2)와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스프링(5)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동되는 회전캠(6)은 힌지하우징(7) 내부에 위치하여 휴대폰 커버(8)의 힌지부(8')에 삽입·고정되며, 상기 고정캠(1)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편(3)은 상기 힌지하우징(7) 외부로 노출되어 휴대폰 본체(9)의 힌지부(9')에 삽입·고정됨으로써 휴대폰의 커버(8)를 일정각도 개폐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힌지장치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먼저, 휴대폰 커버의 힌지부상에 힌지장치를 완전히 삽입한 후, 본체 및 커버의 힌지부를 일직선상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외적 수단을 사용하여 고정캠의 고정편이 휴대폰 본체의 힌지부에 밀착·삽입되도록 밀어넣은 다음, 결합된 힌지장치가 유동되지 않도록 휴대폰 커버 힌지부의 빈 공간부상에 지지편을 삽입하는 과정을 거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힌지장치는 결합과정 복잡하여 작업공정이 늘어나는 것은 물론이고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하나의 요인이 되었다.
또한, 힌지장치의 파손으로 인한 교체시에도 휴대폰 커버 및 본체의 일부를 제거한 다음 분리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로 인해, 제품의 단가가 상승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경제적인 면에서도 비효율적이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휴대폰용 힌지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휴대폰 커버 및 본체의 힌지부를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상호 결합시킬 수 있는 휴대폰용 힌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폰용 힌지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휴대폰용 힌지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힌지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힌지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힌지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의 (a),(b),(c),(d)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힌지장치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힌지하우징 20 : 고정캠
22 : 돌기부 24 : 고정편
30 : 샤프트 40 : 회전캠
50 : 스프링 60 : 힌지장치
70 : 휴대폰 커버 72.82 : 힌지부
80 : 휴대폰 본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고정캠의 돌기부 및 샤프트상에 삽입되어 상기 돌기부와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동되는 회전캠은 힌지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휴대폰 커버의 힌지부에 삽입·고정되며, 상기 고정캠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편은 상기 힌지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어 휴대폰 본체의 힌지부에 삽입·고정됨으로써 휴대폰의 커버를 일정 각도로 개폐 가능하게 하는 통상적인 휴대폰용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캠의 고정편이 상기 힌지하우징 내부로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휴대폰 본체 및 커버의 힌지부에 결합시 내부 스프링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휴대폰 본체의 힌지부에 탄력적으로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힌지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힌지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힌지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60)는 휴대폰 커버(70)의 힌지부(72)에 삽입·고정되는 힌지하우징(10); 일측의 돌기부(22)는 힌지하우징(10) 내부로 삽입되고, 타측의 고정편(24)은 힌지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되어 휴대폰 본체(80)의 힌지부(82)에 삽입·고정되는 고정캠(20); 상기고정캠(20)의 돌기부(22)상에 장방향으로 형성되어, 힌지하우징(10) 내부에 위치하는 샤프트(30); 상기 샤프트(30)상에 삽입·설치되어, 고정캠(20)의 돌기부(22)와 상호 맞물려 회동되는 회전캠(40); 상기 샤프트(30)의 단부에 결합·고정되는 슬리브(46); 상기 회전캠(40)과 슬리브(46)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스프링(50)으로 구성된다.
상기 휴대폰 커버(70)의 힌지부(72)상에는 내부로 삽입되는 힌지장치(60)를 지지할 수 있는 스토퍼(7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캠(20)의 고정편(24)은 힌지하우징(10) 내부로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휴대폰 커버(70) 및 본체(80)의 힌지부(72,82) 결합시 외력이 가해지면 내부 스프링(40)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유동됨과 동시에 고정편(24)이 힌지하우징(10)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고정편(24)이 휴대폰 본체(80)의 힌지부(82)와 완전히 일치되는 순간 원상태로 복귀되어 결합·고정된다.
도 6의 (a),(b),(c),(d)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힌지장치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에 의거하여 그 결합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휴대폰 커버(70)의 힌지부(72)상에 설치되어 있는 스토퍼(74)에 밀착되도록 힌지장치(60)를 삽입·고정시킨다.
그리고 휴대폰 커버(70)의 힌지부(72)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76)을휴대폰 본체(80)의 결합돌기(86)에 가결합 시킨 후, 상기 힌지부(72)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고정캠(20)의 고정편(24)에 일정 외력을 가해 고정편(24)이 힌지하우징(10)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휴대폰 본체(80)의 힌지부(82)상에 결합시키며, 그 과정에서 고정캠(20)의 고정편(24)이 휴대폰 본체(80)의 힌지부(82)와 일치됨과 동시에 수축된 스프링(40)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삽입·고정된다.
마찬가지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힌지장치의 교체시에도 휴대폰 커버의 힌지부상의 개방부를 통해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고정캠의 고정편이 힌지하우징 내부 탄력 삽입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휴대폰 본체 및 커버 힌지부의 결합이 쉽고 간단하며 조립공정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휴대폰 커버의 스토퍼 자체로 힌지장치를 지지할 수 있어, 기존의 추가적으로 설치되던 지지편이 필요없게 됨으로써 부품수가 줄어든다.
또한, 힌지장치의 분리작업도 간단하여 교체시 편리하다.

Claims (1)

  1. 고정캠의 돌기부 및 샤프트상에 삽입되어 상기 돌기부와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동되는 회전캠은 힌지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휴대폰 커버의 힌지부에 삽입·고정되며, 상기 고정캠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편은 상기 힌지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어 휴대폰 본체의 힌지부에 삽입·고정됨으로써 휴대폰의 커버를 일정 각도로 개폐 가능하게 하는 통상적인 휴대폰용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캠의 고정편이 상기 힌지하우징 내부로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휴대폰 본체 및 커버의 힌지부에 결합시 내부 스프링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휴대폰 본체의 힌지부에 탄력적으로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힌지장치.
KR2020010039614U 2001-12-21 2001-12-21 휴대폰용 힌지장치 KR2002670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614U KR200267096Y1 (ko) 2001-12-21 2001-12-21 휴대폰용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614U KR200267096Y1 (ko) 2001-12-21 2001-12-21 휴대폰용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096Y1 true KR200267096Y1 (ko) 2002-03-06

Family

ID=7311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614U KR200267096Y1 (ko) 2001-12-21 2001-12-21 휴대폰용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0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171B1 (ko) * 2002-11-25 2009-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힌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171B1 (ko) * 2002-11-25 2009-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힌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5796A (en) Hinge mechanism for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US5937062A (en) Hinge module for mounting a flip onto a portable telephone set
US20060112516A1 (en)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0490356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KR10065141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KR20090058614A (ko) 회전 힌지 모듈과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0211457Y1 (ko) 플립형 휴대전화기
US20060154701A1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200267096Y1 (ko) 휴대폰용 힌지장치
KR100442595B1 (ko) 자성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1009933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0428621Y1 (ko) 스윙 폰의 반자동스윙힌지장치
KR200392956Y1 (ko) 휴대폰의 바디 구동장치
KR200387277Y1 (ko) 휴대용단말기의 스윙장치
KR100678038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44759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17846Y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폴더 개폐 가이드 장치
KR20030096772A (ko)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KR10102980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리셉터클 접속부 개폐장치
KR200348124Y1 (ko) 힌지 장치
KR100605966B1 (ko) 휴대 단말기의 스윙 힌지 모듈의 체결 장치
KR200353384Y1 (ko) 휴대폰의 통합 힌지장치
KR20000021477U (ko) 핸드폰의 플립 개폐 장치
KR200355608Y1 (ko) 회전위치 록킹장치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310618Y1 (ko) 휴대폰의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