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913A - 휴대폰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913A
KR20010000913A KR1020000063420A KR20000063420A KR20010000913A KR 20010000913 A KR20010000913 A KR 20010000913A KR 1020000063420 A KR1020000063420 A KR 1020000063420A KR 20000063420 A KR20000063420 A KR 20000063420A KR 20010000913 A KR20010000913 A KR 20010000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ase
clip
phone cas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3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1317B1 (ko
Inventor
길광모
Original Assignee
길광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광모 filed Critical 길광모
Priority to KR1020000063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1317B1/ko
Publication of KR20010000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3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31Telephones, Earphon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본 발명은, 휴대폰을 수납하여 허리에 차고 다닐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케이스는 몰딩제작된 것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하고 신축성을 갖는 투명성고분자필름의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휴대폰케이스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고 신축성을 갖는 투명성고분자필름을 휴대폰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을 갖도록 몰딩 성형하여 재봉부위나 접합부위가 없어 오래 사용하더라도 벌어지거나 뜯어지지 않으며, 휴대폰의 외면과 밀착하여 휴대폰의 보턴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누를 수 있고 보턴 둘레의 틈 사이로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휴대폰을 항상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어 휴대폰의 사용수명을 늘릴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폰케이스{Handphone case}
본 발명은 휴대폰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성이 있고 투명 또는 반투명하며 일체형으로 몰딩성형된 휴대폰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소유하고 있는 휴대폰은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종류에 따라 휴대폰케이스에 넣어 휴대하는 것도 있다. 이와같은 휴대폰케이스에는 거의 모두 후면에 벨트걸이용클립이 구비되어 휴대폰을 허리에 차고 다닐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휴대폰케이스는 가죽이나 인조피혁 또는 합성수지류 등을 적절히 재단후 재봉하거나 고주파 용접하여 만들어진다. 가령 휴대폰 케이스의 뒤쪽면에는 벨트걸이용클립을 설치하기 위해 두꺼운 인조피혁으로 제작하고 다이얼이 위치한 휴대폰의 앞쪽에는 다이얼을 보며 누를 수 있도록 얇고 투명한 비닐커버를 대어 제작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폰케이스는 사용이 오래되거나 비정상적인 사용에 의해 재봉부위나 고주파접합부위가 뜯어지거나 분리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휴대폰케이스를 이루는 피혁이나 합성수지 등의 재봉부위가 뜯어질 수 있어 케이스의 수명이 길지 못하다는 것이다. 또한 케이스를 이루는 비닐이나 인조가죽 등을 소정형상으로 먼저 재단하고 그 후에 재봉이나 고주파접합을 하여야 하므로 생산공정이 복잡하고 생산성도 낮다. 그리고 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어 있는 비닐커버가 주글주글하고 비닐의 두께 때문에 보턴을 정확히 누르기가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할 것으로서, 투명 또는 반투명하고 신축성을 갖는 투명성고분자필름을 휴대폰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을 갖도록 몰딩 성형하여 재봉부위나 접합부위가 없어 오래 사용하더라도 벌어지거나 뜯어지지 않으며, 휴대폰의 외면과 밀착하여 휴대폰의 보턴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누를 수 있고 보턴 둘레의 틈 사이로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휴대폰을 항상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어 휴대폰의 사용수명을 늘릴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폰케이스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케이스를 도시한 절제 사시도.
도 2는 상기 휴대폰케이스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클립 및 클립걸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1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상기 도 1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상기 휴대폰케이스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클립 및 클립걸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상기 도 5의 Ⅶ-Ⅶ선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케이스 12:돌출부
13:주름부 14:클립걸이부
16,17:구멍 18:끈걸이부
20:걸이용구멍 22:입구
24:클립 26:가이드홈
28:착탈부 30:가이드부재
32:조임나사 36:걸림턱
38:케이스 40:후면
44:전면 46:걸이부재
48:고정클립 50:신축성밴드
52:결착부재 54:끼움구멍
56:끼움돌기 58:케이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폰을 수납하여 허리에 차고다닐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케이스는 몰딩제작된 것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하고 신축성을 갖는 투명성고분자필름의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폰케이스는 수납된 휴대폰의 전후면과 밀착하여 전면에는 돌출된 휴대폰의 보턴을 수용하는 보턴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후면에는 벨트걸이용 클립을 끼울 수 있는 클립걸이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좌우면 및 밑면에는 상기 전후면간의 간격조절을 위한 주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휴대폰케이스의 휴대폰 송화구 및 수화구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폰케이스에 휴대폰을 넣는 입구측 상단부에는 끈을 걸 수 있는 걸이용구멍을 갖는 끈걸이부가 일체로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휴대폰케이스에 휴대폰을 넣는 입구에는 입구를 통해 휴대폰이 나오지 못하도록 입구를 막는 신축성밴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벨트걸이용 클립은 벨트에 걸려 끼워지는 걸이부재와 상기 걸이부재의 외측면에 고정되며 일정두께를 갖는 가이드부재로 구성된 클립으로서, 상기 클립걸이부에는 클립걸이부에 대해 벨트걸이용 클립이 승강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를 수용하여 승강가능하도록 하는 걸림턱을 갖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명성고분자필름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수지, 폴리에틸렌수지, 폴리프로필렌수지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수지 중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휴대폰케이스는 신축성을 갖는 얇은 고분자재료를 휴대폰의 형상대로 성형하여 이음부가 없으며 신축성을 내재하고 있고, 투명 또는 반투명하여 내부에 수용한 휴대폰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휴대폰케이스는 공지의 여러 가지 사출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블로우 몰딩(blow molding)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케이스를 절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케이스는 휴대폰을 삽입하여 수용하는 케이스로서 전후좌우면 및 밑면이 얇은 두께를 갖는 투명한 고분자필름으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전후좌우면 및 밑면은 일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에 다양한 칼라를 부여하여 미감을 일으키게 할 수 도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전면(44)은 휴대폰 전면의 형태와 같은 형상을 취하고 있다. 즉, 케이스(10)의 전면(44)에 휴대폰의 각종 보턴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속이 빈 돌출부(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공지의 사실과 같이 휴대폰에서의 보턴은 휴대폰전면에 비하여 돌출되어 있는데, 상기 돌출부(12)는 보턴을 내부에 수용하여 마치 컴퓨터의 키보드에서의 먼지막이용 비닐커버와 같은 기능을 갖는다. 상기 돌출부(12)와 더불어 송화구나 수화구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구멍(16,17)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케이스(10)의 전면형상은 금형을 휴대폰의 형상과 같이 제작하여 공지의 몰딩작업을 수행함으로서 간단히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10)를 이루는 재질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수지나 폴리에틸렌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수지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수지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수지는 몰딩작업을 통하여 얇게 성형할 수 있으므로, 얇게 성형된 돌출부(12)는 외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눌려 보턴을 용이하고 정확히게 누를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몰딩작업에 있어서 케이스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달리하여 특히 케이스의 모서리부는 다른 곳 보다 두껍게 성형하여 수납된 휴대폰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함이 좋다. 즉, 실수로 휴대폰을 떨어뜨렸을 때 땅바닥에 제일먼저 부딪힐 수 있는 모서리부를 두껍게 성형함으로써, 휴대폰을 떨어뜨리더라도 상기 두껍게 성형된 부위가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10)는 투명한 상태이므로 돌출부(12)내의 보턴에 인쇄되어 있는 문자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또한 휴대폰의 액정표시패널의 글자내용도 불편없이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0)의 양측부 및 밑면에는 주름부(1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주름부(13)도 케이스(10)의 성형시 만들어진다. 상기 주름부(13)는 마치 사인곡선(sine curve)과 같은 단면형태를 취하며 케이스(10)의 전면과 후면의 간격이 벌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10)의 입구(22)측 상단부에는 끈걸이부(18)가 마련된다. 상기 끈걸이부(18)는 목걸이줄이나 기타 다목적 줄을 맬 수 있도록 마련한 부위로서 줄을 거는 걸이용구멍(2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케이스(10)는 상기 걸이용구멍(20)에 줄을 매달아 휴대폰을 목걸이식으로 휴대할 수 도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케이스(10)의 상단부측에 마련되어 있는 입구(22)는 케이스(10)에 휴대폰을 넣거나 빼기 위한 입출구이다. 상기 입구(22)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오므라진 상태를 취하도록 한다. 이와같은 입구(22)의 오므라진 형상은 케이스(10)의 성형 제작시 의도적으로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케이스(10)를 이루는 재질은 신축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입구(22)는 외력에 의해 벌어질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10)내부에 휴대폰을 넣기 위해서 입구(22)를 잡아늘리면 입구(22)가 늘어나 휴대폰을 케이스(10)내부에 넣을 수 있고, 반대로 케이스(10)로부터 휴대폰을 꺼내기 위해서는 상기 입구(22)를 손으로 벌린 후 꺼낼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상기 입구(22)가 휴대폰을 수용한 상태로 오므라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사용자가 벌려 꺼내지 않는 한 휴대폰이 케이스(10)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는다.
도 2는 상기 휴대폰케이스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클립 및 클립걸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상기 핸드폰케이스(10)는 끈걸이부(18)를 통해 걸이식으로 사용할 수 도 있고 클립(24)을 설치하여 벨트에 걸어 휴대할 수 도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케이스의 후면(40)에는 클립걸이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립걸이부(14)는 클립(24)이 끼워지는 부위이다. 상기 클립걸이부(14)는 케이스(10)의 성형시 동시에 성형되는 것으로 케이스(10)와 일체를 이룬다. 상기 케이스(10)를 이루는 후면(40)의 두께가 얇으므로 상기 후면의 두께보다 두꺼우며 가이드홈(26)을 형성할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를 갖는 클립걸이부(14)를 마련하는 것이다.
상기 클립(24)은 케이스(10)와 연결된 상태로 벨트 등에 끼워져 휴대폰을 허리에 끼고 다닐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부재이다. 상기 클립걸이부(14)의 외측면 중앙에는 가이드홈(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홈(26)은 가이드부재(30)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하는 홈으로서, 가이드홈(26)의 테두리부를 따라서 걸림턱(36)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36)은 가이드홈(26)의 테두리부로부터 가이드홈(26)내측으로 일정폭만큼 내밀어 형성된 부위로서 가이드부재(30)가 가이드홈(26)내에서 승강하는 동안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턱이다.
상기 클립(24)은 벨트 등에 끼워지며 마치 집게와 같이 기능하는 걸이부재(46)와, 상기 걸이부재(46)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30)는 일정두께를 갖는 원판상의 부재로서 조임나사(32)와 결합하여 걸이부재(46)에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부재(30)는 후술할 가이드홈(26)내에 승강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상기 가이드홈(26)의 하단부는 착탈부(28)이다. 상기 착탈부(28)는 가이드홈(26)으로부터 가이드부재(30)를 빼거나 또는 가이드홈(26)에 가이드부재(30)를 끼우기 위한 부위이다. 상기 착탈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착탈부(28)에는 걸림턱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가이드부재(3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결국 상기 가이드부재(30)는 착탈부(28)에 먼저 삽입된 후 가이드홈(26)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걸림턱(36)의 하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장착되고, 가이드홈(26)을 따라 착탈부(28)측으로 이동하여 가이드홈(26)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클립(24)을 벨트에 끼운 상태로 클립(24)에 대해 케이스(10)를 상방향으로 올리면 클립(24)으로부터 케이스(10)를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되었던 가이드부재(30)를 케이스(10)의 착탈부(28)에 밀착시킨 후 클립(24)에 대해 케이스(10)를 하부로 내리면 다시 클립(24)과 케이스(1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상기 돌출부(12) 및 클립걸이부(14)의 단면형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케이스(10) 전면(44)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2)는 케이스 전면에 대해서 앞쪽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2)는 속이 비어있으므로 휴대폰을 감싼상태로 휴대폰 보턴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같이 케이스(10)는 신축성이 있으므로 상기 돌출부(12)를 누르면 해당 돌출부(12)와 보턴이 용이하게 눌려 원하는 보턴을 정확히 누를 수 있다.
또한 후면(40)에 마련되어 있는 클립걸이부(14)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26)의 테두리부에는 걸림턱(36)이 마련되어있다. 상기 걸림턱(36)간의 간격(도 4의 w)는 가이드부재(30)의 직경보다 작음은 상기한 바와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38)의 후면(40)은 전면(44)보다 두께가 두껍게 성형된다. 이와같은 두께의 조절은 공지의 몰딩작업에 의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다른 부분을 두껍게 성형할 수 도 있는 것이다.
도 6은 도 5의 휴대폰케이스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클립 및 클립걸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38)는 후면(40)이 평평한 형태를 취하며 이와같이 평평한 후면(40)에 가이드홈(26)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26)은 케이스(38) 후면(40)에 직접 성형한 홈으로서 하측부에는 착탈부(28)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홈(26)에 끼워지는 클립(24)의 구성 및 동작은 상기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7은 상기 도 5의 Ⅶ-Ⅶ선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38)의 전면(44)의 두께에 비하여 후면(4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성형되어 있고 후면(40)에 가이드홈(26)이 직접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홈(26)의 걸림턱(36)은 클립(24)의 가이드부재(30)를 내부에 수용하며 가이드홈(26)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케이스(58)에는 전술한 끈걸이부(도 1, 도 5의 18)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케이스 입구(22)를 막는 신축성밴드(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신축성밴드(50)는 케이스 입구(22)를 통해 휴대폰이 나오지 못하도록 입구를 막는 기능을 한다.
상기 신축성밴드(50)는 고정클립(48)에 의해 케이스(58)의 전면(44) 선단에 고정되며 신축성을 갖는다. 상기 고정클립(48)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클립으로서 신축성밴드(50)와 결합한 상태로 케이스(58)의 전면선단을 물어 신축성밴드(50)가 케이스(58)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신축성밴드(50)의 단부에는 결착부재(5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착부재는 강성을 갖는 부재로서 금속이나 투명플라스틱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투명프라스틱으로 형성함이 좋다. 상기 결착부재(52)는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며 중앙부에는 끼움구멍(54)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58)의 후면(40)에는 상기 끼움구멍(54)에 끼워지는 끼움돌기(56)가 구비된다. 상기 끼움돌기(56)는 끼움구멍(54)내에 끼워져 신축성밴드(50)가 입구(22)를 막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케이스(58)내부에 휴대폰을 넣은 상태로 결착부재(52)를 당겨 끼움구멍(54)내에 끼움돌기(56)를 결착하면 신축성밴드(50)가 인장된 상태로 입구(22)를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끼움돌기(56)는 케이스(58)의 성형제작시 동시에 성형하여 케이스(58)와 일체로 할 수 도 있고, 별도의 돌기형 금속편을 케이스에 고정하여 설치할 수 도 있다. 아울러 상기 신축성밴드(50)의 길이는 최소한 신축성부재(50)가 당겨져 인장된 상태로 끼움구멍(54)내에 끼움돌기(56)가 끼워질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휴대폰케이스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고 신축성을 갖는 투명성고분자필름을 휴대폰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을 갖도록 몰딩 성형하여 재봉부위나 접합부위가 없어 오래 사용하더라도 벌어지거나 뜯어지지 않으며, 휴대폰의 외면과 밀착하여 휴대폰의 보턴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누를 수 있고 보턴 둘레의 틈 사이로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휴대폰을 항상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어 휴대폰의 사용수명을 늘릴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휴대폰을 수납하여 허리에 차고다닐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케이스는 몰딩제작된 것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하고 신축성을 갖는 투명성고분자필름의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케이스는 수납된 휴대폰의 전후면과 밀착하여 전면에는 돌출된 휴대폰의 보턴을 수용하는 보턴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후면에는 벨트걸이용 클립을 끼울 수 있는 클립걸이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좌우면 및 밑면에는 상기 전후면간의 간격조절을 위한 주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휴대폰케이스의 휴대폰 송화구 및 수화구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케이스에 휴대폰을 넣는 입구측 상단부에는 끈을 걸 수 있는 걸이용구멍을 갖는 끈걸이부가 일체로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케이스.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케이스에 휴대폰을 넣는 입구에는 입구를 통해 휴대폰이 나오지 못하도록 입구를 막는 신축성밴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케이스.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걸이용 클립은 벨트에 걸려 끼워지는 걸이부재와, 상기 걸이부재의 외측면에 고정되며 일정두께를 갖는 가이드부재로 구성된 클립으로서,
    상기 클립걸이부에는 클립걸이부에 대해 벨트걸이용 클립이 승강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를 수용하여 승강가능하도록 하는 걸림턱을 갖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케이스.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성고분자필름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수지, 폴리에틸렌수지, 폴리프로필렌수지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수지 중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케이스.
KR1020000063420A 2000-10-27 2000-10-27 휴대폰케이스 KR100361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3420A KR100361317B1 (ko) 2000-10-27 2000-10-27 휴대폰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3420A KR100361317B1 (ko) 2000-10-27 2000-10-27 휴대폰케이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054U Division KR200219227Y1 (ko) 2000-10-27 2000-10-27 휴대폰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913A true KR20010000913A (ko) 2001-01-05
KR100361317B1 KR100361317B1 (ko) 2002-11-23

Family

ID=19695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420A KR100361317B1 (ko) 2000-10-27 2000-10-27 휴대폰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13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293B1 (ko) * 2002-07-26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수납케이스
KR100763644B1 (ko) * 2005-09-13 2007-10-05 임경수 고추 세척기
KR102447623B1 (ko) * 2021-03-18 2022-09-2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흉부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841B1 (ko) * 2001-08-20 2004-10-08 주식회사 뉴빛 폴리염화비닐 용액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 제조 방법
GB2409366A (en) * 2003-12-16 2005-06-22 Nokia Corp sealed casing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KR200473586Y1 (ko) * 2012-04-20 2014-07-10 (주)아모레퍼시픽 탄성체로 이루어진 운동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293B1 (ko) * 2002-07-26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수납케이스
KR100763644B1 (ko) * 2005-09-13 2007-10-05 임경수 고추 세척기
KR102447623B1 (ko) * 2021-03-18 2022-09-2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흉부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1317B1 (ko) 200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080B1 (ko) 폴더식 휴대 전자기기
US5383091A (en) Grip and protective casing for cellular telephone
KR100942340B1 (ko) 휴대단말기 보호커버
US6298495B1 (en) Hat including glasses retaining mechanism
EP1774867B1 (en) Portable waterproof equipment
US6721545B2 (en) Mobil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and covering for similar devices with ornament attachment mechanism
TW200522841A (en) Interlocking cover for mobile terminals
KR200460260Y1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KR20110007366U (ko) 덮개 개방 없이 통화가 용이한 휴대용 통신기기보호케이스
KR100361317B1 (ko) 휴대폰케이스
KR200219227Y1 (ko) 휴대폰케이스
KR20100000868A (ko) 휴대폰케이스
WO2005086364A1 (en) Protection cover of slide type cellular phone
KR200387247Y1 (ko) 디지털카메라 스킨
JP2000201210A (ja) 携帯電話器用の容器及び保持具
KR200440561Y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60103741A (ko) 디지털카메라 스킨
KR200496815Y1 (ko) 휴대가 용이한 마스크
KR200374264Y1 (ko) 핸드폰 보호 필름 구조
EP1156639A1 (en) Keyboard cover for mobile communication handsets
JP2000295329A (ja) 携帯電話機
KR200265812Y1 (ko) 우비
JP3072881U (ja) 携帯電話機等の収納ケース
KR200257795Y1 (ko) 핸드폰용플립의캐릭터장착구조
KR200168273Y1 (ko) 작업용안경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