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623B1 - 스마트폰 흉부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흉부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623B1
KR102447623B1 KR1020210035422A KR20210035422A KR102447623B1 KR 102447623 B1 KR102447623 B1 KR 102447623B1 KR 1020210035422 A KR1020210035422 A KR 1020210035422A KR 20210035422 A KR20210035422 A KR 20210035422A KR 102447623 B1 KR102447623 B1 KR 102447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chest
front plate
rear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환
김준석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35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6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스마트폰 흉부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흉부 거치대는, 스마트폰을 수납하여 흉부에 밀착시키기 위한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흉부에 밀착되는 후면판, 상기 후면판에 대향하는 전면판, 상기 후면판과 상기 전면판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 공간,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 사이에서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후면판을 상기 흉부에 밀착시키기 위한 벨트를 포함하되, 상기 수납 공간에 상기 스마트폰이 수납되면,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스마트폰의 부피에 따라 이완되고,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스마트폰이 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 흉부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SMARTPHONE CHEST CRADLE AND BIO-SIGNAL MEASUREMEN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폰 흉부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널리 사용되는 스마트폰을 장착하여 폐음 또는 심음을 쉽게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폰 흉부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심혈관 질환은 전세계 사망자의 31.5%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사망 원인 중 하나이다. 2015년 미국을 기준으로 9,210만 명의 성인이 심혈관 질환을 앓고 있으며, 2030년까지 성인 인구의 43.9%가 심혈관 질환을 앓게 되리라 예상되고 있다. 1816년 르네 라에네크(Rene Laennec)가 발명한 청진기는 심장병 환자의 신체 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해오고 있다. 심장 판막의 개폐 및 판막을 통한 혈류는 특유의 진동을 발생하고, 청진기를 통해 이를 파악하는 것이다. 청진기를 이용해 심장 청진을 하면 심장 판막이나 심장 내 결함에 따른 혈역학적 평가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오랜 기간 심장학에서 검사 및 진단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초음파 장치와 같은 하이테크 장치들이 청진기의 역할을 일부 대체하고 있지만, 사용 및 보관의 편리성과 함께 정확한 진단을 이유로 청진기의 유용성은 여전히 유효하다. 이처럼 청진기는 매우 유용한 도구이기는 하지만,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이 자가진단을 위해 사용하기에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한, 심부전, 심근경색, 협심증 등 심장 질환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동안 심전도, 심음 등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고가의 장비 없이는 수시간 또는 몇 일동안 신체의 심음 등을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현대인에 있어 스마트 폰은 없어서는 안될 정도로 널리 보급되어 있다. 2015년을 기준으로 미국인의 64%, 한국인의 88%가 스마트 폰을 소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더욱 많은 인구가 스마트 폰을 필수재와 같이 사용하고 있다.
이에, KR 2019-0058858 A 등 선행 발명들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심음을 측정하고자 하였으나,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들고 측정해야 하므로, 일정 기간동안 심음을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KR 2019-0058858 A (발명의 명칭: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심혈관 질환의 진단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심음 애플리케이션)
본 발명의 목적은 일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심음 등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거치대 및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흉부에 밀착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 흉부 거치대를 통하여 사용자가 직접 스마트폰의 수음부를 흉부에 가져다댈 필요가 없는 거치대 및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거치대와 신체가 밀착되는 면에 추가 코팅층을 제안함으로써, 민감성 피부에 위협이 되는 정전기를 방지하고, 피지 등 신체에 밀착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부식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거치대 및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수납하여 흉부에 밀착시키기 위한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흉부에 밀착되는 후면판, 상기 후면판에 대향하는 전면판, 상기 후면판과 상기 전면판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 공간,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 사이에서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후면판을 상기 흉부에 밀착시키기 위한 벨트를 포함하되, 상기 수납 공간에 상기 스마트폰이 수납되면,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스마트폰의 부피에 따라 이완되고,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스마트폰이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부의 외면의 일 부분은 상기 벨트와 연결되고, 상기 벨트는 상기 전면부에 당기는 힘(force)을 전달하고, 상기 후면판은 상기 당기는 힘(force)에 의하여 상기 흉부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전면판의 제1 변(first side)에 연결되고 상기 전면판의 제1 변에 대응되는 상기 후면판의 제1 변에 연결되며, 상기 전면판의 제2 변(second side)에 연결되고 상기 전면판의 제2 변에 대응되는 상기 후면판의 제2 변에 연결되고, 상기 전면판의 제3 변(third side)에 연결되고 상기 전면판의 제3 변에 대응되는 상기 후면판의 제3 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판은 길이 방향의 제1 길이 및 너비 방향의 제2 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판은 길이 방향의 제3 길이 및 너비 방향의 제4 길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제3 길이보다 작고, 상기 제2 길이는 상기 제4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 공간은 일 방향을 향하여 개방되고, 나머지 방향을 향하여 폐쇄되며,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수납 공간의 개방된 부분으로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수납하여 흉부에 밀착시키기 위한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흉부에 밀착되는 후면판, 상기 후면판에 대향하는 전면판, 상기 후면판과 상기 전면판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 공간,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 사이에서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주름 부재 및 상기 후면판을 상기 흉부에 밀착시키기 위한 벨트를 포함하되, 상기 수납 공간에 상기 스마트폰이 수납되면, 상기 주름 부재가 상기 스마트폰의 부피에 따라 이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수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 공간에 삽입되는 스마트폰 및 상기 본체를 흉부에 밀착시키기 위한 벨트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수음부가 상기 흉부를 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본체는 상기 흉부와 밀착되는 면에 코팅되는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일정 기간동안 심음 등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스마트폰을 흉부에 밀착시키지 않더라도 오랜 기간 동안 심음 등을 편안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당히 긴 기간동안 흉무에 밀착하여 사용하더라도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고, 거치대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흉부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흉부 거치대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면판 및 후면판에 코팅되는 코팅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명세서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상술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흉부 거치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흉부 거치대의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흉부 거치대의 본체(10)는 스마트폰 흉부 거치대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흉부 거치대의 본체(10)는 흉부에 밀착되는 후면판(11), 후면판(11)에 대향하는 전면판(12), 후면판(11)과 전면판(12)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 공간(14) 및 전면판(12)과 후면판(11) 사이에서 수납 공간(14)을 형성하는 탄성 부재(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 공간(14)에 스마트폰이 수납되면, 탄성 부재(13)가 스마트폰의 부피에 따라 이완되고, 탄성 부재(13)에 의하여 생성되는 탄성력에 의하여 스마트폰이 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전면판(12)은 적어도 4개의 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후면판(11) 역시 적어도 4개의 변을 가질 수 있으며, 전면판(12)의 변들과 후면판(11)의 변들은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면판(12)은 제1 변(First side), 제2 변(Second side), 제3 변(third side) 및 제4 변(fourth si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면판(12)의 제1 변과 전면판(12)의 제3 변은 대향하고, 전면판(12)의 제2 변과 전면판(12)의 제4 변은 대향할 수 있다. 또한, 전면판(12)의 제1 변과 전면판(12)의 제3 변은 평행하고, 전면판(12)의 제2 변과 전면판(12)의 제4 변은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전면판(12)의 제1 변과 전면판(12)의 제3 변은 수직으로 연결되고, 전면판(12)의 제1 변과 전면판(12)의 제4 변은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면판(12)은 외부를 향한 외면에 벨트와의 연결되는 연결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면판(11)은 제1 변(First side), 제2 변(Second side), 제3 변(third side) 및 제4 변(fourth si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후면판(11)의 제1 변과 후면판(11)의 제3 변은 대향하고, 후면판(11)의 제2 변과 후면판(11)의 제4 변은 대향할 수 있다. 또한, 후면판(11)의 제1 변과 후면판(11)의 제3 변은 평행하고, 후면판(11)의 제2 변과 후면판(11)의 제4 변은 평행할 수 있다. 또한, 후면판(11)의 제1 변과 후면판(11)의 제3 변은 수직으로 연결되고, 후면판(11)의 제1 변과 후면판(11)의 제4 변은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흉부 거치대의 본체(10)는 흉부에 밀착되는 후면판(11), 후면판(11)에 대향하는 전면판(12), 후면판(11)과 전면판(12)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 공간(14) 및 전면판(12)과 후면판(11) 사이에서 수납 공간(14)을 형성하는 주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 부재(131)는 탄성 부재(도 1의 13)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 부재(131)는 부피가 큰 스마트폰을 수납하는 경우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부재(13)는 전면판(12)과 후면판(1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부재(13)로 인하여, 전면판(12)과 후면판(11)은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고, 이격된 공간에 스마트폰이 수납될 수 있다.
전면판(12), 탄성 부재(13) 및 후면판(11)으로 인하여 형성된 수납 공간(14)은 일 방향을 향햐여 개방될 수 있다. 스마트폰은 개방된 방향으로 삽입되어 수납 공간(14)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수납 공간(14)은 개방된 일 방향 외 나머지 방향을 향하여 폐쇄될 수 있다. 스마트폰은 패쇄된 방향으로 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부재(13)는 수납 공간(14)의 일 측면을 형성하는 제1 면, 상기 일 측면에 대향하는 타 측면을 형성하는 제2 면 및 상기 수납 공간(14)의 하면을 형성하는 제3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수납 공간(14)은 제1 면 내지 제3 면에 의하여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부재(13)는 전면판(12)의 제1 변(first side)에 연결되고 전면판(12)의 제1 변에 대응되는 후면판(11)의 제1 변에 연결되며, 전면판(12)의 제2 변(second side)에 연결되고 전면판(12)의 제2 변에 대응되는 후면판(11)의 제2 변에 연결되고, 전면판(12)의 제3 변(third side)에 연결되고 전면판(12)의 제3 변에 대응되는 후면판(11)의 제3 변에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부재(13)는 전면판(12) 및 후면판(11)의 각 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면 내지 제3 면을 형성하고, 이를 통하여 수납 공간(14)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전면판(12)은 길이 방향의 제1 길이 및 너비 방향의 제2 길이를 포함하고, 후면판(11)은 길이 방향의 제3 길이 및 너비 방향의 제4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길이는 제3 길이보다 작고, 제2 길이는 제4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길이와 제3 길이의 차이를 통하여, 스마트폰은 수납 공간(14)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흉부 거치대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흉부 거치대는 후면판(도 1, 2의 11)을 흉부에 밀착시키고 고정시키기 위한 벨트(17a, 17b, 17c, 18a, 18b, 18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17a, 17b, 17c, 18a, 18b, 18c)는 전면판(도 1, 2의 12)의 외면에 위치한 연결부(도 1, 2의 121)에 연결될 수 있다. 벨트(17a, 17b, 17c, 18a, 18b, 18c)는 전면부에 당기는 힘(force)을 전달하고, 후면판(도 1, 2의 11)은 상기 당기는 힘(force)에 의하여 흉부에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17a, 17b, 17c, 18a, 18b, 18c)는 전면판(도 1, 2의 12)의 연결부(도 1, 2의 121)에 연결되기 위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17a, 17b, 17c, 18a, 18b, 18c)는 전면판(도 1, 2의 12)의 연결부(도 1, 2의 121)에 직접 연결되는 제1 벨트(18a, 18b, 18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벨트는 제1 벨트(18a, 18b, 18c)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지지되어 상기 당기는 힘을 형성하기 위한 제2 벨트(17a, 17b, 17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벨트(18a, 18b, 18c)와 제2 벨트(17a, 17b, 17c)는 버클부(16)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에 따르면, 벨트는 수 버클부(16a) 및 길이조절부(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따르면, 벨트는 암 버클부(16b) 및 이음부(18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 버클부(16a)는 암 버클부(16b)와 결합할 수 있으며, 길이조절부(19)는 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음부(18d)는 암 버클부(16b)와 끈 부분을 연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면판 및 후면판에 코팅되는 코팅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코팅층(20)은 후면판(11)의 일 면에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코팅층(20)은 흉부에 밀착되는 후면판(11)의 일 면에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면판(11)은 그 표면에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계 화합물; 유기 용매, 무기 입자 및 분산제가 포함되는 코팅조성물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1032065474-pat00001
여기서,
n 및 m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100의 정수이며,
L1은 바이페닐렌기이다.
상기 코팅조성물로 후면판(11)이 코팅된 경우 정전기가 차단되고, 높은 부식 방지성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후면판(11)이 신체(흉부)에 밀착되더라도 정전기 발생이 차단되거나 후면판(11)의 부식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의 평균 직경은 70 내지 100㎛이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무기 입자는 후면판(11)의 일 면에 코팅층(20)으로 형성 후, 물리적인 강도를 향상시키고, 점도를 일정 범위로 유지시켜 성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메틸에틸케톤(MEK), 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분산제로는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분산제를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2-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 및 1-메톡시-2-프로필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분산안정제로서 TEGO-Disperse 670 (제조사: EVONIK)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분산제는 제한 없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로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정화제는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코팅층(20)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계 화합물; 유기 용매, 무기 입자 및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계 화합물 40 내지 60 중량부, 무기 입자 20 내지 40 중량부 및 분산제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정전기 발생 방지 효과 및 부식을 현저히 낮추는 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팅 조성물의 점도는 1500 내지 1800cP이며, 상기 점도가 1500cP 미만인 경우에는 후면판(11)의 일 면에 도포하면, 흘러내려 코팅층(20)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180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코팅층(20)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제조예 1: 코팅층의 제조]
1. 코팅 조성물의 제조
메틸에틸케톤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계 화합물, 무기입자 및 분산제를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21032065474-pat00002
여기서,
n 및 m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100의 정수이며,
L1은 바이페닐렌기이다.
상기 코팅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TX1 TX2 TX3 TX4 TX5
유기용매 100 100 100 100 100
아크릴계 화합물 30 40 50 60 70
무기입자 10 20 30 40 50
분산제 1 5 10 15 20
(단위 중량부)2. 코팅층의 제조
후면판(11)의 일 면에 상기 DX1 내지 DX5의 코팅 조성물을 도포 후, 경화시켜 코팅층(20)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1.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
코팅 조성물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팅층(20)을 제조한 이후, 균일한 표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균일한 코팅층(20)을 형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 균일한 코팅층 형성
×: 불균일한 코팅층의 형성
TX1 TX2 TX3 TX4 TX5
관능 평가 Х Х
코팅층(20)을 형성할 때, 일정 점도 미만인 경우에는 후면판(11)의 일 면에서 흐름이 발생하여, 경화 공정 이후, 균일한 코팅층(20)의 형성이 어려운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생산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조성물의 균일 도포가 어려워 균일한 코팅층(20)의 형성이 불가하였다.
2. 정전기 방지 능력 평가
상기 실시예에 따른 코팅층(20)을 형성한 후면판(11)을 신체에 밀착시키고, 4일 간 사용자가 일반 생활 환경에 노출되도록 하였다. 비교예(Con)로는 코팅층(20)이 형성되지 않은 동일한 후면판(11)을 사용하였으며, 각 실시예에 후면판(11)은 흉부의 동일한 위치에 부착하였다.
그 뒤 실험 전후의 피실험자에게 설문하여 정전기 느낌 정도에 대한 평가를 받았고, 객관적인 비교를 위하여 코팅층(20)이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와 비교하여 그 결과를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여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정전기 방지 능력이 우수한 것이다.
Con TX1 TX2 TX3 TX4 TX5
평점 (1~10) 1 3 7 7 7 4
상기 표 3를 참조하면, 후면판(11)에 코팅층(20)을 형성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정전기 방지 능력이 현저히 상향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TX2 내지 TX4에 의하는 경우 코팅층(20)에 의한 정전기 방지 능력이 매우 우수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3. 부식 방지 능력의 측정
상기 후면판(11)의 일 면에 코팅층(20)을 형성한 이후, 부식 방지 능력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4과 같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코팅층(20)을 형성한 후면판(11)을 신체에 밀착시키고, 50일 간 사용자가 일반 생활 환경에 노출되도록 하였다. 비교예(Con)로는 코팅층(20)이 형성되지 않은 동일한 후면판(11)을 사용하였으며, 각 실시예에 후면판(11)은 흉부의 동일한 위치에 부착하였다.
그 뒤 실험 전후의 피실험자에게 설문하여 정전기 느낌 정도에 대한 평가를 받았고, 객관적인 비교를 위하여 코팅층(20)이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와 비교하여 그 결과를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여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지수는 그 숫자가 낮을수록 실험 전의 기준값에 비하여 변화가 낮은 것으로서 부식 방지 능력이 우수한 것이다.
육안에 의한 색상 변화 정도 현미경 관찰시 구조 변화 정도
TX1 6 8
TX2 1 2.2
TX3 1 1.9
TX4 1 2.1
TX5 2 3.8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TX1 내지 TX5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층(20)을 형성한 이후, 부식 정도를 육안 및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후면판(11)에 코팅층(20)을 형성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부식 방지 능력이 현저히 상향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TX2 내지 TX4에 의하는 경우 코팅층(20)에 의한 부식 방지 능력이 매우 우수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생체 신호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상술한 제1 실시예에 사용되는 용어와 동일하거나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도 1, 2의 10), 수음부를 포함하고, 수납 공간에 삽입되는 스마트폰 및 본체를 흉부에 밀착시키기 위한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면판, 후면판 및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수음부는 스마트폰에서 외부 음성 등 소리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수납 공간은 본체에 형성되고 전면판, 후면판 및 탄성 부재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생체 신호란, 흉부의 폐음 또는 심음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수음부를 흉부에 최대한 밀착시켜, 흉부의 폐음 또는 심음을 측정하기 위한 발명일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구성 또는 특징들은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중복되므로 이하 생략된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모델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모델링되는 것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된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 예들 또는 다른 실시 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 예들 또는 다른 실시 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거치대 본체
11: 후면판
12: 전면판
13: 탄성 부재
14. 수납 공간

Claims (7)

  1. 스마트폰을 수납하여 흉부에 밀착시키기 위한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흉부에 밀착되는 후면판;
    상기 후면판에 대향하는 전면판;
    상기 후면판과 상기 전면판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 공간;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 사이에서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후면판을 상기 흉부에 밀착시키기 위한 벨트;를 포함하되,
    상기 수납 공간에 상기 스마트폰이 수납되면,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스마트폰의 부피에 따라 이완되고,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스마트폰이 거치되되,
    상기 후면판은,
    상기 흉부에 밀착되는 면에 부착된 코팅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계 화합물; 유기 용매, 무기 입자 및 분산제가 포함되는 코팅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폰 흉부 거치대.
    [화학식 1]
    Figure 112022046079813-pat00008

    (여기서, n 및 m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100의 정수이며, L1은 바이페닐렌기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의 외면의 일 부분은 상기 벨트와 연결되고,
    상기 벨트는 상기 전면판에 당기는 힘(force)을 전달하고, 상기 후면판은 상기 당기는 힘(force)에 의하여 상기 흉부에 밀착되는 것인, 스마트폰 흉부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전면판의 제1 변(first side)에 연결되고 상기 전면판의 제1 변에 대응되는 상기 후면판의 제1 변에 연결되며, 상기 전면판의 제2 변(second side)에 연결되고 상기 전면판의 제2 변에 대응되는 상기 후면판의 제2 변에 연결되고, 상기 전면판의 제3 변(third side)에 연결되고 상기 전면판의 제3 변에 대응되는 상기 후면판의 제3 변에 연결되는 것인, 스마트폰 흉부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은 길이 방향의 제1 길이 및 너비 방향의 제2 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판은 길이 방향의 제3 길이 및 너비 방향의 제4 길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제3 길이보다 작고, 상기 제2 길이는 상기 제4 길이와 동일한 것인, 스마트폰 흉부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은 일 방향을 향하여 개방되고, 나머지 방향을 향하여 폐쇄되며,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수납 공간의 개방된 부분으로 삽입되어 수납되는 것인, 스마트폰 흉부 거치대.
  6. 삭제
  7. 삭제
KR1020210035422A 2021-03-18 2021-03-18 스마트폰 흉부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 KR102447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422A KR102447623B1 (ko) 2021-03-18 2021-03-18 스마트폰 흉부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422A KR102447623B1 (ko) 2021-03-18 2021-03-18 스마트폰 흉부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7623B1 true KR102447623B1 (ko) 2022-09-26

Family

ID=83452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422A KR102447623B1 (ko) 2021-03-18 2021-03-18 스마트폰 흉부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6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373U (ja) * 1992-11-17 1994-06-03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車載用心音検出器
KR20010000913A (ko) * 2000-10-27 2001-01-05 길광모 휴대폰케이스
KR20190058858A (ko) 2017-11-22 2019-05-30 서울대학교병원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심혈관 질환의 진단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심음 애플리케이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373U (ja) * 1992-11-17 1994-06-03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車載用心音検出器
KR20010000913A (ko) * 2000-10-27 2001-01-05 길광모 휴대폰케이스
KR20190058858A (ko) 2017-11-22 2019-05-30 서울대학교병원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심혈관 질환의 진단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심음 애플리케이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9492B2 (en) Anatomically customized ear canal hearing apparatus
Park et al. Self‐powered real‐time arterial pulse monitoring using ultrathin epidermal piezoelectric sensors
KR101327603B1 (ko) 가중 생체 음향 센서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JP5074206B2 (ja) 摩擦音を低減した聴診器
US10218327B2 (en) Dynamic enhancement of audio (DAE) in headset systems
Abella et al. Comparison of the acoustic properties of six popular stethoscopes
JP2005534360A (ja) 生物音響信号用変換器
JP2015521062A (ja) 雑音振動制御機能を有する生体音響センサ
CA3010835C (en) Stethographic device
JP2013172968A (ja) 片持ち梁型生体音響センサー及びそのセンサーを使用した方法
Fan et al. HeadFi: bringing intelligence to all headphones
KR102447623B1 (ko) 스마트폰 흉부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
JP6961624B2 (ja) 医療用潤滑性部材に用いる積層材料、医療用潤滑性部材、および医療機器
Beattie et al. Normal and hearing-impaired word recognition scores for monosyllabic words in quiet and noise
US11563838B1 (en) Folding phone-support device
EP1377218B1 (en) An audio interface system for medical use
Awan et al. The effect of microphone frequency response on spectral and cepstral measures of voice: An examination of low-cost electret headset microphones
JPWO2019188426A1 (ja) 音響波プローブ用樹脂材料、音響レンズ、音響波プローブ、音響波測定装置、超音波診断装置、光音響波測定装置及び超音波内視鏡、並びに、音響レンズの製造方法
Rahman et al. A study on amplitude variation of bone conducted speech compared to air conducted speech
Rennoll et al. Electrostatic Acoustic Sensor with an Impedance-Matched Diaphragm Characterized for Body Sound Monitoring
Chwalek et al. Lightweight, on-body, wireless system for ambulatory voice and ambient noise monitoring
EP4157381A1 (en) Coated tubing for medical articles
Nelson Stethoscope design for auscultation in high noise environments
JPH01251415A (ja) 磁気記録媒体
Michael et al. Calibration data for a circumaural headset designed for hearing tes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