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178U - 롤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롤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178U
KR20010000178U KR2019990009841U KR19990009841U KR20010000178U KR 20010000178 U KR20010000178 U KR 20010000178U KR 2019990009841 U KR2019990009841 U KR 2019990009841U KR 19990009841 U KR19990009841 U KR 19990009841U KR 20010000178 U KR20010000178 U KR 200100001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removal
foreign matter
suction
tub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98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1068Y1 (ko
Inventor
지교환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9-00098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068Y1/ko
Publication of KR200100001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1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0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0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21B28/02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응고되지 않은 강판이 경유하는 편향롤에 부착된 이물질을 선택적로 팽창하는 튜브부재와 제거날을 이용하여 롤표면의 손상없이 제거하고, 제거된 이물질을 포집하여 후처리할수 있는 롤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단에 제거날(12)을 교체가능하도록 설치한 작동판(11)은 회전로드(13a)에 선회작동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선택적으로 수축, 팽창되는 제 1,2튜브(14a)(14b)는 상기 제거날(12)을 롤(105a)표면에 접촉 또는 비접촉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작동판(11)하부에 배치된 제거작동부(10);상기 작동판(11)이 설치되는 메인판(15)하부에 조립된 고정로드(29)의 좌우양단을 제 1,2조절대(22a)(22b)에 활주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조절부(20);상기 제거날(12)과 인접한 작동판(11)상에 설치되고, 흡입구(32)를 갖는 흡입관(31)은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펌프(34)와 연통되어 탈락된 이물질을 강제흡입하여 포집처리하는 포집부(30); 및 상기 제 1,2튜브(14a)(14b)내로 선택적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조절변(41)과 상기 흡입펌프(34)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롤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롤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ALIEN MATERIALS FROM THE SURFACE OF ROLL}
본 고안은 롤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응고되지 않은 강판이 경유하는 편향롤에 부착된 이물질을 선택적로 팽창하는 튜브부재와 제거날을 이용하여 롤표면의 손상없이 제거하고, 제거된 이물질을 포집하여 후처리할수 있는 롤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제철소의 용융도금설비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가열로(101)설비를 통과하는 강판(9)은 아연도금조(102)에 침지된 상부에 설치된 에어나이프장치(103)에 의해 강판표면에 부착된 아연도금량이 조절된 다음, 상부패스(104)에 설치된 냉각장치(104a)에 의해 1차 냉각이 된다.
이어서, 상기 상부패스(104)를 통과하면서 1차 냉각된 강판(9)은 편향롤(105a)(105b)에 의해서 진행방향이 전환되어 하부패스(106)의 냉각장치 (106a)에 의해서 2차 냉각된 다음, 최종 편향롤(107)을 경유하여 다음 공정으로 진행된다.
이때, 1차 냉각된 다음 상기 편향롤(105a)을 경유하는 강판(9)은 완전 냉각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편향롤(105a)과의 마찰면에서 아연가루가 발생하고, 이는 편향롤(105a)에 부착되어 아연조각으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편향롤(105a)을 경유하여 진행하는 강판표면에 덴트마크와 같은 불량을 발생시켜 제품결함을 유발하였다.
이에 대하여 종래에는 상기 편향롤(105a)표면에 부착되는 아연조각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은 별도의 제거장치(110)를 롤표면에 단부가 접하도록 상기 편향롤(105a) 일측면에 고정시켜 부착된 아연조각(8)을 제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제거장치(110)를 아연조각과 같은 이물질 제거작업에 있어서, 편향롤(105a)로부터 제거되어 탈락된 아연조각(8)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상기 편향롤(105a)주위에 흩어져 다니다가 강판표면과 편향롤(105a)에 재부착되어 아연조각(8)의 완전한 분리 제거작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제거장치(110)가 고정식이기 때문에 제거날의 단부가 항상 접해지는 편향롤(105a)의 표면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편향롤에 이물질이 부착됨을 확인시에 제거날을 롤표면에 일시적으로 접촉시켜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롤표면의 손상을 최대한으로 억제하고, 제거되어 탈락된 이물질이 롤표면, 강판에 재부착되지 않도록 완전분리할수 있어 도금강판의 품질을 향상시킬수 있는 롤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제철소의 용융도금설비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제거장치를 이용한 작업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롤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도시한 전체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롤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에서 우측만을 도시한 부분상세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롤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에서 좌측만을 도시한 부분상세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롤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구성하는 포집부를 도시한 상세도,
도 7(a)(b)(c)는 본 고안에 따른 롤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작동판 12 ........ 제거날
13a ....... 회전로드 14a,14b ... 제 1,2튜브
15 ........ 메인판 16a,16b ... 상,하고정블록
22a,22b ... 제 1,2조절대 23a,23b ... 활주공
25a,25b ... 제 1,2이동블록 31 ........ 흡입관
32 ........ 흡입구 34 ........ 흡입펌프
41 ........ 조절변 42 ........ 조작판넬
51 ........ 집진기 105a ..... 편향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롤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단에 제거날을 교체가능하도록 설치한 작동판은 회전로드에 선회작동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선택적으로 수축, 팽창되는 제 1,2튜브는 상기 제거날을 롤표면에 접촉 또는 비접촉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작동판하부에 배치된 제거작동부;
상기 작동판이 설치되는 메인판하부에 조립된 고정로드의 좌우양단을 제 1,2조절대에 활주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제 1,2이동블록에 장착하여 상기 메인판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조절부;
상기 제거날과 인접한 작동판상에 설치되고, 흡입구를 갖는 흡입관은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펌프와 연통되어 탈락된 이물질을 강제흡입하여 포집처리하는 포집부; 및
상기 제 1,2튜브내로 선택적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조절변과 상기 흡입펌프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롤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도시한 전체개략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롤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에서 우측만을 도시한 부분상세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롤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에서 좌측만을 도시한 부분상세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롤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구성하는 포집부를 도시한 상세도이며, 도 7(a)(b)(c)는 본 고안에 따른 롤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롤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1)는 도 3 내지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완전냉각되지 않은 강판(9)이 감겨 진행되는 롤(105a)의 일측에 상기 강판(9)과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도금작업후 통과하는 강판(9)에 의해서 롤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제거된 이물질을 완전분리하여 포집처리할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장치(1)는 제거작동부(10), 조절부(20), 포집부(30) 및 제어부(40)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롤(105a)과 접촉 또는 비접촉되면서 부착된 이물질을 탈락제거시키는 제거작동부(10)는 도 3과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작동판(11)과 메인판(15)을 갖추며, 러한 작동판(11)은 롤(105a)과 대향하는 일단 하부면에 날고정구(11a)를 용접설치하여 이에 선단부가 롤표면에 폭방향으로 대응하는 제거날(12)이 교체용이하도록 끼워지며, 상기 작동판(11)의 하부면 중앙에는 회전로드(13a)를 회전가능하도록 조립한 베어링블록(13)이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판(11)의 하부면과 메인판(15)의 상부면사이에는 후술하는 조절변(41)에 의해서 공기와 같은 유체가 유입되어 선택적으로 수축 또는 팽창되는 제 1,2튜브(14a)(14b)를 나란하게 배치하며, 상기 제 1,2튜브(14a)(14b)의 도면상 좌측단인 밀폐단과 우측단인 개방단은 각각 상기 메인판(15)의 좌우양측에 상하구조로 각각 설치되는 상,하고정블록(16a)(16b)사이에 물려져 고정설치되며, 좌우양측의 각 상고정블록(16a)의 내측면에 고정장착되는 사각블록(16)사이에는 상기 회전로드(13a)의 좌우양단을 각각 설치한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작동판(11)은 제 1,2튜브(14a)(14b)의 선택적인 팽창 또는 수축시 상기 회전로드(13a)를 선회축으로 하여 선회작동되어 상기 롤표면에 제거날(12)의 단부가 부착된 이물질제거작업이 가능하도록 접촉되거나 제거작업이 곤란하도록 비접촉될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로드(13a)를 기준으로 그 좌우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 1,2튜브(14a)(14b)는 좌우굴림이동을 방지하도록 메인판(15)상에 설치되는 받침판(14)에 의해서 위치고정되며, 상기 제 1,2튜브(14a)(14b)와 대응하는 작동판(11)의 하부면에는 팽창되는 제 1,2튜브(14a)(14b)의 외부면과 고르게 접촉될수 있도록 접촉면이 곡선형으로 오목하게 파인 제 1,2 튜브지지대(18a)(18b)를 각각 다수개의 체결부재(18)로서 장착함으로서, 유체유입시 부풀려지는 제 1튜브(14a) 또는 제 2튜브(14b)에 의한 외력이 상기 제 1,2튜브지지대(18a)(18b)로 전달되어 상기 작동판(11)을 선회작동시킬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판(15)의 설치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제거날(12)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20)는 도 4 와 5에 도시한 바와같이, 메인판(15)의 좌우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 1,2조절대(22a)(22b)에 동일한 구조로 각각 설치되며, 이러한 제 1,2조절대(22a)(22b)의 각 활주면에 형성된 활주공(23a)(23b)에는 고정핀(24)을 갖는 한쌍의 제 1,2조절뭉치(24a)(24b)(24c)(24d)가 활주이동가능하게 각각 조립되고, 상기 제 1조절뭉치(24a)(24b)사이와 제 2조절뭉치(24c)(24d)사이에는 이와 더불어 활주이동되도록 제 1,2이동블록(25a)(25b)이 각각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제 1,2이동블록(25a)(25b)에는 상기 메인판(15)하부에 고정조립된 고정로드(29)의 좌우양단이 고정부재(28)로서 고정설치한다. 이것에 의해서, 고정핀(24)을 해제한 상태에서 좌우양측의 제 1,2조절뭉치(24a)(24b)(24c)(24d)를 활주공(23a)(23b)을 따라 전,후진시키면 메인판(15)도 같이 이동시킬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거날(12)과 롤(105a)표면사이의 거리를 간편하게 조절할수 있다.
그리고, 제거작업으로 탈락제거된 이물질을 수거하여 후처리하는 포집부(30)는 도 3, 5,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제거날(12)이 배치되는 작동판(11) 일단상부면에 흡입관(31)을 롤(105a)과 나란하게 고정설치하고, 상기 제거날(12)과 서로 대응하는 상기 흡입관(31)의 외부면에는 탈락제거된 이물질이 유입되도록 흡입구(32)를 천공형성하고, 일단이 캡(31b)으로 밀폐된 상기 흡입관(31)의 타단은 연결조인트(31a)를 매개로 연결호스(33)와 연통연결되고, 상기 연결호스(33)는 외부전원인가시 강력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펌프(34)와 연결되며, 상기 흡입펌프(34)는 연통관(35)을 매개로 분리후 강제 흡입된 이물질과 유체인 공기를 필터링하여 서로 분리처리하는 후처리장치(60)와 연결구성된다. 즉, 상기 포집부(30)는 상기 흡입관(31)을 통해 외부공기와 더불어 유입된 이물질과 외부공기를 서로 분리하여 후처리하는 후처리장치(50)와 연결구성된다.
이러한 후처리장치(50)는 집진기(51)와, 냉각수라인(52)과 연결되어 냉각수를 상부에서 분사하는 노즐(53)과, 하부에는 분리되어 모여진 슬러지를 배출하는 배출밸브(54)와, 배출된 슬러지가 저장되는 슬러지피트(55)와, 상기 집진기(51)내에 채워진 냉각수를 냉각수피트(57)로 배출하는 드레인배관(56) 및 이물질과 분리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전 필터링하는 필터부재(58)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작동판(11)을 선회작동시킬수 있도록 제 1,2튜브(14a)(14b)내로 선택적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조절변(41)을 갖추며, 상기 조절변(41)에는 유체를 외부로 벤트할수 있도록 에어벤트구(41a)를 설치한다. 전환스위치(43a)가 설치된 조작판넬(43)에는 이물질제거작업시 강력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흡입펌프(34)에 외부전원을 인가하고 차단하여 흡입력발생을 제어하는 스위치(43b)(43c)와, 제거날(12)과 롤(105a)과의 접촉을 제어하는 작동스위치(43d)(43e) 및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라인에 설치된 압력조절계(49)의 압력을 확인할수 있도록 측정된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게이지(43f)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판(15)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운전실에서 상기 롤(105a)표면에 부착되는 아연조각과 같은 이물질의 부착정도를 모니터(미도시)를 통하여 확인하면서 이물질 제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수 있도록 카메라(47)와 같은 광학장비를 설치하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7(a)에 도시한 바와같이,도금작업후 1차로 냉각된 강판(9)이 경유하는 롤(105a)표면을 육안 또는 카메라(49)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부착된 이물질량이 많아 도금강판의 품질을 저하시킬 우려가 높다고 판단될 경우, 작업자는 운전실내에 설치된 조작판넬(43)에서 스위치(43d)를 조작하여 조절변(41)에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어 제 1공기공급관(19a)을 통해 제 1튜브(14a)만으로 유체인 공기를 선태적으로 공급하여 팽창시키면, 도 7(b)에 도시한 바와같이 부피팽창정도가 상이해지는 제 1,2튜브(14a)(14b)에 의해서 회전로드(13a)에 조립된 작동판(11)은 선단의 제거날(12)이 회전하는 롤(105a)표면과 접해지도록 선회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조작판넬(43)의 스위치(43b)를 이용하여 흡입펌프(34)에 외부전원을 인가하면, 흡입펌프(34)와 연결호스(33)를 매개로 흡입관(31)에는 흡입력이 발생되어 흡입구(32)전방의 외부공기를 내부로 강제흡입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롤(105a)면과 단부가 접해진 제거날(12)에 의해서 강판이송작업으로 일방향 회전하는 롤(105a)표면에 부착된 아연가루및 아연조각과 같은 이물질은 상기 제거날(12)에 의해서 탈락됨과 동시에, 탈락된 이물질은 상기 흡입관(31)의 강력한 흡입력에 의해서 흡입구(32)를 통해 상기 흡입관(31)내로 공기와 더불어 흡입되어 연결호스(33),연통관(35)을 거쳐 집진기(51)내로 유입된다.
이어서, 외부공기와 함께 유입된 이물질은 노즐(53)로부터 분사되는 냉각수에 의하여 물과 함께 집진기(51)에 모아진 다음 배출밸브(54)의 개방시 슬러지피트(54)로 배출되고, 물은 냉각수피트(57)로 드레인되어 재사용되거나 배수되는 한편, 이물질이 걸러진 외부공기는 필터부재(58)에 의해서 재차 필터링된 다음 외부로 배기된다.
상기와 같은 제거작업으로 롤(105a)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이물질이 모두 제거된 것을 육안 또는 카메라(47)로서 확인한 후에는, 상기와 반대로 조작판넬(43)의 스위치(43e)를 조작하여 조절변(41)을 통해 제 2공기공급관(19b)을 통해 제 2튜브(14b)만으로 유체인 공기를 선태적으로 공급하여 팽창시키면, 도 7(c)에 도시한 바와같이, 부풀려지는 제 2튜브(14b)에 의해서 회전로드(13a)에 조립된 작동판(11)은 선단의 제거날(12)이 회전하는 롤표면과 이격되도록 선회되어 롤표면손상을 방지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조작판넬(43)의 스위치(43c)를 이용하여 흡입펌프(34)에 외부전원을 차단하면, 상기 흡입관(31)에서의 흡입력발생이 중단되어 이물질 제거작업은 종료된다.
한편, 상기 제거날(12) 단부로 인하여 상기 제거날(12)과 롤(105a)사이의 거리가 넓어져 그 거리를 좁히고자 하는 경우, 제 1,2조절대(22a)(22b)의 각 활주공(23a)(23b)에 활주이동가능하도록 조립된 제1조절뭉치(24a)(24b)와 제 2조절뭉치(24c)(24d)의 각 고정핀(24)을 해제한 다음, 상기 메인판(15)과 연결된 제 1,2이동블록(25a)(25b)이 롤(105a)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 1,2조절뭉치(24a)(24b) (24c)(24d)를 동시에 롤(105a)측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고정핀(24)을 다시 조이면, 상기 메인판(15)상에 설치된 작동판(11)의 제거날(12)과 롤(105a)사이의 거리를 원하는 길이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롤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됨을 확인한 상태에서만 선택적으로 유체를 유입시켜 선택적으로 부피팽창하는 제 1,2튜브(14a)(14b)에 의해서 선회작동되는 작동판(11)의 제거날(12)로서 회전하는 롤(105a)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수 있기 때문에 롤표면의 손상을 방지할수 있고, 제거된 이물질을 흡입관(31)의 흡입력으로서 전량 흡입하여 집진기(51)에서 후처리할수 있기 때문에, 제거된 이물질이 강판(9)이나 롤(105a)에 재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금강판의 품질을 향상시킬수 있는 실질적인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4)

  1. 롤(105a)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단에 제거날(12)을 교체가능하도록 설치한 작동판(11)은 회전로드(13a)에 선회작동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선택적으로 수축, 팽창되는 제 1,2튜브(14a)(14b)는 상기 제거날(12)을 롤(105a)표면에 접촉 또는 비접촉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작동판(11)하부에 배치된 제거작동부(10);
    상기 작동판(11)이 설치되는 메인판(15)하부에 조립된 고정로드(29)의 좌우양단을 제 1,2조절대(22a)(22b)에 활주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제 1,2이동블록(25a)(25b)에 장착하여 상기 메인판(15)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조절부(20);
    상기 제거날(12)과 인접한 작동판(11)상에 설치되고, 흡입구(32)를 갖는 흡입관(31)은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펌프(34)와 연통되어 탈락된 이물질을 강제흡입하여 포집처리하는 포집부(30); 및
    상기 제 1,2튜브(14a)(14b)내로 선택적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조절변(41)과 상기 흡입펌프(34)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튜브(14a)(14b)와 대응하는 작동판(11)의 하부면에는 팽창되는 제 1,2튜브(14a)(14b)의 외부면과 고르게 접촉될수 있도록 접촉면이 곡선형으로 오목하게 파인 제 1,2 튜브지지대(18a)(18b)를 각각 다수개의 체결부재(18)로서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조절대(22a)(22b)의 각 활주면에 형성된 활주공(23a)(23b)에는 고정핀(24)을 갖는 한쌍의 제 1,2조절뭉치(24a)(24b)(24c)(24d)가 활주이동가능하게 각각 조립되고, 상기 제 1조절뭉치(24a)(24b)사이와 제 2조절뭉치(24c)(24d)사이에는 상기 제 1,2이동블록(25a)(25b)이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롤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30)는 상기 흡입관(31)을 통해 외부공기와 더불어 유입된 이물질과 외부공기를 서로 분리하여 후처리할수 있도록 후처리장치(50)를 연결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1999-0009841U 1999-06-04 1999-06-04 롤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3010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841U KR200301068Y1 (ko) 1999-06-04 1999-06-04 롤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841U KR200301068Y1 (ko) 1999-06-04 1999-06-04 롤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178U true KR20010000178U (ko) 2001-01-05
KR200301068Y1 KR200301068Y1 (ko) 2003-01-29

Family

ID=49329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841U KR200301068Y1 (ko) 1999-06-04 1999-06-04 롤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068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614B1 (ko) * 2000-10-06 2005-09-16 주식회사 포스코 광휘소둔로의 스티어링롤 청소장치
KR100721826B1 (ko) * 2001-08-23 2007-05-25 주식회사 포스코 슬러지피트의 랙 절손 감지 장치
KR100792751B1 (ko) * 2001-10-31 2008-01-11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압연기의 분진 제거장치
KR100812147B1 (ko) * 2001-10-31 2008-03-12 주식회사 포스코 전도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920893B1 (ko) * 2002-11-26 2009-10-09 주식회사 포스코 숏 블라스트 가공롤의 표면에 흡착된 그릿 제거장치
KR100930470B1 (ko) * 2002-12-28 2009-12-08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내 롤표면 자동 이물제거장치
KR101507596B1 (ko) * 2013-09-10 2015-03-31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 압연기의 냉각수 고임 방지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614B1 (ko) * 2000-10-06 2005-09-16 주식회사 포스코 광휘소둔로의 스티어링롤 청소장치
KR100721826B1 (ko) * 2001-08-23 2007-05-25 주식회사 포스코 슬러지피트의 랙 절손 감지 장치
KR100792751B1 (ko) * 2001-10-31 2008-01-11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압연기의 분진 제거장치
KR100812147B1 (ko) * 2001-10-31 2008-03-12 주식회사 포스코 전도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920893B1 (ko) * 2002-11-26 2009-10-09 주식회사 포스코 숏 블라스트 가공롤의 표면에 흡착된 그릿 제거장치
KR100930470B1 (ko) * 2002-12-28 2009-12-08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내 롤표면 자동 이물제거장치
KR101507596B1 (ko) * 2013-09-10 2015-03-31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 압연기의 냉각수 고임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068Y1 (ko) 200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13076B1 (en) Surface cutting apparatus for hotrolled steel products
KR200301068Y1 (ko) 롤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JP4923055B2 (ja) スラブ、薄スラブ、型鋼のクリーニングを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4400961A (en) Apparatus for removing liquid coolant from metal strips in a rolling mill
CN202506981U (zh) Smt模板激光湿切割及检测的设备
CN104646440B (zh) 一种冷轧带钢表面乳化液清除装置及方法
CA2170300A1 (en) Jet device
FI92608B (fi) Menetelmä ja laite kuiturainan reunakaistaleen leikkaamiseksi
EP1358949A2 (en) Cleaning equipment for cleaning a moving surface particularly in a paper machine
CN103212834A (zh) Smt模板激光湿切割及检测的方法
CN103212831A (zh) Smt模板激光湿切割及检测的设备
CA1119862A (en) Device for cleaning the doctor blades of a paper machine
FI108154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liikkuvan pinnan puhdistamiseksi
CN101711188A (zh) 包括至少一个内部增压室的可定位刮刀刀片
CN215656844U (zh) 一种多喷头干冰清洁设备
CN104437943B (zh) 一种喷涂飞溅遮挡装置
CN210730529U (zh) 带材轧机轧辊碎屑处理设备
CN104099626A (zh) 阳极材料清洗筛选机
KR200203839Y1 (ko) 조질 압연장치의 워크롤 소제장치
KR200251207Y1 (ko) 절연코팅설비용 코터팬의 세척장치
CN110341075A (zh) 一种胶料处理方法
KR101428040B1 (ko) 롤 표면 오일제거장치
US6899792B2 (en) Method and a device for removing water from the surface of a roller jacket
WO1995005251A1 (en) Apparatus for use in rolling mills
CN205775621U (zh) 移动式定点清洁刮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