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7378A -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7378A
KR20000077378A KR1020000027642A KR20000027642A KR20000077378A KR 20000077378 A KR20000077378 A KR 20000077378A KR 1020000027642 A KR1020000027642 A KR 1020000027642A KR 20000027642 A KR20000027642 A KR 20000027642A KR 20000077378 A KR20000077378 A KR 20000077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quid crystal
light guide
guide tub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9846B1 (ko
Inventor
우메모토세이지
야노슈우지
Original Assignee
가마이 고로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마이 고로,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마이 고로
Publication of KR20000077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7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8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1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도광관, 광원, 반사층, 광확산 층 및 액정 셔터를 구비한다. 도광관은 그 도광관의 상부면 상에 형성된 광출력 수단이 제공되어 진다. 광원은 도광관의 입사측면 근방에 배치되어 광원으로부터 도광관 상에 입사한 광이 광 출력 수단을 통한 도광관의 하부면으로부터 출력된다. 반사층은 도광관의 하부면상에 배치되어 출력광의 반사된 광은 도광관의 상부면을 통해 투과되어 진다. 액정 셔터는 광확산 층을 통해 도광관의 상부면 상에 배치되며, 액정 셔터는 액정셀 및 적어도 하나의 편광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LIQUID-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광이용 효율이 우수하여 보기에 용이한 밝은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 특허 출원 제 11-143495에 기반하며,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인용되어 진다.
소비 전력이 적은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점을 널리 살리면서, 조명 디바이스를 부가함으로써, 어두운 장소 등에서 투과형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사용중인 것으로 시각적으로 디바이스가 인지되도록 하는 반사 모드 및 투과 모드에서 사용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검토되어 진다. 예를 들면, 반투과형 반사판(semi-transmission type reflection plate)을 사용한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투과형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사용된 후광이 액정셀의 시각적 인식측상의 정면광으로써 제공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등이 제안되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반투과형 반사판을 이용한 시스템은 시스템의 독점적인 사용을 위한 반사형 또는 투과형 디바이스에 대해 시스템의 양쪽 모드에서 휘도(brightness)면에서 취약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해프-미로 효과(half-mirrow effect)로 인해 광이 반사광 및 투과광으로 분리되기 때문이다. 본 단점을 고려하여, 반사율 및 투과율의 합이 100%를 초과할 수 있도록 편광을 선택적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편광자를 사용하므로써 개선시키자는 제안도 있어 왔다. 그러나, 반사 및 투과간의 디스플레이 반전(version)과 어두운 디스플레이의 강조를 방지하기 위해 배치된 광 흡수체에 의한 흡수로 인해 투과 모드에서의 광 이용 효율이 50%이하로 감소되며, 양쪽 모드에서도 황혼녘(evening twilight)에는 디스플레이를 보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한편, 정면광 시스템(front light system)은 일반적인 투과형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보다 투과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를 어둡게 만드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광이 광 액정셀 등을 왕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광관의 흠집이나 오염이 휘점(bright spot)으로서 눈에 띄는 동시에, 도광관의 상부면으로부터의 광 누설(light of leakage)로 인해 디스플레이 콘트래스트(display contrast)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사 모드 및 투과 모드에서 휘도(brightness) 및 휘도의 균일성이 우수한 동시에 디스플레이 반전, 광 누설로 인한 콘트래스트 저하 및 눈부신 광(dazzling light)의 시각적 감지가 발생하지 않는 양호한 시각적 인식을 소유한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개발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광관의 상부면 상에 형성된 광출력 수단이 제공되는 도광관, 광원으로부터 도광관에 입사한 광이 광출력 수단을 통해 도광관의 하부면으로부터 전달되도록 도광관의 입사 측면 근처에 배치된 광원, 출력광의 반사된 광이 상부면을 통해 투과되도록 도광관의 하부면상에 배치된 반사층, 편광 유지 특성(polarization-keeping characteristic)을 갖춘 광 확산 층 및 광 확산 층을 통해 도광관의 상부면 상에 배치된 액정 셔터, 액정셀 및 적어도 하나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셔터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광관 및 편광 유지 광 확산 층(polarization-keeping light diffusion layer)이 반사층 및 액정셀 사이에 배치되어 진다. 반사 모드에서의 광 이용 효율의 저하는 도광관 및 광 확산 층으로 인한 흡수 손실, 반사 손실 등이 있을 뿐이다. 광 확산 층이 또한 가늘기 때문에 편광 범위가 저하된다. 결과적으로, 종래 기술의 투과형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밝기와 동일한 밝기가 투과 모드에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투과형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밝기에 전혀 뒤떨어지지 않는 밝기가 투과모드에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반전이 반사 및 투과 모드간에 발생하지 않는다. 도광관의 누설광으로 인해 발생되는 콘트래스트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광 확산 층을 통한 확산 효과로 인해, 디스플레이는 밝기의 균일성면에서도 우수할 것이다. 동시에, 휘선 형상의 광 방사(bright-line shaped light emission) 및 금속성 반사로 인해 발생되는 눈부신 광에 대한 시각적 감지(visual sense of dazzling light)가 억제되어 진다. 또한, 도광관 상에 형성된 광출력 수단의 인-디스플레이 이미지(in-display image)가 약해져 광 출력 수단의 패턴이 시각적으로 되는 것이 방지되어 진다. 결과적으로, 양호한 시각적 인식의 특성을 지닌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획득되어 질 수 있다.
또한, 투과모드에 있어서의 도광관에서의 광 경로가 도광관의 상부면상의 광출력 수단의 공급에 따라 가늘고 길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휘선의 강도가 완하될 수 있도록, 광 확산이 광범위해 진다. 이것은 사실상 물결 무늬(morie) 발생의 방지와 디스플레이의 균일성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반사층이 도광관이 하부면 상에 배치되어 점성층(tarky layer) 등을 통해 도광관과 쉽게 합체되며 컨택트되어 진다. 이러한 광출력 수단이 도광관의 하부면상에 제공된다면, 광출력 수단의 기능 유지 관점에서 독립적인 반사판을 분리하여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결과적으로, 디바이스의 구조는 부품 및 배열의 증가와 반사판의 고정으로 인해 복잡해진다. 결과적으로, 주름의 생성으로 인한 디스플레이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한 두꺼운 지지(support)가 요구되기 때문에, 디바이스의 무게가 무거워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프리즘형 요철(prism-like irregularities)과 같은 경사로 구성된 광출력 수단을 갖춘 도광관의 경우에, 도광관은 경사를 통한 반사광의 지향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투과 모드에서의 시각적 인식에 유리한 광이 효율적으로 형성되므로 더 밝은 디스플레이가 형성될 수 있다. 반사 이후에, 도광관은 외광의 입사 효율 및 투과 효율이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광 이용 효율 및 균일성이 우수한 광 방출(light emission)로 인해 더 밝은 디스플레이가 또한 반사 모드에서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방향성으로 인한 물결 무늬의 발생은 광출력 수단의 기울어진 배열으로써 억제될 수도 있으므로, 눈부신 광으로 인해 시각적 인식의 방해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도트, 엠보싱 요철 등의 산란형 광출력 수단(scatter type light output means)이 마련된 도광관의 경우에는, 출력광이 대략 60도의 큰 각도로 방출되어지므로 투과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가 어두워져 정면(수직) 방향에서는 보기가 어렵게 된다. 광경로를 제어할 목적으로 프리즘 시트가 배치된다면, 광은 반사모드에서 산란되므로 광의 대부분이 시각적 인식에 기여하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가 매우 어둡게 된다. 도트 등이 명료하게 시각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강한 확산 특성의 확산층이 배치되어 진다면, 반사층으로부터 그의 입사 및 반사광이 반사모드에서 또한 산란되기 때문에 반사모드에서는 어두운 디스플레이가 획득되어 진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기술된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도광관에서의 광출력 수단의 측면도,
도 3은 투과모드에서의 시각적 인식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반사 모드에서의 시각적 인식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광관 2 : 광원 3 : 반사층
5 : 액정 셔터 51 : 편광막
51,53 : 편광판 52 : 액정셀
본 발명에 따르면,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도광관의 상부면 상에 형성된 광출력 수단이 제공된 도광관, 광원으로부터 도광관에 입사한 광이 광출력 수단을 통해 도광관의 하부면으로부터 전달되도록 도광관의 입사 측면 근처에 배치된 광원, 출력광의 반사된 광이 상부면을 통해 투과되도록 도광관의 하부면상에 배치된 반사층, 편광 유지 특성을 갖춘 광 확산 층 및, 액정 셔터가 광 확산 층을 통해 도광관의 상부면 상에 배치되고, 액정 셔터는 액정셀 및 적어도 하나의 편광판을 구비하는 액정 셔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반사 모드 및 투과 모드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전술한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참조 번호 (1)은 도광관을, 참조 번호 (11)은 광출력 수단이 형성되는 도광관의 상부면을, 참조 번호 (2)는 광원을, 참조 번호 (3)은 반사층을, 참조 번호 (4)는 편광 유지 특성을 갖춘 액정 셔터를, 참조 번호 (5)는 액정 셔터, 참조 번호 (51) 및 (53)은 편광막 및 편광판을 그리고 참조 번호 (52)는 액정 셀을 나타낸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11), 상부면과 대향하는 하부면(12), 및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의 측면으로 구성되는 입사 측면(13)으로 이루어지며, 입사 측면에 입사한 광이 상부면(11)상에 형성된 광 출력 수단을 통해 하부면으로부터 출력되도록 구성되는 판 형상 재료(plate-like material)가 도광관으로써 사용되어 진다. 도광관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균일한 두께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또는 입사 측면(13)과 마주보는 대향 단부(14)의 두께가 입사 측면의 두께보다 얇게 설정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대향 단부 두께의 감소는 무게의 감소, 상부면의 광출력 수단을 향하여 입사 측면으로 입사한 광의 효율 향상 등의 면에서 유익하다.
도광관의 상부면상에 마련된 광출력 수단은 전술된 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적절한 요소로써 구성될 수 있다. 반사층을 통한 정면적 지향성이 우수한 조명광(illumination light)을 획득하는 관점으로부터, 보다 바람직한 것은 입사 측면을 대면하는 경사로 이루어진 광 출력 수단, 특히 프리즘형 요철(prism-like irregularities)에 따라 구성된 광출력 수단이다.
전술한 프리즘형 요철이 등변면(equilateral surfaces)으로 이루어진 볼록부(projection) 또는 오목부(recesses)로 구성되어 질 수 있지만, 광 이용 효율등의 관점으로부터는 프리즘형 요철이 짧은 측면(11a) 및 긴 측면(11b) 각각으로 이루어진 볼록부 또는 오목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프리즘형 요철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참조 번호 (11a)는 짧은 측면을, 참조 번호 (11b)는 긴 측면을 나타낸다.
정면적 지향성 등과 같은 전술된 특성을 달성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광출력 수단은, 하부면(12)의 기준 평면(reference plane)에 대해 35 내지 45도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진 경사 및 10도 미만의 각으로 기울어진 편평한 면(flat surface)으로 이루어진 반복적인 요철 구조 각각으로 구성되어 진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출력 수단은 입사 측면(13)으로부터 대향 단부(14)를 향하여 하부면(12)의 기준 평면(12a)에 대하여 35 내지 45도의 경사각으로 하향으로 기울어진 짧은 측면(11a)과 동일한 기준 평면(12a)에 대하여 0을 제외한 0 내지 10도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진 긴 측면(11b:θ2)으로 이루어진 반복적인 프리즘형 요철 각각의 구조로 구성되어 진다.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 입사 측면으로부터 대향 단부를 향하여 경사가 하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된 짧은 측면(11a)은 입사 측면으로부터의 입사광 중에서 짧은 측면으로부터 입사한 광을 반사시켜, 하부면(반사층)에 반사광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에, 짧은 측면의 경사각(θ1)이 35도 내지 45도의 범위내로 설정되면, 도 3의 절곡선 화살표(polygonal line arrow)로 도시된 바와 같이 투과광이 하부면에 대하여 수직적으로 반사되도록 해준다. 결과적으로, 정면적 지향성이 우수한 출력광(조명광)이 반사층(3)을 통해 효과적으로 획득되어 질 수 있다.
전술한 정면적 지향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짧은 측면의 경사각(θ1)은 스넬의 굴절 법칙에 의거하여 도광관 내부로 투과된 광의 전체 내부 반사 조건이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1.5인 굴절률에 비례하여 ±41.8도인 점을 고려하여 38도 내지 44도의 범위내에, 특히 40도 내지 43도의 범위내에 존재한다. 한편, 긴 측면은 도 3의 절곡선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짧은 측면에 의해 반사된 광을 투과시켜 반사층(3)을 통해 반전시키며 도 4의 절곡선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모드에서 외광(external light)을 수신하여 반사층(3)을 통해 반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관점에서는, 하부면의 기준 평면(12a)에 대한 긴 측면의 경사각(θ2)이 10도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각(θ2)이 10도보다 크면, 굴절로 인한 광로의 변화가 커져, 정면방향으로의 광량이 감소되어 디스플레이에 불리하여 진다.
또한, 긴 측면의 경사각(θ2)이 0도(수평면)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0도 보다 크게 설정되면, 긴 측면 상에 입사한 투과광이 반사되어 짧은 측면에 공급되어 졌을 때, 투과광이 평행하게 되도록 해준다. 그러므로, 짧은 측면을 통한 반사광의 지향성이 디스플레이에 유익하도록 개선될 수 있다. 정면 방향으로의 광량 증가, 투과광의 평행화등의 관점에서, 긴 측면의 바람직한 경사각(θ2)은 8도 이하, 특히 5도 이하이다.
도광관의 긴 측면의 기능 등의 관점에서 볼 때, 바람직한 긴 측면은 긴 측면의 경사각(θ2) 사이의 차이가 도광관 전체에 걸쳐서 5도 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4도 이내, 특히 3도 내에 설정되도록, 그리고 인접한 긴 측면의 경사각(θ2) 사이의 차이가 1도 이내, 보다 바람직하게 0.3도 이내, 특히 0.1도 이내에 설정되도록 제공된다.
각각의 긴 측면의 경사각이 전술된 바와 같이, 전술한 경사각(θ2) 사이의 차이는 10도 이하인 것을 전제로 한다. 즉, 이러한 작은 경사각(θ2)이 허용된 범위내에 설정되도록 하여 긴 측면을 통한 투과시의 굴절에 의한 디스플레이 이미지가 편향(deflection)되는 것을 억제하는 전제로 한다. 이것은, 이렇게 최적화한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최적의 시각적 인식의 방향이 변하지 않도록 수직 방향 근방의 방향으로 관찰점을 설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밝은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디바이스로는 외광의 입사 효율이 우수하여 액정셀을 통한 광투과율, 또는 디스플레이 광의 출력 효율이 우수한 디바이스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하부면의 기준 평면에 대한 각각의 긴 측면의 투영 면적이 기준 평면 상의 각각의 짧은 측면에 대한 투영 면적의 5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 8배 이상, 특히 15배 이상이 되도록 프리즘형 요철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기준에 의하면, 액정셀을 통한 디스플레이 광의 대부분이 긴 측면을 통해 투과될 수 있다.
또한, 액정셀을 통해 디스플레이 광이 투과될 때, 짧은 측면에 입사한 디스플레이 광이 상부면으로부터 출력되지 않도록 입사 측면으로 반사되거나, 또는 크게 상이한 방향, 예를 들면 출력되어 지기 위해 하부면에 대한 법선에 대해서 긴 측면을 통해 투과된 디스플레이 이미지와 반대 방향으로 편향되어 진다. 그러므로 짧은 측면에 입사한 디스플레이 광이 긴 측면을 통해 투과된 디스플레이 광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짧은 측면이 액정셀의 화소에 대하여 국부화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는 바람직하다. 극단적으로 기술하면, 짧은 측면이 전체적으로 화소와 오버랩될 때, 수직 방향 근방의 방향으로의 긴 측면을 통한 디스플레이 광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광의 투과 부족 등으로 인해 그러한 부자연스러운 디스플레이가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화소와 짧은 측면의 오버랩 면적을 감소시켜, 긴 측면을 통해 투과되어진 광의 충분한 투과율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셀에 대한 화소 피치(pixel pitch)는 일반적으로 100 내지 300㎛ 범위내에 존재한다. 전술한 관점, 프리즘형 요철의 형성능력 등을 고려하여, 짧은 측면은 하부면의 기준 평면에 대한 각각의 짧은 측면의 투영 폭이 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 1 내지 20㎛ 범위 이내, 특히 3 내지 15㎛범위 이내에 존재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짧은 측면에 대한 투영 폭이 감소할수록, 짧은 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어 진다. 결과적으로, 프리즘형 요철 각각의 정점(vertex)이 사전 결정된 값 이상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라운딩될 때에는 디스플레이 광 혼란 등의 원인이 되는 산란 효과(scattering effect)가 나타날 수 있다. 게다가, 형광관의 코히어런스 길이(coherence length)가 대략 20㎛로 설정되는 등의 관점에서, 각각의 짧은 측면의 투영폭이 감소할 때 회절(diffraction) 등이 발생해서 디스플레이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짧은 측면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큰 것이 전술한 관점에서 바람직할 지라도, 짧은 측면은 실질적으로 짧은 측면에 입사하는 광을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 부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간격이 너무 짧을 때, 광을 점등할 때의 조도는 점점 약해져 역시 비정상적인 디스플레이를 초래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형 요철의 반복 피치(P)는 50㎛ 내지 1.5mm의 범위내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물결무늬 발생을 방지하는 대안 및 프리즘형 요철 등의 패턴에 대한 시각적 감지에 대한 외부 형태를 개선하는 관점에서는 피치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리즘형 요철로 구성된 광출력 수단의 경우에, 액정셀의 픽셀과의 간섭으로 인해 물결무늬가 발생할 수 있다. 프리즘형 요철의 피치를 제어함으써 물결무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프리즘형 요철의 피치는 상술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범위내에 존재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피치 범위에도 불구하고 물결무늬 발생에 대한 대안이 본 명세서의 주제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사 측면의 기준 평면에 대해 프리즘형 요철이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므로 화소를 교차하는 프리즘형 요철이 배열될 수 있어 물결무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에서는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경사각이 너무 크면, 짧은 측면을 통한 반사에서 편향이 발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출력 광의 방향이 대개 바이어스(bias)되므로, 도광관의 광-투과 방향에서 출력된 광 강도의 이방성이 커진다. 결과적으로, 광 이용 효율이 또한 매우 낮아져, 이것은 디스플레이 품질의 저하를 일으키키기 싶다.
입사 측면의 기준 평면에 대한 프리즘형 요철의 배열 방향 즉, 프리즘형 요철의 리지 라인 방향에서의 경사각이 ±35도 이내, 바람직하게는 ±30도 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25도 이내에 존재하는 관점에서 이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부호 " ±"는 입사 측면에 대한 경사 방향을 의미한다. 액정셀의 해상도가 너무 낮고 물결무늬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나, 무결무늬를 무시할 수 있는 경우, 프리즘형 요철의 배열 방향이 입사 측면과 평행함으로써 더 좋은 결과가 획득되어 진다.
상술된 바와 같이 임의의 적절한 형태가 도광관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광관이 V자형 등으로 형성될 때, 도광관의 형상이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직선면, 굴절면이나 만곡면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면의 형태가 도광관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프리즘형 요철 각각이 직선면, 반사면, 만곡면 등과 같은 임의의 면 구성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리즘형 요철은 피치 외에 형상 등이 상이한 요철을 조합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리즘형 요철은 계속되는 리지 라인을 갖는 일련의 볼록부 부분 또는 오목부 부분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사전 결정된 피치 간격에서 리지 방향으로 불연속적으로 배열되는 단속적인 오목한 부분 또는 볼록한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개개의 하부 형상 및 도광관의 입사 측면이 특별히 제한될 필요는 없지만 적절하게 결정될 필요는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표면은 편평한 하부면 및 하부면에 수직인 입사 측면으로서 제공된다. 예를 들면 입사 측면이 광원의 외부 주변 등에 대응하여 만곡하게 굽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광-입사 효율이 개선될 수도 있다. 또한, 입사 측면과 광원 사이에 개재된 도입 부분을 갖는 입사 측면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도입 부분의 형상은 광원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광관은 광원의 파장 영역에 따른 투과성을 나타내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시광 영역에서 사용된 재료의 실례로는 아크릴 수지, 폴리카본네이트 수지, 에폭시 수지 등에 의해 나타내진 투명 수지, 유리등을 포함한다. 복굴절(double refraction)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 또는 다소의 복굴절이 일어나는 물질로 만들어진 도광관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광관은 커팅 방법에 의해 또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대량 생산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생산 방법의 실례로는 열가소성 수지가 사전 결정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 주형에 대해 가열-프레스된다는 조건하에서 형상을 열가소성 수지로 변형시키는 방법, 열-용융(hot-melted)된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이나 용매로 유체화 된 수지로 사전경정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 주형을 채우는 방법, 사전 결정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 주형을 (열, 자외선, 방사 등으로 중합할 수 있는 액체 수지로)채운 후에, 또는 주형에 액체 수지를 캐스팅한 후에 중합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도광관은 한 종류의 물질 또는 광전송 역할을 하는 도광관 및 그 위에 형성된 프리즘형 요철등의 광출력 수단(상부면)을 갖는 시트로 이루어진 적층물과 같이 상이한 종류의 물질들로 이루어진 부분들의 적층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시트는 도광 부분에 결합되어 진다. 즉, 도광관은 동일한 재료에 의해 구성된 일체화된 단일 층 바디로서 형성될 필요는 없다.
도광관의 두께는 사용 목적에 따라서 도광관, 광원의 사이즈 등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 등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도광관의 일반적인 두께는 입사 측면에 기초하여 5mm이하, 보다 바람직하게 0.1 내지 3mm 범위내, 특히 0.3 내지 2mm 범위내에 존재한다.
반사층이 부착되기 이전에, 밝은 디스플레이(brilliant display)를 달성하는 관점에서 볼 때 바람직한 도광관은 상부면 및 하부면 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의 전체 광선 투과율, 특히 하부면에서 상부면까지 수직으로 입사하는 광은 9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 92%이상, 특히 95%이상이고 헤이즈(haze)는 30%이하, 보다 바람직하게 15%이하, 특히 10%이하로 제공된다.
전술된 도광관에 따르면, 상부면 및 하부면으로부터의 입사광은 상부면 및 하부면을 효율적으로 통과하다. 그러므로, 도광관에 의해 정확히 평행화된 광이 시각적 인식에 유리한 수직성이 우수한 방향에서 출력되기 때문에, 도광관의 사용이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같은 다양한 디바이스 형성을 가능하게 하므로써, 반사 모드 및 투과모드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밝고, 보기 쉬우며 저소비 전력에서도 우수하여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반사 모드 및 투과 모드에서 사용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반사층의 배열은 반사모드로 디스플레이하는데 필수적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반사층은 도광관의 하부면(12)상에 배열된다. 반사층(3)은 도광관의 하부면과 분리되도록 배치될 수 있지만, 반사된 이미지의 불규칙(disorder)을 유도하는 뒤틀림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분 처리(integral handling) 등에 기초하여 반사층(3)을 하부면과 컨택트시켜 하부면과 합체되도록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조립하는 것이 효율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반사층은 종래기술에 따라, 적절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재료의 예로는 알루미늄, 은, 금, 크롬, 구리, 주석, 아연, 인듐, 팔라듐, 백금, 등과 같은 고-반사율 금속 또는 그것의 합금 가루가 함유된 접합 수지의 코팅층, 전술한 금속층 또는 진공 기상 방법(vacuum evaporation method), 스퍼터링 방법 등과 같은 적절한 박막 형성 방법에 의해 증착된 유전체 다층 박막, 전술한 코팅의 반사 시트 또는 박막 등의 기본 재료에 의해 지지된 증착 층 및 금속 박(metal foil)으로 구성된 또는 금속 시트로 감긴 금속층 등이 있다.
물결 무늬 발생 방지, 휘선 강도(bright-line intensity)의 완화에 기초한 디스플레이의 동일성 개선 등에 관한 관점에서 바람직한 반사층은 확산 반사(diffuse reflection)가 발생하도록 제공된다. 전술한 광 지향성을 크게 감소시키는 것이 불리하기 때문에, 확산 강도는 평균 확산각에 입각하여 대략 5 내지 15도의 범위내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확산형 반사층(diffusion type reflection)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반사면 러프팅 방법(reflection surface roughening method) 등과 같은 적절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반사층 및 도광관을 합체시키기 위해 전술한 반사층과 도광관 하부면을 컨택트시키는 프로세스는 매개체로서 점성층(tacky layer), 다른 접착성 층(adhesive layer) 등과 같은 접착 수단을 사용한 방법, 전술한 코팅 층 또는 증착층을 도광관의 하부면상에 직접 형성시키는 방법 등과 같은 적절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반사면의 손상, 산화적 열화 등을 방지하는 관점으로부터 반사층의 외부면이 코팅에 의해 보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전술한 반사 시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반사 시트에 따르면 전술한 확산형 반사층은 막 기본 재료 등의 평탄화된 면을 통해 쉽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반사층 또는 이것의 지지 기본 재료를 평탄화하는 처리 는 금속 주형의 흠면화 형상(rough-surface shape)을 엠보싱(embossing), 버핑(buffing) 또는 전사하는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형태의 기계적 또는 화학적 처리 방법, 전기적으로 도전체일 수 있고, 크로스링크되거나 또는 비-크로스링크된 폴리머 등의 유기물 입자 등일 수 있는 실리카, 알루미늄, 티타니아, 산화지르코늄, 주석 산화물, 인듐 산화물, 카드뮴 산화물, 안티모니 산화물 등의 무기물 입자와 같은 적절한 입자를 반사층에 함유하는 방법, 함유된 층을 적용하는 방법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형성되어 질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2)이 도광관(1)의 입사 측면(13) 근방에 배치되므로 광원(2)는 측광형(side light type)에 대해 후광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임의의 적절한 재료가 광원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재료의 예로서는 (냉 또는 열)음극관 등의 선형상 광원,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포인트 광원, 라인, 면 등에 배열된 점광원의 어레이 등과 같은 점광원, 점광원을 정규-간격 또는 불규칙-간격 선형상 발광 상태로 전환시키는 시스템을 사용한 광원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과 모드에서 시각적 인식이 가능하도록 광원이 제공된다. 따라서, 반사 모드에서의 시각적 인식 동안에 광원을 점등하는 것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광원은 점등/소등(switch on/off)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광원을 점등/소등하는 동안의 방법으로써 임의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광원이 이전에 도광관에 부착되어 도광관은 광원을 구비한 도광관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경우에, 포위된 광원(2)(surrounded light)이 광원(2)로부터 도광관의 입사 측면(13)까지 산란된 광을 이끄는 광원을 포위하는 광원 홀더(light source holder)와 같은 적절한 예비 수단이 필요에 따라 배치되어져 결합 본체로서 제공될 수 있다. 광원에 부착된 고-반사성 금속 막과 수지 시트, 금속 박 등은 일반적으로 광원 홀더로서 사용된다. 광원 홀더가 접착제를 거쳐 도광관의 단부에 결합될 때, 부착 부분에서 광출력 수단 형성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액정 셔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투명 전극(도시되지 않음)으로 제공된 액정셀(52), 액정셀(52)에 부착된 구동 디바이스, 편광막(51), 편광판(53), 후광(2), 반사층(3) 및 필요한 경우에 위상치 보상 판(compensating phase difference plate) 등과 같은 구성 부품을 적절히 조립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경우에, 본 발명에 따라, 편광-유지 특성을 갖춘 광 확산 층(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관(1) 및 액정 셔터(5) 사이에 증착되어 진다.
광 확산 층의 배열은 투과 및 반사의 양모드에 있어서 도광관으로부터 출력된 광 및 외광을 확산시켜 출력광을 일정하게 만들어 시각적 인식 특성을 개선시키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광출력 수단의 측면상에 입사한 광을 하부면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하는 도광관의 광출력 수단의 짧은 측면등에 의해 구성된 전술한 경사 부분은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상에 반사되는 광을 출력하지는 않는다. 또한, 누설광이 투과모드에서 생성될 수 있으므로, 밝은 선(bright lines) 및 어두운 선(dark lines)이 시각적 인식의 각도에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출력 수단의 패턴은 현저히 명백해져 디스플레이 품질에 손상을 준다. 그러므로, 광확산 층의 배열은 명암차에 대한 밝은 선 및 어두운 선을 완하시키는데 효과적이므로 패턴이 시각적으로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명암차는 또한 물결 무늬 발생 방지 및 금속 반사에 의해 유발된 눈부신 광의 시각적 감지를 억압하는데 효과적이다.
위의 상세한 기술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광의 편광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편광-유지 특성을 갖춘 층은 가능한한 효율적으로 광 확산 층으로써 사용되어진다. 이것은 휘도 및 디스플레이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판(53)이 액정설(52)의 시각적 인식 후면(visual-recognition back surface)측 상에 배치되어 질 때, 반사층(3)을 통해 반사된 광이 편광판(53)을 통해 투과되는 동안, 직선으로 편광된 광이 반사 모드에서 편광판(53)을 통해 광확산 층(4)내로 입사한다. 직선으로 편광된 광이 이 경우에 제거되면, 편광판(53)으로 인한 흡수 손실이 발생하여 밝기 및 디스플레이 품질이 저하된다.
디스플레이가 반사 편광자를 통해 직선으로 또는 완곡하게 편광된 광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도록 반사력(reflectivity) 및 투과력(reflectivity)의 합이 100%를 초과하도록 상술한 사전결정된 상태에서 편광된 광을 선택적으로 반사시키는 편광자 등이 합체되어 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반사 편광자가 완곡하게 편광된 광을 사용한 시스템으로써 제공되어 질 때, 광의 편광된 상태가 광확산 층을 통해 전환한다면 흑색(black)은 디스플레이 되어 질 수 없다.
용매의 고속 증발에 의한 산란된 비드(dispersed beads), 산란된 투명 입자, 산란된 기포 등을 포함한 광-투과 수지 층과 같은 광의 편광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적절한 층이 편광 유지 광 확산 층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광 투과력이 우수하며 확산력(diffusing power)으로 인해 광의 편광 특성이 되도록 제거되지 않게 하는 층이 바람직하게 사용되어 진다.
또한, 예를 들면, 직교-니콜(crossed-Nicol)에서 분산되는 프리즘 편광자 등이 사용되어 완벽하게 편광된 광이 프리즘 편광자 사이에 증착된 광확산 층내로 입사된다는 조건하에서 편광의 제거로 인해 유발된 누설광의 투과력이 2%미만, 보다 바람직하게 1.8%미만, 특히 1.5% 미만인 것이 편광 유지 특성의 레벨 관점에서는 바람직하다. 반면 광확산 층의 바람직한 광 투과율이 합체된 범위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 관점에서 80%보다 크거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85%보다 크거나, 특히 90%보다 크다.
예를 들면, 되도록 복굴절(birefringence)을 감소시킴으로써, 특히 30nm 미만이 되도록 위상 차이를 감소시킴으로써, 광선의 로커스(locus)에서 평균 산란 회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전술한 편광 유지 광 확산 층이 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복굴절 및 다중 산란이 발생함으로써 편광이 제거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상술된 바와 같이 확산된 투명 입자를 포함한 광-투과 수지 층, 이것의 표면에 따른 양호한 흠면(roughness)을 갖는 광-투과 수지층 등으로써 편광 유지 광 확산 층이 유리하게 획득되어 질 수 있다.
적절한 광 투과 재료가 상술한 광 투과 수지로서 사용되어 질 수 있다. 특히, 크리아세틸 셀룰로우즈 수지, 폴리메틸 메타크릴에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노르보넨계 수지와 같은 광학적으로 복굴절성이 적은 등방성 재료가 복굴절 감소 관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반면, 광-투과 수지 층에 포함된 산란된 투명 입자의 실시예는 전기적으로 도전성일 수 있는 실리카, 유리, 알루미늄, 티타니아, 산화지르코늄, 주석 산화물, 인듐 산화물, 카드뮴 산화물, 안티모니 산화물 등의 무기물 미세 입자와, 아크릴 폴리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레에스테르, 에폭시 수지, 멜라민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틸렌, 실리콘 수지, 벤조구아나민, 멜라민-벤조구아나민 응축물 및 벤조구아나민-포름알데히드 응축물과 같은 크로스링크된 또는 비-크로스링크된 폴리머의 유기물 미세 입자 등을 포함한다.
한가지 또는 두 가지 이상의 투명 입자의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투명 입자에서, 1 내지 20㎛ 내의 범위에서의 입자 크기는 광 확산, 확산의 균일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반면, 투명 입자의 입사 형상이 임의로 선택되어 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제) 구, 구의 이차적인 집합체등이 입자 형상으로써 사용되어 진다. 특히, 광학적인 등방성 광 투광 수지에 대한 투명 입자의 굴절률 비율이 0.9 내지 1.1의 범위내에 있는 투명 입자가 편광 유지 특성 관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입자를 포함하는 광확산 층이 수지 용해 및 투명 입자의 혼합물로부터의 시트의 분출-성형(method of extrusion-molding a sheet) 방법, 수지 용해 또는 모노모 및 투명 입자의 혼합물 및 필요하다면, 중합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으로부터 시트등을 캐스팅하는 방법, 또는 사전 결정된 표면, 편광 유지 지지 막(a polarization-keeping support film) 내로 투명 입자를 포함하는 수지 용해를 가하는 방법 등과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적절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광 투과 수지 층은 점성층(tacky layer)등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반면, 샌드블래스팅(sandblasting) 등을 이용한 연마 프로세스(buffing process)를 통한 또는 엠보싱 처리 등을 통한 광 투과 수지 시트의 표면을 흠면화하는(roughening) 방법 또는 시트의 표면상에 돌출부를 구비한 광 투과 재료 층을 형성하는 방법과 같은 적절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광확산 층의 표면상의 미세 요철 구조(fine roughness structure)는 광 확산, 확산의 균일성 등의 관점에서, 입사 광의 파장보다 크고 100㎛보다 작은 표면 조도를 가진 아크릴 요철에 의해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또한, 투명 입자를 포함하는 유형 또는 표면의 미세 요철 구조를 갖는 유형의 전술한 광 확산 층 형성의 경우에, 광전자로 인한 광 투과 수지의 기본 층에서의 위상 차의 증가 및 배향(orientation)을 가능한한 충분히 억제하는 것은 특히 편광 유지 특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하나의 광확산 층 및 두 개 이상의 광 확산 층이 도광관 및 액정 셔터 , 특히 그것의 액정셀에 배치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광확산 층이 배치되어 질 때, 광 확산 층이 같을 수 있거나 또는 다를 수 있지만, 광확산 층이 전체적으로 편광 유지 특성을 구비할 필요는 있다. 광확산 층이 인접 부분과 합체되기 위해 인접 부분에 밀착할 수 있거나 또는 인접 부분으로부터 쉽게 분리되기 위해 인접 부분 상에 단지 적재되어 질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셔터(5)가 그것의 시각적 인식 후면상에 편광판(53)을 구비할 때, 하나의 편광 유지 광 확산 층(4)이 액정셀(52) 측면 또는 편광판(53)의 도광관(1)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는 두 개의 편광 유지 광 확산 층(4)이 편광판(53)의 양쪽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액정 셔터를 형성하는데 사용된 액정셀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액정의 배향 형태(orientation form)에 기초한 분류에 있어서, TN 액정셀인지 또는 STN 액정셀인지, 수직 지향 셀인지 또는 HAN 셀인지, OCB 셀과 같은 비틀림 유형 액정 셀인지 또는 비-뒤틀림 유형 액정셀인지, 게스트-호스트 유형 액정셀인지 또는 강유전성 액정셀 유형 액정셀인지에 따라 적절한 셀이 사용되어 진다. 또한, 액정 구동 방법이 특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액티브 매트릭스 방법, 패시브 매트릭스 방법등과 같은 적절한 구동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판이 편광판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고도한(high-grade) 적선 편광의 입사에 기초한 양호한 콘트래스트율의 디스플레이를 획득하는 관점으로부터, 요오드 유형 또는 염료 유형 흡수 선형 편광자와 같은 고수준의 편광판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편광판이 액정셀(52)의 양쪽 측면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의 편광판만이 액정셀의 어느 한편에, 특히 동일한 것의 시각적 인식 측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형성을 위해서, 예를 들면, 광 확산 층, 반-글레어(anti-glare)층 또는 보호층과 같은 적절한 광학 소자가 시각적 인식 측상에 또는 액정셀 및 편광판 사이에 제공되어 질 위상치 보상판 (compensating phase difference plate)과 같은 적절한 광학 소자 상에 적절히 증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편광 유지 광 확산 층이 배치되어 인접하게 제공되어 질 광학 소자와 가깝게 컨택트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편광 유지 광 확산 층이 광학 소자내로 적용되어 질 코팅층같은 접착층(attachment)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파장에 따른 복굴절을 보상하기 위해, 그것으로 인한 시각적 인식 특성 등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전술한 위상치 보상판이 시각적 인식 측상의 편광판 및 액정셀 사이에 및/또는 후면상의 편광판 및 액정셀 사이 등에 배치되어 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도광관의 출력광 특성을 가능한한 충분히 유지하는 관점으로부터 액정셀 및 도광관 사이에 배치된 광학 층의 수가 되도록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절한 판이 파동 범위 등에 따라 위상치 보상판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판이 파동 범위 등에 따라서 위상치 보상판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위상치 보상 판이 단일층으로서 또는 2개 이상의 위상 차분층의 중첩층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의 시각적 인식은 도광관의 긴 측면을 통해 투과한 광에 의해 수행되어진다. 또한, 도 3의 화살표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투과 모드에서 광원이 점등된 상태에서 도광관(1)의 하부면에 생성된 광(α)이 반사층(3)을 통해 반사되고, 도광관(1)의 긴 측면(11b)을 통해 투과되므로써, 디스플레이 이미지(α)는 광확산 층(4), 편광판(53,51) 및 액정셀(52)을 통해 시각적으로 인식되어 진다.
한편, 도 4의 화살표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모드에서 광원이 점등된 상태에서 외부광(γ)이 편광판(51,53), 액정셀(52) 및 광확산 층(4)을 통해 도광관(1)의 상부면의 긴 측면(11b)을 통해 투과되어 진다. 이후에, 투과된 광은 반사층(3)을 통해 반사되며 상술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투과 모드에서 도광관(1)의 긴 측면(11b)을 통해 투과되므로써 디스플레이 이미지(γ)가 광 확산 층(4), 편광막(51), 편광판(53) 및 액정셀(52)을 통해 시각적으로 인식되어 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된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도광관, 광확산 층, 액정셀, 편광판 등과 같은 광학 소자 또는 부품들이 서로 합체되도록,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적층 및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분리용이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계면 반사등의 억제로 인한 콘트래스트의 저하 방지 관점에서는 광학 소자 및 부품들이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 등과 같은 적절한 투명 접착제가 고착밀착 프로세스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투명 접착층에 상기 미립자 등을 함유시키므로써 투명 접착층은 확산 기능을 나타내는 접착층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 1
사전결정된 형상으로 미리 프로세스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판의 표면은 다이아몬드 비트로 절삭하여 그 상부면 광출력 수단을 구비한 도광관을 획득한다. 도광관은 40mm의 폭 및 25mm의 깊이를 갖는다. 도광관은 입사 측면에서 1mm의 두께와 대향 단부에서 0.6mm의 두께를 갖는다. 도광관의 상부면 및 하부면은 편평하다. 도광관은 상부면에서 프리즘형 요철을 구비한다. 프리즘형 요철은 입사 측면에 평행하도록 210㎛의 피치 간격으로 배열된다. 프리즘형 요철은 각각 경사각이 42.5 내지 43도의 범위내에서 변하는 짧은 측면 및 경사각이 1.8 내지 3.5도의 범위내에서 변하는 긴 측면을 갖는다. 인접한 긴 측면 사이에서의 경사각 변화는 0.1도 이내에 있다. 하부면상의 짧은 측면에 대한 투영폭은 10 내지 16㎛ 범위 내에 있다. 하부면상의 긴 측면/짧은 측면에 대한 투영 면적비는 12배 이상이다. 또한, 광출력 수단은 입사 측면으로부터 2mm 떨어진 위치까지 확장되어 형성된다.
직경 2.4mm의 (하리손 전기사에 의해 제조된) 냉-음극관(cold-cathode tube)이 도광관의 입사 측면 가까이에 배치된다. 냉-음극관의 에지는 도광관의 종단면 및 상부면을 컨택트시키기 위해 백색의 램프 반사 시트로 구성된 광원홀더로 둘러싸여진다. 인버터 및 DC 전원은 냉-음극관에 접속된다. 확산형 반사 시트가 점성층(tacky layer)에 의해 도광관의 하부면내로 그것의 은 기상 증착면(silver vapor deposited surface)을 통해 결합되어 진다. 아크릴판에 결합된 은 반사판은 광확산 시트를 통해 도광관의 하부면상에 설치되어 진다. 흑백 TN 형 액정셀이 도광관의 상부면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획득된다.
또한, DC 전원을 온/오프 함으로써 전술된 광원이 점등/소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은 반사판은 확산형으로 은의 기상 증착층은 매트 처리된 박막 기재 재료상에 형성되며 보호되도록 기상 증착층의 표면은 투명 수지층으로 코팅된다.
또한, 광확산 시트가 80㎛ 두께의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막의 한 면을 접착제(고체 내용물) 100부 및 접착제에서 확산된 (도시바 실리콘 사에 의해 제조된) TOSPEARL 145의 30부를 포함하는 25㎛ 두께 층으로 코팅됨으로써 형성되어 진다. 광확산 시트의 위상 차는 6nm이다. 광확산 시트가 직교-니콜에서의 글랜-톰슨 프리즘 사이에 배치된다는 조건(이 조건은 본 명세서에서 적용될 것이다)하에 광확산 시트가 편광을 제거함으로써 발생한 누설광의 양이 전체 입사 광의 1.1%이다. 전체 광선 투과율 및 (JIS 7105에 따른 무라카미 칼라 리서치 실험실에 의해 제조된)헤이즈 미터에 의해 측정된 헤이즈는 제각각 94% 및 84%이다. 또한, 위상 차이는 (오지 과학 기구사에 의해 제조된) 위상 차이 수치계(phase difference evaluator)에 의한 트리아세틸기 박상에서 조사되어 진다.
실시예 2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광확산 시트가 셀 기본 판에 결합되고 편광판이 광확산 시트의 외부상에 점성으로 증착되는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에 따라 획득된다.
실시예 3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광 확산 시트가 증착되지 않는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에 따라 획득되어 진다.
실시예 4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광확산 시트가 도광관 및 확산형 반사 시트 사이에 점성으로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에 따라 획득되어 진다.
실시예 5
트리아세틸기 셀룰로오스 막을 위한 대체품으로서 1780nm의 위상 차이를 갖은 50㎛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막을 사용한 시트가 광확산 시트로써 사용되어 편광을 제거함으로써 유발된 누설광의 양이 전체 입사광 및 전체 광선 투과율의 5.3%, 그리고 헤이즈가 제각각 93% 및 83%가 되는 것을 제외하면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실시예 1에 따라 획득되어 진다. 또한, 위상 차이는 (ORC 제조사에 의해 제조된) 스펙트럴 굴절 측정 시스템에 의해 조사되어 진다.
실시예 6
광 확산 시트가 실시예 5에서 사용된 것 중 하나로 대체되어 지는 것을 제외하면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실시예 2에 따라 획득되어 진다.
평가 테스트
실시예 1 내지 5의 각각에서 획득된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해서, 투과 모드 및 반사 모드 각각에서의 백색 디스플레이 상태(white display state)에서의 정면적 휘도는 (탑콘사에 의해 제조된 BM7) 휘도계(brightness meter)에 의해 조사되어 진다. 또한 투과모드에서의 정면 휘도는 광원이 암실에서 점등(switch on)된다는 조건하에서 평가된다. 반면, 반사 모드에서의 정면 휘도는 광원이 암실에서 소등(switch off)되지만 디바이스가 디바이스의 중심부분으로부터 상향으로 10cm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링-형상 조명 장치(ring-like illuminator)에 의해 조명된다는 조건하에서 평가되어 진다.
전술한 평가 테스트의 결과가 이하 테이블에서 도시되어 진다.
전술한 조건 및 전술한 테이블에서의 투과 모드 및 반사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 품질로부터, 실시예 1 및 2가 특히 우수한데, 이는 균일한 밝기가 전체적으로 투과 모드 및 반사 모드에서 디바이스에서 획득되어지므로, 광출력 수단 패턴의 시각적 감지는 매우 약하며 눈부신 광의 시각적 감지 또한 회피되어 진다. 실시예 1 및 2에서의 디스플레이는 매우 명료하고, 섬세하며 밝다.
반면에, 실시예 3 및 4에서, 광 출력 수단의 패턴이 현저히 명백해진다. 특히, 실시예 4의 반사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가 금속 반사에 의해 유발된 눈부신 광의 시각적 감지에서 매우 강하다. 실시예 5 및 6에서의 디스플레이는 투과 모드 및 반사모드에서 어둡다. 특히, 실시예 6에서, 시각에 따라 발생되는 부자연스러운 착색으로 인해 금속 반사에 의해 유발된 것과 다른 눈부신 광의 시각적 감지가 주어지므로 디스플레이 품질이 매우 저하된다.
투과 모드 및 반사 모드에서 양호한 디스플레이 특성을 나타내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획득하기 위해 전원을 온/오프함으로써 광원이 점등/소등될 수 있으며 투과 모드 및 반사 모드의 사용으로 인해 소비 전력이 절약되어,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등에서 사용되는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후에 청구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일정한 특징으로 그것의 바람직한 형태로 기술되지만, 바람직한 형태의 본 명세서는 세부적인 형성 및 부품의 결합과 배열이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반사 모드 및 투과 모드에서 휘도(brightness) 및 휘도의 균일성이 우수한 동시에 디스플레이 반전, 광 누설로 인한 콘트래스트 저하 및 눈부신 광(dazzling light)의 시각적 감지가 발생하지 않는 양호한 시각적 인식을 소유한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도광관의 상부면상에 형성된 광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도광관과,
    광원으로부터 상기 도광관에 입사한 광이 상기 광 출력 수단을 통해 상기 도광관의 하부면으로부터 출력되도록 상기 도광관의 입사 측면 근방에 배치된 상기 광원과,
    상기 출력광의 반사된 광이 상기 하부면을 통해 투과되도록, 상기 도광관의 하부면상에 배치된 반사층과,
    편광 유지 특성(polarization-keeping characteristic)을 갖춘 광 확산 층과,
    상기 광 확산층을 통해 상기 도광관의 상부면 상에 증착된 액정 셔터 - 상기 액정 셔터는 액정셀 및 적어도 하나의 편광판을 포함함-
    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점등 및 소등(switched on and off)될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관의 상부면상에 제공된 상기 광출력 수단은
    상기 입사 측면을 대면하며 상기 하부면의 기준 평면(a reference plane)에 대해 35 내지 45도의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와,
    상기 기준 평면에 대해 교차각이 10도 이하로 기울어진 편평한 면 및상기 기준 평면상의 상기 편평한 면의 투영 영역이 상기 기준 평면상의 상기 경사의 투영 영역에 8배 이상이 되도록 제공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관의 상기 상부면상의 상기 광출력 수단은 50㎛ 내지 1.5mm의 피치 간격으로 배열된 계속적 또는 불연속적 프리즘형 요철(prism-like irregularities)의 반복적인 구조를 갖추며,
    상기 프리즘형 요철 각각은
    상기 하부면의 상기 기준 평면에 대해 35 내지 45도의 경사각으로 입사 측면으로부터 대향 단부의 하향으로 기울어진 경사(a slope)로 구성된 짧은 측면과,
    상기 긴 측면의 모든 경사간의 경사각의 차이는 5도 이내이며 인접한 긴 측면간의 경사각의 차이는 1도 이내가 되도록 상기 기준 평면에 대해 0도를 제외한, 0 내지 10도의 범위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진 경사로 구성된 긴 측면을 포함하되,
    상기 기준 평면상의 긴 측면의 투영 영역이 상기 기준 평면상의 짧은 측면의 투영 영역의 8배 이상인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형 요철의 반복 피치가 일정한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평면상의 상기 짧은 측면 각각의 투영 너비가 40㎛이하인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형 요철의 리지 라인 방향이 상기 입사 측면의 기준 평면에 대해 ±35도 이내에 존재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스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면으로부터 입사한 광이 90%이상의 전체 광선 투과율로 상기 상부면을 통해 투과되는 액정 디스플레이스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금, 은, 알루미늄 및 유전체 다층막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이 상기 도광관의 상기 하부면에 밀착 일체화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상기 광을 확산시키는 동안, 광을 반사시키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층이 직교-니콜 프리즘(crossed-Nicol prisms) 사이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편광 유지성 광확산 층은 2% 이하의 광 투과율을 나타내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000027642A 1999-05-24 2000-05-23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06498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43495A JP2000330107A (ja) 1999-05-24 1999-05-24 液晶表示装置
JP99-143495 1999-05-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7378A true KR20000077378A (ko) 2000-12-26
KR100649846B1 KR100649846B1 (ko) 2006-11-24

Family

ID=15340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642A KR100649846B1 (ko) 1999-05-24 2000-05-23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90625B1 (ko)
JP (1) JP2000330107A (ko)
KR (1) KR100649846B1 (ko)
NL (1) NL1015276C2 (ko)
TW (1) TWI2593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8663A (en) 1994-05-05 1997-09-16 Donnelly Corporation Electrochromic mirrors and devices
US6891563B2 (en) 1996-05-22 2005-05-10 Donnelly Corporation Vehicular vision system
US8294975B2 (en) 1997-08-25 2012-10-23 Donnelly Corporation Automotive rearview mirror assembly
US6124886A (en) 1997-08-25 2000-09-26 Donnelly Corporation Modular rearview mirror assembly
US6326613B1 (en) 1998-01-07 2001-12-04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interior mirror assembly adapted for containing a rain sensor
US6172613B1 (en) 1998-02-18 2001-01-09 Donnelly Corporation Rearview mirror assembly incorporating vehicle information display
US8288711B2 (en) 1998-01-07 2012-10-16 Donnelly Corporation Interior rearview mirror system with forwardly-viewing camera and a control
US6445287B1 (en) 2000-02-28 2002-09-03 Donnelly Corporation Tire inflation assistance monitoring system
US6329925B1 (en) 1999-11-24 2001-12-11 Donnelly Corporation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added feature modular display
US6477464B2 (en) 2000-03-09 2002-11-05 Donnelly Corporation Complete mirror-based global-positioning system (GPS) navigation solution
US6693517B2 (en) 2000-04-21 2004-02-17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mirror assembly communicating wirelessly with vehicle accessories and occupants
JP2001051268A (ja) * 1999-08-17 2001-02-23 Nitto Denko Corp 液晶表示装置
AU2001243285A1 (en) 2000-03-02 2001-09-12 Donnelly Corporation Video mirror systems incorporating an accessory module
US7167796B2 (en) 2000-03-09 2007-01-23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navigation system for use with a telematics system
US7370983B2 (en) 2000-03-02 2008-05-13 Donnelly Corporation Interior mirror assembly with display
FR2809496B1 (fr) * 2000-05-23 2002-07-12 Saint Gobain Vitrage Couche diffusante
US7581859B2 (en) 2005-09-14 2009-09-01 Donnelly Corp. Display device for exterior rearview mirror
US7255451B2 (en) 2002-09-20 2007-08-14 Donnelly Corporation Electro-optic mirror cell
AU2002251807A1 (en) 2001-01-23 2002-08-19 Donnelly Corporation Improved vehicular lighting system for a mirror assembly
JP3803554B2 (ja) * 2001-02-16 2006-08-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JP2003015133A (ja) 2001-04-27 2003-01-15 Citizen Watch Co Ltd 液晶表示装置
US7030945B2 (en) * 2001-08-22 2006-04-18 Nitto Denko Corporation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US6918674B2 (en) 2002-05-03 2005-07-19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rearview mirror system
EP1514246A4 (en) 2002-06-06 2008-04-16 Donnelly Corp COMPASS INTERIOR COURTESY MIRROR SYSTEM
FR2844364B1 (fr) * 2002-09-11 2004-12-17 Saint Gobain Substrat diffusant
US7310177B2 (en) 2002-09-20 2007-12-18 Donnelly Corporation Electro-optic reflective element assembly
KR20040031858A (ko) * 2002-10-04 2004-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4574942B2 (ja) * 2002-10-28 2010-11-04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US7446924B2 (en) 2003-10-02 2008-11-04 Donnelly Corporation Mirror reflective element assembly including electronic component
TW200602585A (en) * 2004-03-16 2006-01-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High brightness illumination device with incoherent solid state light source
US20090185383A1 (en) * 2004-09-29 2009-07-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ght emitting plate system with improved transparency
JP5318348B2 (ja) * 2005-01-18 2013-10-16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3991281B2 (ja) * 2005-05-31 2007-10-17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シート
JP5067747B2 (ja) * 2005-08-08 2012-11-07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光線指向性化ガラス基板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JP4797577B2 (ja) 2005-10-31 2011-10-19 ソニー株式会社 電池
EP1949666B1 (en) 2005-11-01 2013-07-17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Interior rearview mirror with display
JP4957195B2 (ja) * 2006-11-09 2012-06-20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EP2156276A4 (en) * 2007-05-11 2011-12-07 Rpo Pty Ltd PERMANENT BODY
KR20090059996A (ko) * 2007-12-07 2009-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갖는 평판표시장치
US8154418B2 (en) 2008-03-31 2012-04-10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Interior rearview mirror system
JP5163571B2 (ja) * 2009-03-23 2013-03-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2025B2 (ja) * 1992-01-24 1997-12-17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面状発光体装置
WO1993016410A1 (en) * 1992-02-14 1993-08-19 Raychem Corporation Front lit liquid crystal displays
TW594115B (en) * 1992-10-09 2004-06-21 Asahi Glass Co Lt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n illumination device for a direct viewing type display element
JP3518554B2 (ja) * 1993-03-23 2004-04-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レンズシート及び該レンズシートを用いた面光源
US5418631A (en) * 1993-05-14 1995-05-23 Kaiser Optical Systems, Inc. Edge-lit holographic diffusers for flat-panel displays
JPH075462A (ja) 1993-06-16 1995-01-10 Dainippon Printing Co Ltd 面光源、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光拡散シート
US5485354A (en) 1993-09-09 1996-01-16 Precision Lamp, Inc. Flat panel display lighting system
JP3012462B2 (ja) * 1994-09-26 2000-02-21 富士通株式会社 導光板並びにこれを用いた面光源及び非発光型表示装置
WO1996017207A1 (en) 1994-11-29 1996-06-06 Precision Lamp, Inc. Edge light for panel display
GB2296808A (en) * 1994-12-29 1996-07-10 Sharp Kk Illumination system for display device
US5751388A (en) * 1995-04-07 1998-05-12 Honeywell Inc. High efficiency polarized display
JP3286138B2 (ja) * 1995-08-03 2002-05-27 日東電工株式会社 導光板、面光源装置、偏光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GB2306741A (en) * 1995-10-24 1997-05-07 Sharp Kk Illuminator
US5825543A (en) * 1996-02-29 1998-10-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ffusely reflecting polarizing element including a first birefringent phase and a second phase
US5914760A (en) * 1996-06-21 1999-06-22 Casio Computer Co., Ltd.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3321534B2 (ja) 1996-09-27 2002-09-03 日東電工株式会社 面光源装置及び反射・透過両用液晶表示装置
US6433846B1 (en) 1997-03-06 2002-08-13 Nashua Corporation Apparatus for maintaining and converting a localized polarization shift into a localized intensity variation in a LCD display assembly
EP0867747A3 (en) * 1997-03-25 1999-03-03 Sony Corporation Reflective display device
JP3703250B2 (ja) * 1997-05-13 2005-10-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反射表示用照明装置
EP0879991A3 (en) * 1997-05-13 1999-04-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lluminating system
JPH10339872A (ja) * 1997-06-09 1998-12-22 Nitto Denko Corp 液晶表示装置
US6151089A (en) * 1998-01-20 2000-11-21 Sony Corporation Reflection type display with light waveguide with inclined and planar surface sections
JP3642381B2 (ja) * 1998-02-26 2005-04-27 日東電工株式会社 導光板、面光源装置及び反射型液晶表示装置
EP0950851B1 (en) * 1998-04-17 2006-03-01 Nitto Denko Corporation Light conductive plat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reflection type liquid-crystal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330107A (ja) 2000-11-30
NL1015276C2 (nl) 2002-04-02
TWI259307B (en) 2006-08-01
KR100649846B1 (ko) 2006-11-24
US6590625B1 (en) 2003-07-08
NL1015276A1 (nl) 2000-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9846B1 (ko)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3642381B2 (ja) 導光板、面光源装置及び反射型液晶表示装置
US6742921B2 (en) Light pipe, plate light source unit and reflection type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JP4609962B2 (ja) 光学フィルム
US6616289B2 (en) Light pipe, plane light source unit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US6369950B1 (en)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and light pipe
JP4144829B2 (ja) 反射・透過両用型液晶表示装置
KR20020073404A (ko) 광학 필름 및 액정 표시장치
JP2001051268A (ja) 液晶表示装置
JP4113633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2071965A (ja) 導光板、面光源装置及び反射型液晶表示装置
EP1072929B1 (en) Light guide plat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reflection liquid crystal display
JP2002006143A (ja) 導光板、面光源装置及び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H11306829A (ja) 導光板、面光源装置及び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2000048617A (ja) 導光板、面光源装置及び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4462512B2 (ja) 液晶表示装置
JP4548628B2 (ja) 光学フィルム
JP2001194529A (ja) 光路変換偏光板
KR20010051562A (ko) 도광판, 면광원 장치 및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JP2008257259A (ja) 液晶表示装置及び導光板
JP4845920B2 (ja) 反射・透過両用型液晶表示装置
JP4462514B2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2303866A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