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6537A - 차량용 정속주행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정속주행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6537A
KR20000076537A KR1020000003988A KR20000003988A KR20000076537A KR 20000076537 A KR20000076537 A KR 20000076537A KR 1020000003988 A KR1020000003988 A KR 1020000003988A KR 20000003988 A KR20000003988 A KR 20000003988A KR 20000076537 A KR20000076537 A KR 20000076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ll
vehicle
opening degree
overdrive
vehicle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3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5442B1 (ko
Inventor
하나사기료이치
니시모토고지
야노다카유키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00076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4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710/0605Throttle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0Inputs being a function of ambient conditions
    • F16H59/66Road conditions, e.g. slope, slippery
    • F16H2059/663Road slo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0Inputs being a function of ambient conditions
    • F16H59/66Road conditions, e.g. slope, slipp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1Providing engine brak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s For Constant Speed Travell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차량이 언덕하강시에 자동변속기(2)의 오버드라이브위치를 해제하는 언덕하강제어수단(10)을 구비하며, 언덕하강제어수단은, 스로틀개도(θ) 및 차속(VS)에 의거하여 차량의 언덕하강상태를 검출하는 언덕하강상태검출수단(13)과, 언덕하강상태에 응답하여 자동변속기의 오버드라이브위치를 해제하는 오버드라이브해제수단 (14)과를 포함하고, 언덕하강상태의 검출중에는 오버드라이브위치의 해제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하향변속시의 오버드라이브복귀 판정기준으로서 스로틀개도를 사용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정속주행 제어장치{DEVICE FOR CONTROLLING THE VEHICLE TO TRAVEL AT A CONSTANT SPEED}
본 발명은, 오버드라이브위치를 가진 자동변속기를 사용한 차량용정속주행제어장치에 관계되며, 특히 정속주행제어중에 언덕하강로 및 평탄로를 정확하게 구별하여 오버라이드위치의 해제 및 복귀를 행함으로서 항상 안정한 차속을 유지할수가 있는 차량용정속주행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오버드라이브위치를 가진 자동변속기를 사용한 차량용정속주행제어장치는 잘 알려저있으며, 예컨데 특개소 59-126142호 공보에 참조할 수가 있다.
종래의 차량용정속주행제어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래부터, 자동변속기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는, 주행속도를 미리 설정된 목표차속으로 제어하는 정속주행장치가 탑재되고있다.
차량용정속주행제어장치를 사용할 경우, 통상 주행중의 차량은, 일반적으로 연료비를 절감하기 위해, 엔진회전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오버드라이브위치에서 정속주행제어된다.
그러나, 오버드라이브위치에서 정속주행중에 있어서, 급한 언덕에 들어가면, 엔진브레이크의 효율이 약함으로, 스로틀개도를 전폐상태로 설정하여도, 차속이 목표차속보다 상당히 증가되는 염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공보에기재된 차량용정속주행장치에 있어서는, 오버드라이브레인지에서 정속주행중에 급구배의 언덕하강의 경우에, 차속을 검출함으로서 오버드라이브를 자동적으로 해제하고있다.
즉, 오버드라이브레인지에서 정속주행에, 차속이 목표차속보다 소정치이상 증대한 시점에서 언덕하강상태를 판정하여 오버드라이브 해제에 의해 자동적으로 하향변속하여 엔진브레이크의 효율을 향상시켜, 차속의 증속을 억제하도록 되여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차량용정속주행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언덕하강이 길게 계속되는 경우에는, 하향변속과 상향변속이 계속 발생하여, 헌팅(hunting)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즉, 언덕하강중 하향변속에 의해 차속이 일단 저하하면은, 주행로가 평탄로로 복귀한 것으로 오판정하여, 자동변속기를 오버드라이브위치에 복귀(상향변속)시킴으로, 그후 다시 차속이 증대되였을시에 하향변속하여, 상기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종래의 차량용정속주행제어장치는 이상과 같이, 차속에 의거하여 언덕하강상태 및 평탄로복귀상태를 검출하고 있음으로, 하강언덕이 길어 하강상태가 길게 계속되는 경우에 하향변속 및 상향변속을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헌팅상태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하향변속시의 오버드라이브 복귀판정기준으로서 스로틀개도를 사용함으로서, 정속주행제어중에 하강언덕로 및 평탄로를 정확히 구별하여 오버드라이브위치의 해제 및 복귀를 하여, 항상 안정한 차속을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정속주행제어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한 차량용정속주행제어장치는, 차량에 탑재된 엔진에 구비된 자동변속기와, 엔진의 흡기량을 조정하는 스로틀밸브와, 스로틀밸브의 스로틀개도를 검출하는 스로틀개도검출수단과, 차량의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검출수단과, 스로틀개도 및 자동변속기의 변속위치를 제어하여 차속이 목표차속과 일치하도록 차량을 정속주행시키는 정속주행제어수단과, 차량의 언덕하강시에 자동변속기의 오버드라이브위치를 해저하는 언덕하강제어수단과를 구비한 차량용정속주행제어장치에 있어서, 언덕하강제어수단은, 스로틀개도 및 차속에 의거하여 차량의 언덕하강상태를 검출하는 언덕하강상태검출수단과, 언덕하강상태로 응답된 자동변속기의 오버드라이브위치를 해제하는 오버드라이브해제수단과를 포함하며, 언덕하강상태의 검출중에는 오버드라이브위치의 해제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한 차량용정속주행제어장치는, 청구항에 있어서, 언덕하강제어수단은 오버드라이브위치의 해제중에 스로틀개도가 소정개도이상을 나타낸 시점에서, 자동변속기를 오버드라이브위치에 복귀시키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의한 차량용정속주행제어장치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언덕하강제어수단은, 목표차속에 응하여 소정개도를 가변설정하고 목표차속의 상승에 응하여 소정개도의 설정치를 상승시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소정개도의 지도데이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엔진 2: 자동변속기
3: 스로틀밸브 4: 스로틀액추에이터
5: 스로틀개도검출수단 6: 차속검출수단
7: 정속주행제어수단 10: 언덕하강제어수단
13: 언덕하강상태검출수단 14: 오버드라이브해제수단
D: 언덕하강상태신호 F: 해제플래그
VO: 목표차속 VS: 차속
θ: 스로틀개도 θr: 소정개도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며, 도 1에서, 차량에 탑재된 엔진(1)의 출력축은, 자동변속기(2)에 접속되어있다.
엔진(1)의 흡기량을 조정하는 스로틀밸브(3)는, 스로틀액추에이터(4)에 의해 개폐제어된다.
스로틀개도검출수단(1)은, 스로틀밸브(3)의 스로틀개도(θ)를 검출하고, 차속검출수단(6)은, 차량의 차속(VS)을 검출한다.
정속주행제어수단(7)은, 스로틀개도(θ)및 자동변속기(2)의 변속위치를 제어하여, 차속(VS)가 목표차속(VO)와 일치하도록 차량을 정속주행시킨다.
언덕하강제어수단(10)은, 차량의 언덕하강시에 자동변속기(2)의 오버드라이브위치를 해제하도록 되어있다.
언덕하강제어수단(10)은, 스로틀개도(θO)의 상태를 판정하는 스로틀개도판정수단(11)과, 차속(VS)의 상태를 판정하는 차속판정수단(12)과, 스로틀개도(θ)및 차속(VS)의 각 상태에 의거하여 차량의 언덕하강상태를 검출하는 언덕하강상태검출수단(13)과, 언덕하강상태검출수단(13)에서의 언덕하강상태신호(D)에 응답하여 자동변속기(2)의 오버드라이브위치를 해제하는 오버드라이브해제수단(14)과를 구비하고 있다.
오버드라이브해제수단(14)은, 언덕하강상태검출수단(13)이 언덕하강상태의 검출중에는, 언덕하강상태신호(D)에 응단하여 자동변속기(2)의 오버드라이브위치의 해제상태를 유지한다.
언덕하강제어수단(10)은, 오버드라이브위치의 해제중에 스로틀개도(θ)가 소정개도(θr)이상을 나타낸 시점에서, 언덕하강상태신호(D)를 끄고 오버드라이브의 해제프래그(F)를 소거하여, 자동변속기(2)를 오버드라이브위치에 복귀시킨다.
다음에, 도 2의 프로차트를 참조하면서,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내의 언덕하강제어수단(10)의 처리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언덕하강수단(10)은, 먼저, 오버드라이브의 해저프래그(F)를 참조하여 F=1(오버드라이브 해제상태)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스텝 S101).
만일, F=0(즉, NO)로 판정되면은, 자동변속기(2)가 오버드라이브위치에 있는 것으로 보여짐으로 계속하여 스로틀개도(θ)를 참조하여 스로틀밸브(3)가 전폐상태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스텝 S102).
만일, 스로틀개도(θO)가 전폐상태아닌(즉,NO)것으로 판정되면은, 그대로 도 2의 처리루틴을 종료한다.
또, 스텝 S102에 있어서, 스로틀개구(θO)가 전폐상태라고(즉, YES)판정되면은, 계속하여 차속(VS)를 참조하고, 차속(VS)가 목표차속(VO)보다도 허용치(α)이상 증속되여 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스텝S103).
만일, VS〈VO+α(즉, NO)로 판정되면은, 그대로 도 2의 처리루틴을 종료한다.
또, 스텝 S103에서 VS≥VO+α(즉, YES)로 판정되면은, 스로틀밸브(3)가 전폐에도 불구하고 차속(VS)가 증대되여있는 상태(언덕하강상태)임으로, 자동변속기(2)를 강제적으로 하향변속시키기 위하여, 오버드라이브의 해제프래그(F)를 "1"에 설정하여(스텝 S104), 도 2의 처리루틴을 종료한다.
따라서, 차량의 급한 하강언덕에 들어온 경우에는, 자동변속기(2)가 오버드라이브에서 하향변속시킴으로서 엔진브레이크작용이 증대하여, 차속(VS)의 증대가 제어된다.
한편, 스텝 S101에 있어서, F=1(즉, YES)로 판정된 경우 스로틀개도(θ)를 참조하여, 스로틀개도(θ)가 소정개도(θr)이상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스텝 S105).
만일, θ〈θr(즉, NO)로 판정되면은, 그대로 도 2의 처리루틴을 종료한다.
이때, 소정개도(θr)는, 하향변속상태에서 평탄로를 주행중의 통상스로틀개도이상의 치에 설정되여있는 것으로 한다.
또, 스텝 S105에 있어서, θ≥θr(즉,YES)로 판정되면은, 차량이 언덕하강상태에서 평탄로에 들어와 엔진부하가 증대한 상태로 보여짐으로, 오버드라이브의 해저프래그(F)를 소거하여(스텝 S106).
도 2의 처리루틴을 종료한다.
따라서, 다시 통상의 정속주행제어에 복귀하여, 자동변속기(2)는 오버드라이브위치에 상향변속된다.
이와같이, 스텝 S105에 있어서, 오버드라이브 해제상태에서의 스로틀개도(θ)를 참조하여 차량의 주행상태를 판정함으로서, 정속주행제어중에 있어서, 언덕하강로 및 평탄로를 정확히 구별할 수가 있어, 차속(VS)를 항상 안정한 치로 유지할 수가 있다.
또, 차량의 하강언덕에서 평탄로에 들어간 것이 판정될때까지는 해저 프래그(F)가 "1"로 설정되여 계쏙하여 오버드라이브해제가 유지됨으로서, 차량의 언덕하강중에 상향변속 및 하향변속의 반복절체제어(헌팅)가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예 2
또한, 상기 실시예 1에서는, 평탄로의 판정기준으로 되는 소정개도(θr)를 일정치로 설정하였으나, 목표차속(VO)에 따라 가변설정하여도 된다.
다음, 도 3을 참조하면서, 목표차소(VO)에 응하여 소정개도(θr)를 가변설정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소정개도(θr)의 지도데이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경우, 언덕하강제어수단(10)(도 1참조)은, 목표차속(VO)의 상승에 응하여 소정개도(θr)를 가변설정한다.
예컨데, 스로틀개도(θ)의 검출레벨은, OV∼5V의 범위의 전압치에서 주어지나, 스로틀개도(θ)의 비교기준으로 되는 소정개도(θr)[볼트]는, 목표차속(VO) [km/h]에 대해서, 도 3과 같이 설정된다.
일반적으로, 목표차속(VO)가 낮으면, 평탄로에의 엔진부하의 증대에 대한 스로틀개도(θ)도 작어짐으로, 도 3과 같이 소정개도(θr)를 설정함으로서, 더욱 높은 신뢰도에서 평탄로를 판정할 수가 있어, 더욱 안정한 정속주행제어를 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하면, 차량에 탑재된 엔진에 설치된 자동변속기와, 엔진의 흡기량을 조정하는 스로틀밸브와, 스로틀밸브의 스로틀개도를 검출하는 스로틀개도검출수단과, 차량의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검출수단과, 스로틀개도 및 자동변속기의 시프트위치를 제어하여, 차속이 목표차속과 일치되도록 차량을 정속주행시키는 정속주행제어수단과, 차량의 언덕하강시에 자동변속기의 오버드라이브 위치를 해제하는 언덕하강제어수단과를 구비한 차량용정속주행제어장치에 있어서, 언덕하강제어수단은, 스로틀개도 및 차속에 의거하여 차량의 언덕하강상태를 검출하는 언덕하강상태검출수단과, 언덕하강상태에 응답하여 자동변속기의 오버드라이브위치를 해제하는 오버드라이브 해제수단과 포함하여, 언덕하강상태의 검출중에는 오버드라이브위치의 해제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하향변속시의 오버드라이브복귀판정기준으로 하여 스로틀개도를 사용하였음으로, 정속주행제어중에 언덕하강로 및 평탄로를 정확히 구별하여 오버드라이브위치의 해저 및 복귀를 하며, 항상 안정된 차속을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정속주행제어장치가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하면, 청구항 1에 있어서, 언덕하강 제어수단은, 오버드라이브위치의 해제중에 스로틀개도가 소정개도이상을 나타낸 시점에서, 자동변속기를 오버드라이브위치에 복귀시키도록 하였음으로, 정속주행제어중에 언덕하강로 및 평탄로를 정확히 구별하여 오버드라이브위치의 해제 및 복귀하며, 항상 안정된 차속을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정속주행제어장치가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량에 탑재된 엔진에 구비한 자동변속기와, 상기 엔진의 흡기량을 조정하는 스로틀밸브와, 상기 스로틀밸브의 스로틀개도를 검출하는 스로틀개도검출수단과, 상기 차량의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검출수단과, 상기 스로틀개도 및 상기 자동변속기의 변속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차속이 목표차속과 일치하도록 상기 차량을 정속주행시키는 정속주행제어수단과, 상기 차량의 언덕하강시에 상기 자동변속기의 오버드라이브의 치를 해제하는 언덕하강제어수단과를 구비한 차량용정속주행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언덕하강제어수단은, 상기 스로틀개도 및 상기 차속에 의거하여 상기차량의 언덕하강상태를 검출하는 언덕하강상태검출수단과, 상기 언덕하강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자동변속기의 오버드라이브위치를 해제하는 오버드라이브해제수단과를 포함하고, 상기 언덕하강상태의 검출중은 상기 오버드라이브위치의 해제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정속주행제어장치.
  2. 상기 언덕하강제어수단은, 상기 오버드라이브위치의 제어중에 상기 스로틀개도가 소정개도이상을 나타낸 시점에서, 상기 자동변속기를 오버드라이브위치에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기재의 차량용정속주행제어장치.
  3. 상기 언덕하강제어수단은, 상기 목표차속에 응하여 상기 소정개도를 가변설정하고, 상기 목표차속의 상승에 응하여 상기 소정개도의 설정치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차량용정속주행제어장치.
KR1020000003988A 1999-05-14 2000-01-27 차량용 정속주행 제어장치 KR100365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134540 1999-05-14
JP11134540A JP2000320665A (ja) 1999-05-14 1999-05-14 車両用定速走行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537A true KR20000076537A (ko) 2000-12-26
KR100365442B1 KR100365442B1 (ko) 2002-12-18

Family

ID=15130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3988A KR100365442B1 (ko) 1999-05-14 2000-01-27 차량용 정속주행 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24510B1 (ko)
JP (1) JP2000320665A (ko)
KR (1) KR100365442B1 (ko)
DE (1) DE199591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1231A (ja) * 2001-07-10 2003-01-24 Fujitsu Ten Ltd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US20050274454A1 (en) * 2004-06-09 2005-12-15 Extrand Charles W Magneto-active adhesive systems
CN1322995C (zh) * 2004-12-16 2007-06-27 季钢焰 载重车防空档滑行自动报警刹车装置
JP2010060010A (ja) * 2008-09-02 2010-03-18 Jatco Ltd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SE534457C2 (sv) * 2009-12-17 2011-08-30 Scania Cv Ab Förfarande och system för framförande av ett fordon vid reducerat behov av framdrivningseffekt
DE102012002761A1 (de) * 2012-02-11 2013-08-1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Fahrerassistenzsystem zur automatischen Steuerung der Geschwindigkeit eines Fahrzeuges
WO2017036491A1 (en) 2015-08-28 2017-03-09 Volvo Truck Corporation A method and a system for controlling vehicle speed
CN106802675B (zh) * 2016-12-21 2019-12-27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车速自校准方法和装置以及一种智能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6142A (ja) 1983-01-06 1984-07-20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定速走行装置
JPS6299221A (ja) 1985-10-25 1987-05-08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定速走行装置
KR19980087004A (ko) * 1997-05-14 1998-12-05 가나이 쯔도무 자동차의 자동 변속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H1178599A (ja) * 1997-09-05 1999-03-23 Fujitsu Ten Ltd 定速走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959162A1 (de) 2000-11-23
JP2000320665A (ja) 2000-11-24
US6224510B1 (en) 2001-05-01
KR100365442B1 (ko) 200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95700B1 (en) Control system for transmissions
JP3389774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0335916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US5148721A (en) Automatic fuzzy speed control system for vehicle
JP4429528B2 (ja) アクセルペダルの自然復帰の際における自動車の自動変速機の制御方法
US5003482A (en) Automotive constant speed cruise control system
KR100373026B1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65442B1 (ko) 차량용 정속주행 제어장치
US20030064855A1 (en) Shift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US6497637B2 (en) Vehicular constant-speed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speed
JPS60146948A (ja) 自動変速制御装置
JP3417209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H10184413A (ja) 車両の制御装置
DE60007927D1 (de) Adaptive Rückschaltungssteuerung für automatisiertes Getriebe
US5931251A (en) Method of controlling automatic transmissions during traction control
JPH0427049B2 (ko)
KR100298756B1 (ko) 자동변속기의댐퍼클러치제어방법
JPH04266535A (ja) 定速走行制御装置
KR100316908B1 (ko) 컷백솔레노이드밸브제어장치및방법
KR100581254B1 (ko) 자동 변속기의 퍼지 능동 제어장치 및 방법
JPH0727233Y2 (ja) 自動車の定速走行制御装置
KR100308964B1 (ko) 자동변속기의댐퍼클러치제어방법
KR100456874B1 (ko) 수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브레이크 제어 방법
KR100380100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고지 변속 제어방법
KR100412708B1 (ko) 무단변속기 장착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