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6187A - 폐쇄 마운트를 포함하는 탑승객 체격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팽창 가능한 몸통 벨트 시스템과 탑승객을 구속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폐쇄 마운트를 포함하는 탑승객 체격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팽창 가능한 몸통 벨트 시스템과 탑승객을 구속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6187A
KR20000076187A KR1019997008281A KR19997008281A KR20000076187A KR 20000076187 A KR20000076187 A KR 20000076187A KR 1019997008281 A KR1019997008281 A KR 1019997008281A KR 19997008281 A KR19997008281 A KR 19997008281A KR 20000076187 A KR20000076187 A KR 20000076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enclosure
inflator
occupant
restrai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8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날드제이. 루이스
Original Assignee
존슨 윌리엄 엠.
유니버설 프로펄션 컴퍼니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윌리엄 엠., 유니버설 프로펄션 컴퍼니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슨 윌리엄 엠.
Publication of KR20000076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18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1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the inflatable member formed as a belt or harness or combined with a belt or harness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021/2173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module or part thereof being movably mounted o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2/023Three-point seat belt systems comprising two side lower and one side upper anchoring devices
    • B60R2022/026Three-point seat belt systems comprising two side lower and one side upper anchoring devices at least two ends of the belt being retractable aft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8Belt guides
    • B60R2022/1831Belt guides comprising a slotted plate sliding in its plane, e.g. inside circular gu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3Pneuma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에 관련되는데 이 시스템에서 벨트 띠(16)는 팽창하거나 팽창하지 않는 무릎 벨트 부분(20)과 팽창성 몸통 벨트 부분(19)으로 구성된다. 몸통 벨트 부분(19)은, 몸통 벨트의 나머지 부분이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배치될 때 실질적인 팽창을 막는 인클로저(enclosure)(32)에 부분적으로 장착된다. 체격이 큰 승객이 벨트를 맬 때 몸통 벨트는 인클로저에서 끌어당겨진다. 체격이 큰 승객이 벨트를 맬 때 팽창기(54)가 작동하자마자, 기체는 인클로저에서 몸통 벨트 부분으로 공급되어 인클로저 내에 보다 적은 량의 기체가 남아있게 되고 더 많은 양의 기체가 인클로저 바깥쪽에서 몸통 벨트 부분으로 공급되는데 이 부분은 체격이 큰 승객을 보호한다. 체격이 작은 탑승객이 버클을 채울 때, 보다 적은 양의 기체가 인클로저 바깥쪽에서 몸통 벨트 부분에 공급된다.

Description

폐쇄 마운트를 포함하는 탑승객 체격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팽창 가능한 몸통 벨트 시스템과 탑승객을 구속하는 방법{INFLATABLE PASSENGER-SIZE ADJUSTABLE TORSO BELT SYSTEM INCLUDING ENCLOSURE MOUNT AND METHOD OF PASSENGER RESTRAINT}
차량 탑승객을 구속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팽창성 벨트는 계속 제안되어 왔다(U.S. 특허 제 3,866,940과 3,970,329). 그러나 차량 탑승객은 소인에서 대인까지 체격이 다양하므로, 무릎과 몸통에 사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벨트 부분의 길이는 바뀐다. 이런 변화는, 어깨 부착점에 대해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어깨 부착점 자체의 위치를 바꾸어줌으로써 조절된다. 또 팽창기는 정해진 기체량을 방출하고, 소인용으로 사용되는 짧은 팽창 벨트에 공급되는 기체량은 대인용으로 사용되는 긴 팽창 벨트에 공급되는 기체량보다 적어야 한다.
본 발명은 띠 벨트로 공급되는 기체량을 제어하고, 몸통과 무릎 부분을 가지며, 다양한 체격의 탑승객에게 알맞게 조절하는 구속 시스템의 장치를 제공한다.
도 1a 는 착석한 탑승객(P) 둘레를 버클로 죈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시스템의 사시도;
도 1b 는 벨트 시스템의 바깥쪽 부분이 팽창된 것을 나타낸 도 1a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
도 2 는 팽창 가능한 몸통 벨트 부분과 직렬 구성성분이 시트 프레임 위에 놓인 앵커 견인근으로부터 공급되는 시트 프레임에 장착된 벨트 시스템의 배면도;
도 3 은 탑승객(도시되지 않음) 둘레를 버클로 죄는 직렬 벨트 띠를 갖춘 벨트 시스템의 배면도;
도 3a 는 인클로저 부분, 직렬 연결된 팽창성 벨트, 팽창기 및 팽창기 웨브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팽창기로 전기 점화 신호를 전달하는 것뿐만 아니라 팽창기 벨트와 팽창기 왕복 운동을 달성하도록 견인근과 웨브 대신에 전기 전도성, 절연 스프링 쌍이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의 배면도;
도 5 는 몸통 부분이 상부 수평 슬롯에서 나오는 버클을 벗긴 상태에서 시트의 벨트 시스템을 나타낸 정면도;
도 6a 는 위쪽 등 부분에서 원형 유닛의 슬롯으로부터 몸통 부분이 나오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벨트 시스템의 정면도;
도 6b 는 몸통 벨트 부분이 팽창된 도 6a를 나타낸 도면;
도 7a 는 소인에게 알맞게 몸통 벨트 부분이 버클로 채워진 후 팽창된 벨트 인클로저의 측면도;
도 7b 는 대인에게 알맞게 몸통 벨트가 더많이 빼내어진 후 팽창되는 벨트 인클로저의 측면도;
도 7c 는 기체가 인클로저 밖으로 흘러나오기 직전에 닫힌 위치에 있는 오리피스의 크기를 바꾸는 장치와 인클로저 단부 오리피스의 단면도;
도 7d 는 기압에 의해 개방되는 오리피스 크기를 바꾸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단면도;
도 7e 는 기체가 인클로저 밖으로 배출되기 직전에 오리피스가 일부 닫혀있는 도 7d와 유사한 도면;
도 8 은 도 7a의 8-8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
도 9 는 인클로저에 팽창기를 잠그기 위한 로킹 수단을 나타낸 측면도;
도 10 은 도 9의 일부분을 나타낸 확대도;
도 11 은 벨트 인클로저가 자동 프레임 또는 자동 프레임과 인접해 장착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차량의 단면도; 및
도 12 는 브래킷을 사용해 차량 시트에 인클로저가 부착되는 구속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부호 설명
16 ... 벨트 띠 19 ... 몸통 벨트 부분
20 ... 무릎 벨트 부분 32 ... 인클로저(enclosure)
54 ... 팽창기
본 발명은 팽창할 수 있는 어깨 또는 몸통 벨트 부분과 팽창할 수 있거나 팽창하지 못하는 무릎 벨트 부분을 포함하는 직렬 연결된 여러 부분을 가지는 장방형 띠를 적용하는 구속 방법 및 구속 시스템에 관련된다. 상기 무릎 벨트 부분은 차량 시트의 각 면에 고정된다. 몸통 팽창 부분은 몸통을 가로지르는 벨트 부분과 다른 인접한 차량 영역에 놓여있거나 시트의 등 부분에서 고정 인클로저에 수용된 벨트 부분으로 구성된다.
인클로저에 수용된 벨트 부분은 절박한 충돌 상황이 벌어졌을 때 팽창하도록 팽창 기체를 포함한다. 이 팽창 가능한 몸통 부분은 팽창기와 직렬 연결되고 팽창기는 앵커에 연결될 수 있다.
인클로저에서 벨트 몸통 부분을 당길 때 직렬 연결된 팽창기가 인클로저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허용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탑승자의 체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인클로저는 팽창기 가이드로서 사용되고 탑승객 몸통을 가로질러 배치되지 않고 인클로저에 남아있는 팽창 가능한 몸통 벨트 부분이 완전히 팽창하는 것을 막는다.
포크 부분을 가지는 벨트 버클은 가늘고 긴 띠의 무릎 부분에 부착되는데 버클 포크 부분은 탑승객의 무릎을 가로질러 끌어당겨지고 벨트 앵커에 연결된다. 필요한 대부분의 벨트 장치는 팽창성 벨트 부분과 팽창기를 지지하는 인클로저와 인접한 앵커-견인근에서 풀린다. 인클로저의 한쪽 단부는 탑승객의 몸통과 인접해 배출구를 가진다. 이 인클로저 단부는 오리피스 제한 부분을 포함하는데 이 제한 부분은 에워싸인 벨트 부분 팽창부로부터 인클로저 바깥쪽의 완전 팽창 벨트부분까지 기체의 흐름을 제어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체격의 탑승객에게 알맞도록 전체 고정 길이의 몸통 부분을 포함하는 구속 띠를 제공하는데 여기에서 몸통 팽창 부분의 가변 길이 부분은 팽창기와 함께 인클로저 내에 수용된다. 팽창기가 작동하기 시작할 때, 기체는 팽창기에서 인클로저에 위치한 몸통 벨트 부분의 일부 팽창부 안으로 유입된 후 탑승객 몸통을 구속하도록 위치 설정된 벨트 부분으로 흐른다. 이 인클로저는 벨트 부분의 실질적인 팽창을 막도록 크기가 설정된다. 기체는 인클로저 바깥쪽에 몸통 벨트 부분으로 흐르는데 여기에서 몸통 부분이 팽창되면 탑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a와 1b에서, 차량 시트(10)는 베이스(11), 일반적으로 수평인 시트 베이스 부분(13), 시트 등 부분(15), 시트 사이드 견인근 인클로저(18) 및, 탑승객의 머리(H)와 인접해 상부 시트 부분(13v)에 놓인 상부 벨트 인클로저 출구(12)와 탑승객의 머리를 유지하고 보호하는 머리 받침(17)을 포함한다.
가늘고 긴 단일 띠(16)는, 주요 구성성분으로서, 팽창성 몸통 벨트 부분(19)과 팽창하거나 팽창하지 않는 무릎 부분(20)을 포함하는데 만일 둘 다 팽창하거나 직렬로 연결된다면, 특히 벨트(20)가 팽창하지 않는 무릎 벨트이라면 벨트(19,20)는 일체형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선호된다. 전단 변형할 수 있는 패스너 리벳(21r)에 의해 비팽창성 벨트 부분(20)에 부착되는, 버클 텅 유닛(21)은 착석한 탑승객(P)을 가로질러 끌어당겨지고 무릎 벨트(20)의 앵커(22)로 삽입된다(도 1a 참조). 탑승객이 버클을 죌 때 리벳(21r)에 의해 버클 텅 유닛(21)은 무릎 부분(20)에 고정되므로 탑승객(P) 둘레로 연장되어야 하는 띠(16)의 추가 길이가 베이스 수축 견인근(36)으로부터 끌어당겨진다(도 2 참조). 도 1b는 팽창된 상태에서 어깨나 몸통 벨트 부분(19)을 나타낸다.
도 2, 3과 3a에서, 시트(10)의 시트 프레임(23)(시트10의 나머지 부분은 도시되지 않음)은 내부에 A-프레임 직립부(24), 발판(26), 수직 관형 프레임(27), 상부 가로대(28) 및 하부 가로대(29)를 포함한다. 배면 벨트 견인근(31)은 발판(26)과 하부 가로대(29)에 장착된다. 팽창기(37) 및 팽창 가능한 몸통 벨트 부분(19)과 직렬 연결하는 띠(16)의 웨브 벨트 푸는 부분(33)을 수용하기 위해 관통하는 통로(32p)를 가지는 인클로저(32)는 프레임(23)의 뒷부분에서 비스듬하게 배치되고 스프링이 달린 수축근(31)에 부착된다. 인클로저(32)의 상측 단부(32e)는 상부 가로대(28)에 부착된다. 인클로저(32)는 측부를 따라 배치되거나 A-프레임 직립부(24)와 일체 성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2는 견인근(31)에서 일부분만 풀리고 감겨있는 웨브 벨트(33)로 버클을 푼 벨트 띠(16)를 나타낸다.
도 3은, 팽창 벨트 몸통 부분(19)의 선택된 일부분이 인클로저(32)를 통해, 인클로저 배출구(32e) 바깥쪽으로, 승객(P)을 가로질러 상승 운동할 때 버클이 채워진 위치에서 띠(16)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에서, 인클로저(32), 통로(32p), 접혀있는 벨트(19)의 통로-수용 벨트 부분(19c), 팽창기(37) 및 웨브 풀림 부분(33)을 나타내었다. 이 구성성분은 인클로저(32)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크기와 모양이 정해진 팽창기(37)와 직렬 연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나타나 있는데 이 실시예에서 스프링이 달린 감아 올리는 릴(31)과 벨트 웨브(33)는 이중(짝) 절연 연장 스프링으로 대체되어서 구속 시스템이 작동될 때 팽창성 벨트 부분(19)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상부 시트 부분(13v')에서 상부 수평 슬롯(38)으로부터 벨트(19')가 빠져나오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상기 슬롯(38)은 장방형 인클로저(32)의 상측 단부(32e)와 인접해 있다.
도 6a와 6b에서는 또다른 장치가 나타나 있는데 여기에서 벨트 부분(19")은 상부 시트 부분(13v")에서 고정 실린더(46)에 장착된 회전할 수 있는 실린더형 유닛(45)에서 수평 직사각형 슬롯(42)으로부터 나온다. 도 6b는 팽창된 몸통 벨트 부분(19")을 도시한다.
도 7a와 7b는 견인근(31), 벨트 리드 웨브(belt lead web)(33), 내부에 부서지기 쉬운 연소재 용기(37f)를 가지는 팽창기(37), 팽창성 벨트 부분(19b,19t) 및 인클로저(32)를 나타낸다. 벨트 부분(19b)은 버클로 죄었을 때 인클로저(32) 안쪽의 벨트 부분이다. 벨트 부분(19t)은 버클로 죄었을 때 인클로저(32) 바깥쪽의 벨트 부분이다. 이 벨트 부분(19b,19t)은 보호되어야 하는 탑승객(P)의 체격 및 체형에 따라 바뀐다. 또 팽창기 스퀴브(squib)(60), 팽창기 매니포울드 챔버(54), 가스 배출구(54h)와 인클로저 출구(32e)에서 인클로저 제한 오리피스(68)가 도 7a에 나타나 있다. 또 컨테이너(37f) 안의 연소재(53)도 나타나 있다. 도 8은 인클로저(32)에 의해 한정될 때 벨트 주름 부분(19f)이 팽창되는 접혀있는 벨트(19)를 나타낸다.
시스템이 작동할 때 인클로저 배출구는 다양한 크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7c에서, 플런저 스템(47s,48s)과 구부려진 플런저 헤드(47h,48h)를 포함하는 대향한 플런저(47,48)는 스프링(49,50)에 의해 서로를 향해 압박된다. 플런저 스템(47s,48s)과 스프링(49,50)은 인클로저 단부(32e)에서 리세스(51,52)에 장착된다. 헤드(47h,48h)는 부분(19b,19t)을 포함하는 벨트(19)에 반해 압박된다. 벨트(19) 내에 기압이 발생될 때, 이 기압은 플런저(47,48)가 서로에 대해 멀리 움직이도록 하여서 기체가 인클로저(32) 바깥쪽으로 배출되어 벨트 부분(19t)으로 흐르도록 한다. 기압이 더 커질수록 플런저(47,48)는 더 멀리 움직인다.
도 7d와 7e는 오리피스(68) 크기를 바꾸기 위한 다른 장치를 나타내는데 여기에서 플래퍼(flapper)(56,57)는 스프링(56s,57s)에 의해 서로를 향해 압박되고 핀(56p,57p) 둘레에서 회전한다.
실제로, 전술한 오리피스 변환 장치는 팽창하는 동안 내부 벨트 부분(19b)과 인클로저 단부(32e)에서 일정 압력 밸브 작용을 달성하도록 작동한다.
도 9와 10은, 도 4에 나타낸 실시예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도면인데 팽창기(37')는 스프링(34')에 부착된다. 스프링(34')은 비교적 약해서 탑승객(P)은 약한 힘으로 벨트(19)를 끌어당길 수 있다. 충돌시에 탑승객(P)을 구속하도록 시스템이 작동할 때 스프링(34)의 추가 신장 및 파괴를 막기 위해서 여러 로킹 장치(70) 중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브-민감성" 잠금 견인근이 적용될 수 있고 도 4에 나타낸 장치인 경우에, 벨트를 감아 올리는 릴 대신에 스프링을 적용하거나, 로킹 장치(70)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것은 인클로저(32') 벽(63a,3b)에 톱니 모양 부분(61s,62s)을 포함한다. 스템(65s,66s)과 헤드(65h,66h)를 갖춘 잠금 핀(65,66)은 부싱(75,76) 내에 수용되는데 잠금 핀(65,66)은 시스템이 작동할 때 기압에 의해 바깥쪽으로 움직인다. 스템(65s,66s)은 로크 핀 헤드(65h,66h)에 작용하는 기압이 핀(65,66)을 바깥쪽으로 움직일 때 팽창기(37')를 고정하도록 인클로저(37')의 벽(73a,73b)에서 톱니 모양 부분(61s,62s)과 맞물린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팽창기와 몸통 벨트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인클로저-통로 유닛은 차량 프레임에 놓인다. 또 이것은 지붕 레일과 나란히 차량 내에 배치될 것이다. 탑승객(P')은 차량 기둥(93)에 장착된 인클로저(92) 내에 수용되는 팽창성 몸통 벨트 부분(90)에 의해 보호된다. 몸통 벨트 부분(90), 팽창기(96)와 리드 벨트 웨브(97)는 도 2와 3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클로저(92) 내에서 왕복 운동한다. 견인근(98)도 나타나 있다. 또, 도 4에 나타낸 견인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2에 구속 시스템(101)이 나타나 있는데 이 시스템은 차량 디자인을 최소 수정해서 차량 내 탑승객(P)에게 알맞게 쉽게 설치될 수 있다. 벨트 구속 시스템(101)은 차량 바닥(103)에 장착된 벨트 띠를 감는 릴(102)을 포함한다. 벨트 팽창을 억제하기 위한 인클로저(105)는 브래킷(106a,106b)이나 다른 알맞은 장치에 의해 차량 시트에 부착할 수 있다. 또 버클 텅(21')이 나타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시스템을 작동할 때, 탑승객(P)은 시트(10)에 착석하고 우측에서 좌측으로 무릎을 가로질러 끌어당기도록 버클 텅(21,21')을 당긴다. 무릎을 가로질러 버클 텅 유닛(21,21')을 끌어당길 때, 벨트 띠(16)의 팽창부는 인클로저(32)로부터 일부 끌어당겨지고 비팽창성 무릎 벨트 부분(20)은 대부분의 띠(16)가 견인근(31) 밖으로 나올 때 릴 견인근(36)으로부터 끌어당겨진다. 띠(19)의 벨트 부분이 인클로저(32)에서 끌어당겨지고 서로 직렬 연결될 때 띠 웨브(33)는 견인근(31)에서 끌어당겨진다. 몸통 벨트 부분(19)이 버클로 죄는 동안 탑승객(P)에 의해 끌어당겨질 때, 팽창기(37)와 풀린 웨브(33)는 인클로저(32)로 상승 운동한다. 무릎을 가로질러 버클 텅(21)을 끌어당긴 후에, 버클 텅(21)은 시트측 앵커(22)에 삽입된다.
버클로 죄었을 때, 몸통 벨트 부분(19)은 인클로저(32) 안쪽에 벨트 부분(19b)을 가지고 인클로저(32) 바깥쪽에 다른 벨트 부분(19t)을 가진다. 벨트 부분(19t)은 탑승객의 몸통을 가로질러 배치된다. 버클로 죄어 주기 위해서 견인근(36)으로부터 끌어당겨진 비팽창성 벨트 부분(20)과 인클로저(32)에 대해 팽창성 벨트 부분(19)을 위치 설정하고, 견인근(31)으로부터 띠 웨브(33)를 끌어당기는 것은 탑승객(P)의 체격과 체형에 따라 달라진다. 버클 텅(21)이 앵커(22)에서 풀리고 견인근 릴(31,36)이 각각의 벨트 부분을 감아 올릴 때, 팽창기(37)는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견인근 릴(31)을 향해 인클로저(32)에서 아래쪽으로 움직인다.
도 3에서, 차량이 충돌하여 감속할 때, 기체가 구멍(54h) 밖으로 흘러나와 팽창성 벨트(19)의 벨트 부분(19b) 안으로 흐르도록 하는 매니포울드(54)에 기체를 생성하는 연소 불꽃 물질(53)을 만들도록 팽창기(37)는 작동된다. 인클로저(32)에 남아있는 팽창성 쇼울더 벨트(19) 부분(19b)은 구조적으로 단단한 인클로저(32)의 경계 이상의 많은 양을 팽창시킬 수 없다. 접혀있는 벨트 부분(19b)은 인클로저(32)를 채우도록 일부만 팽창할 것이다(도 8). 인클로저(32e)의 상측 배출 단부와 벨트 텅(21) 사이의 몸통 벨트 부분(19t)의 나머지 길이는 팽창되어서 탑승객이 구속될 때 탑승객(P)을 시트(10)에서 뒤쪽으로 끌어당긴다.
고기압(예20,000 lb./in2)이 팽창기(37) 내에서 형성되어서 기체는 팽창기(37) 밖으로 나와 매니포울드 구멍(54h)을 통해 접혀있는 벨트 부분(19b)안으로 이동하고 인클로저 단부(32e)에서 제한 오리피스(68)를 향해 흐른 후 완전 팽창하는 벨트 부분(19t) 안으로 흐른다. 탑승객(P)의 몸통을 가로질러 배치될 때, 벨트 부분(19t)은 비교적 저압으로 팽창된다(즉 15 lb/in2). 인클로저(32)에서 접혀있는 벨트 부분(19b)의 기압은 팽창기(37)의 고압과 벨트 부분(19t)의 저압 중간 정도이다. 완전히 팽창하는 동안, 벨트 부분(19b)에서 기압은 비교적 중간 정도로 유지된다. 왜냐하면 벨트(19t) 안으로 유입되는 흐름율을 조절하는 매니포울드 오리피스 구멍(54h)의 제어 및 벨트 부분(19t)으로 기체의 흐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인클로저 배출구(32e)에서 오리피스(68) 때문이다.
인클로저(32)에서 팽창기(37)의 위치는 팽창기(37)를 빠져나와서, 벨트 부분(19b), 오리피스(68)에 의해 정해진 벨트 구속 부분을 통하여 탑승객의 몸통을 가로질러 벨트 부분(19t)으로 흐를 때 팽창기(37)에서 배출되는 기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체적을 바꾼다. 팽창기(37)가 인클로저 배출구(32e)에서 더 멀리 떨어져 배치될 때, 팽창기 기체를 수용하는 체적(V1)이 더 크고(도 7a) 팽창기(37)가 인클로저 배출구(32e)에 보다 가까이 배치될 때 체적(V2)은 더 작아진다(도 7b). 따라서, 소인이 시트(10)에 벨트로 고정될 때, 인클로저(32)에서 끌어당겨지는 몸통 벨트 부분(19b)의 양은 더 작다. 또, 팽창성 벨트 부분(19)의 길이는 일정하므로- 이 길이는 비팽창성 무릎 벨트(20) 인클로저(32)(도 4b)와 인접한 벨트 단부(19a)와 팽창기(37)에 의해 측정된다- 인클로저(32) 바깥쪽으로 팽창되는 벨트 부분(19t)의 길이는 소인에게는 보다 짧다. 그리고, 소인에 대해 벨트 부분(19b)의 팽창 부분 안으로 기체가 흐를 때 팽창기 기체를 수용하는 인클로저(32)에서 체적 V1은 더 크다. 팽창기(37)에 의해 발생되는 기체 양은 일정하므로, 인클로저(32) 내 압력은 큰 체적에 대해 팽창하는 동안 주어진 시간에 보다 적다.
본 발명은, 탑승객이 안전 벨트를 맬 때 팽창성 벨트(19)를 더 많이 밖으로 끌어당겨야 하는 대인용에 적합한데, 팽창기에 의해 발생되는 기체를 수용하도록 더 작은 인클로저 체적 V2를 유지하므로 주어진 시간에 보다 완전하게 대인을 구속하는 벨트(19t)의 긴 부분을 팽창시키기 위해서 팽창하는 동안 주어진 시간에 더 압력은 더 높아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정해진 길이의 팽창성 몸통 벨트 부분의 위치 설정을 바꾸고 탑승객을 구속하도록 위치 설정된 주어진 시간에 몸통 벨트 부분(19t) 안으로 흐르는 팽창기 기체 양을 바꾸어줌으로써 탑승객을 보호한다.
본원에 기술한 벨트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하기 과정에 의해 소인 및 대인에게 알맞게 착석한 탑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
1) 탑승객 시트에 인접해 통로 인클로저를 배치한다;
2) 두 개의 단부를 가지는 선택된 길이의 팽창성 벨트를 제공하는데 이 벨트는 대인을 보호하기에 충분히 길고 소인 탑승객을 보호할 때 인클로저에서 끝나도록 충분히 짧다;
3) 통로 인클로저에서 몸통 벨트의 한쪽 단부를 인클로저 안으로 뻗어있는 벨트 길이 앵커 장치에 연결하고 팽창하였을 때 탑승객을 보호할 수 있도록 벨트를 배치하고 지지하도록 몸통 벨트의 다른 단부를 앵커에 고정한다;
4) 충돌하여 감속할 때, 팽창기에서 인클로저에 위치한 몸통 벨트 부분으로 기체가 유입되는데 이 기체는 인클로저 바깥쪽에서 나머지 몸통 벨트를 통해 흐르고 팽창부분은 탑승객의 몸통을 보호한다.
작동될 때 기체 팽창기는 단위 시간 당 정해진 양의 기체를 생성하고 체격이 큰 사람은 탑승객을 보호하는 긴 벨트 부분을 팽창시키도록 더 많은 양의 기체를 필요로 하므로, 상기 방법은 이 기체의 소량이 인클로저에서 벨트 부분(19b)에 유지되는 동안 체격이 큰 사람의 필요에 알맞게 충분한 양의 기체를 제공함으로써 대인을 보호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체격이 작은 탑승객을 보호하는 벨트 부분에 단위 시간 당 소량의 기체를 공급함으로써 소인을 보호하는데 팽창에 의해 발생된 나머지 기체는 작동할 때 인클로저(32)에서 벨트의 큰 부분(19b)에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팽창기에 의해 생성된 기체 체적을, 중간 충전 압력에서 단시간 동안 유지되는 인클로저 내 팽창 벨트 부분과 보호 압력에서 유지되는 탑승객 몸통을 보호하는 인클로저 바깥쪽의 팽창성 벨트 부분으로 나눈다. 이런 분할 방법은 인클로저 내외 벨트 부분의 상대 체적과 탑승객을 보호하도록 위치 설정된 벨트 부분을 팽창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기간동안 팽창기에서 기체의 배출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압력과 체적의 합계는 팽창기의 일정한 출력과 공동작용하도록 거의 일정하다.

Claims (27)

  1. 체격이 크거나 작은 탑승자를 모두 보호하는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에 있어서,
    a) 두 개의 단부가 고정된 무릎 벨트 부분과 하나의 단부는 제 3 앵커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단부는 무릎 벨트에 고정된 두 개의 단부를 가지는 정해진 길이의 팽창성 몸통 부분을 포함하는 세 개의 앵커를 가지는 직렬 팽창성 벨트 띠 장치로 구성되는데; 정해진 길이의 몸통 부분은,
    ⅰ) 탑승자 몸통을 가로지르는 제 1 팽창성 부분을 가지는데 이 부분은 체격이 큰 사람에 대해서는 보다 길고 체격이 작은 사람에 대해서는 보다 짧으며;
    ⅱ) 실질적 팽창으로부터 유지되는 제 2 팽창성 부분을 가지고;
    b) 실질적인 팽창으로부터 제 2 벨트 부분을 유지하고 제 1 팽창 부분이 쉽게 팽창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 벨트 부분 제한 장치로 구성되는데, 이 제한 장치는 팽창성 벨트 띠가 통과하는 출구를 가지며;
    c) 선택된 체적의 기체를 생성해 제 2 팽창성 벨트 부분으로 유입하기 위한 팽창 장치로 구성되는데 기체는 제 2 부분을 통해 제한 장치의 출구 밖으로 흐르고 제 1 부분으로 이동하며,
    (1)제 1 팽창부분의 길이는 체격이 큰 탑승자에 대해서는 보다 길고 제 2 팽창부분은 체격이 큰 탑승자에 대해서는 보다 짧으며 (2)팽창성 제 1 부분의 길이는, 체격이 큰 탑승자에 대해 배치될 때 팽창성 제 1 부분으로 더 많은 양의 기체를 공급하고 체격이 작은 탑승자에 대해 팽창성 제 1 부분으로 더 작은 양의 기체를 제공하도록 체격이 작은 탑승자에 대해서는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팽창성 부분은 차량이 급감속할 때 잠글 수 있는 견인근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팽창기는 제한 장치에 왕복 운동할 수 있게 배치되고 제 2 팽창성 부분의 고정 단부와 직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팽창기는 제 2 팽창 부분에 직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제한 장치와 팽창기는 탑승객에 의해 몸통 벨트가 제한 부분 밖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팽창기에서 기체가 생성될 때 팽창기를 제한 장치로 고정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생성된 기체는 잠금 장치가 팽창기를 제한 장치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제한 장치는 연장된 통로 인클로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잠금 장치는 로크를 형성하도록 팽창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리세스로 연장할 수 있는 돌출부와 통로 인클로저에 다수의 리세스를 포함하므로 몸통 벨트는 탑승객에 의해 통로 인클로저에서 더 멀리 움직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직렬 팽창성 벨트 띠의 제 1 부분은 탑승객의 몸통을 가로질러 쉽게 배치할 수 있는 위치에서 차량에 제한 장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제한 장치는 하나의 횡단면을 가지는 벨트 띠 인클로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오리피스 포트는 인클로저의 횡단면보다 작은 횡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배출 오리피스 포트의 횡단면은 바뀔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배출 오리피스 포트의 횡단면은 가동성 클로저 수단에 의해 바뀌고 상기 배출구는 기압에 의해 횡단면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시스템.
  13. 탑승자의 몸통을 보호하는 차량 구속 시스템에 있어서,
    (a) 상측 단부를 갖춘 등 부분과 두 개의 측부를 가지는 시트를 갖춘 차량 시트;
    (b) 탑승자의 무릎과 몸통을 가로질러 뻗어있는 직렬 벨트 띠로 구성되고, 이 띠는 탑승자가 차량으로 들어가서 시트에 착석하고 벨트를 맨 상태에서 몸통을 가로지르고 탑승자의 무릎 위로 무릎 띠가 뻗어있도록 배치되고 조작할 수 있는데, 상기 직렬 띠는,
    ⅰ) 세 개의 앵커와 시트의 각 측부에 인접한 앵커를 가지는 세 개의 앵커를 포함하고;
    ⅱ) 시트 측부 앵커에 부착할 수 있는 무릎 벨트를 포함하며;
    ⅲ) 무릎 벨트 부분에 의해 한쪽 단부에서 지지되고 제 3 앵커에 상호연결되는 팽창기에 의해 다른쪽 단부에서 지지되는 팽창성 몸통 부분을 포함하고;
    (e) 두 개의 단부, 즉 제 3 앵커와 이웃한 한쪽 단부와 등 시트 부분의 상측부에 이웃한 다른 단부를 가지고 시트 등 부분과 인접한 인클로저로 구성되는데, 상기 인클로저는 탑승자가 벨트를 매고 푸는 동안 팽창기와 몸통 벨트를 왕복 운동시키고 에워싸며, 이 인클로저는 인클로저 내 팽창부의 팽창을 막도록 크기와 모양이 정해지며;
    체격이 큰 탑승자가 벨트를 맬 때 상부 등 시트 부분과 인접한 상부 인클로저 단부와 보다 가깝게 팽창기와 몸통 벨트 단부를 배치하고 체격이 작은 탑승자가 벨트를 맬 때 팽창기와 몸통은 상부 인클로저 단부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속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제 3 앵커 장치는 팽창 수단과 견인근 사이에 연결된 감을 수 있는 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속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제 3 앵커 장치는 팽창기와 인클로저 사이에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속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감속했을 때 탑승객에 의해 몸통 벨트가 움직이는 것을 막기 위해서 팽창기에 기체가 발생될 때 잠금 장치는 팽창기를 인클로저로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속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생성된 기체는 잠금 장치가 팽창기를 인클로저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속 시스템.
  18. 제 13 항에 있어서, 감속하는 탑승자에 의해 몸통 벨트가 인클로저 밖으로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로크를 형성하기 위해서 팽창 장치로부터 리세스 안으로 팽창할 수 있는 돌출부와 인클로저 안에 다수의 리세스를 포함하는 잠금 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구속 시스템.
  19. 차량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벨트 부분을 팽창시키도록 차량 구속 벨트 부분으로 흐르는 기체 양을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1) 체격이 작은 탑승자에 대해서는 짧은 길이의 벨트를 제공하고 체격이 큰 탑승자에 대해서는 긴 길이의 벨트를 제공해서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배치된 정해진 길이의 팽창성 몸통 벨트를 제공하며;
    2)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배치되지 않은 팽창성 벨트 부분에 인클로저를 제공하는데 상기 인클로저는 벨트의 팽창을 방지하고;
    3) 탑승자의 몸통을 보호하도록 충분한 길이의 벨트를 제공하고 인클로저에 나머지 벨트 부분을 남겨두고 있는 동안 벨트로 탑승자를 고정하며;
    4) 차량이 충돌해서 감속할 때, 인클로저 바깥쪽의 벨트 부분으로 벨트 길이를 따라 흐르는 기체를 인클로저에서 팽창성 벨트 부분 안으로 유입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벨트 부분은 탑승자의 몸통을 보호하는, 기체 양을 조절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몸통 벨트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앵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몸통 벨트가 탑승자에 의해 인클로저 밖으로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기체가 팽창 장치에 생성될 때 팽창 장치를 인클로저에 고정하는 잠금 장치를 구비하고 팽창 장치를 사용해 팽창성 벨트 부분 안으로 기체를 유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생성된 기체는 잠금 장치가 팽창 장치를 인클로저에 고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19 항에 있어서, 인클로저는 연장된 통로 인클로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몸통 벨트가 탑승자에 의해 인클로저 밖으로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잠금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서 팽창 수단에서 리세스 안으로 팽창할 수 있는 돌출부와 통로 인클로저에 다수의 리세스를 포함하는 잠금 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팽창 장치는 제 2 부분의 고정 가능한 단부에 직렬 연결되고 제한 장치에 왕복 운동할 수 있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19 항에 있어서, 인클로저는 하나의 횡단면과 출구를 구비하고 벨트를 매는 동안 상기 출구에서 몸통 벨트가 나오며 이 출구는 인클로저 장치의 횡단면보다 작은 횡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출구 횡단면은 바꿀 수 있고 내부 기압이 증가할 때 출구 횡단면적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7008281A 1997-03-13 1998-03-12 폐쇄 마운트를 포함하는 탑승객 체격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팽창 가능한 몸통 벨트 시스템과 탑승객을 구속하는 방법 KR200000761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815,658 US5851055A (en) 1997-03-13 1997-03-13 Inflatable passenger-size adjustable torso belt system including enclosure mount and method of passenger restraint
US8/815,658 1997-03-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187A true KR20000076187A (ko) 2000-12-26

Family

ID=25218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8281A KR20000076187A (ko) 1997-03-13 1998-03-12 폐쇄 마운트를 포함하는 탑승객 체격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팽창 가능한 몸통 벨트 시스템과 탑승객을 구속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51055A (ko)
EP (1) EP0966371A4 (ko)
JP (1) JP2001515429A (ko)
KR (1) KR20000076187A (ko)
BR (1) BR9808253A (ko)
CA (1) CA2283221A1 (ko)
WO (1) WO19980402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4419A (en) * 1995-11-27 1999-11-16 Lear Corporation Automotive seat back
US6168195B1 (en) * 1997-07-15 2001-01-02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Occupant protecting device
JP3460526B2 (ja) * 1997-09-02 2003-10-27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ベルト装置
JP3500926B2 (ja) * 1997-09-02 2004-02-23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ベルト装置
JP3598781B2 (ja) * 1997-12-03 2004-12-0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ベルト及びエアベルト装置
DE29802925U1 (de) * 1998-02-19 1998-06-18 Trw Repa Gmbh Baugruppe aus einem Gasgenerator und einem Gassack
FR2777518B1 (fr) * 1998-04-17 2000-06-16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Armature de dossier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JP2002518235A (ja) * 1998-06-18 2002-06-25 ユニヴァーサル プロパルジョン 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外側ベルト部分内に膨張可能な部分を有するベルト式拘束装置及び拘束方法
US6045186A (en) * 1998-12-04 2000-04-0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High tension back frame for vehicle seat assembly
US6056366A (en) * 1999-02-26 2000-05-02 Lear Corporation Composite back frame for a vehicle seat and method for distributing seat belt loads
US6237945B1 (en) 1999-02-26 2001-05-29 Lear Corporation Passenger restraint system
JP3888009B2 (ja) * 1999-10-28 2007-02-2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ベルト及びエアベルト装置
US6406058B1 (en) 1999-11-18 2002-06-18 Universal Propulsion Co., Inc. Inflatable safety restraint system
US6279945B1 (en) * 2000-01-07 2001-08-28 Autoliv Asp, Inc. Guide fitting for inflatable vehicular safety belt
JP4458387B2 (ja) * 2000-02-28 2010-04-28 タカタ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タブルシートベルト装置
US6382666B1 (en) 2000-03-13 2002-05-07 Universal Propulsion Company, Inc. Arrangement for providing deployment of inflatable member coaxially with safety belt portion and related method
US6709063B1 (en) * 2000-06-15 2004-03-23 Keiji Furukawa Automobile seat belt structure and assist apparatus thereof
FR2812596B1 (fr) * 2000-08-04 2002-10-31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Dossier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US6267426B1 (en) 2000-08-29 2001-07-31 Johnson Controls Tech Co Seat assembly
GB2369804B (en) * 2000-10-19 2003-10-22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device
JP4530556B2 (ja) * 2001-03-02 2010-08-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乗員保護装置
US20020171233A1 (en) * 2001-05-18 2002-11-21 Grace Gregory B.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occupant protection
US6655745B2 (en) 2001-08-23 2003-12-02 H.O. Bostrom Company, Inc. Emergency vehicle seat with integrated seat belt
US6705641B2 (en) 2002-03-08 2004-03-16 Autoliv Asp, Inc. Inflatable seat belt system
DE10341745A1 (de) * 2003-09-08 2005-03-31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Gurtintegralsitz eines Kraftfahrzeuges
US7377590B2 (en) * 2004-02-26 2008-05-27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School bus passenger seat with energy absorbing occupant restraint
US7195092B2 (en) * 2004-02-27 2007-03-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Occupant restraint system incorporating rotatable seat back
US20060049617A1 (en) * 2004-09-03 2006-03-09 Mowry Gregory A Inflatable tubular or other cushions particularly useful for torso protection
JP4735078B2 (ja) * 2005-06-28 2011-07-27 タカタ株式会社 乗員拘束ベルト及び乗員拘束装置
JP4775032B2 (ja) * 2005-09-26 2011-09-21 タカタ株式会社 乗員拘束装置
JP4513719B2 (ja) * 2005-10-28 2010-07-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ベルト装置
DE102006003794B4 (de) * 2006-01-25 2008-07-10 Autoliv Development Ab Sicherheitssystem
JP4174514B2 (ja) * 2006-02-09 2008-1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ベルト装置
JP4650340B2 (ja) * 2006-05-18 2011-03-1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US7789460B2 (en) * 2007-03-02 2010-09-07 Syntec Seating Solutions, Llc Seat assembly for a vehicle
DE102008045999A1 (de) * 2007-12-10 2009-06-18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Kraftfahrzeugsitz mit einer Rückenlehne und einer Gurtumlenkung
US7980590B2 (en) 2008-03-19 2011-07-19 Amsafe, Inc. Inflatable personal restraint systems having web-mounted inflator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US7665761B1 (en) 2008-03-27 2010-02-23 Amsafe, Inc. Inflatable personal restraint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JP4380778B1 (ja) 2008-11-11 2009-12-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乗員拘束装置
DE102010049201A1 (de) * 2010-10-18 2012-04-19 Keiper Gmbh & Co. Kg Fahrzeugsitz
US8469397B2 (en) 2011-04-13 2013-06-25 Amsafe, Inc. Stitch patterns for restraint-mounted airbag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8439398B2 (en) 2011-07-29 2013-05-14 Amsafe, Inc. Inflator connectors for inflatable personal restrai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511866B2 (en) 2012-03-19 2016-12-06 Amsafe, Inc. Structure mounted airbag assembl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8523220B1 (en) 2012-03-19 2013-09-03 Amsafe, Inc. Structure mounted airbag assembl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JP6064733B2 (ja) * 2013-03-27 2017-01-25 マツダ株式会社 後席シートバックのベルトガイド
US9352839B2 (en) 2014-10-02 2016-05-31 Amsafe, Inc. Active positioning airbag assembly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944245B2 (en) 2015-03-28 2018-04-17 Amsafe, Inc. Extending pass-through airbag occupant restraint system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925950B2 (en) 2015-04-11 2018-03-27 Amsafe, Inc. Active airbag vent system
US10604259B2 (en) 2016-01-20 2020-03-31 Amsafe,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s having extending restrai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JP6254634B2 (ja) * 2016-03-31 2017-12-27 株式会社Subaru 乗員保護装置
WO2017214519A1 (en) * 2016-06-10 2017-12-14 Key Safety Systems, Inc. Tray table airbag assembly
US10144381B2 (en) * 2017-01-03 2018-12-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impact energy absorber including inflatable webbing
US10882426B2 (en) * 2018-08-20 2021-01-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belt system
KR102614153B1 (ko) * 2018-11-26 2023-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승객 머리 보호용 에어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071B2 (ko) * 1972-08-23 1981-03-05
US3970329A (en) 1973-01-10 1976-07-20 Allied Chemical Corporation Inflatable band restraint stitching
US3866940A (en) 1973-01-11 1975-02-18 Allied Chem Differentially inflatable restraining band for vehicles
JP3057115B2 (ja) * 1991-10-21 2000-06-26 タカタ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タブルシートベルト装置
JP3057116B2 (ja) * 1991-10-21 2000-06-26 タカタ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タブルシートベルト装置
US5465999A (en) * 1994-06-30 1995-11-14 Takata Corporation Inflatable seat belt having defined sha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51055A (en) 1998-12-22
BR9808253A (pt) 2000-05-16
WO1998040247A1 (en) 1998-09-17
CA2283221A1 (en) 1998-09-17
EP0966371A4 (en) 2004-08-04
EP0966371A1 (en) 1999-12-29
JP2001515429A (ja) 2001-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6187A (ko) 폐쇄 마운트를 포함하는 탑승객 체격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팽창 가능한 몸통 벨트 시스템과 탑승객을 구속하는 방법
US6705641B2 (en) Inflatable seat belt system
US5913536A (en) Air bag module
US5788282A (en) Safety belt adaptor for belt adjustment for vehicle occupants and method of operation
JP4582678B2 (ja) エアバッグとエアバッグの展開方法
US6142511A (en) Inflatable passenger restraint and inflator therefor
US7322603B2 (en) Seat belt system including an airbag
US20020117835A1 (en) Inflatable knee bolster with external, tethering
US20100308567A9 (en) Airbag system
JP2000185623A (ja) エアベルト装置
EP1640223A2 (en) Occupant protection system
US10604259B2 (en) Occupant restraint systems having extending restrai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JP3741850B2 (ja) 乗員拘束装置
KR20000016636A (ko) 무릎의 팽창성 백과 사용 방법
GB2345669A (en) Roof mounted air-bag
US20190315470A1 (en) Adjustably positionable airbag assembl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20210146879A1 (en) Safety Device
US6679520B2 (en) Vehicular air belt system
US6409212B1 (en) Belt system for restraining a vehicle occupant
JP4122904B2 (ja) 乗員保護装置
EP0967904A1 (en) Seat belt and belt adaptor for small passenger auto seat
JP2000512588A (ja) ラップ部取り付け型膨張可能バッグ及びその使用方法
KR100616003B1 (ko) 차량용 시트벨트 구조
KR100622421B1 (ko) 차량의 시트벨트
JPH10278716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