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6028A - 저성분의 카운트 해제 매커니즘 - Google Patents

저성분의 카운트 해제 매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6028A
KR20000076028A KR1019997008114A KR19997008114A KR20000076028A KR 20000076028 A KR20000076028 A KR 20000076028A KR 1019997008114 A KR1019997008114 A KR 1019997008114A KR 19997008114 A KR19997008114 A KR 19997008114A KR 20000076028 A KR20000076028 A KR 20000076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blade
rigid
free end
electrically contro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8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4854B1 (ko
Inventor
파웰사이먼
Original Assignee
그린부룩 일렉트리컬 피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부룩 일렉트리컬 피엘씨 filed Critical 그린부룩 일렉트리컬 피엘씨
Publication of KR20000076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8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7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piezoelectric, electrostrictive or magnetostrictive trip uni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10N30/204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using bending displacement, e.g. unimorph, bimorph or multimorph cantilever or membrane benders
    • H10N30/2041Beam type
    • H10N30/2042Cantilevers, i.e. having one fixed end
    • H10N30/2044Cantilevers, i.e. having one fixed end having multiple segments mechanically connected in series, e.g. zig-zag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7/00Electrostrictive relays; Piezo-electric relays

Landscapes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Micromachines (AREA)

Abstract

전기 제어식 엑튜에이터는 금속판을 U자 형상으로 프레스하여 형성된 2개의 평면형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어느 한 블레이드(60)의 단부는 엑튜에이터 마운트용으로 사용되고, 다른 블레이드(85)의 단부는 작동면으로 사용된다. 피에조 세라믹 부재는 고정면에 대해 작동면을 구부리기 위해 2개의 블레이드의 반대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엑튜에이터에 통합되는 전기 릴레이 또는 잔류 전류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저성분의 카운트 해제 매커니즘{LOW COMPONENT COUNT RELEASE MECHANISM}
피에조 세라믹 디바이스들의 동작은 다층 구조물을 사용하는 것을 통해서 증진될 수 있었는데, 다만 각 층과, 힘의 손실과 불균형적인 동작 획득 사이에 중대한 효율 손실이 있다. 신호 전달과 광반사 용도로 매우 얇은 층들을 사용하게 되면 매우 큰 동작이 생성되지만, 이러한 접근은 얇은 부재들이 하중에 의해 왜곡되어 그의 기능을 상실하기 때문에 마찰력과 다른 힘들을 극복해야만 하는 매커니즘 용도로는 수용되지 않는다. 강체의 증폭 링크들을 사용하는 것은 벤더(bender) 성분의 초기 동작과 비교해서 피봇에서의 손실이 크기 때문에 수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힘의 손실없이 동작을 증폭시키고, 또한 피봇과 이에 결합된 링크들을 최소화하면서 동작과 해제 기능을 결합시키는 시도가 있다. 부가적으로, 상업적으로 생존가능한 매커니즘을 제공하기 위해서, 전체 디바이스는 조밀하면서 견고해져야 한다.
피에조(piezo) 세라믹 구조물들은 견고하고 크기가 작으면서 고정밀도로 동작하는 제품에 사용되어 왔다. 보다 넓은 적용을 한정하는 인자는 동작 수준이 제조 공차가 지탱할 수 있는 매우 낮으면서 중간 정도의 비용보다 일반적으로 작다는 것이다. 또한, 정밀 기계를 사용하는 것은 디바이스를 매우 고가화시키므로써 부가된 용도들의 보다 높은 가치로 한정된다.
본 발명에 따라 2개의 세라믹 부재로 구성되면서 단층 세라믹과 금속 구조물 내부에서 작동면의 큰 편향을 생성하는 2개의 블레이드를 갖는 엑튜에이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을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기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엑튜에이터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엑튜에이터의 여러 가지 작동 조건을 나타낸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엑튜에이터를 바람직하게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기본 도식도.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에 도시된 엑튜에이터의 바람직한 용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성분들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엑튜에이터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엑튜에이터의 적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엑튜에이터의 적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복수개의 엑튜에이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을 참조로, U자 형상으로 배열된 2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된 평면형 작동 부재(5)가 제공된다. 각 엑튜에이터의 블레이드는 가요부(10)와 강체부(15)를 포함한다. 강체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들을 접어서 부재의 두께를 변경하거나 또는 강체의 측면에 엠보싱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조될 수 있다. 가요부는 평행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다른 동작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각이 질 수도 있다. 각 가요부(10)는 적당한 전원에 연결된 피에조 세라믹 부재(12,13)에 적당한 방법으로 접착되는데, 피에조 세라믹 부재는 그의 절연 특성이 파괴되지는 않으면서 수축을 일으킬 정도로 충분한 단펄스의 전압을 방전시킬 수 있다. 현재의 세라믹 기술 관점에서, 최대 방전 전압은 부재의 500 내지 1,000V/㎜이다.
피에조 세라믹 부재에는 폴링(poling)이라는 제조 공정중에 전기가 충전된다. 이러한 공정 결과로 알 형태의 부재 분자들은 전기장에 응답하여 한 방향으로 정렬된다. 결과적으로, 부재의 크기가 전압이 인가되지 않고 분자들이 임의의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인가된 전압에 의해 변경된다. 폭보다 길이가 길면서 깊이보다 폭이 긴 부재의 평면부는 이러한 조건하에서 연장된다. 이러한 부재의 평면부를 금속박판과 같은 견고한 베이스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서, 자동으로 온도가 조절되는 바이메탈과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신축 작용에 의해 곡률 형상으로 전환된다. 가요성이 증가하는 것과 같이, 세라믹은 제 1 가요부(12)의 전면과 제 2 가요부(13)의 후면에 부착된다.
실시예에 도시된 각 부분의 극성은 동일한 전극이 블레이드에 접촉하여, 전도성 부재로 제조되는 블레이드가 충전과 방전 공정용인 하나의 전극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분할된 면의 외측면은 동일극이 되고, 원한다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서, 세라믹 부분들은 그를 가로지르는 전압과 그의 극성에 비례하여 신축하게 된다.
엑튜에이터의 가요부는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의 측면을 도시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로 하여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엑튜에이터는 적당한 고정된 표면인 지점(60)에 고정된다. 도 2A에서는 작동부들이 구동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2B에서는 전압이 제 1 가요 부재에 인가되어 세라믹이 수축하면서 구부러진 것을 도시하고 있다. 곡선부의 단부 변위는 초기 변위(d1)를 일으키는 강체부에 의해 증폭된다. 엑튜에이터의 제 2 가요부는 제 1 가요부에 만곡부(35)에 의해 견고히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 2 가요부는 제 1 가요부의 빔 단부와 동일한 각도를 이루게 되므로써, 직선부가 곡률 반경과 접선을 이루게 된다. 도 2C는 동일 전압이 제 2 세라믹 부분에 인가되어 그의 다리부가 구부러진 것을 도시하고 있다. 세라믹의 제 2 다리부가 조립체의 타측상에 있기 때문에, 단일 다리부의 변위 2배인 U자 형상의 자유단 변위(d2)를 일으키는 2개의 만곡이 합쳐지게 된다. 길이 비율을 변형하여 특정한 적용에 적합한 힘과 변위의 다른 균형을 생성할 수 있다.
전술된 공정은 절대 운동이 아니라 강체인 전체 빔 조립체를 변화시키는 상대 운동을 생성한다. 따라서, 자유단(85)의 시점과 종점은 휘어진 면에서 초기 하중에 의해 규정된다. 하중을 변경하는 것은 빔을 구부러지게 한다. 제조 공차내로 유지하는 것을 달성하기 위해, 엑튜에이터에는 구부러진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하중이 인가되어야 한다.
도 3A와 도 3B에 피봇 링크(27)가 매우 간단하게 배열된 것이 도시되었는데, 피봇 링크는 엑튜에이터(5)가 작동하지 않을 때, 도 3A에 도시된 하중(29)에 의해 지지된 빔이 되는 압축 부재를 형성할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작동중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첨단부가 빔의 단부로부터 멀리 이동하여 피봇(28)을 중심으로 빔의 단부가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구조는 부피가 커진다는 단점은 있지만, 성분들이 서로 수직하게 위치되게 한다.
매커니즘의 전체 부피를 줄이기 위해서, 다른 배치 구조가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어(sear:90)가 제공된다. 시어(90)는 적당한 방법으로 제조된 축(71), 축과 중심이 일치하는 역회전 방지용 톱니(pawl tooth:73) 및 또한 축과 중심이 일치하는 제동면(74)을 갖는다.
축(71)은 제 1 탄성 빔(30)에 연결되는데, 제 1 탄성 빔은 스프링(78) 또는 원래부터 굴곡성을 갖는 부재와 같은 에너지원에 의해 위치 A에 바이어스(bias)된다. 위치 A는 "오프"로 명해진다.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는 제 1 빔(30)보다 스프링 바이어스가 강한 제 2 탄성 빔(41)이 제공된다. 2개의 빔이 도 4B에 도시된 위치를 통해서 피봇 결합된다면, 스프링의 합산력은 피봇암(30)을 도 4C에 도시된 위치 B, "온"으로 명해지는 위치로 이르게 한다. 도 4B에 도시된 시어 상부에 있는 역회전 방지용 톱니(73) 하부를 지나가도록 위치된 제 2 암(41)은 그의 한 부분에 디텐트 톱니(75)를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피에조 세라믹 액튜에이터(5)는 빔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자유단을 갖는 제 2 탄성 빔(41)에 부착되어서, 제 2 빔의 선회축에 방사상이 되면서 축의 축방향에 접선을 이루게 된다. 도 4C에 도시된 구조에서, 디텐트 톱니(75)는 시어의 축 전면에 있고 엑튜에이터 팁은 그의 하부에 있게 되어, 디텐트 톱니는 엑튜에이터 팁상에 압축력을 가하는 회전을 전달한다. 엑튜에이터는 이러한 힘이 너무 작아서 엑튜에이터 다리부가 휘어지지 않을 정도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4A에서, 피봇암은 암(41)으로부터 자유롭고 따라서 "오프" 위치로 바이어스된다. 시어는 피봇암에 대체로 직교하는 스프링에 의해 바이어스된다. 한편, 시어에는 도 4B의 조건에 따른 위치로 시어를 회전시켜 접근하게 하는 보조 캐밍면(camming face)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4B에서, 디텐트 톱니(75)가 시어(73)의 역회전 방지용 톱니 위를 지나는 동안, 제 2 암은 일반적인 방법, 즉 손이나 다른 힘에 의해 눌려지게 된다. 축으로부터 제동면까지의 반경은 이러한 위치에서 시어 축으로부터 엑튜에이터(85)의 팁까지의 반경보다 길다. 티텐트 톱니의 상부 통로에서 역회전 방지용 톱니가 롤링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티텐트 톱니에 의해 역회전 방지용 톱니가 완전히 통과하게 되는 치합 위치에 도달하면, 시어는 회전하고 엑튜에이터의 팁은 제동면(74)에 반하여 낙하하게 된다.
2개의 암을 치합시키는데 사용된 작동력이 해제되면, 제 2 암의 스프링력은 2개의 암을 평행사변형 형태가 되게 하므로써, 시어는 제동면에 대한 엑튜에이터의 존재 때문에 회전할 수가 없게 된다. 제 1 빔은 이제 "온" 조건이 되고, 이 조건이 도 4C에 도시되어 있다.
도 4D에서, 매커니즘은 엑튜에이터의 팁(85)이 제동면(74)을 제거하도록 함과 아울러 시어의 역회전 방지용 톱니(73)를 티텐트 톱니(75)로부터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매커니즘을 붕괴시킬 정도로 충분한 엑튜에이터(5)의 굴곡에 의해 해제된다.
비록 피봇과 강체부가 도식적으로 도시되었지만, 이것은 설명을 위한 것이다. 도 5A는 엑튜에이터(5), 해제면(85), "온" 스프링(42) 및 티텐트 톱니(75)가 어떠한 방법으로 하나의 금속판을 프레싱하여 형성될 수 있는지를 도시하고 있고, 반면에 도 5B는 제 1 빔(30)과 그의 스프링 기능(78)이 다른 하나의 성분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지를 도시하고 있다.
전기 보호용으로 이러한 디바이스를 사용하게 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점들을 개폐하는 간편한 수단을 제공하면서, 매커니즘 그 자체용 고정부를 지탱하는 몰딩 또는 회로판을 포함하는 피봇암은 절연 브릿지에 의해 결합된 2개의 단일 전도성 빔이 될 수 있는데, 절연 브릿지는 제 1 빔(30)상에 있는 이동 접촉점(33)과 전유물로서 비접촉 부분상에 형성된 고정 접촉점(34)을 갖는 것에 의해 시어에 연결된다.
피에조 세라믹 엑튜에이터(5)와 제동면(85)간의 계면에 대한 접선 각도를 도입하는 것에 의해서, 조립체를 원래부터 불안정하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므로, 빔의 강도를 높이면서 디바이스의 리셋을 허용하기 위해 피에조-세라믹 성분에 전원이 인가되어야만 한다.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는 도 6에 도시된 포크나 다리부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보다 강한 강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 경우에, 엑튜에이터는 금속판 또는 유사한 강성 부재을 프레싱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도 1 및 도 6에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매겨지고,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단부면(85)은 직사각형 구조물의 단부벽 하나로 형성되는데, 직사각형 구조물의 측벽은 2개의 텅(tongue:62)에 의해 형성되고, 도면부호 15인 반대되는 측벽은 도 1에 관하여 개시된 방법에 의해 강성이 강화된다.
중앙 텅(63)의 단부(60)는 이러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전술된 바와 같이 고정되는데, 중앙 텅(63)은 측벽을 형성하는 텅(62)보다는 짧다. 측벽을 형성하는 텅(62) 상부에 있는 피에조 세라믹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동일 평면상에 있고, 반면에 중앙 텅(63) 상부에 있는 피에조 세라믹은 반대편에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양방향으로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도 1에 도시된 엑튜에이터보다 보다 높은 강성을 갖게 한다.
도 1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엑튜에이터 디바이스는 후술될 전자역학 디바이스 용도와 이의 가능한 구조물에 사용될 수 있고, 도 1,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피에조-전기 엑튜에이터 디바이스는 전유물로서 통합될 수도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잔류 전류 디바이스(Residual Current Device:RCD) 또는 지락 전류 지침기(Ground Fault Current Indicator:GFCI)의 기본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피에조-전기 엑튜에이터 디바이스는 도면부호 70으로 나타내어진다.
매커니즘은 플런저(73)을 갖는 푸시 버튼 형태의 세팅부가 통과하는 지지면(71)을 포함한다. 푸시 버튼(72)을 스프링(74)에 의해 상부로 바이어스된다.
플런저(72)의 단부에는 도 7B에 상세히 도시된 걸쇠부(74)가 제공되는데, 걸쇠부는 회전가능하게 마운트된 빔(76)의 단부내에 있는 다른 걸쇠부(75)에 치합되고, 빔은 스프링(77)에 의해 푸시 버튼(72)상에서 바이어스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지지면(71)으로부터 바이어스된다.
피에조-전기 엑튜에이터(70)는 걸쇠부(75)에 고정되고, 또한 도 7B에 도시된 엑튜에이터의 단부(85)내에 있는 어퍼처(80)가 걸쇠부(74)의 단부상에 있는 돌출부(81)를 수용하여 배열되도록, 배치된다.
걸쇠부(74,75)는 표면(74A,75A)에 의해 상호 치합되고, 계면 각도 a는 스프링(74,77)으로 인해 파열력 H가 생성될 정도이다. 엑튜에이터(70)로부터 핀(81)상에 가해지는 파열력 H는 엑튜에이터(70)에 의해 저지되고, 엑튜에이터의 단부(85)는 도 7A의 화살표 Ⅰ 방향으로 이동되어야만 하는데, 이것은 피에조-전기 엑튜에이터(70)이 적당하게 구동되거나 또는 반대로 구동이 정지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RCD 또는 릴레이인 경우에, 이동가능한 접촉점들은 플런저(73)의 이동에 대해 이동되어서 플런저의 연장부에 직접 부착되거나 또는 다른 적당한 매커니즘에 간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스프링(77)은 빔(76) 용도로 원래부터 탄성을 갖는 부재 형태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엑튜에이터를 사용하는 다른 디바이스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엑튜에이터(5)의 단부(85)가 어떠한 방식으로 역학적으로 증폭되는지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2개의 엑튜에이터(5)는 적당한 지지체(80)에 고정되면서 그의 자유단(85)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열된다. 피봇(86)이 지지체(80)와 2개의 암(87)상에 제공되고, 암은 피봇(86)에 마운트된다. 암은 엑튜에이터(5)의 자유단(85)에 치합되도록 배열된 캠 표면(88)을 갖는다.
엑튜에이터(5)들의 동시 작동은 서로를 파지하는 방향으로 암들을 이동하게 한다. 암은 스프링에 의해 제공된 바이어스 또는 엑튜에이터(5)가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는 것에 의해 개방 조건으로 복귀될 수 있다.
전술된 엑튜에이터 구조는 도 9에 도시된 배치 구조로 예를 든 것과 같이, 간편하면서 비용이 저렴한 방법으로 다출력 엑튜에이터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유용하다. 다수의 동일한 엑튜에이터는 스트립(90)의 길이를 따라 연결된 그의 고정 단부(50)를 갖으면서 형성된다. 따라서, 각 엑튜에이터의 자유단(85)은 종이의 평면 내부 또는 외부로 개별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스트립(90)은 설비가 사용되는 용도에 의존하는 엑튜에이터 설비를 편리한 방법으로 마운트하는데 사용된다. 한 예로, 스트립(90)은 점선(9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엑튜에이터의 2개의 고정암 상부 위치에서 구부러져서 엑튜에이터의 단부들이 자유 공간내에 있도록 될 수 있다.
이러한 2개의 설비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다면, 도 8에 도시된 그립퍼와 유사한 다층 그립퍼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엑튜에이터의 기본 구조는 다른 목적으로 설계된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다수의 엑튜에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엑튜에이터는 금속판을 프레스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엑튜에이터는 여러 가지 형상 또는 여러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예로, 2개의 엑튜에이터는 2 방향으로 동작이 제어되는 요도로 형성될 수 있다.

Claims (15)

  1. 다수의 블레이드를 형성하는 평면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각 블레이드에는 기판의 주표면들 각각의 상부에 있으면서 블레이드 길이 범위내에 있는 피에조-전기 세라믹 부재가 제공되며, 어느 한 블레이드의 자유단은 엑튜에이터용 마운팅(60)을 형성하도록 배열되고, 다른 블레이드의 자유단은 엑튜에이터의 작동부(8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어식 엑튜에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U자 형상의 기판을 형성하는 만곡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튜에이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35)는 강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튜에이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85)는 강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튜에이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강체화는 평면 기판의 구부러진 부분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튜에이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기판은 직사각형 형태의 프레임이고, 상기 프레임은 그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중앙 텅(53)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튜에이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텅(63)의 자유단은 엑튜에이터의 마운팅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튜에이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단부들은 강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튜에이터.
  9. 제 1 항에 따른 다수의 엑튜에이터는 모든 기판들용 마운트를 형성하는 공통 레일(90)에 연결된 각각의 마운팅부(6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튜에이터 설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레일(90)에 연결된 블레이드는 블레이드와 레일 사이의 접합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구부러져서, 상기 각 엑튜에이터 부재의 작동부가 자유 공간내에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튜에이터 설비.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다른 전기 제어식 엑튜에이터 또는 엑튜에이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기 제어식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엑튜에이터 사용중에 걸쇠 매커니즘은 걸쇠로 걸린 조건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엑튜에이터의 작동부(85) 이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레버 부재들에 의해 역학적으로 증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4. 제 18 항에 있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는 2개의 엑튜에이터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엑튜에이터는 그립핑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각 레버 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19997008114A 1997-03-07 1998-03-06 작은 개수의 구성품을 갖는 카운트 해제 기구 KR1006148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704769.0A GB9704769D0 (en) 1997-03-07 1997-03-07 Low component count release mechanism
GB9704769.0 1997-03-07
PCT/GB1998/000670 WO1998040917A1 (en) 1997-03-07 1998-03-06 Low component count release mechanis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028A true KR20000076028A (ko) 2000-12-26
KR100614854B1 KR100614854B1 (ko) 2006-08-25

Family

ID=10808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8114A KR100614854B1 (ko) 1997-03-07 1998-03-06 작은 개수의 구성품을 갖는 카운트 해제 기구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323581B1 (ko)
EP (1) EP0965147B1 (ko)
JP (1) JP3204398B2 (ko)
KR (1) KR100614854B1 (ko)
CN (1) CN1223019C (ko)
AT (1) ATE256342T1 (ko)
AU (1) AU724314B2 (ko)
CA (1) CA2283475C (ko)
DE (1) DE69820420T2 (ko)
ES (1) ES2212275T3 (ko)
GB (1) GB9704769D0 (ko)
HK (1) HK1026511A1 (ko)
NZ (1) NZ337621A (ko)
WO (1) WO19980409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811277D0 (en) * 1998-05-26 1998-07-22 Pbt Limited Piezo ceramic operated mechanism
GB9908927D0 (en) * 1999-04-19 1999-06-16 Pbt Limited Electrically actuated mechanical release mechanism
GB9908930D0 (en) * 1999-04-19 1999-06-16 Pbt Limited Active material low power electrical switching mechanism
US6707657B1 (en) 1999-04-19 2004-03-16 Pbt (Ip) Limited Integrated electrically actuated mechanical release mechanism
IT1314357B1 (it) * 1999-12-31 2002-12-09 Abb Ricerca Spa Interruttore di potenza di bassa tensione avente funzionalita'migliorate
US6642832B2 (en) * 2000-12-08 2003-11-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RC responsive thermal circuit breaker
GB0113350D0 (en) * 2001-06-01 2001-07-25 Pbt Ip Ltd A rotary actuator mechanism
GB0203897D0 (en) * 2002-02-19 2002-04-03 Pbt Ip Ltd Low cost actuator with 2 dimensional motion
EP1597644A1 (en) * 2003-02-28 2005-11-23 PBT (IP)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ally controlling the stroke of a mechanical member
GB0321439D0 (en) * 2003-09-12 2003-10-15 Pbt Ip Ltd Locking mechanism
US7157831B2 (en) * 2004-09-30 2007-01-02 Quality Research, Development & Consulting, Inc. Energy efficient vibration driven motor
FR2884962A1 (fr) * 2005-04-22 2006-10-27 Norbert Roger Beyrard Contacteur disjoncteur a ouverture par declenchement a l'aide d'un actuateur piezo electrique.
GB2433174A (en) * 2005-12-07 2007-06-13 New Transducers Ltd Exciter for a bending wave distributed mode loudspeaker
GB2434851A (en) * 2006-02-03 2007-08-08 Pbt A vibration resistant release mechanism
WO2010119857A1 (ja) * 2009-04-17 2010-10-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素子及び入力装置
CN101908815B (zh) * 2009-06-02 2015-04-08 易音特电子株式会社 双模振动器
FR2968361B1 (fr) * 2010-12-06 2014-11-21 Arveni Dispositif mecanique pour l'application d'une impulsion mecanique
KR101640445B1 (ko) * 2014-10-01 2016-07-18 주식회사 엠플러스 진동발생장치
FR3069739B1 (fr) * 2017-07-27 2019-08-30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Dispositif d'actionnement amplificateur de mouvemen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1219U (de) * 1965-01-28 1966-12-08 Siemens Ag Piezoelektrisches relais.
US3614485A (en) * 1969-08-05 1971-10-19 Austron Inc Electromechanical reed system
JPS51114051A (en) * 1975-03-31 1976-10-07 Noto Denshi Kogyo Kk Tuning fork vibrator
US4112279A (en) * 1977-09-02 1978-09-05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Piezoelectric relay construction
US4742260A (en) * 1986-02-06 1988-05-03 Hiroshi Shimizu Piezoelectrically driving device
EP0262637B1 (en) * 1986-09-29 1995-03-22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Piezoelectric actuator
JP3030574B2 (ja) * 1990-08-16 2000-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微小変位型情報検知探針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走査型トンネル顕微鏡、原子間力顕微鏡、情報処理装置
DE4337265C1 (de) * 1993-11-02 1995-03-09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mindestens einer Legebarre
US5689380A (en) * 1994-02-23 1997-11-18 Aura Systems, Inc. Thin film actuated mirror array for providing double tilt angle
JPH08129875A (ja) * 1994-10-28 1996-05-21 Hewlett Packard Co <Hp> 導電性針の位置ずれを低減したプローブ装置
DE69618627T2 (de) * 1996-03-13 2002-09-12 Ibm Auslegerstrukturen
JPH1064400A (ja) * 1996-08-19 1998-03-06 Nippon Avionics Co Ltd リレ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04398B2 (ja) 2001-09-04
JP2000509919A (ja) 2000-08-02
US6323581B1 (en) 2001-11-27
AU6506398A (en) 1998-09-29
EP0965147A1 (en) 1999-12-22
DE69820420D1 (de) 2004-01-22
HK1026511A1 (en) 2000-12-15
WO1998040917A1 (en) 1998-09-17
EP0965147B1 (en) 2003-12-10
CN1223019C (zh) 2005-10-12
ES2212275T3 (es) 2004-07-16
CN1255240A (zh) 2000-05-31
CA2283475C (en) 2006-08-15
GB9704769D0 (en) 1997-04-23
AU724314B2 (en) 2000-09-14
DE69820420T2 (de) 2004-10-14
CA2283475A1 (en) 1998-09-17
KR100614854B1 (ko) 2006-08-25
NZ337621A (en) 2000-05-26
ATE256342T1 (de) 2003-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4854B1 (ko) 작은 개수의 구성품을 갖는 카운트 해제 기구
US20040252936A1 (en) Microsystem switches
WO2002050874A3 (en) Mems device having an actuator with curved electrodes
KR960032809A (ko) 납작 케이블용 무삽발력 전기 커넥터
ATE272249T1 (de) Elektrischer schalter
TW582044B (en) Push button switch
KR910005352A (ko) 트립 인터록 조립체를 갖는 회로차단기
JPS6115539B2 (ko)
KR860003180Y1 (ko) 재 크
US20010027914A1 (en) Push-button switch
CN1211805A (zh) 用于电路之间连接的开关装置
JP3474537B2 (ja) 電気的な切換え装置のためのマルチプルブレーク形のコンタクト装置
US3763339A (en) Electrical switches
GB2225166A (en) Push-button switch
JPS6046503B2 (ja) 回路しや断器
WO1997019459A1 (en) Device in a safety switch
JPS6347006Y2 (ko)
US6967294B1 (en) Microswitch
WO1999062088A1 (en) Piezo-electric arrangements
JP2793567B2 (ja) ロータリースイッチ
US3958091A (en) Snap-action electric switch, and contact blade structure therefor
AU759790B2 (en) Piezo ceramic operated mechanism
JP2867615B2 (ja) スイッチ
EP1255263A2 (en) Self latching relay for ADSL application
TW202324841A (zh) 軌道型端子裝置之導電組件改良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