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5923A - 진동식 나선형 코일 내에서 파라핀 개질 촉매, 이성화 촉매 또는 탈수소화 촉매를 재생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진동식 나선형 코일 내에서 파라핀 개질 촉매, 이성화 촉매 또는 탈수소화 촉매를 재생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5923A
KR20000075923A KR1019997008004A KR19997008004A KR20000075923A KR 20000075923 A KR20000075923 A KR 20000075923A KR 1019997008004 A KR1019997008004 A KR 1019997008004A KR 19997008004 A KR19997008004 A KR 19997008004A KR 20000075923 A KR20000075923 A KR 20000075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zone
combustion
chlorination
paraf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8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올리비에 끌로즈
Original Assignee
앙드레프 프랑스와
앵스띠뛰 프랑세 뒤 뻬뜨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앙드레프 프랑스와, 앵스띠뛰 프랑세 뒤 뻬뜨롤 filed Critical 앙드레프 프랑스와
Publication of KR20000075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92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5/00Reforming naphtha
    • C10G35/04Catalytic reforming
    • C10G35/06Catalytic reforming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8/0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catalysts,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8/0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catalysts, in general
    • B01J38/04Gas or vapour treating; Treating by using liquids vaporisable upon contacting spent cataly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16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particles being subjected to vibrations or puls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1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 B01J8/2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according to "fluidised-bed" technique
    • B01J8/4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according to "fluidised-bed" technique with fluidised bed subjected to vibrations or puls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 C07C5/22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by isomerisation
    • C07C5/27Rearrangement of carbon atoms in the hydrocarbon skeleton
    • C07C5/2702Catalytic processes not covered by C07C5/2732 - C07C5/31; Catalytic processes covered by both C07C5/2732 and C07C5/277 simultaneousl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 C07C5/32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by dehydrogenation with formation of free hydrogen
    • C07C5/321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19Details relating to the geometry of the reactor
    • B01J2219/194Details relating to the geometry of the reactor round
    • B01J2219/1941Details relating to the geometry of the reactor round circular or disk-shaped
    • B01J2219/1944Details relating to the geometry of the reactor round circular or disk-shaped spir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84Recycling of 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atalyst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식 나선형 엘리베이터(12) 내에서 촉매 입자를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촉매 또는 흡착제의 재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촉매 입자를 코일 내 상기 입자 경로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서 온도 프로필 처리하고, 하나 이상의 유체와 접촉시켜서 파라핀 개질, 파라핀 이성화 및 파라핀 탈수소화 촉매를 재생시킨다. 상기 나선형 엘리베이터는 외부에서 목적하는 온도의 가스를 순환시켜서 상기 나선형 엘리베이터와 접촉시킴으로써 적당한 온도로 유지시킨다. 재생기는 하나 이상의 연소 구역(14) 및 하나 이상의 옥시염소화 구역(15),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염소화 구역을 포함하며, 이들은 통합될 수도 있다. 예열 구역(13), 탄화수소 제거 구역, 하소 구역(16) 및 촉매 냉각 구역도 이 장치에 포함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식 나선형 코일 내에서 파라핀 개질 촉매, 이성화 촉매 또는 탈수소화 촉매를 재생시키는 방법{METHOD FOR REGENERATING PARAFFIN REFORMING OR ISOMERIZATION OR DEHYDROGENATION CATALYSTS IN A VIBRATING HELICAL SPIRE}
한 가지 가능한 용도는, 나프텐 탈수소화, 알킬나프텐 이성화 및 파라핀 이성화와 파리핀 탈수소고리화를 촉진시킴으로써 가솔린의 옥탄가를 상승시키는 접촉(接觸) 개질 공정이다. 파라핀 탈수소화 공정은 출발 파라핀과 동일한 탄소 원자수를 가진 올레핀을 생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올레핀은 특등급 가솔린(에테르, 알킬화물) 또는 생분해성 세제를 위한 기제를 제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파라핀 개질 및 탈수소화 공정에는, 알루미나와 같은 내화성 산화물 상에 지지된, 백금 또는 레늄과 같은 귀금속 또는 산화몰리브덴 또는 산화크롬과 같은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고형 촉매를 사용한다.
그러한 촉매는 시간이 지나면 통상적으로 코크스로 알려진 복합 구조를 가진 폴리방향족 탄화수소의 점진적인 석출로 인해 비활성화된다. 코크스 석출시, 촉매는 수 일 내지 1 년 이상의 조작 사이클 후 재생시켜야 한다. 연속식 촉매 재생 유니트에서는, 촉매의 재생을 위해 상기 유니트를 중지시키지 않아도 된다. 촉매는 기계식 또는 공기식일 수도 있는 적당한 수단에 의해서 한 반응기에서 다른 반응기로 이송시킨 후, 촉매를 재활성화시키는 재생 칼럼으로 이송시키고, 최종적으로 재생된 촉매는 하나 이상의 반응기로 이송시키며, 바람직하게는 재생된 촉매를 제1 반응기의 헤드로 이송시킨다.
본 발명의 재생기는 공장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촉매 재생시, 촉매 처리를 전문으로 하는 사업체로 촉매를 이송시킬 수 있다.
파라핀 개질, 파라핀 이성화 또는 파라핀 탈수소화 촉매의 재생 공정은 다수의 단계, 예를 들면 개질 촉매의 경우, 이 촉매를 산화 매질 내에서 연소시켜 탄화수소 석출물을 제거하는 코크스 연소 단계, (백금계 촉매의 경우) 활성 금속 상의 분산을 촉진시키는 염소화 단계(특히, 옥시염소화단계), 및 임의로, 활성 상의 고정을 개선시키고, 촉매를 건조시킨 후, 촉매의 염소 함량을 최적 촉매 성능에 필요한 수준으로 고정시키는 하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 또는 질소 중에서 촉매를 냉각시키는 단계 및 비활성 기체 또는 중성 기체의 기류 하에서, 예를 들면 질소 하에서 촉매의 공극에 포획된 탄화수소를 제거하는 단계를 하소 단계 후에 수행할 수 있다.
개질 촉매의 연속 재생을 위한 기존의 공정에서는 이들 단계 모두를 연속적으로 실행한다. 이러한 공정, 예를 들면 앵스띠뛰 프랑세 뒤 뻬뜨롤(IFP)의 옥타파이닝(Octafining) 공정 또는 UOP의 CCR 플래트포밍(Platforming) 공정에서, 촉매는 재생기, 예를 들면 IFP의 RegenC 공정 또는 UOP의 CycleMax 공정으로 알려진 칼럼의 상부에서 하부로 중력하에 유동하여 전술한 연소 단계, 옥시염소화 단계, 하소 단계 및 냉각 단계가 수행되는 구역을 연속적으로 통과한다. 이것은, 공급물이 통과하는 최종 개질 반응기의 하부로부터 재생기의 상부까지 촉매를 이송시킨 다음, 재생기의 하부로부터, 공급물이 통과하는 제1 개질 반응기의 상부 또는 환원기(입구에 존재하는 촉매를 제1 개질 반응기로 환원시키는 구역)의 상부로 이송시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가스 엘리베이터를 사용하는 이들 촉매 이송 단계는, 예를 들면 미분과 분진을 발생시키거나 촉매 입자를 파괴시킴으로써 촉매를 점차 열화시킨다.
공지의 종래 기술로부터 유도된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을 실행하면, 촉매가 재생기의 하부로부터 재생기의 상부로 이송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상기 공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는 하부에 촉매를 공급하고 재생된 촉매를 상부로부터 배출시키는 재생기이다. 그러므로, 촉매가 재생됨과 동시에 제1 개질 반응 구역의 상부로 상승한다. 이 반응 구역은 통상 병렬 배열 또는 중첩 배열로 되어 있어, 대체로 공급물과 촉매가 각각의 반응 구역을 통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연속적으로 순환한다. 파라핀 탈수소화 또는 이성화 공정에 대해서도 이와 동일한 유형의 배열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장치는 진동식 나선형 엘리베이터, 즉 하나 이상의 코일과 실질적으로 관 형상으로 된 나선형 램프(ramp)를 포함하는 진동식 엘리베이터이다. 상기 장치는, 순환 베드식 접촉 개질 공정에 사용하거나 개질 촉매의 공장 재생 처리 중에 사용할 수 있다. 코일 내에서 상승하는 촉매는 프랑스 특허 출원 제94/386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촉매 경로의 일부에 걸쳐 온도 프로필 처리된다. 이 온도 프로필 처리는 프랑스 특허 제A-2 634 18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코일의 권취부를 함침시키는 전열 유체와 간접 접촉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특허 출원에서, 나선형 램프의 코일은 램프의 두 개 반대면 상에 고정된 두 개의 나선형 스트립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전열 유체가 순환할 수 있는 나선형 램프의 코일 사이에 나선형 채널을 형성한다. 보다 일반적으로는, 프랑스 특허 출원 제94/386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튜브 코일 장치 조립체는 이송된 생성물을 열처리하는 용기, 예를 들면 전열 유체가 순환하는 단열 용기에 배치시켜 코일의 권취부를 함침시킬 수 있다. 상기 특허 출원으로부터 전열 유체가 코일 자체를 통과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이 기체는 병류로서 또는 역류로서 순환할 수 있다. 유럽 특허 출원 공개 제0 612 56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코일은 튜브의 금속 물질을 직접 가열함으로써 주울 효과에 의해 가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기재되어 있는 공정의 촉매를,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으로 재생시키면서 파라핀을 촉매적으로 개질, 이성화 또는 탈수소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진동식 나선형 코일 내에서 촉매 입자를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촉매 입자 경로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상기 촉매 입자 경로의 주요 부분에서 상기 촉매 입자를 온도 프로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촉매 입자 경로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서 상기 촉매 입자를 하나 이상의 유체와 접촉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도 1은 실시예 1을 예시하는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의 도면이고,
도 2는 실시예 2를 예시하는, 연소 구역이 일련의 연소 가스 배기 도관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실시예 3을 예시하는, 연소 구역과 염소화 구역이 통합된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파라핀의 개질, 파라핀 이성화 및 파라핀 탈수소화 처리에 의해 형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촉매, 또는 분말 흡착제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진동식 나선형 코일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연소 구역과 하나 이상의 염소화 구역이 배치된 진동식 나선형 엘리베이터 내에서 촉매 또는 흡착제의 입자를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에서는 상기 입자 경로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서 상기 입자에 대해 온도 프로필 처리하고, 그 경로 도중에 상기 입자는 하나 이상의 유체와 접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정은 촉매 재생, 활성화 및 재활성화로 이루어진 군에 포함되는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며, 하나 이상의 연소 구역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연소 단계와 하나 이상의 염소화 구역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염소화 단계를 포함한다.
나선형 엘리베이터를 상승시킴으로써, 촉매는 공기 또는 산소의 기류가 단계적으로 수 개의 연속 권취부로 도입되어 산소의 농도가 제한되고 국소 과열에 의한 촉매의 열화 위험이 없는 코크스 연소 구역, 퍼클로로에틸렌과 같은 염소화제가 공기와 함께 도입되는 염소화 구역, 및 선택적으로, 질소 기류 또는 50 ppm 미만의 물을 함유하는 건조 공기류에 의해 촉매를 스위핑하는 하소 구역을 연속적으로 통과한다.
연소 구역 및 염소화 구역은 염소화제를 연소 구역의 하부로 도입시킴으로써 단일 구역으로 통합할 수 있다.
연소 구역은, 촉매를 예열하여 후속 코크스 연소가 최적 조건 하에서 일어나게 되는 레벨로 촉매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구역의 뒤에 존재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예를 들면 나선형 엘리베이터의 하부에서 상부로 공기의 양을 점점 증가시키면서 도입함으로써 코크스 연소 구역으로의 공기 또는 산소의 주입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소 구역 입구에서의 가스 온도는 300℃ 내지 750℃ 범위일 수 있으며, 450℃ 내지 550℃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어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위치하는 퍼지에 의하여 연소 가스의 일부를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코일(들)이 1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이들은 둘 이상의 권취부를 포함하며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시스템이 내재하는 중공축, 예를 들면 프랑스 특허 출원 제94/386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불균형 매스 모터 주위에 권취된다. 코일은 인접할 수도 있고, 인접하지 않을 수도 있다. 개질, 파라핀 이성화 또는 파라핀 탈수소화 촉매를 재생하기 위한 가스 또는 유체는 하나 이상의 도관을 사용하여 도입시켜서 가스 또는 유체가 하나 이상의 코일 권취부에서 병류 또는 역류로서 순환하도록 할 수 있다. 코일 내 압력은 0.1 바 내지 20 바 범위일 수 있으며, 1 바 내지 7 바가 바람직하다. 가스 또는 유체는, 미세 메쉬 스크린 또는 촉매 입자가 가스 입구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통과시킴으로써 코일의 상부 또는 하부에 의해 코일의 측면으로 도입시킬 수 있다. 물론 가스 출구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도면과 실시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하기 실시예 1을 예시한 것이다. 나선형 엘리베이터(12)는 진동 테이블(1) 상에 위치하며, 두 개의 불균형 매스 모터(2)는 촉매를 상승시키는 데 필요한 진동을 발생시킨다. 고형 입자들은 도관(3)을 통하여 들어가고 도관(4)을 통하여 나온다. 축-나선형 엘리베이터 조합체는 진동 테이블(5)과 일체로 된 단열 용기내에 수용된다. 가스는 도관(6)을 통하여 상기 장치의 상부로 도입된다. 상기 가스는 나선형 엘리베이터의 제1 권취부를 함침시키며, 이 가스는 나선형 엘리베이터 하부의 도관(7)에서 측면으로 도입되어 촉매와 함께 병류로 이 나선형 엘리베이터를 횡단한다. 공기는 여섯 개의 도관(8)에 의해 연소 구역(14)으로 도입된다. 제1 공기 입구 도관은 나선형 엘리베이터의 제2 권취부 높이에서 측면에 위치한다. 그 후, 촉매는 연소 구역(구역 15)을 관통하고, 또한 가스는 도관(9)을 통하여 이 구역 내로 도입된다. 도관(8), (9) 및 (11)은 중심축에 내재하는 도관과 장치를 통하여 공급된다. 연소 구역 및 염소화 구역으로부터 배출된 가스는 도관(10)을 통하여 나선형 엘리베이터를 빠져 나온다. 그 다음, 촉매는 하소 구역(구역 16)을 관통하며, 이 구역에서 촉매는 도관(11)을 통하여 도입되는 건조 공기의 역류에 의해 스위핑된다. 하소 가스는 연소 가스 및 염소화 가스와 합쳐져서 채널(10)을 경유하여 나선형 엘리베이터를 빠져 나온다.
도 2는 연소 구역이 일련의 연소 가스 배기 도관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방법의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하기 실시예 2를 예시한 것이다. 나선형 엘리베이터(10)는 진동 테이블(1) 상에 위치하며 두 개의 불균형 매스 모터(2)는 촉매를 상승시키는 데 필요한 진동을 발생시킨다. 고형 입자는 도관(3)을 통하여 들어가고 도관(4)을 통하여 빠져 나온다. 공기를 함유하는 가스는 촉매의 흐름과 함께 병류로서 도관(3)을 통하여 도입된다. 공기를 함유하는 가스는 일곱 개의 도관(5)을 통하여 연소 구역으로 도입된다. 연소 가스는 일곱 개의 도관(6)에 의하여 추출된다. 연소 구역(12)을 횡단할 때, 촉매는 병류와 역류의 연소 가스의 교대적 공급과 함께 공급된다. 진동식 엘리베이터는 유럽 특허 출원 공개 제0 612 56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주울 효과에 의해 가열된다. 촉매는 단열 구역(11)에서 예열된다.
그 후, 촉매는 염소화 구역(구역 13)을 관통한다. 촉매 순환 방향으로 역류로서 순환하는 가스도 도관(8)을 통하여 이 구역(13)으로 도입된다. 연소 구역 및 염소화 구역으로부터 배출된 가스는 도관(6) 및 (7)을 통하여 나선형 엘리베이터를 빠져 나온다.
그 다음, 촉매는 하소 구역(구역 14)을 관통한다. 이 구역에서, 촉매는 도관(9)을 통하여 도입된 건조 공기의 역류에 의해 스위핑된다. 도관(5), (8) 및 (9)은 중심축에 내재하는 도관 및 장치를 통하여 공급된다. 하소 가스는 연소 가스 및 염소화 가스와 합쳐져서 도관(7)을 경유하여 나선형 엘리베이터를 빠져 나온다.
도 3은 연소 구역과 염소화 구역이 통합된 본 발명의 방법의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 장치에서, 나선형 엘리베이터(9)는 진동 테이블(1) 상에 위치하며 두 개의 불균형 매스 모터(2)는 촉매를 상승시키는 데 필요한 진동을 발생시킨다. 고형 입자는 도관(3)을 통하여 들어가며 도관(4)을 통하여 배출된다.
구역(10)은 진동식 엘리베이터의 하부로 도입시킨 질소 기류를 사용하여 촉매를 예열시키는 구역이다. 도관(5)은 질소를 도관(3)으로 도입시킨다.
촉매는, 연소 구역이면서 염소화 구역이고 촉매의 이원 금속 상의 연소와 재분산을 동시에 수행하는 재생기의 구역(11)을 횡단한다. 염화수소를 함유하는 가스는 여섯 개의 도관(6)을 통하여 구역(11)을 이루는 각각의 권취부로 도입된다. 그 후, 가스는 여섯 개의 도관(7)에 의하여 이 구역으로부터 추출된다. 그 후, 촉매는 하소 구역(12)을 관통하며, 이 구역에서 촉매는 도관(8)을 통하여 이 구역으로 도입되는 건조 공기류에 의하여 스위핑된다. 하소 가스는 도관(7)을 통하여 구역(12)을 빠져 나온다.
실시예 1
실시예 1의 촉매는 도 1에 따른 재생기에서 재생시켰다.
촉매는 직경이 1.8 mm인 구체 형태였다. 상기 촉매는 알루미나에 분산시킨 백금 금속상을 포함하며, 백금 함량은 0.30 중량%였다. 재생 전의 노출된 금속 표면적은 81%였다. 상기 촉매의 비표면적은 200 ㎡/g였다.
촉매를 350℃의 온도에서 500 kg/시간의 유속으로 재생기에 넣었다. 상기 촉매의 탄소(코크스) 함량은 6.0 중량%였다.
나선형 엘리베이터의 제1 권취부는 촉매를 예열시키는 질소 기류에 함침시켰다(구역 13). 이 질소 기류는 도관(7)에서 500 N㎥/시간의 유속 및 5 바의 압력 하에 도입시키고, 장치 외부의 노를 사용하여 상기 가스를 예열시켰다.
촉매는 코크스 연소 구역(14)을 횡단시켰다. 각각의 도관(8)은 480℃로 예열시킨 공기를 40 N㎥/시간의 유속으로 전달하였다.
연소 구역(구역 14) 내 체류 시간은 30 분이었으며, 관 길이는 60 m였다. 그 다음, 촉매는, 염소화 구역, 이 경우에는 옥시염소화 구역(구역 15)으로 관통시켰으며, 도관(9)으로 퍼클로로에틸렌을 함유하는 공기 기류를 500 N㎥/시간의 유속으로 도입하였다. 옥시염소화 구역 내 촉매의 체류 시간은 30 분이었으며, 관 길이는 60 m였다. 그 후, 촉매는 하소 구역(구역 16)으로 관통시켰다. 하소 구역 내 촉매의 체류 시간은 15 분이었으며, 관 길이는 30 m였다. 촉매는 도관(11)을 경유하여 재생기의 상부로 500 N㎥/시간으로 도입시킨 건조 공기의 역류에 의해 스위핑하였다.
재생기 출구에서 얻은 촉매의 특성은 비표면적이 195 ㎡/g이고, 금속상 분산율은 95%였으며, 탄소 함량은 0.1%였다. 촉매 구체의 기계적 특성(내마모성, 평균 분쇄 강도)은 변하지 않았다. 염소 함량은 1.2 중량%였다. 따라서, 실시예 1에 기재된 장치는 개질 촉매를 완전히 재생시켰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촉매는 도 2에 따른 재생기에서 재생시켰다.
촉매는 직경이 1.6 mm인 구체 형태였다. 상기 촉매는 알루미나에 분산시킨 백금 금속상을 포함하며, 백금 함량은 0.28 중량%였다. 재생 전의 노출된 금속 표면적은 81%였다. 상기 촉매의 비표면적은 220 ㎡/g였다.
촉매를 350℃의 온도에서 500 kg/시간의 유속으로 재생기에 넣었다. 상기 촉매의 탄소(코크스) 함량은 6.0 중량%였다.
촉매는 코크스 연소 구역을 횡단시켰다. 50 N㎥/시간의 유속의 공기를 도관(3)을 통하여 연소 구역으로 도입시키고, 촉매의 흐름과 함께 병류로서 순환시켰다. 이 가스는 주위 온도에서 도입시켰다. 또한, 주위 온도의 공기도 7 개의 도관(5)을 통하여 도입시켰으며, 각각의 도관에서 공기의 유속은 50 N㎥/시간이었다. 그 다음, 이 가스는 각기 50 N㎥/시간으로 유체를 추출하는 도관(6)에 의해 배출시켰다.
코크스 연소 구역 내 촉매 베드의 평균 온도는 480℃ 내지 550℃ 범위 이내로 조정하였다. 연소 구역 내 권취부는 단열시키지 않았다. 촉매는 150℃의 온도에서 500 kg/시간의 유속으로 엘리베이터에 넣었다. 탄소(코크스) 함량은 6.0 중량%였다.
연소 구역(구역 12) 내 촉매의 체류 시간은 30 분이었으며, 관 길이는 60 m였다. 그 후, 촉매는 옥시염소화 구역(구역 13)으로 관통시켰으며, 도관(8)을 통해 디클로로에탄과 물의 혼합물을 500 N㎥/시간의 유속으로 도입시켰다. 옥시염소화 구역 내 촉매의 체류 시간은 30 분이었으며, 관 길이는 60 m였다. 그 다음, 촉매는 하소 구역(구역 14)으로 관통시켰으며, 촉매에 대해 역류로서 이 구역에 도입시킨 건조 공기 기류의 유속은 500 N㎥/시간이었다. 하소 구역 내 촉매의 체류 시간은 15 분이었으며, 관 길이는 30 m였다.
재생기 출구에서의 촉매의 특성은 비표면적이 220 ㎡/g이고, 금속상 분산율이 95%였으며, 탄소 함량은 0.05%였다. 금속 구체의 기계적 특성(내마모성, 평균 분쇄 강도)은 변하지 않았다. 염소 함량은 1.0 중량%였다. 따라서, 실시예 2에 기재된 장치는 개질 촉매를 완전히 재생시켰다.
실시예 3
실시예 3의 촉매는 연소와 염소화를 동일 구역에서 수행하는 도 3에 따른 재생기에서 재생시켰다.
촉매는 직경이 1.4 mm이고 길이가 1 mm 내지 8 mm 범위인 압출물 형태였다. 상기 촉매는 알루미나에 분산시킨 백금 및 레늄 금속상을 포함하며, 백금 함량은 0.25 중량%이고 레늄 함량은 0.30 중량%였다. 재생 전의 노출된 금속 표면적은 75%였다. 상기 촉매의 비표면적은 230 ㎡/g였다. 촉매는 140℃의 온도에서 300 kg/시간의 유속으로 재생기에 넣었다. 상기 촉매의 탄소(코크스) 함량은 12.0 중량%였다.
구역(10)을 구성하는 제1 권취부에서 유속이 20 N㎥/시간이고 압력이 6 바인 질소 기류에 의해서 촉매를 515℃의 온도로 예열시켰다. 그 후, 촉매를 재생기의 구역(11)에 횡단시켰다. 이 구역에서, 염화수소를 함유하는 공기 기류를 80 N㎥/시간의 유속으로 여섯 개의 도관(6)을 통하여 연소 구역을 구성하는 각각의 권취부로 도입시켰다. 각 지점에 400℃의 온도 및 5.9 바의 압력으로 공기를 도입시켰다. 장치 외부의 노와 압축기를 사용하여 연소 공기를 가열하고 가압하였다. 염화수소는 노와 재생기 사이에서 디클로로프로판을 열분해시켜서 얻었다. 이 구역(11) 내 촉매의 체류 시간은 40 분이었다. 이 구역(11)도 EP-A-0 612 56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주울 효과에 의해 550℃의 온도로 가열하였다.
그 후, 촉매를 하소 구역(12)으로 관통시켰으며, 이 구역에서 50 N㎥/시간의 유속 및 525℃의 온도 하에 도관(8)을 통하여 재생기의 상부로 도입시킨 건조 공기의 역류에 의해 촉매를 스위핑하였다. 이 구역 내 촉매의 체류 시간은 15 분이었다.
재생기 출구에서 얻은 촉매의 특성은 비표면적이 210 ㎡/g이고 이원 금속상 분산율이 95%였으며, 탄소 함량은 0.05% 미만이었다. 재생 중에 생성된 작은 촉매 입자(당업자들은 "미분"이라고 함)의 양은 0.1 중량% 미만이었다. 따라서 개질 촉매의 재생은 완전하였다.

Claims (11)

  1. 파라핀 개질, 파라핀 이성화 및 파라핀 탈수소화 처리에 의해 형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촉매, 또는 분말 흡착제의 처리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진동식 나선형 코일을 포함하고 2 개 이상의 구역이 배열된 진동식 나선형 엘리베이터 내에서 촉매 또는 흡착제의 입자를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자는 상기 입자 경로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서 온도 프로필 처리하고, 상기 경로 도중에 상기 입자를 하나 이상의 유체와 접촉시키며, 상기 처리 방법은 촉매 재생, 활성화 및 재활성화로 이루어진 군에 포함되고, 하나 이상의 연소 구역에서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연소 단계와 하나 이상의 염소화 구역에서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염소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촉매의 재생 또는 활성화 또는 재활성화 처리는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연소 구역과 하나 이상의 염소화 구역은 진동식 나선형 코일 내에 별개로 존재하거나 중첩되게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연소 구역과 하나 이상의 염소화 구역은 통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하소 구역에서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하소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연소 가스의 존재 하에서의 하나 이상의 연소 단계, 염소화 가스의 존재 하에서의 하나 이상의 염소화 단계, 및 하소 가스의 존재 하에서의 하나 이상의 하소 단계로 연속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연소 단계 전에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탄화수소 제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직렬식, 중첩식 또는 병렬식으로 배열된 다수의 반응 구역에서 수행하는 파라핀 개질, 파라핀 이성화 및 파라핀 탈수소화에 의해 형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접촉 방법으로서, 공급물과 촉매를 각각의 반응 구역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연속적으로 순환시키고, 공급물을 횡단 통과시킨 최종 반응 구역의 하부로부터 촉매를 추출하여 제1항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처리한 다음, 코일의 상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공급물을 횡단 통과시킨 제1 반응 구역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하나 이상의 코일,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나선형 램프(ramp), 하나 이상의 촉매 도입 도관 및 하나 이상의 촉매 배출 도관을 포함하며, 진동 테이블 상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진동식 나선형 엘리베이터,
    상기 진동식 나선형 엘리베이터의 하나 이상의 권취부가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가스 도입 도관 및 하나 이상의 가스 배출 도관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소 구역, 및
    상기 진동식 나선형 엘리베이터의 하나 이상의 권취부가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가스 도입 도관 및 하나 이상의 가스 배출 도관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염소화 구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식 나선형 엘리베이터의 하나 이상의 권취부가 위치하고, 하나 이상의 가스 도입 도관 및 하나 이상의 가스 배출 도관을 포함하는 상기 연소 구역 및 상기 염소화 구역 위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하소 구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구역 및 상기 염소화 구역은 통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97008004A 1997-03-04 1998-02-25 진동식 나선형 코일 내에서 파라핀 개질 촉매, 이성화 촉매 또는 탈수소화 촉매를 재생시키는 방법 KR200000759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7/02658 1997-03-04
FR9702658A FR2760386B1 (fr) 1997-03-04 1997-03-04 Regeneration de catalyseurs de reformage ou d'isomerisation ou de deshydrogenation des paraffines dans une spire helicoidale vibran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923A true KR20000075923A (ko) 2000-12-26

Family

ID=9504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8004A KR20000075923A (ko) 1997-03-04 1998-02-25 진동식 나선형 코일 내에서 파라핀 개질 촉매, 이성화 촉매 또는 탈수소화 촉매를 재생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969923A1 (ko)
JP (1) JP2002511791A (ko)
KR (1) KR20000075923A (ko)
CN (1) CN1249700A (ko)
BR (1) BR9808164A (ko)
FR (1) FR2760386B1 (ko)
WO (1) WO199803909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219B1 (ko) * 2001-05-16 2004-02-05 안상재 방습제(防濕劑)의 재생장치
KR101434454B1 (ko) * 2013-06-05 2014-08-27 케이씨코트렐 주식회사 중질유탈황(RHDS, residual Hydro Desulfurization) 및 감압잔사유탈황(VRDS, Vacuum Residue Desulfurization) 공정에서의 탈황 폐촉매의 고온 연속식 스파이럴 엘리베이터 배소시스템
KR20230037849A (ko) 2021-09-10 2023-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동층 촉매 반응 시스템
KR20230037855A (ko) 2021-09-10 2023-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동층 촉매 반응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0316B1 (fr) * 1998-06-24 2000-07-28 Inst Francais Du Petrole Regeneration de catalyseurs de reformage ou d'isomerisation ou de deshydrogenation des paraffines par passage en mode descendant sur un transporteur helicoidal vibrant
FR2915908B1 (fr) 2007-05-10 2010-09-03 Eurecat Sa Procede de sulfuration ou presulfuration de particules solides d'un catalyseur ou d'un adsorbant
FR2981600B1 (fr) 2011-10-25 2013-11-15 Rhodia Operations Procede de preparation de granules de polyamid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34187B1 (fr) * 1988-07-12 1992-10-23 Gradient Rech Royallieu Transporteur vibrant
FR2701861B1 (fr) * 1993-02-26 1995-06-02 Eurecat Europ Retrait Catalys Traitement thermique de particules solides de catalyseurs ou d'adsorbants en présence de fluide dans une spire hélicoïdale vibrant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219B1 (ko) * 2001-05-16 2004-02-05 안상재 방습제(防濕劑)의 재생장치
KR101434454B1 (ko) * 2013-06-05 2014-08-27 케이씨코트렐 주식회사 중질유탈황(RHDS, residual Hydro Desulfurization) 및 감압잔사유탈황(VRDS, Vacuum Residue Desulfurization) 공정에서의 탈황 폐촉매의 고온 연속식 스파이럴 엘리베이터 배소시스템
KR20230037849A (ko) 2021-09-10 2023-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동층 촉매 반응 시스템
KR20230037855A (ko) 2021-09-10 2023-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동층 촉매 반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49700A (zh) 2000-04-05
WO1998039095A1 (fr) 1998-09-11
BR9808164A (pt) 2000-05-16
FR2760386A1 (fr) 1998-09-11
EP0969923A1 (fr) 2000-01-12
JP2002511791A (ja) 2002-04-16
FR2760386B1 (fr) 199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45876B2 (en) Reconditioning method for a non-acidic catalyst used in a high severity process for dehydrogenation of light hydrocarbons
KR900011509A (ko) 방향족 탄화수소 제조용 촉매를 재생 또는 개질하는 방법
JPH0446620B2 (ko)
US4859643A (en) Regeneration method with reduced catalyst heat exposure
US5592748A (en) Heat treatment of solid catalyst or adsorbent particles in the presence of fluid in a vibrating helical coil
US4354925A (en) Catalytic reforming process
US6426052B1 (en) Vessel for regenerating a catalyst for the production of aromatic compounds or for reforming, with improved oxychlorination
US5756414A (en) Method of regenerating deactivated catalyst
JPS5837019B2 (ja) ジユウリヨクリユウノシヨクバイリユウシノサイセイホウ
KR100516708B1 (ko) 방향족화합물의 제조촉매 또는 개질촉매 재생의 개선된 방법 및 유니트
US5151392A (en) Moving bed regeneration process with separate dispersion and chloriding steps
KR20020013594A (ko) 촉매 개질 촉매 활성화 방법
JPH10502122A (ja) 炭化水素供給原料を硫黄感受性触媒を介して改質する方法
KR20000075923A (ko) 진동식 나선형 코일 내에서 파라핀 개질 촉매, 이성화 촉매 또는 탈수소화 촉매를 재생시키는 방법
JP3828572B2 (ja) 硫黄に敏感な触媒で炭化水素供給原料を改質する方法
US50010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isture by flue gas segregation
US6121180A (en) Precombustion of halogen-containing compounds in catalyst regeneration processes
US5457077A (en) Moving bed regeneration process with combined drying and dispersion steps
US5277880A (en) Catalyst regeneration apparatus with radial flow distribution
US4980325A (en) Method of controlling moisture in combustion section of moving bed regeneration process
US5397458A (en) Moving bed regeneration process with internally mixed chloride gas
US6265501B1 (en) Treatment of metathesis catalysts for olefins in a vibratory helicoidal conveyor
WO1996037299A1 (en) Process for regenerating a high temperature treated zeolite catalyst
FR2780316A1 (fr) Regeneration de catalyseurs de reformage ou d'isomerisation ou de deshydrogenation des paraffines par passage en mode descendant sur un transporteur helicoidal vibrant
KR950007580B1 (ko) 경탄화 수소의 탈수소화를 위한 극한 처리과정에 사용된 비산성 촉매의 재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