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5289A - 강제 배출기능을 갖는 압력솥 압력조절밸브 - Google Patents

강제 배출기능을 갖는 압력솥 압력조절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5289A
KR20000075289A KR1019990019801A KR19990019801A KR20000075289A KR 20000075289 A KR20000075289 A KR 20000075289A KR 1019990019801 A KR1019990019801 A KR 1019990019801A KR 19990019801 A KR19990019801 A KR 19990019801A KR 20000075289 A KR20000075289 A KR 20000075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team
pressure
cap
cam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7031B1 (ko
Inventor
오승환
Original Assignee
오승환
주식회사 토광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환, 주식회사 토광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오승환
Priority to KR1019990019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7031B1/ko
Publication of KR20000075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0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과정에서 압력솥 내의 증기압 배출조절은 물론 강제배출을 겸하도록 하는 강제 배출기능을 갖는 압력솥 압력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은, 밸브 캡에 일방향으로만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걸림턱과, 그 걸림턱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 1 캠홈과, 상기 제 1 캠홈으로부터 일정간격과 위상차(α)를 갖도록 형성된 제 2 캠홈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캠홈은 다시 걸림턱으로 이어지도록 구성되고, 이와 대향되는 증기 조절캡에는 걸림홈과 맞대향되는 걸림돌기와, 증기 조절캡의 회전에 따라 각 캠홈을 거치면서 밸브 본체를 변위시키는 캠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강제 배출기능을 갖는 압력솥 압력조절밸브{Relief valve of compulsory apparatus}
본 발명은 압력솥의 압력조절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과정에서 압력솥 내의 증기압 배출조절은 물론 강제배출을 겸하도록 하는 강제 배출기능을 갖는 압력솥 압력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솥은 그 압력솥에 조리준비를 하고 상용전원(전기)이나 가스레인지 등의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일정시간 가열시키면 내부압력이 상승하게 됨으로써 빠른 시간에 조리를 완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경우 압력솥에는 도 1 과 같이 압력조절밸브(1)가 있어 일정 이상의 고압이 압력솥 내에 발생되면, 증기가 밸브를 통해 배출되고, 배출되는 증기압에 의해 압력추(2)가 회전하면서 증기배출 및 배출음(경보)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주부들이 피곤하여 잠시 휴식을 취하고 있더라도, 그 소리를 듣고 불의 세기를 줄이거나 끌 수 있도록 하는 잇점이 있다.
그러나 압력솥의 뚜껑(3)에는 상기 압력추(2)의 이상시를 대비하여 압력조절밸브(4)를 부가적으로 설치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조립공수의 증가 및 제조원가의 상승요인이 되었다.
또한, 기름기가 많은 국이나 여타 조리를 할 경우에는 점성이 높은 증기압이 압력조절밸브(1)의 내부 증기경로를 막아 이상압력을 발생시키게 하는 문제점도 대두되었다.
또한, 종래의 압력추(2)는 열이 전달되기 쉬운 재질로써 구성되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압력솥 내의 압력을 강제적으로 배출시킬 경우 화상을 입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조리과정에서 압력솥 내의 증기압 배출조절을 위한 안전밸브의 기능은 물론 강제배출을 겸하도록 하는 강제 배출기능을 갖는 압력솥 압력조절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제 배출기능을 캠 수단의 위치이동에 따라 구성하여 압력조절밸브의 기능 오작동시 강제적으로 증기압을 배출시키도록 하는 압력추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는 강제 배출기능을 갖는 압력솥 압력조절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압력솥의 증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밸브를 압력솥 뚜껑의 결합공에 설치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결합공에 끼워져 고정 결합되고, 내부는 일정 내경으로써 서로 연통되되 내부 하단에는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된 밸브 케이싱;
상기 밸브 케이싱의 내부에서 일정 간격을 갖도록 구성되고, 그 내부에 압력표시봉이 일정 수직범위에서 움직임에 따라 증기압이 배출 조절되도록 헐겁게 끼워져 구성되고, 그 상부에 일정 탄성력을 갖는 제 1 스프링의 일측을 지지하며, 그 외주연에 밸브 케이싱의 테이퍼부에 맞닿으면서 막힌 구조가 되도록 테이퍼부의 내경보다 큰 완곡부가 형성된 밸브 본체;
상기 밸브 케이싱의 상부와 고정 결합되고, 상, 하부가 서로 연통되는 구조가 형성되며, 그 상부에 높이가 서로 다른 다단구조의 캠 홈수단이 형성되고, 상, 하부로 서로 연통되는 별도의 증기 배출공이 형성된 밸브 캡;
상기 밸브 캡의 상부에 맞댄 형태로 위치되고, 캠 홈수단과 대향되게 캠 돌기수단이 형성되고, 회전범위에 따라 증기 배출공이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증기 단속공이 형성된 증기 조절캡;
상기 증기 조절캡의 상부로 끼워지되 상단은 그 캡에 걸려지도록 걸림플렌지가 형성되고 하단은 밸브 본체에 결합되면서 제 1 스프링의 타측을 지지하는 밸브본체 케이싱;
상기 밸브 캡의 일측과 밸브 본체의 일측에 각각 걸리도록 탄지되는 제 2 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밸브 캡의 캠 홈수단은 일방향으로만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걸림턱과, 그 걸림턱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 1 캠홈과, 상기 제 1 캠홈으로부터 일정간격과 위상차(α)를 갖도록 형성된 제 2 캠홈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캠홈은 다시 걸림턱으로 이어지도록 구성되고, 이와 대향되는 증기 조절캡의 캠 돌기수단은 걸림홈과 맞대향되는 걸림돌기와, 증기 조절캡의 회전에 따라 각 캠홈을 거치면서 밸브 본체를 변위시키는 캠 돌기를 포함하여 된 특징을 갖는다.
도 1 은 종래의 압력솥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강제 배출기능을 갖는 압력솥 압력조절밸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에서 원형의 캠홈수단과 캠돌기수단을 직선형으로 펼친 상태의 작동도와 이에 대응되는 압력조절밸브의 측단면도.(증기압이 강제배출되기 전의 상태)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에서 원형의 캠홈수단과 캠돌기수단을 직선형으로 펼친 상태의 작동도와 이에 대응되는 압력조절밸브의 측단면도.(증기압이 강제배출된 상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뚜껑, 3a: 결합공,
10: 밸브 케이싱, 12, 14: 나사체결부,
16: 테이퍼부, 18: 너트,
20: 밸브 본체, 22: 완곡부,
24: 연통공, 26: 제 1 스프링,
30: 압력표시봉, 32: 레벨부,
34: 증기배출요부, 40: 밸브 캡,
42: 걸림턱, 44: 제 1 캠홈,
46: 제 2 캠홈, 48: 증기배출공,
50: 증기조절캡, 52: 걸림돌기,
54: 캠 돌기, 56: 증기단속공,
58: 손잡이부, 60: 밸브본체 케이싱,
62: 걸림플랜지, 70: 제 2 스프링,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강제 배출기능을 갖는 압력솥 압력표시 밸브를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압력솥의 증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밸브를 압력솥 뚜껑(3)의 결합공(3a)에 설치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뚜껑(3)의 결합공(3a)에 끼워져 너트(18)에 의해 고정 결합되도록 그 하부에 나사체결부(12)가 형성되고 이와 대향되는 상부에도 후술될 밸브 캡(40)에 끼워져 고정되는 나사체결부(14)가 형성되는 밸브 케이싱(10)을 구성하였다.
상기 밸브 케이싱(10)은 내부를 일정 내경을 갖도록 서로 연통되게 구성하는 한편 내부 하단에는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부(16)를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밸브 케이싱(10)의 내부에서 일정 간격을 갖도록 구성되고, 그 내부에 후술되는 압력표시봉(30)이 일정 수직범위에서 움직임에 따라 증기압이 배출 조절되도록 헐겁게 끼워져 구성되고, 그 상부에 일정 탄성력을 갖는 제 1 스프링(26)의 일측을 지지하며, 그 외주연에 밸브 케이싱(10)의 테이퍼부(16)에 맞닿으면서 막힌 구조가 되도록 테이퍼부(16)의 내경보다 큰 완곡부(22)가 형성된 밸브 본체(20)를 구성하였다.
한편, 상기 밸브 본체(20)내에 헐겁게 끼워지는 압력표시봉(30)의 상단 외주연에는 일정 등간격으로 3개 정도 동일한 요부가 형성된 레벨부(32)를 갖고, 그 하단 외주연에는 압력표시봉(30)의 다른 부분보다 직경의 폭이 작은 증기배출요부(34)를 갖는다.
또한, 압력표시봉(30)이 상향되게 변위되면서 일정한 상승위치에 이르렀을 경우 증기가 배출 연통되도록 상기 밸브 본체(20)의 외주연 하단에 연통공(24)을 형성하였다.
한편, 상기 밸브 케이싱(10)의 상부와 고정 결합되고, 상, 하부가 서로 연통되는 구조가 형성되며, 그 상부에 높이가 서로 다른 다단구조의 캠 홈수단이 형성되고, 상, 하부로 서로 연통되는 별도의 증기 배출공(48)이 형성된 밸브 캡(40)을 구비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밸브 캡(40)의 상부에 맞댄 형태로 위치되고, 캠 홈수단과 대향되게 캠 돌기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캠 돌기수단의 이동으로 위치가 변위되더라고 일정 회전범위에서는 증기 배출공(48)이 항상 연통구조로 되는 증기 단속공(56)이 형성된 증기 조절캡(50)을 구성하였다. 상기 증기 조절캡(50)의 외측에는 사용자가 캡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손잡이부(58)를 돌출되게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증기 조절캡(50)의 상부로 끼워지면서 상단은 그 캡(50)에 걸려지도록 걸림플렌지(62)가 형성되고 하단은 밸브 본체(20)에 나사결합되면서 제 1 스프링(26)의 타측을 지지하는 밸브본체 케이싱(60)을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밸브 캡(40)의 일측과 밸브 본체(20)의 일측에 각각 걸리도록 탄지되는 제 2 스프링(70)을 구성하였다.
한편, 상기 밸브 캡(40)의 캠 홈수단은 일방향으로만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걸림턱(42)과, 그 걸림턱(4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 1 캠홈(44)과, 상기 제 1 캠홈(44)으로부터 일정간격과 위상차(α)를 갖도록 형성된 제 2 캠홈(46)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캠홈(46)은 다시 걸림턱(42)으로 이어지도록 구성되고, 이와 대향되는 증기 조절캡(50)의 캠 돌기수단은 걸림턱(42)과 맞대향되는 걸림돌기(52)와, 증기 조절캡(50)의 회전에 따라 각 캠홈(44)(46)을 거치면서 밸브 본체(20)를 변위시키는 캠 돌기(54)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에서 원형의 캠홈수단과 캠돌기수단을 직선형으로 펼친 상태의 작동도와 이에 대응되는 압력조절밸브의 측단면도(증기압이 강제배출되기 전의 상태)이고,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에서 원형의 캠홈수단과 캠돌기수단을 직선형으로 펼친 상태의 작동도와 이에 대응되는 압력조절밸브의 측단면도(증기압이 강제배출된 상태)이다.
압력솥의 증기압의 조절상태는, 발생된 증기압이 압력표시봉(30)의 레벨부(32)가 외부로 돌출되는 상태로 되면, 사용자가 압력솥내의 압력상태가 높은지 낮은지를 인지하게 되는 한편 상기 증기압력이 적정이상을 초과할 경우에는 제 1 스프링(26)을 밀어 올리면서 밸브 본체(20)의 연통공(24)과 압력표시봉(30)의 증기배출요부(34)가 서로 통하는 구조가 성립되어 증기압력이 밸브 본체(20)와 밸브 케이싱(10) 사이의 공간부를 거쳐 밸브 캡(40)의 증기배출공(48)과 증기조절캡(50)의 증기단속공(5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음)
그러나, 점성이 높은 기름진 음식을 조리할 경우에는 기름기가 수증기와 함께 증발되기 때문에 압력조절밸브의 배출경로를 막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밸브 캡(40)의 걸림턱(42)이 증기조절캡(50)의 걸림돌기(52)가 맞대향되어 면접되고 캠 돌기(54)가 밸브 캡(40)의 제 1 캠홈(44)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증기조절캡(50)을 일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캠 돌기(54)가 경사면을 타고 이동되고 상기 캠 돌기(54)가 제 1 캠홈(44)보다 위상차(α)가 있는 제 2 캠홈(46)에 이르게 되면 상기 캠 돌기(54)의 높이만큼 밸브 캡(40)으로부터 떨어지게 됨과 동시에 걸림플랜지(62)에 의해 증기조절캡(50)상에 걸려있는 상태인 밸브본체 케이싱(60)이 상향되게 이동되고, 상기 밸브본체 케이싱(60)과 나사결합된 밸브 본체(20) 또한 제 2 스프링(70)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상방향으로 변위되어 밸브 본체(20)의 완곡면(22)이 밸브 케이싱(10)의 테이퍼부(16)로부터 떨어져 강제적인 증기배출경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밸브 본체(20)의 완곡면(22)과 밸브 케이싱(10)의 테이퍼부(16) 사이로 빠져나가는 증기는 물론 밸브 캡(40)의 증기배출공(48) 및 증기조절캡(50)의 증기단속공(5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밸브 본체(20)를 원상태로 복귀하고자 할 경우에는 증기조절캡(50)의 손잡이부(58)를 잡고 상기의 작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구간 회전시키면 증기조절캡(50)의 걸림돌기(52)가 밸브 캡(40)의 걸림턱(42)에 맞대향되게 접촉됨과 동시에 제 2 스프링(70)을 압축하고 있던 가압력이 상쇄되고, 밸브본체 케이싱(60)의 하향이동에 따른 밸브 본체(20)가 원위치, 즉 밸브 본체(20)의 완곡면(22)과 밸브 케이싱(10)의 테이퍼부(16)가 접촉되면서 증기압 배출경로가 차단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압력조절밸브와 압력추의 역할을 병행하므로써 조립공수의 절감 및 압력솥에 대한 조립시간 단축 등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력조절기능이 저하되었을 경우 간단한 조작으로 화상을 입을 염려없이 증기를 배출시키기 때문에 조작성과 안정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2)

  1. 압력솥의 증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밸브를 압력솥 뚜껑의 결합공에 설치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결합공에 끼워져 고정 결합되고, 내부는 일정 내경으로써 서로 연통되되 내부 하단에는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된 밸브 케이싱;
    상기 밸브 케이싱의 내부에서 일정 간격을 갖도록 구성되고, 그 내부에 압력표시봉이 일정 수직범위에서 움직임에 따라 증기압이 배출 조절되도록 헐겁게 끼워져 구성되고, 그 상부에 일정 탄성력을 갖는 제 1 스프링의 일측을 지지하며, 그 외주연에 밸브 케이싱의 테이퍼부에 맞닿으면서 막힌 구조가 되도록 테이퍼부의 내경보다 큰 완곡부가 형성된 밸브 본체;
    상기 밸브 케이싱의 상부와 고정 결합되고, 상, 하부가 서로 연통되는 구조가 형성되며, 그 상부에 높이가 서로 다른 다단구조의 캠 홈수단이 형성되고, 상, 하부로 서로 연통되는 별도의 증기 배출공이 형성된 밸브 캡;
    상기 밸브 캡의 상부에 맞댄 형태로 위치되고, 캠 홈수단과 대향되게 캠 돌기수단이 형성되고, 회전범위에 따라 증기 배출공이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증기 단속공이 형성된 증기 조절캡;
    상기 증기 조절캡의 상부로 끼워지되 상단은 그 캡에 걸려지도록 걸림플렌지가 형성되고 하단은 밸브 본체에 결합되면서 제 1 스프링의 타측을 지지하는 밸브본체 케이싱;
    상기 밸브 캡의 일측과 밸브 본체의 일측에 각각 걸리도록 탄지되는 제 2 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배출기능을 갖는 압력솥 압력조절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캡의 캠 홈수단은 일방향으로만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걸림턱과, 그 걸림턱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 1 캠홈과, 상기 제 1 캠홈으로부터 일정간격과 위상차(α)를 갖도록 형성된 제 2 캠홈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캠홈은 다시 걸림턱으로 이어지도록 구성되고, 이와 대향되는 증기 조절캡의 캠 돌기수단은 걸림홈과 맞대향되는 걸림돌기와, 증기 조절캡의 회전에 따라 각 캠홈을 거치면서 밸브 본체를 변위시키는 캠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배출기능을 갖는 압력솥 압력조절밸브.
KR1019990019801A 1999-05-31 1999-05-31 강제 배출기능을 갖는 압력솥 압력조절밸브 KR100317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801A KR100317031B1 (ko) 1999-05-31 1999-05-31 강제 배출기능을 갖는 압력솥 압력조절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801A KR100317031B1 (ko) 1999-05-31 1999-05-31 강제 배출기능을 갖는 압력솥 압력조절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289A true KR20000075289A (ko) 2000-12-15
KR100317031B1 KR100317031B1 (ko) 2001-12-22

Family

ID=19588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801A KR100317031B1 (ko) 1999-05-31 1999-05-31 강제 배출기능을 갖는 압력솥 압력조절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70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96109A (zh) * 2021-06-14 2024-01-12 (株)酷晨 烹饪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769B1 (ko) * 2002-12-04 2005-03-10 주식회사 토광엔지니어링 압력솥 일체형 레버밸브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93375B1 (fr) * 1986-01-29 1988-04-08 Seb Sa Soupape de fonctionnement pour autocuiseur
KR960004063Y1 (ko) * 1993-02-26 1996-05-21 경동산업 주식회사 압력솥의 증기압 표시 및 배출장치
KR100225774B1 (ko) * 1997-03-18 1999-10-15 차재국 압력솥용 안전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96109A (zh) * 2021-06-14 2024-01-12 (株)酷晨 烹饪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7031B1 (ko) 200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8204A (en) Adjustable fluid flow regulator
KR102297855B1 (ko) 전기조리기
CN101004255A (zh) 尤其用于安装在厨房用具内的电灯
EP3098517B1 (en) Burner assembly
EP2097673A1 (en) Hub and spoke burner with flame stability
US20130206128A1 (en) On-demand cooking apparatus
KR100317031B1 (ko) 강제 배출기능을 갖는 압력솥 압력조절밸브
KR200172801Y1 (ko) 강제 배출기능을 갖는 압력솥 압력조절밸브
KR100473769B1 (ko) 압력솥 일체형 레버밸브
CN101420892B (zh) 具有可控减压功能的可调压力烹饪器具
KR100473770B1 (ko) 압력솥 일체형 밸브
KR200305055Y1 (ko) 압력솥 일체형 레버밸브
KR200305056Y1 (ko) 압력솥 일체형 밸브
US11353216B2 (en) Switch assembly
KR200252339Y1 (ko) 다단식 압력조절밸브
KR200373491Y1 (ko) 휴대용 안전 가스렌지
CN109381040B (zh) 包括触觉反馈装置的气阀及包括所述气阀的烹饪器具
KR200283657Y1 (ko) 바이메탈을 이용한 가스유량 조절장치
KR101526207B1 (ko) 조리용 용기 뚜껑
KR100399766B1 (ko) 휴대용 가스렌지 폭발방지장치
KR950009094Y1 (ko) 가스량 조절밸브
KR19990030024U (ko) 가스요리기구의 정압기
KR960001880Y1 (ko) 가스연소기구의 감압 밸브
KR200297934Y1 (ko) 상업용 가스밥솥의 높이조절장치
JPS5938642Y2 (ja) ガスこんろの火炎調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